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며, 소말리아,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예멘 등지에서 사용된다. 소말리아에서는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북부 소말리아어, 베나디르 소말리아어, 마이어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존재한다. 소말리아어는 라틴 문자를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하며, 1972년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에 의해 채택되었다. 어휘는 아랍어와 이탈리아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포함하며, SOV 어순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어 - 마이마이 (언어)
마이마이어는 소말리아 남서부에서 사용되는 소말리아어 방언으로, 북부 소말리아어 및 베나디르 소말리아어와 차이를 보이며, 교착어적 특징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고 시(詩)가 구전되는 언어이다. - 소말리아의 언어 - 마이마이 (언어)
마이마이어는 소말리아 남서부에서 사용되는 소말리아어 방언으로, 북부 소말리아어 및 베나디르 소말리아어와 차이를 보이며, 교착어적 특징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고 시(詩)가 구전되는 언어이다. - 소말리아의 언어 - 아랍어
아랍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셈어어족의 언어로,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고 이슬람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쿠시어파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쿠시어파 - 베자어
베자어는 화자들이 Bidhaawyeet 또는 Tubdhaawi라고 부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의 언어로, 북쿠시어 아속의 유일한 구성원이며 로마자와 아랍 문자로 표기되고 명사와 형용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동사는 강동사와 약동사로 나뉘어 활용된다.
소말리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소말리어 |
고유 이름 | af Soomaali, Soomaali, 𐒖𐒍 𐒈𐒝𐒑𐒛𐒐𐒘, 𐒈𐒝𐒑𐒛𐒐𐒘, اف صومالِ, صومالِ |
로마자 표기 | af soomaali |
발음 | /af soːmaːli/ |
사용 민족 | 소말리족 |
주요 사용 지역 | 아프리카의 뿔 |
전체 화자 수 | 2,377만 명 (2019-2023년)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어파 | 쿠시어파 |
어군 | 저지대 동부 쿠시어군 |
하위 어군 | 매크로 소말리어군, 소말리어군 |
문자 | 소말리아 라틴 문자 (라틴 문자; 공식), 와다드의 문자 (아랍 문자), 오스마냐 문자, 보라마 문자, 카다레 문자 |
공용 국가 | 소말리아, 소말릴란드, 지부티, 에티오피아 |
소수 언어 사용 국가 | 케냐 |
언어 기관 | 소말리 지역 언어 아카데미 |
ISO 639-1 | so |
ISO 639-2 | som |
ISO 639-3 | som |
Lingua 코드 | 14-GAG-a |
Glotto 코드 | soma1255 |
방언 | |
주요 방언 | 북부 소말리어, 베나디르 소말리어, 아슈라프 방언 |
2. 분류
소말리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쿠시어파, 구체적으로는 저지 동쿠시어군에 속하며, 아파르어와 사호어와 함께 분류된다.[8] 소말리어는 쿠시어 중에서 가장 잘 연구된 언어이며,[13] 19세기 후반부터 학술적 연구가 시작되었다.[9]
소말리아,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예멘의 소말리아인 거주 지역과 소말리아 디아스포라 구성원들에 의해 사용된다.[10] 또한 소말리아인이 다수인 지역의 소수 민족 집단과 개인들에 의해 제2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헌법적으로 소말리어와 아랍어는 소말리아의 공식 언어 두 가지이다.[15] 소말리어는 1973년 1월 최고혁명평의회(SRC)가 소말리 민주 공화국의 주요 행정 및 교육 언어로 선포하면서 공식 국가 언어가 되었다. 이후 소말리어는 정부가 임명한 소말리어 위원회의 준비 작업에 따라 1~4학년의 주요 교육 언어로 자리 잡았고, 1979년에는 12학년까지 확대되었다. 1972년 SRC는 당시 사용되던 여러 다른 문자 체계 대신 라틴 알파벳을 공식 국가 알파벳으로 채택했다. 동시에 이탈리아어 일간 신문 ''Stella d'Ottobre''("10월의 별")는 국유화되어 ''Xiddigta Oktoobar''로 이름이 바뀌고 소말리어로 발행을 시작했다.[16] 국영 모가디슈 라디오는 1951년부터 소말리어로 방송을 해왔다.[17][18] 또한, 소말릴랜드 국영 TV와 같은 국영 공영 방송국, 푼틀랜드 TV 및 라디오와 같은 지역 공영 방송국, 그리고 동부 TV 네트워크와 혼 케이블 텔레비전을 비롯한 다른 민영 방송국들이 소말리어로 프로그램을 방송한다.[19]
소말리아어는 크게 북부 소말리아어, 베나디르, 마이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27] 북부 소말리아어는 표준 소말리아어의 기초가 된다.[27] 이는 소말리아 인구 대다수가 사용하며,[28] 사용 지역은 지부티와 에티오피아의 소말리아 주에서 북부 국경 지구까지 뻗어 있다.[29] Lamberti는 북부 소말리아어를 북부 소말리아어 고유어, 다로드 그룹, 하부 주바 그룹의 세 가지 방언으로 세분한다.[31]
3. 사용 지역
소말리어는 이 지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쿠시어족 언어이며, 그 뒤를 오로모어와 아파르어가 잇는다.[10]
2021년 기준으로, 약 2,400만 명의 소말리어 사용자가 대소말리아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중 약 1,700만 명이 소말리아에 거주하고 있다.[11][12] 소말리어는 소말리아 국민의 약 95%가 사용하며,[9] 지부티 인구의 대다수도 사용한다.[13]
1990년대 초 소말리아 내전이 시작된 이후, 소말리아어를 사용하는 디아스포라가 증가하여 중동, 북미, 유럽 지역에 새로운 소말리어 사용 공동체가 형성되었다.[14]
소말리어는 소말리아, 지부티, 에티오피아, 예멘, 케냐에 거주하는 소말리족과 타국에 거주하는 소말리족이 사용한다.
4. 공식 지위
소말리어는 에티오피아의 소말리아 주에서 공식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다.[20] 지부티의 공식 언어는 아니지만, 주요 국가 언어를 구성한다. 소말리어는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며,[9][21] 국영 지부티 라디오는 1943년부터 소말리어로 프로그램을 방송해왔다.[22]
케냐 방송 공사는 Iftin FM 프로그램에서도 소말리어로 방송한다. 이 언어는 북동부 케냐 내 소말리아 지역, 즉 와지르 주, 가리사 주, 만데라 주에서 사용된다.[23][24]
소말리어는 2013년 6월 지부티,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정부가 지부티 시에 설립한 정부 간 기구인 지역 소말리어 학회에 의해 규제된다. 소말리어 보존을 공식적으로 담당하고 있다.[25]
5. 방언
베나디르(해안 소말리아어로도 알려짐)는 모가디슈를 포함한 중앙 인도양 해안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은 북부 소말리아어와 상당히 상호 이해 가능하다.[32]
마이 방언은 소말리아 남부에 거주하는 라한웨인 부족의 분파인 디질 부족과 밀리프레 부족의 방언이지만, 상당히 특수하다. 마이 방언은 다른 대다수의 소말리아인들에게 이해하기 어렵다.[78] 표준어에서 /ɖ/ 소리가 마이 방언에서는 /r/이 되는 경우가 많다.
마이 방언 외에도 지이도 방언, 다바레 방언, 가레 방언, 중앙 투니 방언 등은 표준어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6. 음운론
', B, T, J, X, KH, D, R, S, SH, DH, C, G, F, Q, K, L, M, N, W, H, Y, A, E, I, O, U.
각 문자의 소리는 다음과 같다.
소말리아어에는 22개의 음소가 있지만, 국제 음성 기호에서 말하는 후두개음은 없다. 성조에는 높음, 낮음, 내림의 3가지가 있다.
6. 1. 모음
소말리어는 기본적으로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 | {{lang|so|i|} | } iː|so
colspan="2" | | 양순 | 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연구개 뒤 | 인두 | 성문 | |
---|---|---|---|---|---|---|---|---|
비음 | ||||||||
파열음 | 무성 | |||||||
유성 | [38] | [38] | [38] | |||||
파찰음 | ||||||||
마찰음 | 무성 | ()[37] | ||||||
유성 | ||||||||
전동음 | () | |||||||
유사 자음 |
/b d̪ ɡ/ 자음들은 자음 사이에서 연화되어 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38] 후치 파열음 는 일부 소말리아 반투어 화자들에게는 폐쇄음적인 성질을 가지며, 자음 사이에서는 로 발음될 수 있다. 일부 화자들은 회상적으로 를 후두 전동음 로 발음한다.[39] 는 종종 후두음화된다.[40]
6. 3. 성조
소말리아어에서 높낮이는 음소적이지만, 소말리아어가 높낮이 악센트인지 아니면 성조 언어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1] 안드제예프스키(1954)는 소말리아어가 성조 언어라고 주장하는 반면,[42] 반티(1988)는 높낮이 체계라고 제안한다.소말리아어의 성조에는 높음, 낮음, 내림의 3가지가 있다.
6. 4. 음운 배열
소말리아어의 음절 구조는 (C)V(C)이다.어근 형태소는 일반적으로 단음절 또는 이음절 구조를 갖는다.
두 개의 자음이 모이는 자음군은 단어의 처음이나 끝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음절 경계에서만 나타난다. 다음 자음들은 겹자음이 될 수 있다: /b/, /d/, /ɖ/, /ɡ/, /ɢ/, /m/, /n/, /r/, /l/. 다음 자음들은 겹자음이 될 수 없다: /t/, /k/ 그리고 마찰음.
두 개의 모음은 음절 경계에서 함께 나타날 수 없다. 따라서 [j]와 [ʔ]과 같은 삽입 자음이 삽입된다.
소말리아어에는 22개의 음소가 있지만, 국제 음성 기호에서 말하는 후두개음은 없다. 기본 모음은 5개이며, 각 모음에 혀의 앞뒤 위치(전설/후설)와 음의 길이(장단)가 있으므로 각각을 다른 음소로 계산하면 20개가 된다. 또한, 성조에는 높음, 낮음, 내림의 3가지가 있다.
7. 문법
소말리어는 굴절어의 하나로, 어형 변화가 많고 명사에 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칭 변화의 종류가 풍부하여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며, 명사의 성도 단수와 복수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인칭 | 강조형 | 클리틱 (단축형) | |||
---|---|---|---|---|---|
주격 | 목적격 | ||||
1 | 단수 | aniga | aan | i | |
복수 | innaga | aynu | ina | ||
annaga | aannu | na | |||
2 | 단수 | adiga | aad | ku | |
복수 | idinka | aydin | idin | ||
3 | 단수 | isaga | uu | -- | |
iyada | ay | -- | |||
복수 | iyaga | ay | -- |
7. 1. 형태론
소말리아어는 굴절어이면서 교착어의 특징도 보이는 언어이다. 접사는 종상, 시상, 격을 포함한 많은 문법적 의미를 나타낸다.[43]소말리아어에는 네 개의 일반적인 동사에만 쓰이는 오래된 접두사 동사 활용이 있고, 다른 모든 동사는 더 명확한 접미사 활용을 거친다. 이 일반적인 패턴은 카이로 아랍어를 특징짓는 어간 변화와 비슷하다.[44]
소말리아어에는 독립적인(명사적, 강조적인) 대명사와 첨가적인(동사적) 대명사, 두 종류의 대명사가 있다.[45] 독립 대명사는 문법적으로 명사처럼 작용하며, 보통 접미사 관사 -ka/-ta를 붙인다. (예: ''adiga'', "너").[45] 이 관사는 접속사나 강조어 뒤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dna''는 "그리고 너..."라는 뜻이다.(''adi''-''na''에서 유래).[45] 첨가 대명사는 동사에 붙으며 명사적 형태소를 취하지 않는다.[46] 소말리아어는 1인칭 복수 대명사에서 포괄/배타를 표시하는데, 이는 렌딜레어와 다사낙어 같은 다른 여러 동아프리카 쿠시트어에서도 발견된다.[47]
다른 여러 아프로-아시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소말리아어는 성의 극성이 특징이다. 복수 명사는 보통 단수 형태와 반대의 성 일치를 취한다.[48][49] 예를 들어, 남성 명사 ''dibi''("황소")의 복수는 여성형 ''dibi''로 변환하여 만든다.[48] 소말리아어는 목적어에는 격이 표시되지 않고 주어에만 표시되는 점에서 세계 언어 중에서 특이하지만, 이 특징은 오로모어와 같은 다른 쿠시트어에서도 발견된다.[50]
7. 2. 통사론
소말리어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이다.[14] 대부분 머리 최종적이며, 후치사와 목적격 보어가 동사 앞에 온다.[51] 이러한 특징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쿠시어파와 셈어파 중 뿔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예: 암하라어)에서 흔히 볼 수 있다.[52] 그러나 소말리어 명사구는 머리가 앞에 오는 구조(head-initial)로, 명사가 수식하는 형용사보다 앞에 온다.[51][53] 머리가 대체로 끝에 오는 구조이지만 명사구는 머리가 앞에 오는 이러한 패턴은 다른 쿠시어파 언어(예: 오로모어)에서도 발견되지만, 에티오피아 셈어파 언어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51][54]소말리어는 세 가지 초점 표지, 즉 ''baa'', ''ayaa'', ''waxa(a)''를 사용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보나 대조적인 강조를 표시한다.[55] ''baa''와 ''ayaa''는 초점이 되는 요소가 동사 앞에 오도록 요구하지만, ''waxa(a)''는 동사 뒤에 올 수 있다.[56]
8. 어휘
소말리아어의 차용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언어(주로 아랍어)에서 유래한 것과 인도유럽어족에서 유래한 것(주로 이탈리아어)으로 나눌 수 있다.[58]
소말리아어의 주요 어휘 차용어는 아랍어에서 유래하며, 언어 어휘의 약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7] 이는 소말리아인들이 아라비아 반도의 인근 주민들과 광범위한 사회적, 문화적, 상업적, 종교적 유대와 접촉을 맺었던 유산이다. 아랍어 차용어는 주로 종교, 행정 및 교육 관련 언어(예: "신에 대한 믿음"을 뜻하는 ''aamiin'')에서 사용되지만, 다른 영역(예: "공"을 뜻하는 ''kubbad-da'')에서도 사용된다.[58] 소라비아(1994)는 아고스티니 외(1985)의 저서에서 총 1,436개의 아랍어 차용어를 언급했는데,[59] 이는 4만 개의 어휘를 포함하는 저명한 소말리아어 사전이다.[60] 대부분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사로 구성되었다. 과거에는 어휘 차용이 더 광범위했을 수 있는데, 자보르스키(1967:122)가 구어 문헌에서 관찰한 몇몇 단어는 아고스티니의 후기 저서에는 없기 때문이다.[59] 또한, 대부분의 이름은 아랍어에서 유래한다.[61]
소말리아어에는 식민지 시대에 남아 있는 몇 가지 인도유럽어 차용어도 포함되어 있다.[16] 이러한 어휘 차용어의 대부분은 영어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하며, 현대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예: "텔레비전"을 뜻하는 ''telefishen-ka'', "라디오"를 뜻하는 ''raadia-ha'').[62]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는 300개 정도 되며, "넥타이"를 뜻하는 ''garawati''(cravatta|크라바타it에서 유래), "민주적인"을 뜻하는 ''dimuqraadi''(democratico|데모크라티코it에서 유래), "현미경"을 뜻하는 ''mikroskoob''(microscopio|미크로스코피오it에서 유래) 등이 있다.
또한, 소말리아어에는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및 힌디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근동 및 남아시아 지역 사회와의 역사적인 무역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예: 페르시아어 خيار|khiyār|키야르fa에서 유래한 "오이"를 뜻하는 ''khiyaar'').[62] 다른 차용어는 일부 방언에서 원어 동의어를 대체하기도 했다(예: 힌디어 चपाती|chapāti|차파티hi에서 유래한 "일종의 납작한 빵"을 뜻하는 ''jabaati''는 ''sabaayad''를 대체했다). 이러한 단어 중 일부는 아랍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차용되기도 했다.[62][63]
지난 수십 년 동안 소말리아에서는 정부 차원의 광범위한 언어 순수주의 노력의 일환으로, 차용어를 소말리아어 동의어 또는 신조어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고혁명위원회는 재임 기간 동안 영어 및 이탈리아어 용어의 차용 및 사용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16]
9. 표기법
소말리아어는 라틴 문자나 오스마냐 문자로 표기한다. 라틴 문자만 공용어로 채택되면서 오스마냐 문자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소말리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 B, T, J, X, KH, D, R, S, SH, DH, C, G, F, Q, K, L, M, N, W, H, Y, A, E, I, O, U.
각 문자의 음가는 다음과 같다:
- ' - /ʔ/
- J - /tʃ/
- X - /ħ/
- KH - /χ/
- SH - /ʃ/
- DH - /ɖ/
- C - /ʕ/
- Q - /G/
- W - /w/ 또는 이중모음의 두 번째 요소
- Y - /j/ 또는 이중모음의 두 번째 요소
- A - /æ/ 또는 /ɑ/
- E - /e/ 또는 /ɛ/
- I - /i/ 또는 /ɪ/
- O - /ɞ/ 또는 /ɔ/
- U - /ʉ/ 또는 /u/
1972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된 소말리아 라틴 알파벳은 p, v, z를 제외한 모든 영어 라틴 알파벳 문자를 사용한다. 성문 폐쇄음에 대한 아포스트로피 사용을 제외하고는 구분 부호나 다른 특수 문자가 없다. 세 개의 자음 이중자음 DH, KH, SH가 있다.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의 차이는 표기상 구분되지 않는다. 문장의 시작과 고유 명사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한다.
9. 1. 역사


소말리아에서의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를 통해 독특한 문자 체계로 된 고대 비문이 발견되었다.[64] 1878년 영국 왕립지리학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과학자 요한 마리아 힐데브란트는 이 지역을 방문했을 때 "우리는 고대 작가들로부터 현재는 사막인 이 지역들이 과거에는 인구가 많고 문명이 발달했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그림과 문자로 된 고대 유적과 암각화도 발견했습니다[...] 이것들은 아직 해독되지 않았습니다"라고 기록했다.[65] 1974년 정보 및 국가 지도부 장관 보고서에 따르면, 이 문자는 소말리아어의 가장 초기 기록을 나타낸다.[64]
최근 소말리아 고고학자 사다 미레는 소말릴란드 전역에서 발견된 고대 비문을 발표했다. 이러한 글들은 주로 오늘날 예멘에서 사용되었던 셈족 히미야르어와 사바어로 쓰여졌다.[66]
소말리아어를 기록하는 데 수세기 동안 사용된 다른 표기법에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아랍 문자와 와다드 문자가 있다.[67] 소말리아어로 된 다양한 역사적 원고가 존재하는데, 주로 이슬람시(카시다), 낭송과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68] 이러한 텍스트에는 셰이크 우와이스와 셰이크 이스마일 파라의 소말리아 시가 포함된다. 소말리아어로 된 나머지 기존 역사 문헌은 주로 아랍어 문서의 번역으로 구성된다.[69]
그 이후로 소말리아어를 표기하는 데 여러 문자 체계가 사용되었다. 이 중 1972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된 소말리아 라틴 알파벳은 가장 널리 사용되며 국가의 공식 표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다.[70] 이 문자는 무사 하지 이스마일 갈랄, B. W. 안드제예프스키 및 쉬레 자마 아흐메드를 포함한 여러 저명한 소말리아 학자들이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했다.[71][72]
20세기에 개발된 문자 체계에는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발명한 오스마냐 문자, 압두르라만 셰이크 누르가 발명한 보라마 문자, 후세인 셰이크 아흐메드 카다레가 발명한 카다레 문자가 있다.[73]
원래 소말리어에도 독자적인 표기법이 있었지만, 오랜 세월 동안 사라졌고[79], 최근에는 다른 언어의 표기법을 차용하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것이며, 1972년 10월 바레 정권이 공식적으로 채택을 결정했다.[80] 공식적인 표기법 개발에는 언어학자 쉬레 자마 아흐메드의 공헌이 크다고 여겨진다.
소말리어 표기법 채택 논의는 1960년부터 시작되어 9년 동안 계속되었다. 표기법을 고안하도록 지명된 언어학자는 12명에 달한다. 최종적으로 쉬레 자마 아흐메드의 안이 채택되었다. 쉬레 자마 아흐메드는 자신이 고안한 표기법 해설서 ''Af Soomaali''를 출판했다. 아흐메드는 라틴 알파벳이 아랍 문자에 비해 시스템이 단순하다는 점, 이전에도 소말리어 표기에 사용되어 왔다는 점, 라틴 알파벳이라면 타자기 등 다양한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이 방법이 실용적이라고 제안했다.[81]
아흐메드의 표기법이 자리 잡기 전에도 널리 사용된 소말리어 표기법이 있었다. 특히 아랍 문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되었으며, 그 중 하나로 와다드 표기법(Wadaad's writing)이 있다. 20세기에 들어서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의 오스마냐 문자, 셰이크 아브드라하만 셰이크 누르의 보라마 문자, 후세인 셰이크 아흐메드 카다레의 카다레 문자 등이 고안되었다.[82]
수많은 소말리아어 표기 체계를 통일하려는 움직임은 1920년대부터 있었다. 표준 소말리아어는 1972년 10월 10일 모가디슈의 축구 경기장에서 공개되었다. 또한, 소말리아어의 본격적인 첫 번째 사전이 1976년에 출판되었다. 바레 정권은 이 표기법의 이해를 공무원 언어 시험으로 채택했다.
9. 2. 현대
소말리아 문자가 20세기에 개발된 이후,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여러 문자 체계가 사용되었다. 이 중 1972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된 소말리아 라틴 알파벳은 가장 널리 사용되며 국가의 공식 표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다.[70] 이 문자는 무사 하지 이스마일 갈랄, B. W. 안드제예프스키, 쉬레 자마 아흐메드 등 여러 학자들이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개발했다.[71][72] ''p'', ''v'', ''z''를 제외한 모든 영어 라틴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며, 성문 폐쇄음에 대한 아포스트로피 사용을 제외하고는 구분 부호나 다른 특수 문자가 없다. 세 개의 자음 이중자음 DH, KH, SH가 있다.원래 소말리어에는 독자적인 표기법이 있었지만, 오랜 세월 동안 사라졌다.[79] 최근에는 다른 언어의 표기법을 차용하고 있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것이며, 1972년 10월 바레 정권이 공식적으로 채택했다.[80] 공식적인 표기법 개발에는 언어학자 샤이아 자마 아흐메드(Shire Jama Ahmed)의 공헌이 크다.
라틴 알파벳 채택 이전에는 소말리어 표기에 대한 논의가 1960년부터 9년 동안 계속되었다. 12명의 언어학자가 표기법 고안에 참여했으며, 최종적으로 샤이아 자마 아흐메드의 안이 채택되었다. 아흐메드는 라틴 알파벳이 아랍 문자에 비해 단순하고, 이전에도 소말리어 표기에 사용되었으며, 타자기 등 다양한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실용적이라고 제안했다.[81]
아흐메드의 표기법 이전에도 아랍 문자를 사용하는 와다드 표기법(Wadaad's writing)이 널리 사용되었다. 20세기에는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의 오스마냐 문자, 셰이크 아브드라하만 셰이크 누르의 보라마 문자, 후세인 셰이크 아흐메드 카다레의 카다레 문자 등이 고안되었다.[82]
이탈리아와 영국이 오기 전에는 소말리아인 지식인과 종교 지도자들이 아랍어를 서면어로 사용하거나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소말리아어를 기록했다. 20세기 초 반란을 일으켰던 사이드 무함마드 압둘라 하산은 아랍어로 쓰여진 많은 편지를 남겼다.
소말리아어 표기 체계 통일 움직임은 1920년대부터 있었다. 표준 소말리아어는 1972년 10월 10일 모가디슈의 축구 경기장에서 공개되었다. 1976년에는 소말리아어의 첫 번째 사전인 'Qaamuus kooban ee af Soomaali ah'(소말리아어 소사전)과 'Qaamuuska Af-Soomaliga'(소말리아어 사전)이 출판되었다. 바레 정권은 이 표기법 이해를 공무원 언어 시험으로 채택하고, 학생들을 농촌에 파견하여 가르치는 정책을 시행하여 1978년까지 상당히 보급시켰다.
10. 숫자 및 달력 용어
영어 | 소말리어 | ||
---|---|---|---|
라틴 문자 | 오스마냐 문자 | 숫자 | |
영(0) | Eber | 𐒗𐒁𐒗𐒇 | 𐒠 |
일(1) | kow | 𐒏𐒙𐒓 | 𐒡 |
이(2) | laba | 𐒐𐒖𐒁𐒖 | 𐒢 |
삼(3) | saddex | 𐒈𐒖𐒆𐒆𐒗𐒄 | 𐒣 |
사(4) | afar | 𐒖𐒍𐒖𐒇 | 𐒤 |
오(5) | shan | 𐒉𐒖𐒒 | 𐒥 |
육(6) | lix | 𐒐𐒘𐒄 | 𐒦 |
칠(7) | toddoba | 𐒂𐒙𐒆𐒆𐒙𐒁𐒖 | 𐒧 |
팔(8) | siddeed | 𐒈𐒘𐒆𐒆𐒜𐒆 | 𐒨 |
구(9) | sagaal | 𐒈𐒖𐒌𐒛𐒐 | 𐒩 |
십(10) | toban |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𐒠 |
영어 | 소말리어 | ||
---|---|---|---|
라틴 문자 | 오스마냐 문자 | 숫자 | |
십일(11) | kow iyo toban | 𐒏𐒙𐒓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𐒡 |
십이(12) | laba iyo toban | 𐒐𐒖𐒁𐒖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𐒢 |
십삼(13) | saddex iyo toban | 𐒈𐒖𐒆𐒆𐒗𐒄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𐒣 |
십사(14) | afar iyo toban | 𐒖𐒍𐒖𐒇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𐒤 |
십오(15) | shan iyo toban | 𐒉𐒖𐒒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𐒥 |
십육(16) | lix iyo toban | 𐒐𐒘𐒄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𐒦 |
십칠(17) | toddoba iyo toban | 𐒂𐒙𐒆𐒆𐒙𐒁𐒖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𐒧 |
십팔(18) | sideed iyo toban | 𐒈𐒘𐒆𐒜𐒆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𐒨 |
십구(19) | sagaal iyo toban | 𐒈𐒖𐒌𐒛𐒐 𐒘𐒕𐒙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𐒩 |
이십(20) | labaatan | 𐒐𐒖𐒁𐒛𐒂𐒖𐒒 | 𐒢𐒠 |
11(''kow iyo toban'')부터 99(''sagaashal iyo sagaal'')까지의 모든 숫자는 숫자의 위치를 바꾸는 것도 동등하게 정확하지만, 더 큰 숫자의 경우 일부 방언에서는 십의 자리 숫자를 먼저 배치하는 것을 선호한다. 예를 들어 25는 ''labaatan iyo shan''과 ''shan iyo labaatan''(즉, 이십과 오 & 오와 이십)으로 모두 쓸 수 있다. 라틴 문자나 오스마냐 문자 모두 이러한 숫자 바꾸기를 수용하지는 않는다.
영어 | 소말리어 | ||
---|---|---|---|
라틴 문자 | 오스마냐 문자 | 숫자 | |
텐 (Ten) | toban | 𐒂𐒙𐒁𐒖𐒒 | 𐒡𐒠 |
트웬티 (Twenty) | labaatan | 𐒐𐒖𐒁𐒛𐒂𐒖𐒒 | 𐒢𐒠 |
서티 (Thirty) | soddon | 𐒈𐒙𐒆𐒆𐒙𐒒 | 𐒣𐒠 |
포티 (Forty) | afartan | 𐒖𐒍𐒖𐒇𐒂𐒖𐒒 | 𐒤𐒠 |
피프티 (Fifty) | konton | 𐒏𐒙𐒒𐒂𐒙𐒒 | 𐒥𐒠 |
식스티 (Sixty) | lixdan | 𐒐𐒘𐒄𐒆𐒖𐒒 | 𐒦𐒠 |
세븐티 (Seventy) | todobaatan | 𐒂𐒙𐒆𐒆𐒙𐒁𐒛𐒂𐒖𐒒 | 𐒧𐒠 |
에이티 (Eighty) | sideetan | 𐒈𐒘𐒆𐒜𐒂𐒖𐒒 | 𐒨𐒠 |
나인티 (Ninety) | sagaashan | 𐒈𐒖𐒌𐒛𐒉𐒖𐒒 | 𐒩𐒠 |
영어 | 소말리어 | ||
---|---|---|---|
라틴 문자 | 오스마냐 문자 | 비고 | |
백 | boqol | 𐒁𐒙𐒎𐒙𐒐 | 𐒡𐒠𐒠 |
천 | kun | 𐒏𐒚𐒒 | 𐒡,𐒠𐒠𐒠 |
백만 | milyan | 𐒑𐒘𐒐𐒕𐒖𐒒 | 𐒡,𐒠𐒠𐒠,𐒠𐒠𐒠 |
십억 | bilyan | 𐒁𐒘𐒐𐒕𐒖𐒒 | 𐒡,𐒠𐒠𐒠,𐒠𐒠𐒠,𐒠𐒠𐒠 |
오스마냐 문자 숫자표의 쉼표는 명확성을 위해 추가되었다.
영어 | 소말리어 | |
---|---|---|
라틴 문자 | 오스마냐 문자 | |
일요일 | Axad | 𐒖𐒄𐒖𐒆 |
월요일 | Isniin | 𐒘𐒘𐒈𐒒𐒕𐒒 |
화요일 | Salaasa/Talaado | 𐒈𐒖𐒐𐒛𐒈𐒖/𐒂𐒖𐒐𐒛𐒆𐒙 |
수요일 | Arbaca/Arbaco | 𐒖𐒇𐒁𐒖𐒋𐒛/𐒖𐒇𐒁𐒖𐒋𐒙 |
목요일 | Khamiis | 𐒅𐒖𐒑𐒕𐒈 |
금요일 | Jimce/Jimco | 𐒃𐒘𐒑𐒋𐒙 |
토요일 | Sabti | 𐒈𐒖𐒁𐒂𐒘 |
영어 | 소말리어 | |
---|---|---|
라틴 문자 | 오스마냐 문자 | |
1월 | Janaayo | 𐒃𐒜𐒒𐒚𐒓𐒖𐒇𐒘 |
2월 | Febraayo | 𐒍𐒛𐒁𐒇𐒚𐒓𐒖𐒇𐒘 |
3월 | Maarso | 𐒑𐒛𐒃 |
4월 | Abriil | 𐒖𐒁𐒇𐒕𐒐 |
5월 | Maajo | 𐒑𐒖𐒕 |
6월 | Juun | 𐒃𐒓𐒒 |
7월 | Luuliyo | 𐒃𐒓𐒐𐒛𐒕 |
8월 | Agoosto | 𐒝𐒌𐒖𐒈 |
9월 | Sebteembar | 𐒈𐒘𐒁𐒂𐒖𐒑𐒁𐒖𐒇 |
10월 | Oktoobar | 𐒙𐒏𐒂𐒝𐒁𐒖𐒇 |
11월 | Nofeembar | 𐒒𐒝𐒍𐒖𐒑𐒁𐒖𐒇 |
12월 | Diseembar | 𐒆𐒕𐒈𐒑𐒁𐒖𐒇 |
참조
[1]
웹사이트
Somali alphabets,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www.omniglot.[...]
2017-06-16
[2]
웹사이트
cldr/so.xml at master · unicode-org/cldr
https://github.com/u[...]
Unicode
2020-11-08
[3]
웹사이트
Somali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2013-09-21
[4]
논문
[5]
웹사이트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ww.africane[...]
2021-11-11
[6]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7]
간행물
The Gadabuursi Somali Script
https://www.scribd.c[...]
University of London
[8]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Red Sea Press
[9]
논문
[10]
논문
[11]
웹사이트
Somalia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2024-03-05
[12]
웹사이트
Somali - Worldwide distribution
https://www.worlddat[...]
2024-03-05
[13]
논문
[14]
웹사이트
Somali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21-06-28
[15]
웹사이트
The Federal Republic of Somalia - Provisional Constitution
http://www.somaliwey[...]
2013-03-13
[16]
논문
[17]
뉴스
A Guiding Voice Amid the Ruins of a Capital City
https://www.nytimes.[...]
2023-08-25
[18]
웹사이트
Radio Muqdisho
https://radiomuqdish[...]
2023-08-25
[19]
웹사이트
Somali Media Mapping Report
http://www.printfrie[...]
Somali Media Mapping
2014-08-31
[20]
서적
Language, literature,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Cuvillier
[21]
웹사이트
Ethnologue - Djibouti - Languag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3-04-25
[22]
논문
[23]
서적
Mobile Urbanity Somali Presence in Urban East Africa
Berghahn Books
[24]
웹사이트
KBC yazindua kitua kipya cha redio kwa lugha ya Kisomali
https://www.youtube.[...]
2015-11-18
[25]
웹사이트
Regional Somali Language Academy Launched in Djibouti
http://www.comesaria[...]
COMESA Regional Investment Agency
2014-02-28
[26]
뉴스
Google Translate - now in 80 languages
http://googletransla[...]
2013-12-10
[27]
논문
[28]
논문
[29]
서적
Mundus, Volumes 23-24
https://books.google[...]
Wissenschaftliche Verlagsgesellschaft
[30]
논문
[31]
서적
Map of Somali dialects in the Somalia Democratic Republic
http://dspace-roma3.[...]
H. Buske
1986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harvtxt
[37]
harvcoltxt
[38]
harvcoltxt
[39]
harvcoltxt
[40]
harvcoltxt
[41]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42]
서적
"Is Somali a Tone-language?", Proceedings of the Twenty-Third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Royal Asiatic Society
1954
[43]
harvcoltxt
[44]
서적
Analogy: the relation between lexicon and grammar
https://books.google[...]
Lincom Europa
[45]
harvcoltxt
[46]
harvcoltxt
[47]
harvcoltxt
[48]
학술지
Is There an "Ethiopian Language Area"?
https://books.google[...]
2013-05-08
[49]
harvcoltxt
[50]
서적
The Syntax of Focus & Topic in Somali
https://books.google[...]
H. Buske
[51]
harvcoltxt
[52]
서적
A learner's grammar of Beja (East Sudan): grammar, texts and vocabulary (Beja-English and English-Beja)
https://books.google[...]
Rüdiger Köppe Verlag
[53]
harvcoltxt
[54]
harvcoltxt
[55]
harvcoltxt
[56]
harvcoltxt
[57]
harvcoltxt
[58]
harvcoltxt
[59]
harvcoltxt
[60]
harvcoltxt
[61]
harvcoltxt
[62]
harvcoltxt
[63]
harvcoltxt
[64]
간행물
The writing of the Somali languag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Somalia
[65]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Volume 22, "Mr. J. M. Hildebrandt on his Travels in East Africa"
Royal Geographical Society (Great Britain), Edward Stanford
[66]
학술지
Mapping the Archaeology of Somaliland: Religion, Art, Script, Time, Urbanism, Trade and Empire
2015-03-01
[67]
웹사이트
Somali writing scripts
http://www.omniglot.[...]
2013-05-08
[68]
서적
In Praise of Somal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ulu
2015-01-17
[69]
서적
In Praise of Somal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ulu
2015-01-17
[70]
간행물
Middle East annual review
Economist Intelligence Unit (Great Britain)
[71]
harvcoltxt
https://archive.org/[...]
[72]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1999
[73]
harvcoltxt
[74]
웹사이트
Sketch Engine. sowac-somali-corpus
https://www.sketchen[...]
2020-10-19
[75]
논문
Building and Evaluating Somali Language Corpora
https://doi.org/10.3[...]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14
[76]
웹사이트
Ethnologue: Somalia
http://www.ethnologu[...]
[77]
웹사이트
SOMALIA historical demographic data of the whole country
http://www.library.u[...]
[78]
간행물
2000
[79]
간행물
The writing of the Somali languag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1974
[80]
간행물
Middle East annual review
Economist Intelligence Unit (Great Britain)
1975
[81]
서적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2]
서적
Politics, Language, and Thought: The Somali Exper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