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센트럴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트럴선은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총 74km 길이에 49개 역을 운영한다. 1900년 개통 당시 셰퍼드 부시와 뱅크 사이를 운행했으며, 이후 일링 브로드웨이, 웨스트 루이슬립, 에핑 등으로 연장되었다. 1933년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에 편입되었고, 193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94년에는 에핑-옹거 구간이 폐쇄되었으며, 현재는 1992년식 전동차를 사용하여 운행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24시간 나이트 튜브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노선 연장 및 차량 교체 계획이 진행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섬포리스트구의 교통 - 빅토리아선
    빅토리아선은 1960년대 런던의 교통 혼잡 완화 및 실업 해소를 위해 건설되어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개통되었으며, 월섬스토 센트럴에서 브릭스턴까지 런던 주요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고 대부분 역이 환승역으로 설계된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 시스템 기반의 런던 지하철 노선이다.
센트럴선
개요
[[테이던 보아 역]]을 떠나는 센트럴 선 [[런던 지하철 1992년식 차량|1992년식 전동차]]
테이던 보아 역을 떠나는 센트럴 선 1992년식 전동차
노선 종류고심도 지하철
운영 기관런던 지하철
노선색빨간색
개통일1900년 7월 30일
마지막 확장1949년
차량1992형
역 수49개
노선 길이74 km
연간 승객 수3억 112만 명 (2019년)
웹사이트tfl.gov.uk
기점 및 종점
기점에핑 (Epping)
종점일링 브로드웨이 (Ealing Broadway)
웨스트 라이슬립 (West Ruislip)
노선 정보
지나가는 지역런던 중심부
주요 연결 노선도클랜즈 경전철(DLR), 국철(National Rail), 피카딜리 선(Piccadilly line), 주빌리 선(Jubilee line), 노던 선(Northern line), 베이컬루 선(Bakerloo line), 서클 선(Circle line), 디스트릭트 선(District line), 해머스미스&시티 선(Hammersmith & City line), 메트로폴리탄 선(Metropolitan line), 빅토리아 선(Victoria line), 엘리자베스 선(Elizabeth line)
차량기지라이슬립 (Ruislip)
헤이놀트 (Hainault)
화이트 시티 (White City)
역사
개통1900년 7월 30일
이전 명칭센트럴 런던 철도 (Central London Railway)
기타 정보
가장 붐비는 역옥스퍼드 서커스 (34,300,000명)

2. 역사

센트럴 런던 철도(CLR)는 1891년 셰퍼드 부시와 콘힐 역 사이의 지하철 노선 건설 허가를 받았으며, 이듬해 리버풀 스트리트까지 연장하는 것이 승인되었으며, 콘힐 대신 뱅크에 역이 건설되었다. 이 노선은 건물 아래로 달리는 대신 건물 위 거리로 건설되었는데, 이는 사유지 아래의 통행권을 구매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반대 방향의 선로는 대부분 나란히 달리지만, 공간 부족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한 선로가 다른 선로 위에 있으며, 세인트 폴스, 챈서리 레인, 노팅힐 게이트 역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플랫폼이 있다. 터널은 제동을 돕기 위해 일반적으로 역으로 접근하면서 상승하고 가속을 돕기 위해 출발할 때 하강한다.

해리 벨 메저스는 CLR의 지상 건물을 설계했으며, 이 건물은 옥스퍼드 서커스에 위치해 있다.


센트럴 런던 철도는 역 플랫폼을 전기 조명으로 밝힌 최초의 지하철이었다. 모든 플랫폼은 크롬톤 자동 전기 아크 램프로, 기타 역 구역은 백열전구로 밝혀졌다. 흰색 유약을 바른 타일과 함께 모든 센트럴 런던 철도 지하 플랫폼은 매우 밝게 빛났다. 전기 조명의 사용은 센트럴 런던이 또한 AC 전기 배전을 사용한 최초의 지하철이었기 때문에 더욱 가능해졌다

셰퍼드 부시와 뱅크 사이의 노선은 1900년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개통되었으며, 7월 30일에 대중 교통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균일 요금 2페니로 철도는 "투페니 튜브"로 알려지게 되었다. 처음에는 전기 기관차로 운행되었으며, 소음 발생 기어박스를 제거하기 위해 모터 전기자가 차축에 직접 내장되어 객차를 견인했다. 철도는 기어 구동을 사용하도록 기관차를 재건했다. CLR은 스프라그가 개발한 견인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64개의 새로운 동력차를 주문했다. CLR은 1903년까지 결과적인 전기 동력차를 독점적으로 사용했다.

1907년 7월, 7~8개 역 이상을 여행하는 요금이 3d로 인상되었다. 1908년 프랑코-영국 박람회를 위해 우드 레인에 단일 플랫폼을 제공하는 루프로 서쪽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3개 이하의 역을 여행하는 1d의 할인 요금이 1909년에 도입되었고, 정기권은 1911년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리버풀 스트리트까지의 연장은 이듬해에 개통되어 그레이트 이스턴 철도 역과 인접한 브로드 스트리트 철도역까지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센트럴 런던 철도는 1913년 1월 1일에 언더그라운드 그룹에 흡수되었다.

1911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는 일링 브로드웨이에서 CLR의 셰퍼드 부시 근처의 역까지 노선을 건설하고, 웨스트 런던 철도에 연결하고, CLR에 노선을 연결하고, CLR이 일링 브로드웨이까지 열차를 운행하도록 하는 허가를 받았다. CLR에서 일링 브로드웨이까지의 연장 건설은 1912년에 시작되었지만 개통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CLR은 연장을 위해 새로운 차량을 구매하여 1915년에 도착하여 베이컬루 선에 대여되기 전에 보관했다. 차량은 1920년 연장이 개통되었을 때 반환되었다.

1920년대 초, 뱅크 역에서 퀸스 로드(현재 퀸스웨이 역)까지 9개 역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2. 1. 센트럴 런던 철도 (1900년~1933년)

센트럴 런던 철도(CLR)는 1891년 셰퍼드 부시와 콘힐 역 사이의 지하철 노선 건설 허가를 받았으며, 이듬해 리버풀 스트리트까지 연장하는 것이 승인되었으며, 콘힐 대신 뱅크에 역이 건설되었다. 이 노선은 건물 아래로 달리는 대신 건물 위 거리로 건설되었는데, 이는 사유지 아래의 통행권을 구매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반대 방향의 선로는 대부분 나란히 달리지만, 공간 부족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한 선로가 다른 선로 위에 있으며, 세인트 폴스, 챈서리 레인, 노팅힐 게이트 역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플랫폼이 있다. 터널은 제동을 돕기 위해 일반적으로 역으로 접근하면서 상승하고 가속을 돕기 위해 출발할 때 하강한다.

센트럴 런던 철도는 역 플랫폼을 전기 조명으로 밝힌 최초의 지하철이었다. 모든 플랫폼은 크롬톤 자동 전기 아크 램프로, 기타 역 구역은 백열전구로 밝혀졌다. 흰색 유약을 바른 타일과 함께 모든 센트럴 런던 철도 지하 플랫폼은 매우 밝게 빛났다. 전기 조명의 사용은 센트럴 런던이 또한 AC 전기 배전을 사용한 최초의 지하철이었기 때문에 더욱 가능해졌다

셰퍼드 부시와 뱅크 사이의 노선은 1900년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개통되었으며, 7월 30일에 대중 교통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균일 요금 2페니로 철도는 "투페니 튜브"로 알려지게 되었다. 처음에는 전기 기관차로 운행되었으며, 소음 발생 기어박스를 제거하기 위해 모터 전기자가 차축에 직접 내장되어 객차를 견인했다. 철도는 기어 구동을 사용하도록 기관차를 재건했다. CLR은 스프라그가 개발한 견인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64개의 새로운 동력차를 주문했다. CLR은 1903년까지 결과적인 전기 동력차를 독점적으로 사용했다.

1907년 7월, 7~8개 역 이상을 여행하는 요금이 3d로 인상되었다. 1908년 프랑코-영국 박람회를 위해 우드 레인에 단일 플랫폼을 제공하는 루프로 서쪽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3개 이하의 역을 여행하는 1d의 할인 요금이 1909년에 도입되었고, 정기권은 1911년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리버풀 스트리트까지의 연장은 이듬해에 개통되어 그레이트 이스턴 철도 역과 인접한 브로드 스트리트 철도역까지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센트럴 런던 철도는 1913년 1월 1일에 언더그라운드 그룹에 흡수되었다.

1911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는 일링 브로드웨이에서 CLR의 셰퍼드 부시 근처의 역까지 노선을 건설하고, 웨스트 런던 철도에 연결하고, CLR에 노선을 연결하고, CLR이 일링 브로드웨이까지 열차를 운행하도록 하는 허가를 받았다. CLR에서 일링 브로드웨이까지의 연장 건설은 1912년에 시작되었지만 개통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CLR은 연장을 위해 새로운 차량을 구매하여 1915년에 도착하여 베이컬루 선에 대여되기 전에 보관했다. 차량은 1920년 연장이 개통되었을 때 반환되었다.

1920년대 초, 뱅크 역에서 퀸스 로드(현재 퀸스웨이 역)까지 9개 역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2. 2.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 (1933년~1947년)

1933년 7월 1일, 센트럴 런던 철도는 런던 지역의 다른 운송 회사들과 합병되어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런던 교통)를 형성했으며, 일반적으로 런던 교통으로 알려졌다.[10] 이 철도는 "센트럴 런던 선"으로 알려졌으며, 1937년에 "센트럴 선"이 되었다.[10]

1935~40년의 신규 공사 계획에는 노선의 대대적인 확장이 포함되었다.[10] 서쪽으로는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의 뉴 노스 메인 라인과 평행하게 데넘까지 새로운 선로가 건설될 예정이었다. 동쪽으로는 새로운 터널이 스트랫퍼드역 바로 너머까지 뻗어 나가, 런던 & 노스 이스턴 철도 교외 지선으로 에핑과 에섹스주의 온가까지 연장될 예정이었으며, 레이턴스톤과 뉴버리 파크 사이에는 주로 이스턴 애비뉴 아래에 새로운 지하철 노선이 건설되어 북일포드와 헤이너트 루프의 새로운 교외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었다.[10] 22개의 건널목도 제거되어 노선의 입체 교차가 이루어질 예정이었다.[10] 런던 중심부 역의 플랫폼도 8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장될 예정이었다.

건설이 시작되어 런던 중심부를 통과하는 터널이 확장 및 재정렬되었고 역이 연장되었지만, 우드 레인역을 8량 열차를 수용하도록 개조하는 것은 불가능했고, 1938년에 화이트 시티에 새로운 역이 승인되었다. 이 노선은 1940년에 런던 지하철 4레일 전철 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 런던 동쪽으로의 연장을 위한 대부분의 터널은 1940년까지 건설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작업이 둔화되어 결국 6월에 중단되었다. 레이턴스톤과 뉴버리 파크 사이의 사용되지 않은 터널은 플레시사에 의해 항공기 부품 공장으로 개조되어 1942년 3월에 개장했으며 2,000명의 직원을 고용했다. 개통되지 않은 베스널 그린역은 10,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는데, 1943년 3월, 대피소로 들어가는 한 여성이 계단 아래로 넘어지면서 뒤따르던 사람들이 그 위에 넘어지면서 압사 사고로 173명이 사망했다.

2. 3. 국유화 및 확장 (1947년~1994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사가 재개되어 1947년에 서부 연장이 그린포드까지, 1948년에는 웨스트 루이슬립까지 개통되었다. 런던 주변의 그린 벨트가 전후에 지정되어 이 지역의 개발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이 노선을 데넘까지 연장할 수 있는 권한은 사용되지 않았다. 동부 연장은 1946년 12월에 스트랫퍼드까지 개통되었으며, 열차는 승객 없이 레이턴 남쪽의 절개지에서 되돌아갔다. 1947년에는 레이턴스톤, 그리고 우드포드와 뉴베리 파크까지 노선이 개통되었다. 뉴베리 파크에서 헤인놀트를 거쳐 우드포드까지, 그리고 우드포드에서 라우턴까지의 역은 1948년부터 지하철 열차의 운행을 받았다. 뉴베리 파크 남쪽에서는 일퍼드 차량 기지의 확장을 위해 본선과의 서쪽 연결부가 같은 해에 폐쇄되었다. 1949년에는 연장이 런던 지하철 관리로 이관되었으며, 에핑은 센트럴선 열차의 운행을 시작했다. 온가로 가는 단선은 1957년 노선이 전철화될 때까지 영국 철도(BR)에서 운행하는 증기 자동 열차에 의해 운행되었다. BR 열차는 템플 밀스 이스트에서 레이턴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통해 노선에 접근했다.

1953년 4월 8일, 스트랫퍼드 역 바로 동쪽의 터널에서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12명이 사망하고 46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는 철도 신호 고장 후 기관사의 실수로 발생했다.[12][13]

스트랫퍼드 동쪽의 센트럴선 역들은 한동안 템플 밀스에서 운행되는 화물 서비스를 유지했으며, 헤인놀트 루프 역들은 우드포드를 통해 운행되었다. 뉴베리 파크 남쪽의 BR 노선은 1956년에 폐쇄되었고, 헤인놀트 루프 역들은 1965년에 화물 서비스를 잃었으며, 노선의 나머지 역들은 1966년에 뒤따랐다. 스트랫퍼드에서 출발하는 이른 아침 여객 열차(일요일에는 리버풀 스트리트 역)는 1970년까지 에핑 또는 라우턴까지 운행되었다. 에핑에서 온가까지의 단선 구간은 1957년에 전철화되었으며, 이후 짧은 지하철 열차를 사용하여 셔틀 서비스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하루에 100명의 승객만 수송하고 손실을 입어 1994년에 이 구간이 폐쇄되었으며, 현재는 유산인 에핑 온가 철도에서 사용하고 있다.

1980년대 후반, 센트럴선의 신호 시스템 교체가 필요해짐에 따라, 1992년식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2. 4. 민영화 및 재국유화 (1994년~현재)

1994년 9월 30일, 에핑 - 옹거 간 단선 구간이 폐지되었다. 이 구간은 마지막까지 아침, 저녁에만 일부 열차가 운행되었다.

2003년, 센트럴선은 민관 파트너십(PPP)에 따라 부분적으로 민영화되어 메트로넷 컨소시엄이 인프라 관리를 맡았다. 그러나 메트로넷은 2007년 경영난으로 법정 관리에 들어갔고, 런던교통공사(TfL)가 관리 책임을 인수했다.

2003년 1월과 3월 사이에는 챈서리 레인역에서 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센트럴선 전체가 폐쇄되기도 했다. 이 사고는 견인 모터가 선로에 떨어지면서 발생했다.

2016년 8월 19일, 센트럴선에서 24시간 나이트 튜브 운행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3. 노선 정보

센트럴 선은 총 길이 74km에 49개 역을 운영한다.[46][47] 대부분 구간은 복선이지만, 레이턴스톤 남부와 화이트 시티 서부의 짧은 구간은 3개 선로로 이루어져 있다.[46] 다른 노선과 선로를 공유하지는 않지만, 일부 구간은 다른 노선과 평행하게 운행된다. 총 선로 길이는 147.1km이며, 그중 52.8km는 지하 구간이다.[46][48] 전 구간은 직류 630V 제4궤조 방식으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중앙 도체 선로는 –210V, 주행 선로 바깥쪽 도체 선로는 +420V로 전압이 공급된다.[49]

1994년에 폐쇄된 에핑 북쪽의 단선 구간은 현재 에핑 온가 유산 철도로 운영되고 있다.[50] 블레이크 홀 역(Blake Hall)은 폐역 후 승강장이 철거되었고, 현재는 개인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레이턴 역과 로턴 역 사이의 구간은 1856년 8월 22일 이스턴 카운티스 철도(Eastern Counties Railway, ECR)에 의해 개통된 런던 지하철에서 가장 오래된 구간이다. 로턴~에핑 구간은 1865년 4월 24일 그레이트이스턴 철도(Great Eastern Railway, GER)에 의해 개통되었다. 헤이너트 루프는 원래 1903년 5월 1일 GER에 의해 개통된 페어롭 루프(Fairlop Loop)의 일부였다.

이 노선에는 세 개의 분기점이 있다.


  • 우드포드 분기점
  • 레이턴스톤 북쪽 뉴버리 파크 방면 지선
  • 노스 액턴 서쪽 이얼링 브로드웨이와 웨스트 루슬립 방면 노선 분리 입체 교차로[18]


스트랫포드 역(이전 Chancery Lane)에는 런던 지하철에서 가장 짧은 에스컬레이터(높이 4.1m)가 있다.[51] 그린포드 역의 에스컬레이터는 2014년 3월까지 목재 바닥으로 된 마지막 에스컬레이터였다.[52][53] 레드브리지역에는 런던 지하철에서 가장 얕은 고심도 승강장(도로 아래 7.9m)이 있으며, 쉐퍼드 부시 역과 화이트 시티 역 사이에는 가장 굽은 급커브인 캑스턴 커브(Caxton Curve)가 있다.[46]

런던 교통국 웹사이트에서 [http://www.tfl.gov.uk/assets/downloads/central.pdf 센트럴 선 노선도]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

! colspan="3" | 센트럴 선 노선도

|-

| colspan="3" |

노스윌드브레이크 홀 (1981년 폐지)
옹거M11 (고속도로)
쿠퍼스힐 호트(비영업선)
구 옹거선 (1994년 폐지)
옹거 철도
에핑
M25 (고속도로)
제이던 보이스
뎁든
로튼
로튼 측선
백허스트 힐로딩 밸리
M11 (고속도로)
치걸
그레인지 힐우드퍼드
하이너트 차량기지
우드퍼드 측선하이너트
A406 (간선도로) 페어롭
사우스우드퍼드바킹사이드
뉴버리 파크
A12 (간선도로)
LNER 페어롭 루프 방면
스네어스브룩일퍼드 세븐 킹스
A12 (간선도로)간츠 힐
원스테드레드브릿지
레이턴스톤
고스펠 오크-바킹선
레이턴
CTRL그레이트 이스턴 본선
스트랫퍼드 국제역
리 밸리 라인스
노스 런던선구 노스 런던선
스트랫퍼드DLR로의 전환 공사 중
|| ''주빌리선''

|-

| ''노스 런던선'' || (DLR)

|-

| ||

|-

| ''디스트릭트선・H&C''

|-

| ||

|-

| ''디스트릭트선・H&C''

|-

| 마일 엔드

|-

| ||

|-

| 베스널 그린

|-

| 쇼디치 하이 스트리트 (계획)

|-

| 리버풀 스트리트

|-

|

|-

| 뱅크

|-

| 세인트 폴스

|-

| 챈서리 레인

|-

| 홀본

|-

| ''대영 박물관'' (1933년 폐지)

|-

| 토트넘 코트 로드

|-

| 옥스퍼드 서커스
|10px]]

|-

| 본드 스트리트

|-

| 마블 아치

|-

| 랭카스터 게이트

|-

| 퀸즈웨이

|-

| 노팅힐 게이트
|10px]]

|-

| 홀랜드 파크

|-

| 셰퍼즈 부시 || ''웨스트 런던선''

|-

| 셰퍼즈 부시

|-

| ||

|-

| ''여기에서 오른쪽''

|-

| ''일방통행''

|-

| ''화이트 시티 차량기지''

|-

| ||

|-

| 우드 레인 (센트럴선)

|-

| (1947년 폐지)

|-

| ||

|-

| ||

|-

| ''해머스미스 & 시티선'' || 우드 레인 (메트로폴리탄선)

|-

| ||

|-

| 우드 레인 (H&C)

|-

| 화이트 시티

|-

| ''GWR 화물선''

|-

| ''웨스트웨이 (A40)'' || ''

|-

| ||

|-

| ''반대 방향 노선을 넘어서''

|-

| ''좌측통행으로 돌아감''

|-

| ||

|-

| ''패딩턴 방면'' || 이스트 액턴

|-

|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

|-

| ''노스 런던선''

|-

| ''뉴 노스 본선'' || 노스 액턴

|-

| ||

|-

| ''퍼스트 센트럴'' || ''A40''

|-

| ''(계획 중)'' || ''A40''

|-

| || 웨스트 액턴

|-

| ''피카딜리선'' || ''피카딜리선과 디스트릭트선''

|-

| ''A406 (간선도로)'' || ''A40 (순환도로)''

|-

| || 행거 레인

|-

|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

|-

| ''디스트릭트선 종점'' || 일링 브로드웨이

|-

| || 펄리벌

|-

| ||

|-

| ||

|-

| ''그린포드 지선''

|-

| || 그린포드

|-

| ''칠턴 본선'' || 노설트

|-

| || 사우스 라이슬립

|-

| || 라이슬립 가든스

|-

| ||

|-

| ''웨스트 라이슬립 차량기지''

|-

| ||

|-

| ''메트로폴리탄선과'' || ''피카딜리선''

|-

| || 웨스트 라이슬립

|-

| ''데넘 연장선(계획 중지)''

|-

| ''헤어필드 로드(미완성역)''

|-

| || 데넘

|-

| ''칠턴 본선''

|}

|}

4. 역 목록

wikitext

http://www.tfl.gov.uk/assets/downloads/central.pdf 차내에 게시된 노선도는 런던 교통국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역명사진개업일자지선특이 사항
웨스트 루이슬립
100px
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내셔널 레일 서비스와 환승 가능. 1906년 루이슬립&이케넘(Ruislip & Ickenham) 역으로 개업, 1947년 웨스트 루이슬립(포 이케넘)/West Ruislip (for Ickenham)으로 개명 후 부역명 삭제.
루이슬립 가든스
100px
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1934년 개설, 1958년 본선 서비스 철수.
사우스 루이슬립
100px
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내셔널 레일 서비스와 환승 가능. 1908년 노솔트 정션(Northolt Junction) 역으로 개설, 1932년 사우스 루이슬립 & 노솔트 정션(South Ruislip & Northolt Junction)으로, 1947년 현재 이름으로 개명.
노솔트
100px
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1907년 개업한 인근 GWR 역을 대체.
그린퍼드
100px
1947년 6월 30일루이슬립 지선내셔널 레일 서비스 제공. 1904년 GWR 역으로 개설. 2014년까지 목재 에스컬레이터 보유.[24]
페리베일
100px
1947년 6월 30일루이슬립 지선1904년 "Perivale Halt" 역으로 개설, 1915~20년 일시 폐쇄, 1922년 Halt 삭제.
행거 레인
100px
1947년 6월 30일루이슬립 지선
일링 브로드웨이
100px
1920년 8월 3일일링 지선디스트릭트 선 및 본선과 환승 가능. 1879년 디스트릭트 철도로 개업, 1965-66년 본선역 개업.
웨스트 액턴
100px
1923년 11월 5일일링 지선
노스 액튼
100px
1923년 11월 5일본선1904년 GWR역 개업, 1913년 현재 위치로 이동, 1947년 폐쇄.
이스트 액턴
100px
1920년 8월 3일본선
화이트 시티
100px
1947년 11월 23일본선
셰퍼드 부시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2008년 새단장.
홀랜드 파크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
노팅 힐 게이트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서클 선, 디스트릭트 선과 환승 가능.
퀸스웨이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1946년 9월 1일 퀸스 로드(Queens Road)에서 개명.
랭커스터 게이트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
마블 아치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
본드 스트리트
100px
1900년 9월 24일본선주빌리 선과 환승 가능.
옥스퍼드 서커스1900년 7월 30일본선베이컬루 선, 빅토리아 선과 환승 가능.
토트넘 코트 로드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노던 선과 환승 가능. 1908년 3월 9일 옥스퍼드 스트리트(Oxford Street)에서 개명.
홀본
100px
1933년 9월 25일본선1906년 12월 15일 피카딜리 선 역으로 개업, 센트럴 선 승강장 개통 후 홀본(킹스웨이)/Holborn (Kingsway)로 개명, 부역명 삭제.
챈서리 레인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1934년 6월 25일 챈서리 레인(그레이스 인)/Chancery Lane (Gray's Inn)으로 개명, 부역명 삭제.
세인트 폴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1937년 2월 1일 우체국(Post Office)에서 개명.
뱅크
100px
1900년 7월 30일본선서클 선, 디스트릭트 선, 노던 선, 워털루 & 시티 선, DLR과 환승 가능.
리버풀 스트리트
100px
1912년 7월 28일본선서클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 메트로폴리탄 선과 환승 가능.
베스널 그린
100px
1946년 12월 4일본선
마일 엔드
100px
1946년 12월 4일본선디스트릭트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과 공용 승강장 사용. 1902년 디스트릭트 철도 서비스 개설.
스트랫포드
100px
1946년 12월 4일본선주빌리 선, 런던 오버그라운드, DLR, 내셔널 레일 서비스와 환승 가능. 1839년 이스턴 카운티스 철도 (ECR) 역으로 개설.
레이턴
100px
1947년 5월 5일본선1856년 로우 레이턴(Low Leyton) 역으로 개설, 1868년 개명.
레이턴스톤
100px
1947년 5월 5일본선1856년 ECR 역으로 개설.
원스태드
100px
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
레드브리지
100px
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
간츠 힐
100px
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
뉴버리 파크
100px
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일포드(Ilford)에서 우드포드 페어롭 루프(Woodford Fairlop Loop) 노선 역으로 개업.
바킹사이드
100px
1948년 5월 3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1916–19년 폐쇄.
페어롭
100px
1948년 5월 3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헤이노
100px
1948년 5월 3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1908–30년 폐쇄.
그랑게 힐
100px
1948년 11월 2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치그웰
100px
1948년 11월 2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로딩 벨리
100px
1948년 11월 21일헤이노 루프1936년 LNER 역으로 개설.
스네이크브룩
100px
1947년 12월 14일에핑 지선1856년 ECR에서 스네이크브룩&원스태드(Snaresbrook & Wanstead) 역으로 개설, 1929년 스네이크브룩 포 원스태드(Snaresbrook for Wanstead)로 개명.
사우스 우드퍼드
100px
1947년 12월 14일에핑 지선1856년 ECR에서 조지레인(George Lane)으로 개설, 1937년 사우스 우드퍼드(조지레인)/South Woodford (George Lane)으로 개명, 1950년 현재 이름으로 개명.
우드퍼드
100px
1947년 12월 14일에핑 지선/헤이노 루프1856년 ECR 역으로 개설.
벅허스트 힐
100px
1948년 11월 21일에핑 지선1856년 ECR 역으로 개설, 1881/2년 복선화.
로턴1948년 11월 21일에핑 지선1856년 ECR 역으로 개설, 1865년, 1940년 이전.
데브던
100px
1949년 9월 25일에핑 지선1865년 ECR에서 치그웰 로드(Chigwell Road) 역으로 개설, 같은 해 치그웰 레인(Chigwell Lane)으로 개명, 1916~19년 폐쇄.
테이던 보아
100px
1949년 9월 25일에핑 지선1865년 GER에서 테이던(Theydon) 역으로 개설, 같은 해 개명.
에핑
100px
1949년 9월 25일에핑 지선1865년 GER 역으로 개설.



'''폐쇄된 역'''

데넘과 헤어필드 로드는 메트로폴리탄 그린 벨트의 외딴 지역에 있어 데넘 연장선 계획이 중단되면서 개업하지 못했다. 우드 레인은 1947년 11월 22일에 폐역되었고, 화이트 시티로 대체되었다. 대영 박물관은 1933년 9월 24일에 폐역되었고, 피카딜리선의 홀번에 두 개의 새로운 승강장으로 대체되었다.

에핑에서 옹거까지의 셔틀 서비스 구간에서는 1994년 9월 30일에 노스 윌드, 옹거가 폐쇄되었다. 노스 윌드와 옹거는 1949년 9월 25일에 센트럴 선에 처음 서비스되었다가 그레이트 이스턴 철도(GER)에 서비스를 인수했다. 블레이크 홀은 1949년 9월 25일에 센트럴 선에 처음 서비스되었고, 1981년 10월 31일에 폐역되었다.

4. 1. 운영 중인 역



센트럴 선은 웨스트 루이슬립 역에서 에핑 역까지 여러 역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역과 분기 노선은 다음과 같다:

역명사진개업일자/서비스 시행일자지선특이 사항
웨스트 루이슬립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내셔널 레일 서비스와 환승 가능. 1906년 루이슬립&이케넘(Ruislip & Ickenham) 역으로 개업, 1947년 웨스트 루이슬립(포 이케넘)/West Ruislip (for Ickenham)으로 개명 후 부역명 삭제.
루이슬립 가든스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1934년 개설, 1958년 본선 서비스 철수.
사우스 루이슬립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내셔널 레일 서비스와 환승 가능. 1908년 노솔트 정션(Northolt Junction) 역으로 개설, 1932년 사우스 루이슬립 & 노솔트 정션(South Ruislip & Northolt Junction)으로, 1947년 현재 이름으로 개명.
노솔트1948년 11월 21일루이슬립 지선1907년 개업한 인근 GWR 역을 대체.
그린퍼드1947년 6월 30일루이슬립 지선내셔널 레일 서비스 제공. 1904년 GWR 역으로 개설. 2014년까지 목재 에스컬레이터 보유.[24]
페리베일1947년 6월 30일루이슬립 지선1904년 "Perivale Halt" 역으로 개설, 1915~20년 일시 폐쇄, 1922년 Halt 삭제.
행거 레인1947년 6월 30일루이슬립 지선
일링 브로드웨이1920년 8월 3일일링 지선디스트릭트 선 및 본선과 환승 가능. 1879년 디스트릭트 철도로 개업, 1965-66년 본선역 개업.
웨스트 액턴1923년 11월 5일일링 지선
노스 액튼1923년 11월 5일본선1904년 GWR역 개업, 1913년 현재 위치로 이동, 1947년 폐쇄.
이스트 액턴1920년 8월 3일본선
화이트 시티1947년 11월 23일본선
셰퍼드 부시1900년 7월 30일본선2008년 새단장.
홀랜드 파크1900년 7월 30일본선
노팅 힐 게이트1900년 7월 30일본선서클 선, 디스트릭트 선과 환승 가능.
퀸스웨이1900년 7월 30일본선1946년 9월 1일 퀸스 로드(Queens Road)에서 개명.
랭커스터 게이트1900년 7월 30일본선
마블 아치1900년 7월 30일본선
본드 스트리트1900년 9월 24일본선주빌리 선과 환승 가능.
옥스퍼드 서커스1900년 7월 30일본선베이컬루 선, 빅토리아 선과 환승 가능.
토트넘 코트 로드1900년 7월 30일본선노던 선과 환승 가능. 1908년 3월 9일 옥스퍼드 스트리트(Oxford Street)에서 개명.
홀본1933년 9월 25일본선1906년 12월 15일 피카딜리 선 역으로 개업, 센트럴 선 승강장 개통 후 홀본(킹스웨이)/Holborn (Kingsway)로 개명, 부역명 삭제.
챈서리 레인1900년 7월 30일본선1934년 6월 25일 챈서리 레인(그레이스 인)/Chancery Lane (Gray's Inn)으로 개명, 부역명 삭제.
세인트 폴1900년 7월 30일본선1937년 2월 1일 우체국(Post Office)에서 개명.
뱅크1900년 7월 30일본선서클 선, 디스트릭트 선, 노던 선, 워털루 & 시티 선, DLR과 환승 가능.
리버풀 스트리트1912년 7월 28일본선서클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 메트로폴리탄 선과 환승 가능.
베스널 그린1946년 12월 4일본선
마일 엔드1946년 12월 4일본선디스트릭트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과 공용 승강장 사용. 1902년 디스트릭트 철도 서비스 개설.
스트랫포드1946년 12월 4일본선주빌리 선, 런던 오버그라운드, DLR, 내셔널 레일 서비스와 환승 가능. 1839년 이스턴 카운티스 철도 (ECR) 역으로 개설.
레이턴1947년 5월 5일본선1856년 로우 레이턴(Low Leyton) 역으로 개설, 1868년 개명.
레이턴스톤1947년 5월 5일본선1856년 ECR 역으로 개설.
원스태드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
레드브리지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
간츠 힐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
뉴버리 파크1947년 12월 14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일포드(Ilford)에서 우드포드 페어롭 루프(Woodford Fairlop Loop) 노선 역으로 개업.
바킹사이드1948년 5월 3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1916–19년 폐쇄.
페어롭1948년 5월 3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헤이노1948년 5월 3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1908–30년 폐쇄.
그랑게 힐1948년 11월 2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치그웰1948년 11월 21일헤이노 루프1903년 GER 페어롭 루프 역으로 개업.
로딩 벨리1948년 11월 21일헤이노 루프1936년 LNER 역으로 개설.
스네이크브룩1947년 12월 14일에핑 지선1856년 ECR에서 스네이크브룩&원스태드(Snaresbrook & Wanstead) 역으로 개설, 1929년 스네이크브룩 포 원스태드(Snaresbrook for Wanstead)로 개명.
사우스 우드퍼드1947년 12월 14일에핑 지선1856년 ECR에서 조지레인(George Lane)으로 개설, 1937년 사우스 우드퍼드(조지레인)/South Woodford (George Lane)으로 개명, 1950년 현재 이름으로 개명.
우드퍼드1947년 12월 14일에핑 지선/헤이노 루프1856년 ECR 역으로 개설.
벅허스트 힐1948년 11월 21일에핑 지선1856년 ECR 역으로 개설, 1881/2년 복선화.
로턴1948년 11월 21일에핑 지선1856년 ECR 역으로 개설, 1865년, 1940년 이전.
데브던1949년 9월 25일에핑 지선1865년 ECR에서 치그웰 로드(Chigwell Road) 역으로 개설, 같은 해 치그웰 레인(Chigwell Lane)으로 개명, 1916~19년 폐쇄.
테이던 보아1949년 9월 25일에핑 지선1865년 GER에서 테이던(Theydon) 역으로 개설, 같은 해 개명.
에핑1949년 9월 25일에핑 지선1865년 GER 역으로 개설.


4. 2. 폐쇄된 역

데넘과 헤어필드 로드는 메트로폴리탄 그린 벨트의 외딴 지역에 있어 데넘 연장선 계획이 중단되면서 개업하지 못했다. 우드 레인은 1947년 11월 22일에 폐역되었고, 화이트 시티로 대체되었다. 대영 박물관은 1933년 9월 24일에 폐역되었고, 피카딜리선의 홀번에 두 개의 새로운 승강장으로 대체되었다.

에핑에서 옹거까지의 셔틀 서비스 구간에서는 1994년 9월 30일에 노스 윌드, 옹거가 폐쇄되었다. 노스 윌드와 옹거는 1949년 9월 25일에 센트럴 선에 처음 서비스되었다가 그레이트 이스턴 철도(GER)에 서비스를 인수했다. 블레이크 홀은 1949년 9월 25일에 센트럴 선에 처음 서비스되었고, 1981년 10월 31일에 폐역되었다.

5. 철도 차량

5. 1. 과거의 차량

센트럴선은 1900년 개통 당시 전기 기관차가 객차를 견인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기관차의 무거운 무게로 인해 선로 위의 건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상무원의 조사 결과, 1903년 객차는 트레일러로 개조되었고, 새로운 동력차와 함께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가 도입되었다. 이 열차는 보통 4량의 트레일러와 2량의 동력차로 구성된 6량 열차로 운행되었으며, 일부 트레일러에는 3량 열차 운행을 위한 제어 장비가 장착되었다.

1903년 뱅크 역의 초기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1912년 일링 브로드웨이로의 확장을 위해 더욱 강력한 새로운 차량이 주문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5년 도착 후 보관되었다. 1917년 이 차량들은 베이컬루 선에 대여되어 왓퍼드 정션행 확장선에서 운행되었고, 1920/21년에 반환되어 기존 객차에서 개조된 트레일러와 함께 일링 차량(Ealing Stock)이 되었다. 1925~28년에는 열차 개조를 통해 출입문이 공기구동식으로 변경되어 경비원 수를 줄일 수 있었다.

센트럴 런던 철도 터널 재건 후, 1939년 다른 열차에서 가져온 스탠다드 차량(Standard Stock)으로 교체되었다. 스탠다드 차량은 우드 레인 역이 화이트 시티 역으로 대체된 1947년까지 6량 열차로 운행되다가 8량 열차 운행이 가능해졌다. 이후 다른 노선에서 1938년식 차량으로 교체되면서 더 많은 스탠다드 차량이 센트럴선으로 이전되었다.

1957년 에핑 역에서 증기 오토트레인 서비스의 스탠다드 차량


1960년대 초, 피카딜리 선에 신형 차량을 도입하고 기존 스탠다드 차량을 센트럴선으로 이전하여 노후 차량을 교체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1959년식 차량이 피카딜리선에 먼저 도입된 후, 센트럴선에는 1959년식 차량을 7량에서 8량으로 연장하여 운행하기로 결정되었다. 1962년식 차량은 1959년식 차량을 피카딜리선으로 보내기 위해 주문되었다. 마지막 스탠다드 차량은 1963년 센트럴선에서 운행되었고, 1964년 5월까지 모든 1959년식 차량이 피카딜리선으로 이전되었다.

에핑-옹거 구간은 1957년까지 전철화되지 않아, 이전에는 영국 철도에서 임대한 증기 기관차 견인 오토트레인과 1952년부터 주중 일부 셔틀 서비스를 담당한 AEC 3량 경량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가 운행되었다. 전철화 이후에는 1935년식 차량이 사용되었고, 이후 제한된 전류에 대처하기 위해 특별히 개조된 4량의 1962년식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이 구간은 1994년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에핑 온가르 철도의 유산이다.

헤이노에서 우드포드 구간에서는 빅토리아 선에서 사용될 자동 열차 운전 장치를 시험하기 위해 개조된 1960년식 열차가 셔틀 운행되었다.

5. 2. 현재의 차량

1992년식 전동차


현재 센트럴선의 모든 열차는 1992년식 전동차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25] 1993년부터 도입되었으며,[54]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를 통해 1인 승무 운전이 가능하다.[16]

1980년대 후반, 센트럴선의 신호 시스템 교체가 필요해지자 1959년식 차량과 1962년식 차량을 대체하기로 결정했다. 신호 시스템은 빅토리아선에 사용된 ATO의 업데이트된 버전으로 교체되었고, 선로의 전력 공급이 강화되었으며, 새로운 열차가 제작되었다.[46] 열차에는 전자 견인 장치가 제공되었다.[46]

30년 된 열차를 개조하기 위한 5개년 센트럴선 개선 프로그램(CLIP)이 2023년에 시작되었으나,[26]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연기되어 2025년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28]

6. 차량기지

센트럴선에는 웨스트 루이슬립(West Ruislip), 헤이너트(Hainault), 화이트 시티(White City) 등 3개의 차량기지가 있다.[55][35] 루이슬립 및 헤이너트 차량기지는 1939년에 완성되었다.[55] 화이트 시티 차량기지는 최초의 노선이 운행을 시작한 1900년에 처음 문을 열었다.[35]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과 1945년 사이에 미국 육군 수송단(U.S. Army Transportation Corps)이 헤이너트에서 차량을 조립하여 루이슬립 차량기지에서 대공포를 만들었다.[35] 웨스트필드 런던 쇼핑 센터 건설의 일환으로, 화이트 시티 차량기지는 지하로 대체되었으며, 2007년에 재개장했다.[36]

7. 열차 운행

현재 센트럴 노선은 북쪽으로는 에핑, 우드포드 (헤이노 경유), 페어롭(뉴버리 파크 경유), 헤이노 (뉴버리 파크 경유)까지 운행 중이고, 남쪽(서쪽)은 일링 브로드웨이, 웨스트 루이슬립, 화이트 시티(차량기지로 들어가는 차량)까지 운행 중이다.[56]

비혼잡 시간대에는 루이슬립-에핑 간 시간당 9대, 노솔트-로턴 간 시간당 3대, 일링 브로드웨이-뉴버리 파크 간 시간당 9대(이 중 6대는 뉴버리 파크-헤이노 간으로 계속 운행), 화이트 시티-헤이노 간(뉴버리 파크 경유) 시간당 3대, 헤이노-우드퍼드 간 시간당 3대 열차가 운행된다. 총 시간당 24대 열차(2분 30초마다 한 대씩)가 화이트 시티와 레이턴스톤 간을 운행한다.[56]

2016년 8월 19일부터 24시간 나이트 튜브 운행 서비스는 금요일 및 토요일 밤에 일링 브로드웨이-헤이노 구간을 뉴버리 파크/로턴을 경유하여 운행한다.[56][38]

2013년 9월, 아침 출근 시간대의 차량 비중이 시간당 34대의 열차로 증가하여 영국에서 가장 집중적인 열차 서비스를 제공했다.[57] 이전에는 빅토리아 선이 시간당 33대의 열차로 이 기록을 유지했었다.[39][40]

중간 운행 시간 동안, 센트럴 선의 운행은 지선별로 그룹화된다. 웨스트 루슬립 지선의 열차는 엡핑으로 운행하거나 엡핑에서 출발하며, 이알링 브로드웨이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헤이놀트 루프를 운행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운행이 덜 체계적이어서, 열차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두 종착역 사이를 운행할 수 있다(예: 이알링 브로드웨이에서 엡핑으로).[37]

2020년 기준으로, 전형적인 중간 운행 시간의 운행 빈도는 시간당 열차 수(tph)로 다음과 같다:[37]


  • 와 사이 9tph
  • 와 사이 3tph
  • 와 사이 3tph
  • 이알링 브로드웨이와 사이 6tph ( 경유)
  • 이알링 브로드웨이와 뉴베리 파크 사이 3tph
  • 와 헤이놀트 사이 3tph


위의 운행은 화이트 시티와 레이턴스톤 사이의 핵심 구간에서 시간당 총 24대의 열차(2분 30초마다 1대)를 운행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빈도가 더욱 증가하여 핵심 구간에서 시간당 최대 35대의 열차가 운행된다.

헤이놀트, 화이트 시티, 웨스트 라이슬립 3곳에 차량 기지가 있으며, 그 외에 로튼, 우드퍼드에 유치선, 데브덴, 레이턴스톤, 뉴베리 파크, 리버풀 스트리트, 마블 아치, 노스 액턴, 노솔트에 회차용 측선 또는 중선이 있다.

웨스트 라이슬립 기지는 남쪽의 라이슬립 가든즈에서, 헤이놀트 기지는 북쪽의 그레인지 힐에서도 각각 직접 출입고가 가능한 배선으로 되어 있어, 각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운행 계통은 일링 브로드웨이 - 뉴베리 파크 - 헤이놀트, 웨스트 라이슬립 - 사우스 우드퍼드 - 에핑, 헤이놀트 - 치그웰 - 우드퍼드의 3계통을 기본으로, 상기 각 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추가되는 형태이지만, 아침과 저녁의 운행 횟수가 늘어나는 시간대에는 상기 계통에 따르지 않는, 예를 들어 일링 브로드웨이 - 에핑, 헤이놀트 - 치그웰 - 사우스 우드퍼드 - 화이트 시티와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의 설정도 있다.

또한, 헤이놀트 - 치그웰 - 우드퍼드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를 그대로 우드퍼드 이남으로 운행하는 경우, 편성의 방향이 역전되기 때문에, 이 계통의 우드퍼드 이남으로의 직통은 아침과 저녁의 일부 열차에 한정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8. 향후 계획

2010년대 중반, 런던 교통국(TfL)은 피카딜리선, 센트럴선, 베이컬루선, 워털루 & 시티선의 열차를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차량 발주 과정을 시작했다.[29] 런던 교통국은 센트럴선과 워털루 & 시티선에서 사용되는 1992년형 차량이 더 현대적인 차량보다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설명했다.[29][30] 새로운 열차에 대한 타당성 연구 결과, 차세대 열차와 신호 시스템 교체를 통해 센트럴선의 수송 능력을 시간당 36개 열차 운행으로 25%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9]

2018년 6월, 지멘스 모빌리티(Siemens Mobility)의 인스피로(Inspiro) 디자인이 선정되었다.[31] 이 열차는 개방형 통로 디자인, 더 넓은 출입문, 에어컨, 새로운 신호 시스템을 통한 자동 운행 기능을 갖출 예정이다.[32] 런던 교통국은 15억 파운드의 비용으로 피카딜리선 열차만 주문할 수 있었다.[33] 그러나 지멘스와의 계약에는 향후 센트럴선용 열차 100량을 추가로 발주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34] 이는 2030년대에 피카딜리선 열차의 납품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질 예정이다.[32]

센트럴 선은 웨스트 루이슬립 차량기지 근처에서 메트로폴리탄 선과 피카딜리 선이 공유하는 Uxbridge 지선 위를 교차하며, 1973년에 두 노선을 연결하는 단선 철로가 부설되었다. 2010년대에 런던 특별구 힐링던은 웨스트 루이슬립 역이 조용한 교외에 위치하고, Uxbridge가 인구 밀도가 훨씬 높은 지역 중심지이기 때문에 이 노선을 따라 센트럴 선 열차의 일부 또는 전부를 Uxbridge로 우회하도록 런던 교통공사(TfL)에 로비를 했다. 런던 교통공사(TfL)는 2017년에 메트로폴리탄 선의 신호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기 전까지는 이 연결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41]

센트럴 선은 쇼디치 하이 스트리트역 바로 아래를 지나가며, 2010년 개통 이후 지역 주민들은 환승역 설치를 희망해 왔다. 이 역은 런던 중심부에서 역 간 간격이 가장 긴 구간 중 하나인 리버풀 스트리트역과 베스널 그린역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환승역 설치는 장점이 있지만, 건설 비용, 건설 중 센트럴 선 운행 중단, 그리고 플랫폼이 리버풀 스트리트역의 측선과 너무 가까워 크로스레일에서 개발한 엘리자베스 선이 완전히 운영된 후에야 개발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배제되었다.[42]

런던 서부 파크 로열에 위치한 ''퍼스트 센트럴'' 비즈니스 파크 개발업체들은 노스 액턴역과 행거 레인 역 사이에 새로운 역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이 역은 비즈니스 파크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고, 파크 로열 피카딜리 선 역과의 도보 환승을 제공할 예정이었다.[43] 그러나 현재 이 계획은 적극적으로 추진되지 않고 있으며, 런던 지하철 측은 센트럴 선의 파크 로열 역 건설이 건설 비용을 정당화할 만큼 충분한 교통 편익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44]

2021년, 할로우 자치구 의회는 센트럴선의 동쪽 종점인 에핑에서 할로우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것을 제안했다. 의회는 이 연장이 에핑과 런던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축하고, 할로우에 19,000개의 새 주택을 추가하고 인구를 130,000명으로 늘리려는 노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제안된 연장에 대한 자금은 아직 할당되지 않았다.[45]

참조

[1] 웹사이트 London Assembly Questions to the Mayor https://www.london.g[...] London Assembly 2024-02-29
[2] 웹사이트 Greater London Authority Questions to the Mayor https://www.london.g[...] Greater London Authority 2024-02-29
[3] 웹사이트 Central Line Timetable https://tfl.gov.uk/c[...] TfL 2015-07-07
[4] 뉴스 Crossrail delayed again until 2022 and another £450m over budget https://www.theguard[...] 2020-11-02
[5] 웹사이트 Tube Map http://www.crossrail[...] TfL 2015-07-07
[6] 간행물 1912-11-26
[7] 간행물 1913-08-19
[8] 간행물 1919-11-25
[9] 간행물 1920-08-06
[10] 서적 North East London Electrification report upon the extension of the Central London line and train services London Passenger Transport Board
[11] NHLE 2017-11-11
[12] 간행물 Report on the Collision which occurred on 8th April 1953 near Stratford on the Central Line http://www.railwaysa[...] Her Majestry's Stationery Office 1953-10
[13] 뉴스 Tube Train Crash – Stratford http://www.britishpa[...] 2012-06-12
[14] 웹사이트 Derailment at Chancery Lane, 25 January 2003 http://www.railwaysa[...]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06-03
[15] 웹사이트 PPP Performance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3-07
[16] 웹사이트 Central line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17] 웹사이트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18] 웹사이트 Detailed London Transport Map http://cartometro.co[...] 2012-12-01
[19] 서적 Underground, Overground: A Passenger's History of the Tube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2-04-26
[20] 웹사이트 Our Train and Vintage London Bus Timetables https://www.eorailwa[...] Epping Ongar Railway
[21] 웹사이트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11-22
[22] 웹사이트 Tube's only wooden escalator to carry last passengers http://www.london24.[...] 2014-03-11
[23] 웹사이트 Distance between adjacent Underground stations - a Freedom of Information request to Transport for London https://www.whatdoth[...] 2022-05-31
[24] 보도자료 Incline lift at Greenford Tube station is UK first https://tfl.gov.uk/i[...] Transport for London 2021-03-23
[25] 웹사이트 Rolling Stock Information Sheets https://foi.tfl.gov.[...] London Underground 2007-03
[26] 뉴스 Central line unlikely to improve until December after delays to refurbished trains https://www.standard[...] 2024-09-12
[27] 웹사이트 Be a part of the Central Line Improvement Programme https://www.rullion.[...] 2021-02-17
[28] 웹사이트 FOI request detail https://tfl.gov.uk/c[...]
[29] 웹사이트 New Tube for London - Feasibility Report http://content.tfl.g[...] Transport for London 2022-06-26
[30] 웹사이트 LU Train reliability https://www.lurs.org[...] 2021-03-05
[31] 잡지 Siemens to supply London Underground deep tube fleet http://www.metro-rep[...] 2018-06-15
[32] 뉴스 Piccadilly Line: Plans for new 'walk-through' trains unveiled https://www.bbc.com/[...] 2021-03-05
[33] 뉴스 Plan to sell part of Tube fleet branded 'quite mad' https://www.itv.com/[...] 2021-03-06
[34] 보도자료 Siemens Mobility Limited to be awarded TfL contract to design and manufacture a new generation of Tube trains https://tfl.gov.uk/i[...] Transport for London 2018-06-16
[35] 웹사이트 London Underground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8-05-21
[36] 웹사이트 White City Central Line Sidings https://www.ianritch[...] 2020-05-27
[37] 웹사이트 Central line working timetable https://web.archive.[...] London Underground Ltd 2020-01-26
[38] 간행물 Standard Night Tube Map http://content.tfl.g[...] Transport for London 2023-06
[39] 웹사이트 Tube improvement plan: Central line https://web.archive.[...] Transport for London n.d.
[40] 뉴스 New Victoria Line timetable increases frequency http://www.railjourn[...] 2017-05-26
[41] 뉴스 Extending Central Line to Uxbridge will cut traffic http://www.uxbridgeg[...] 2011-06-17
[42] 보고서 Meeting Reports: The East London Line Extension http://lurs.org.uk/d[...] London Underground Railway Society 2009-01-13
[43] 웹사이트 First Central Business Park http://www.firstcent[...]
[44] 웹사이트 Proposed Park Royal Central Line station http://www.brent.gov[...] London Borough of Brent 2009-10-20
[45] 뉴스 Harlow's addition to London Underground proposed by council https://www.bbc.com/[...] 2021-08-11
[46] 웹인용 Central line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47] 웹인용 Key facts https://web.archiv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48] 웹인용 Detailed London Transport Map http://carto.metro.f[...] 2012-12-01
[49] 서적 Underground, Overground: A Passenger's History of the Tube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2-04-26
[50] 웹인용 Timetable http://eorailway.co.[...] Epping Ongar Railway 2013-05-29
[51] 웹인용 Key facts https://web.archive.[...] Transport for London 2013-11-22
[52] 웹인용 The last wooden escalator http://www.ianvisits[...] 2008-08-16
[53] 웹인용 Tube’s only wooden escalator to carry last passengers http://www.london24.[...] 2014-03-11
[54] 웹인용 Rolling Stock Information Sheets http://www.tfl.gov.u[...] London Underground 2012-11-26
[55] 웹인용 London Underground Key Facts https://web.archive.[...] Transport for London n.d.
[56] 지도 Night Tube Map
[57] 웹인용 Tube improvement plan: Central line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