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스 반스 니컬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스 반스 니컬슨은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윌슨 산 천문대에서 경력의 대부분을 보냈으며, 목성의 위성 시노페, 리시테아, 카르메, 아난케를 발견했다. 소행성 2개와 혜성 궤도, 명왕성 궤도를 계산했으며, 태양 활동 연구와 일식 관측을 통해 코로나의 명도와 온도를 측정했다. 에디슨 페팃과 함께 적외선 천문학 연구를 수행하여 달의 얇은 먼지층이 단열체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고, 적색 거성의 크기를 측정했다. 1943년부터 1955년까지 태평양 천문학회 잡지 편집을 맡았고, 1963년 브루스 메달을 수상했다. 소행성, 달과 화성의 분화구, 가니메데의 지형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 발견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위성 발견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출신 -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의 제16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승리와 노예 해방 선언을 통해 노예 제도를 폐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독학으로 변호사가 되어 정치 활동을 하다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재임 중 암살당했다.
  • 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출신 - 메리 토드 링컨
    메리 토드 링컨은 1818년 렉싱턴에서 태어나 에이브러햄 링컨의 부인이자 미국의 영부인이 되었으나, 결혼 후 화려한 생활, 질투심, 히스테리, 남북전쟁, 자녀의 요절, 남편의 암살 등으로 고통받으며 정신병원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사회적 배경, 정신 건강 문제, 영부인 역할 간의 갈등, 그리고 시대에 따른 재해석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 소행성 발견자 - 하인리히 올베르스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독일의 의사이자 천문학자로, 팔라스와 베스타 두 소행성을 발견하고 혜성 궤도 계산법을 개발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시하여 우주론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발견자 - 요한 팔리사
    오스트리아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는 육안으로 122개의 소행성을 발견하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육안 소행성 발견자로 기록되었으며, 팔리사-볼프 성도 제작, 랄랑드상과 발츠상 수상, 소행성 914 팔리사나와 달의 크레이터 팔리사 명명 등으로 업적을 기리고 있다.
세스 반스 니컬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스 B. 니컬슨이 분광기 앞에 앉아 있다.
세스 B. 니컬슨이 분광기 앞에 앉아 있다.
이름세스 반스 니컬슨
로마자 표기Sese Banseu Nikeolseun
출생1891년 11월 12일
출생지미국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
사망1963년 7월 2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국적미국
분야천문학
소속마운트 윌슨 천문대
모교드레이크 대학교
수상브루스 메달 (1963년)
업적
주요 업적위성 리시테아 발견

2. 경력

니컬슨은 윌슨 산 천문대에서 대부분의 경력을 보냈으며, 목성의 위성 리시테아, 카르메, 아난케를 발견했다. 또한 트로이군 소행성 (1647) 메넬라오스를 비롯한 소행성, 혜성, 명왕성의 궤도를 계산했다.[7] 1943년부터 1955년까지 태평양 천문학회 잡지 편집을 맡았고, 두 번 회장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에서 태어났다. 드레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1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리크 천문대에서, 막 발견된 목성의 위성 파시파에를 관측하던 중 새로운 위성 시노페를 발견하고, 그 궤도 계산으로 1915년에 학위를 취득했다.[7]

2. 2. 리크 천문대 및 윌슨 산 천문대에서의 연구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에서 태어났다. 드레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1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크 천문대에서 막 발견된 목성의 위성 파시파에를 관측하던 중 새로운 위성 시노페를 발견하고, 그 궤도 계산으로 1915년에 학위를 취득했다.

윌슨 산 천문대에서 경력의 전부를 보내며, 1938년에 목성의 위성 리시테아카르메를, 1951년에는 아난케를 발견했다. 그 외에도 트로이군 소행성 (1647) 메넬라오스 등 2개의 소행성을 발견했고[7], 몇몇 혜성과 명왕성의 궤도를 계산했다.

니컬슨이 발견한 4개의 목성 위성("Jupiter IX", "Jupiter X", "Jupiter XI", "Jupiter XII")은 그가 이름을 붙이는 데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1975년까지 정식 명칭이 없었다.

태양 활동 연구도 진행하여 정기적으로 태양 흑점 활동을 보고했으며, 여러 일식 관측에 참여하여 코로나의 밝기와 온도를 측정했다.

1920년대 초부터 에디슨 페팃(Edison Pettit)과 함께 천체의 적외선 관측을 실시했다. 진공 열전쌍을 사용하여 , 행성, 태양 흑점, 항성의 적외선 방출을 측정했다. 달의 온도 측정 결과로부터 얇은 먼지층이 단열체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온도 측정을 통해 태양계 근처 적색 거성의 크기를 처음으로 결정했다.

2. 3. 태양 활동 연구 및 일식 관측

니컬슨은 태양 활동 연구에 참여하여, 정기적으로 태양 흑점 활동을 보고했으며, 여러 번의 일식 관측에 참여하여 코로나의 밝기와 온도를 측정했다.[7]

1920년대 초부터 에디슨 페팃과 함께 천체의 적외선 관측을 실시했다. 진공 열전쌍을 사용하여 달, 행성, 태양 흑점, 항성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측정했다. 달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로부터 얇은 먼지층이 단열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온도 측정을 통해 태양계 근처 적색 거성의 크기를 처음으로 결정했다.[7]

2. 4. 적외선 천문학 연구

에디슨 페팃과 함께 1920년대 초부터 천체의 적외선 관측을 실시했다. 진공 열전쌍을 사용하여 달, 행성, 태양 흑점, 항성의 적외선 방출량을 측정했다.[7] 달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로부터 얇은 먼지층이 단열재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온도 측정을 통해 태양계 근처 적색 거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최초의 시도를 하기도 했다.[7]

3. 수상 및 영예

세스 반스 니컬슨은 1963년에 브루스 메달을 수상했다.[8]

그의 이름을 딴 천체 및 지형은 다음과 같다.


  • 소행성 1831 니컬슨
  • 달의 니컬슨 분화구
  • 화성의 니컬슨 분화구
  • 가니메데의 니컬슨 레지오

참조

[1] 논문 Obituary: Seth B. Nicholson 1963-09
[2] 웹사이트 Seth Barnes Nicholson, 1963 Bruce Medalist https://phys-astro.s[...] Sonoma State University 2021-06-23
[3] 서적 Seth Barnes Niocholson, 1891–1963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4] 간행물 The Satellites of Jupiter http://adsabs.harvar[...]
[5] 서적 Astrophysics of the sun http://adsabs.harv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6] 서적 Solar variability and its effects on climat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4
[7] 웹사이트 Minor Planet Discoverers https://minorplanetc[...] MPC 2021-07-24
[8] 웹사이트 "(1831) Nicholson = 1948 GF = 1955 ML = 1968 HC" https://minorplanetc[...] MPC 202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