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은 울지 않는다 (200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년은 울지 않는다 (2007년 영화)는 1953년 한국 전쟁 이후 고아 소년들의 생존 투쟁을 그린 영화이다. 태호와 종두는 고아 캠프에서 미군 물품을 훔치는 사업을 시작하지만, 갱스터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전쟁과 같은 상황에 직면한다. 이 영화는 2009년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대종상 영화제, 춘사영화제에서 신인남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 영화 - 신기전 (영화)
2008년 김유진 감독의 영화 《신기전》은 세종 시대, 명나라의 압박에 맞서 신기전을 개발하고 지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370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하고 대종상 최우수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 전쟁 영화 - 랜드 앤 프리덤
1995년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랜드 앤 프리덤》은 1936년 스페인 내전에 참여한 영국인 데이비드 카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현실과 좌익 내부의 갈등, 공동체 정신과 연대의 중요성을 다룬다. - 명필름 영화 - 그때 그사람들
2005년 개봉한 임상수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0·26 사건을 소재로 권력의 암투와 허망함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나 법정 공방을 겪었다. - 명필름 영화 - 바람난 가족
임상수 감독의 2003년 영화 《바람난 가족》은 문소리와 황정민 주연으로, 부부의 불륜과 가족 내 갈등을 다루며 문소리의 열연과 파격적인 소재로 국내외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작품이다. - 2007년 영화 - 샴 (영화)
《샴》은 2007년 개봉한 태국 공포 스릴러 영화로, 결합 쌍둥이 자매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루며, 흥행에 성공하여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리메이크되기도 하였다. - 2007년 영화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소년은 울지 않는다 (200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소년은 울지 않는다 |
로마자 표기 | Sonyeoneun ulji anneunda |
감독 | 배형준 |
각본 | 한지훈, 김상돈 |
제작 | 이은, 손성문 |
주연 | 이완, 송창의 |
음악 | 이병훈 |
촬영 | 황기석 |
편집 | 박광일 |
제작사 | MK 픽처스, KD 미디어, 판시네마 |
배급사 | 스튜디오 2.0 |
개봉일 | 2008년 11월 6일 |
상영 시간 | 98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제작비 | 4백만 미국 달러 |
흥행 수입 | 419,587 미국 달러 |
스태프 | |
프로듀서 | 손성문, 이승연 |
촬영 | 황기석 |
조명 | 박종찬 |
편집 | 박광일 |
음악 | 이병훈 |
미술 | 신보경 |
세트 | 윤일랑 |
소품 | 장석훈 |
의상 | 김정원 |
분장 | 황현규 |
동시녹음 | 조민호 |
사운드 | 김석원, 박주강 |
특수효과 | 홍장표 |
시각효과 | 강종익, 손승형 |
무술감독 | 신재명 |
조감독 | 임성철, 조희정 |
투자 | |
투자자 | 조일형, 조재민, 김지훈 |
기타 | |
상영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대한민국) |
2. 줄거리
1953년, 한국 전쟁은 끝났지만 생존을 위한 싸움은 이제 시작되었다. 18살의 두 소년, 태호와 종두는 고아 소년들을 위한 캠프에서 생활하는데, 그곳은 배고픔, 비인간적인 대우, 견딜 수 없는 노동 조건으로 모두가 고통받는 강제 수용소와 다름없다. 하지만 이 두 소년에게는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희망이 있다. 태호는 지혜와 두뇌가 뛰어나고 종두는 터프한 거리의 싸움꾼이다. 그들은 함께 미 육군 물품을 훔치고 다른 소년들을 끌어들여 사업을 확장할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그들이 지역 갱스터들의 사업을 빼앗기 시작하면서, 그들의 생존을 위한 싸움은 전쟁으로 변한다.
wikitext
3. 등장인물
3. 1. 주연
3. 2. 조연
3. 3. 단역
김정국 : 조직원 1 역
장인호 : 조직원 2 역
홍의정 : 조직원 3 역
이건문 : 용구 역
김건호 : 장씨 역
배형준 : 중년 신사 역
오권열 : 시골 순경 역
서대현 : 수용소 사내 1 역
장세준 : 수용소 사내 2 역
서명석 : 수용소 사내 3 역
김태환 : 시장 사내 1 역
서정주 : 시장 사내 2 역
최문환 : 시장 사내 3 역
강풍 : 넝마주의 1 역
안용우 : 넝마주의 2 역
김철준 : 넝마주의 3 역
고현웅 : 넝마주의 4 역
박종원 : 약장사 1 역
류창원 : 약장사 2 역
박영서 - 덕배 역
강이석 - 경이로운 아이 역
차승열 - 재국 역
한성진 - 상국 역
주민수 - 영남 역
엄민혁 - 우식 역
임영식 - 상일 역
4. 수상 내역
2009년 제30회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2009년 제4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남자신인연기상, 2009년 제46회 대종상 영화제 신인남자배우상, 2009년 제17회 춘사영화제 신인남우상(송창의)을 수상했다.
5. 영화의 사회적 의미
참조
[1]
웹사이트
Sonyunun Ulji Annunda (Once Upon a Time in Seoul)
https://boxofficemoj[...]
2014-02-09
[2]
웹사이트
Actors struggle for authenticity in Korean War roles
http://koreajoongang[...]
2008-10-22
[3]
웹사이트
Postwar Pain Made Into Bad Melodrama
https://www.koreatim[...]
2008-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