맨위로가기

성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정(1906–2005)은 중국의 불교 승려이자 사상가로, 대만 불교 부흥에 기여한 인물이다. 본명은 장루친이며, 청나라 말기에 태어나 불교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었다. 그는 중국과 대만을 오가며 포교 활동과 학문 연구를 병행했으며, 특히 대승불교 삼계통론을 제시하여 스승 태허와 다른 독자적인 사상을 펼쳤다. 그는 '타이완의 신생불'로 추앙받았으며, 1973년 다이쇼 대학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에는 대만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으며, 2005년 화롄의 자제 병원에서 입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승려 - 즈강
    즈강은 중국 태생의 대만 불교 승려이자 학자, 작가, 법고산의 창시자로, 불교 승려가 된 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고산을 창립하여 불교 세계화에 기여했다.
  • 다이쇼 대학 동문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다이쇼 대학 동문 - 후키이시 카즈에
    후키이시 카즈에는 1983년 CF 모델로 데뷔, 1996년 아이돌 그룹 활동 후 1997년 배우와 가수로 정식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활동했으며, 2015년 후쿠야마 마사하루와 결혼한 일본 배우이자 가수이다.
  • 국립 성공 대학 교수 - 즈강
    즈강은 중국 태생의 대만 불교 승려이자 학자, 작가, 법고산의 창시자로, 불교 승려가 된 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고산을 창립하여 불교 세계화에 기여했다.
  • 국립 성공 대학 교수 - 새뮤얼 차오 충 팅
    새뮤얼 차오 충 팅은 J/ψ 중간자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이며, 알파 자기 분광기 프로젝트를 통해 암흑 물질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성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인순(印順)
본명장루친(張鹿芹)
속명장루친(張鹿芹, 장녹근)
자(字)성정(盛正)
법명성정(盛正), 인순(印順)
별칭성정(盛正)
존칭존경하는 스승(導師)
출생일1906년 4월 5일
출생지청나라 저장성
사망일2005년 6월 4일
사망지중화민국 화롄 현
국적중국
종교
종교대승불교
학력
교육일본 다이쇼 대학교 대학원
활동
직업승려, 불교학자
스승태허(太虛), 청념(清念)
기타
기타 정보교증득증상, 성도요동남(教證得增上,聖道耀東南)

2. 생애

태허가 주도하던 푸젠 성 샤먼의 난푸퉈 사 내 민난 불교학원에서 수학한 후 그곳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43년에는 후베이 성 우한의 우창 불교학원 교수가 되었으나, 중일전쟁의 영향으로 쓰촨 성 충칭의 한장교리원으로 옮겨 활동을 이어갔다. 이곳에서 티베트 유학 경험이 있는 법존 등과 교류하며 학문적 깊이를 더했다.

이후 쓰촨 성의 법왕 불교학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전란을 피해 홍콩을 거쳐 타이완으로 이주했다. 타이완에서는 타이베이의 혜일강당을 중심으로 포교와 강연 활동을 펼쳤고, 스승인 태허의 전집 편찬 작업에도 참여했다.

1973년 일본 다이쇼 대학에서 『중국 선종사』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 1997년에는 그의 학문과 사상을 기리기 위한 인순 문교 기금회가 설립되었다. 2005년 화롄의 자제 병원에서 입적하였다.

2. 1. 출생과 불교 입문

인순(印順)의 속명은 장루친(張鹿芹, Chang Luch'in)으로, 1906년 4월 5일 (음력 병오년(丙午年) 3월 12일) 청나라 말기 저장성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11일 만에 위독하여 생사의 고비를 넘겼으며, 7세에 학교에 입학하였다.

학업 중 우연히 '불멸'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의 부모는 이를 특이하게 여겨 다른 학교로 보냈다. 장루친은 이후 유교도교 사상을 접했지만 정신적인 만족을 얻지 못했다. 한때 기독교에 관심을 두기도 했으나, 2년 후 그 교리가 자신과는 거리가 있다고 판단했다. 어느 날 읽을거리를 찾던 중 '불교 법(佛法)'이라는 단어를 접하고 깊은 흥미를 느껴, 이때부터 불교 관련 가르침을 열정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태허가 이끌던 푸젠 성 샤먼 난푸퉈 사의 민난 불교학원에서 불교를 공부하였다.

2. 2. 수행과 학문 연구

학력
학위학교전공취득 연도
학사국립 타이완 사범대학교육학1958년
석사국립 타이완 사범대학 사범대학원교육학1968년
박사다이쇼 대학 대학원불교학 (인문과학)1973년



1930년, 장루친은 베이징의 불교 대학에 입학하려 했으나 시기를 놓쳤다. 이후 푸퉈 산에서 왕이라는 청년을 만나 함께 불법(佛法)을 공부할 곳을 찾던 중, 푸춘 사찰(福泉庵)의 주지 칭녠 스님(清念和尚)을 만나게 되었다. 1930년 10월 11일, 칭녠 스님은 장루친의 머리를 깎아주고 '인순'(印順)이라는 법명을 주었다.

이후 인순은 태허가 주도하던 푸젠 성 샤먼의 난푸퉈 사 내 민난 불교학원에서 수도했으며, 나중에는 그곳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43년에는 후베이 성 우한의 우창 불교학원 교수가 되었다. 그러나 중일전쟁 중 일본군의 공격이 거세지자 쓰촨 성 충칭의 한장교리원으로 피난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이곳에서 그는 태허의 또 다른 제자이자 티베트 유학 경험이 있는 법존과 교류하며 학문적 깊이를 더했다.

그 후, 쓰촨 성의 법왕 불교학원 원장을 지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는 홍콩을 거쳐 타이완으로 이주했다. 타이완에서는 타이베이의 혜일강당을 중심으로 포교와 강연 활동을 펼쳤고, 스승인 태허의 전집 편찬 작업에도 힘썼다.

1973년, 다이쇼 대학에서 『중국 선종사』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

1997년에는 그의 학문과 사상을 기리기 위한 인순 문교 기금회가 설립되었다.

2005년 화롄의 자제 병원에서 입적했다.

2. 3. 타이완 이주와 활동

1948년 중화민국 대륙쓰촨성 청두를 떠나 광둥성 광저우를 거쳐 홍콩으로 건너갔다. 이후 1952년 홍콩을 떠나 중화민국 타이완으로 이주하여 타이베이의 혜일강당을 활동 거점으로 삼아 포교 활동과 강연 활동을 펼쳤으며, 스승인 태허의 전집 편찬 작업 등을 진행했다. 이후 타이완 성 화롄에 정착하였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으로 유학하여 다이쇼 대학에서 수학했고, 1973년 『중국 선종사』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 같은 해 타이완으로 돌아와 화롄에 머물며, 1973년 8월부터 1975년 2월까지 국립 성공 대학 철학과 겸임교수를 지내는 등 타이완 불교 철학 발전에 기여했다.

1997년에는 인순 문교 기금회가 설립되었다. 그는 "타이완의 신생불(新生佛)"이라는 추앙을 받기도 했으며, 2005년 6월 4일 화롄의 자제 병원에서 향년 99세로 입적하였다.

2. 4. 입적

2005년 6월 4일, 1954년부터 앓아온 폐결핵 합병증으로 인해 99세의 나이로 화롄의 자제 병원에서 입적했다.[8][9] 자제를 비롯한 여러 불교 단체와 인순의 영향을 받은 사찰들은 8일 동안 애도의 시간을 가졌다.

장례식에는 당시 중화민국 총통이었던 천수이롄, 중화민국 행정원장 셰창팅 및 다른 입법자들이 참석했다.[10] 또한 미국 등 세계 각지의 승려들과 자제 대표단을 이끈 정옌을 포함한 그의 제자들이 참석하여 고인을 기렸다.

인순은 생전에 단순하고 검소한 생활을 유지했기에, 제자들은 그의 뜻을 따라 장례식을 간소하지만 엄숙하게 치르기로 결정했다. 장례는 그가 오랫동안 머물렀던 신주의 푸옌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6월 10일에 화장되었으며, 그의 유골과 초상화는 푸옌 사원 내 다른 승려들의 유해와 함께 전당에 안치되었다.

3. 사상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내용을 작성하지 않음)

3. 1. 대승불교 삼계통론

태허(太虛, 1890–1947) 대사는 대승불교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태허의 대승불교 3종 분류
분류주요 사상위계
법성공혜종 (法性空慧宗)중관 (공성, 반야)중관/유식과 동급
법상유식종 (法相唯識宗)유식 (법상)중관/유식과 동급
법계원각종 (法界圓覺宗)법계, 원각최고 수준 (완전하고 최종적인 법)



태허는 이 중에서 법계원각종이 가장 높은 수준이며 완전하고 최종적인 법이라고 보았고, 중관과 유식은 그 다음 수준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태허의 제자인 인순(印順, 1906–2005)은 스승과 다른 관점에서 대승불교를 세 가지 계통으로 분류했다.

인순의 대승불교 3계통 분류
계통주요 사상시대 구분 (인순 기준)
성공유명계 (性空唯名系)중관 (공성, 유명)초기 대승 (용수)
허망유식계 (虛妄唯識系)유식 (허망)중기 대승 (무착, 세친)
진상유심계 (真常唯心系)여래장 (진상, 유심)후기 대승



인순은 초기 대승불교를 용수(나가르주나)의 반야바라밀 사상, 중기 대승불교를 무착(아상가)과 세친(바수반두)의 유식 사상, 후기 대승불교를 여래장 사상으로 특징지으며 시대적으로 구분했다. 이는 스승인 태허의 입장과는 다른 견해를 보여준다.[5]

4. 영향

성정은 타이완 불교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타이완 불교 부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4년 3월 중화민국으로부터 경운보성훈 2등급을 수여받았다.[6] 또한, 그는 훗날 자제회를 창립하게 되는 청옌 대사를 제자로 받아들이고 그녀의 활동에 중요한 정신적, 물질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자제회의 설립과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7]

4. 1. 학문적 영향

성정은 중화민국 타이난에 위치한 국립 성공 대학 철학과에서 1973년 8월부터 1975년 2월까지 겸임교수로 재직하였다.

4. 2. 사회적 영향

1963년 2월, 타이베이에서 32일간의 불교 승려 및 비구니 수련회가 열렸을 때, 타이완 동부 화롄 출신의 젊은 여성 신자였던 청옌은 스승이 재가자라는 이유로 수련회 등록을 거부당했다. 수련회 측에서는 참가 중인 다른 승려나 비구니를 스승으로 모시면 된다고 했으나, 청옌은 스승을 신중하게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다.[7]

이후 청옌은 인 순 대사(印順大師)를 찾아갔다. 인 순 대사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내 제자인 혜인(惠英)이 나에게 태허(太虛) 대사의 전집을 사기 위해 내가 살고 있던 혜일 강당(慧日講堂)으로 그녀를 데려왔다. 혜인은 그 여성이 머리를 스스로 깎았고 스승이 재가자였기 때문에 수련회에서 거절당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혜인에게 내가 그녀의 스승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해달라고 간청했다... 나는 그녀가 왜 나를 스승으로 선택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지만, 동의했다."[7] 인 순 대사는 당시 제자를 거의 두지 않았음에도 청옌을 제자로 받아들였다.

인 순 대사는 청옌에게 "우리들의 업연(業緣)은 매우 특별합니다. 비구니로서 당신은 항상 불교와 모든 중생에게 헌신해야 합니다."라고 당부하며, 법명 '청옌(證嚴)'을 즉시 부여하고 수련을 시작하도록 했다. 이 만남은 훗날 자제 재단 설립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7]

1979년 여름, 인 순 대사가 화롄을 방문했을 때, 청옌은 의료 시설이 부족한 타이완 동부 지역 주민들을 위해 병원을 짓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인 순 대사는 이 계획의 어려움을 예상하면서도 "자선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말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 과업은 변함없는 헌신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고 격려하며 지지를 표명했다. 청옌의 굳은 결의를 확인한 인 순 대사는 병원 건립을 위해 신도들이 그에게 보시한 금전적 공양의 거의 전부를 전달하는 등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인 순 대사의 이러한 정신적, 물질적 지원은 청옌이 병원 건립 과정에서 겪게 될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나아갈 수 있는 큰 힘이 되었다.

5. 저서


  • ''불도에 이르는 길: 현대 중국 스승의 가르침'', 보스턴: Wisdom Publications, 1998.
  • http://www.buddhanet.net/pdf_file/miao_yun.pdf Miao Yun 선집 번역 (보존된 페이지: https://web.archive.org/web/20140528124258/http://www.buddhanet.net/pdf_file/miao_yun.pdf 2014년 5월 28일), 불교 다르마 교육 협회(Buddha Dharma Education Association), 1995. 이는 인순의 주요 저작 모음인 《妙雲集|묘운집중국어》의 선집 번역본이다.
  • ''A Sixty-Year Spiritual Voyage on the Ocean of Dharma'', Noble Path Buddhist Education Fellowship, 2009. 인순(Yin Shun)의 자서전 《游心法海六十年|유심법해 육십 년중국어》의 번역본 (Yu-Jung L. Avis, Po-Hui Chang, Maxwell E. Siegel 공역).
  • ''An Investigation into Emptiness: Parts One and Two'', Towaco, NJ: Noble Path Buddhist Education Fellowship, 2017. 《空之探究|공지탐구중국어》의 번역본 (Shi Hui Feng 역).
  • 『중국 선종사 선사상의 탄생』 (이부키 아츠시 역, 산키보 불서림, 1997년)
  • 이 외에도 다양한 주제에 관해 중국어 만다린어로 쓰인 50편 이상의 저작이 있으며, 분량은 수천 페이지에 달한다. 현재 영어로 번역 작업이 진행 중이다.

6. 제자

1963년 2월, 타이베이에서 32일간의 불교 승려 및 비구니 수련회가 열렸을 때, 타이완 동부 화롄에서 온 젊은 여성 신자였던 청옌은 수련회 등록을 거부당했다. 그녀는 스스로 머리를 깎았고 스승이 재가자였기 때문이다.

인 순 대사(印順大師)는 당시를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7]

: 내 제자인 혜인(惠英)이 태허(太虛) 대사의 전집을 사기 위해 내가 살고 있던 혜일 강당(慧日講堂)으로 그녀(청옌)를 데려왔다. 혜인은 그 여성이 머리를 스스로 깎았고 스승이 재가자였기 때문에 수련회에서 거절당했다고 말했다. 누군가가 그녀에게 거기에 있는 승려나 비구니에게 제자로 받아달라고 요청할 수 있었다고 말했지만, 그녀는 스승을 신중하게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책을 산 후, 폭우가 쏟아져서 떠날 수 없었다. 그녀는 혜인에게 내가 그녀의 스승이 되어주기를 바란다고 전해달라고 간청했다. 그녀는 내가 제자를 거의 받지 않는다는 것을 몰랐다¹. 마치 하늘이 그녀의 소원을 들은 듯, 마침 그때 내가 방에서 나왔다. 혜인이 나에게 와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했다. 나는 그녀가 왜 나를 스승으로 선택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지만, 동의했다.

¹당시 인 순 대사는 세 명의 제자만을 두고 있었다. 이 세 명은 현재 모두 미국에서 불교 법을 가르치고 있다.

인 순 대사는 청옌에게 "우리들의 업연(業緣)은 매우 특별합니다. 비구니로서 당신은 항상 불교와 모든 중생에게 헌신해야 합니다."라고 당부했다. 수련회 등록 마감이 임박했기에, 인 순 대사는 즉시 그녀에게 '청옌(證嚴)'이라는 법명을 주고 수련을 시작하도록 했다. 이 만남은 훗날 자제 재단 창립의 계기가 되었다.

1979년 여름, 인 순 대사는 화롄을 방문했다. 청옌은 스승에게 의료 시설이 부족한 타이완 동부 지역 주민들을 위해 병원을 짓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인 순 대사는 앞으로 닥칠 어려움을 예상하며 청옌에게 조언했다. "자선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말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나는 더 많은 사람들이 당신에게 도움을 요청할 때 당신에게 힘과 돈이 있는지 생각해 보라고 상기시켜주었다. 이 과업은 변함없는 헌신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

청옌의 굳은 결의를 확인한 인 순 대사는 병원 건설 프로젝트를 지지했다. 그는 청옌이 수많은 어려움에 직면하리라는 것을 알았지만, 그의 지지는 청옌에게 큰 힘이 되었다. 인 순 대사는 신자들이 그에게 공양한 금전 대부분을 병원 건설을 위해 내놓았는데, 수년간 모인 금액은 상당한 액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印順法師─教證得增上,聖道耀東南 http://www.hcccb.gov[...]
[2] 서적 The Way To Buddhahood: Instructions From A Modern Chinese Master
[3] 웹사이트 Zheng Xin's Guide http://www.myzhengxi[...]
[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gama Sutra: The First Buddhist Scripture https://aaari.info/0[...] 2002-06-06
[5] 간행물 From the Vijñapti-mātra Thoughts of Dharmapāla 's lineage translated by Master Xuanzang to the Maitreya Studies in Modern Greater China Institute of Maitreya Studies
[6] 서적 The Margins of Becoming: Identity and Culture in Taiwan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Verlag 2007
[7] 서적 法影一世紀 天下文化出版社
[8] 서적 Tzu Chi: Serving with Compass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9] 뉴스 Buddhist master Yin Shun dies at 100 http://www.taipeitim[...] 2005-06-05
[10] 뉴스 President, premier pay last respects to Yin Shun http://www.taipeitim[...] 2005-06-11
[11] 웹사이트 CiNii>500000385656 https://ci.nii.ac.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