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숙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숙오는 춘추 시대 초나라의 정치가로, 영윤(재상)을 역임하며 어진 정치를 펼쳤다. 그는 머리가 둘 달린 뱀을 죽인 일화를 통해 어릴 때부터 착한 심성을 보여주었으며, 장왕을 보좌하여 백성을 교화하고 관개 시설을 확충하는 등 치적을 쌓았다. 특히, 대규모 관개 시설인 안풍당(安豐塘) 건설을 감독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비 전투에서는 화친을 주장하다가 적의 공격에 맞서 과감하게 돌격 명령을 내려 승리하는 등 뛰어난 정치적,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사후에는 아들에게 척박한 땅을 물려주어 가문의 안정을 도모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시대의 재상 - 안영
안영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세 명의 군주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능력을 발휘하여 제나라 부흥에 기여했고, 그의 청렴함과 지혜는 여러 고사성어와 일화로 남아 춘추 시대 명재상으로 평가받지만, 정치적 행보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 춘추 시대의 재상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 초나라의 정치인 - 오기
오기는 중국 전국 시대의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로, 여러 나라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초나라 재상으로 법가 개혁을 추진하여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며, 《오자병법》을 저술했다. - 초나라의 정치인 - 굴원
굴원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으로, 친제파의 수장으로서 진나라와의 동맹을 반대하다가 좌천되어 멱라강에 투신 자결했으며, 그의 작품은 애국심을 담고 있으며 단오절 풍습의 기원이 되었다. - 기원전 6세기 중국 사람 - 안영
안영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세 명의 군주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능력을 발휘하여 제나라 부흥에 기여했고, 그의 청렴함과 지혜는 여러 고사성어와 일화로 남아 춘추 시대 명재상으로 평가받지만, 정치적 행보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 기원전 6세기 중국 사람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손숙오 | |
---|---|
기본 정보 | |
![]() | |
성 | 굴(屈) |
이름 | 완(完) |
자 | 숙오(叔敖) |
시호 | 정헌공(正獻公) |
생애 | |
출생 | 초나라 |
사망 | 초나라 |
국적 | 초나라 |
활동 분야 | 수리 전문가, 정치가 |
관직 | |
역임 | 영윤 |
2. 사적
2. 1. 머리가 둘 달린 뱀
어느 날, 어린 손숙오는 놀러 나갔다가 머리가 둘 달린 뱀을 보았다. 손숙오는 뱀을 죽이고 땅에 묻은 다음 집에 돌아가 엉엉 울었다. 어머니가 그 이유를 물어보니, 손숙오는 "머리가 둘 달린 뱀을 본 사람은 죽는다고 하던데, 제가 그 뱀을 보고 말았으니 어머니와 헤어질까 두렵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어머니가 뱀은 어떻게 되었는지 물어보니, 손숙오는 다른 사람이 볼까봐 죽이고 땅에 묻었다고 답하였다. 어머니는 "남몰래 착한 일을 한 사람은 하늘이 복을 내려준다고 하니, 너는 죽지 않을 거란다."라고 말하였다.2. 2. 어진 정치
손숙오는 장왕 때 영윤(令尹; 초나라의 재상) 우구자의 천거로 후임 영윤이 되었다. 백성을 교화시켜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화합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하여 정치는 느슨하였지만 간신도 도둑도 생기지 않았다. 진(晉)나라의 사회(士會)는 손숙오의 치세를 크게 칭송하였다.장왕이 화폐가 가볍다고 생각하여 크고 무겁게 만들자 백성은 이를 불편하게 여겨 쓰지를 않았다. 손숙오는 장왕에게 이전 화폐가 가볍다고 여겨 바꿨으나 시장이 혼란해져 백성이 불편을 겪으니 예전으로 돌려달라고 간언했고, 장왕은 이를 허락하였다.
초나라 백성은 습속이 비거(庳車; 수레바퀴가 작고 낮은 수레)를 좋아하였는데, 장왕은 비거는 말이 끌기에 불편하다고 여겨 법령을 내려 이것을 높이려 하였다. 손숙오는 법령을 자주 바꾸면 백성이 혼란스러워하므로, 마을의 문지방을 높이도록 하면 군자인 수레 타는 사람들이 자주 내리지 않기 위해 자발적으로 수레를 높일 것이라고 간언했다. 장왕이 이를 허락하니, 반 년이 지나 백성은 모두 자발적으로 수레를 높였다.
손숙오는 백성을 교화하고 잘 이끌었기에, 초나라에서는 상하가 화합하고, 정치는 느슨하면서도 금지된 것을 지키고, 관리에게 간사한 자가 없었으며, 물건을 훔치는 자가 없었다. 동시대 진의 사회는 적임에도 불구하고 손숙오의 치세를 가리켜 "덕, 형벌, 정치, 일, 법전, 예절의 여섯 가지가 올바르게 행해지고 있다"고 극찬했다.
손숙오의 업적을 지금도 남기는 시설로서, 수춘 근교를 흐르는 회하에 조성되어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대형 수리 시설 '''작피'''(안풍당)([관개 시설 유산])가 있으며, 손숙오는 이 시설로 회하의 물을 일대에 관개하여 농업 생산량을 높였다.
2. 3. 사후
손숙오는 죽기 전에 아들에게 자신이 죽으면 왕이 많은 영지를 내려줄 것이나, 침구([3] 땅만 받도록 유언하였다.[3] 과연 손숙오가 죽자 장왕은 그의 공을 기려 많은 상을 내리려 하였으나, 손숙오의 아들은 아버지의 말대로 침구 땅만 받았고 이후 영윤이 되었다.훗날 초나라가 혼란에 빠졌을 때, 침구는 토지가 척박하여 아무도 탐내지 않아 손숙오의 집안은 항상 정쟁을 피할 수 있었다. 또한 초나라가 오나라의 침략을 받아 멸망 직전에 이르렀을 때도, 침구는 땅 이름이 불길하여 오나라 군사들이 쳐들어오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손숙오의 자손은 크게 번성하였다.
3. 관개 시설 확충
손숙오는 장공의 명을 받아 농업 관개용 저수지를 만들기 위한 거대한 강 댐 건설을 책임지고 감독했다.[2] 이 댐 건설로 인해 오늘날 안후이성 북부(수현시 남쪽)의 평평한 계곡이 물에 잠겼고, 저수지 둘레는 100km에 달했다.[2] 손숙오 시대 이후, 이 고대 저수지는 양쯔강 북쪽 산에서 흘러나오는 수많은 북쪽으로 흐르는 물을 모아 약 24,000 km2의 관개 지역에 물을 공급했다.[2] 고대 중국인들은 이 저수지를 '사-시 베이' 또는 '사오 베이'(모란 댐)라고 불렀다. 오늘날 손숙오가 건설한 이 거대한 저수지는 여전히 존재하며, 현대에는 안펑 탕(안펑 저수지)으로 알려져 있다.[2] 주(周) 왕조 이후, 한(漢) 왕조(기원전 202년 – 서기 220년) 시대와 당(唐) 왕조(618–960 CE) 시대와 같은 중국 정부는 손숙오가 만든 저수지를 댐으로 막아 수리하고 유지했다.[2]
3. 1. 안풍당(安豐塘) 건설
손숙오는 장공의 명을 받아 농업 관개용 저수지를 만들기 위한 거대한 강 댐 건설을 책임지고 감독했다.[2] 이 댐 건설로 인해 오늘날 안후이성 북부(수현시 남쪽)의 평평한 계곡이 물에 잠겼고, 저수지 둘레는 100km에 달했다.[2] 손숙오 시대 이후, 이 고대 저수지는 양쯔강 북쪽 산에서 흘러나오는 수많은 북쪽으로 흐르는 물을 모아 약 24,000 km2의 관개 지역에 물을 공급했다.[2] 고대 중국인들은 이 저수지를 '사-시 베이' 또는 '사오 베이'(모란 댐)라고 불렀다. 오늘날 손숙오가 건설한 이 거대한 저수지는 여전히 존재하며, 현대에는 안펑 탕(안풍 저수지)으로 알려져 있다.[2] 주(周) 왕조 이후, 한(漢) 왕조(기원전 202년 – 서기 220년) 시대와 당(唐) 왕조(618–960 CE) 시대와 같은 중국 정부는 손숙오가 만든 저수지를 댐으로 막아 수리하고 유지했다.[2]3. 2. 역사적 의의
사마천의 사기와 ''회남자''에 손숙오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다. 장공(莊公)은 손숙오에게 거대한 강 댐 건설의 책임을 맡겼고, 이 댐은 농업 관개용 저수지를 만들었다.[2] 오늘날 안후이성 북부(수현시 남쪽)의 평평한 계곡이 물에 잠겼고, 저수지 둘레는 100km에 달했다.[2] 손숙오 시대 이후, 이 저수지는 양쯔강 북쪽 산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모아 약 24,000 km2의 관개 지역에 물을 공급했다.[2] 고대 중국인들은 이 저수지를 '사-시 베이' 또는 '사오 베이'(모란 댐)라고 불렀다. 현대에는 안펑 탕(안펑 저수지)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전히 존재한다.[2]주 왕조 이후, 한 왕조(기원전 202년 – 서기 220년)와 당 왕조(618–960 CE) 시대에도 손숙오가 만든 저수지를 수리하고 유지했다.[2]
4. 비(邲) 전투에서의 역할
비 전투에서 손숙오는 영윤으로서 국력 소모를 우려하여 진나라와의 화친을 주장했다. 그러나 진나라 사자가 장왕의 진영을 습격하고, 진나라 원군이 장왕의 진영을 포위하자 초나라 전군에 돌격 명령을 내려 진나라 군을 격파했다. 반면, 부장인 오참(오자서의 증조부)은 진나라 군 내부의 혼란을 감지하고 결전을 원했다.
기원전 597년, 비 전투에서 장왕을 따라 종군했지만, 부장인 오참(오자서의 증조부)이 진나라 군 내부의 혼란을 감지하고 결전을 원한 데 반해, 손숙오는 영윤으로서의 입장에서 국력 소모를 우려하여 끝까지 진나라와의 화해를 주장했다. 그러나 진나라의 사자가 장왕의 진영을 습격하고, 더 나아가 진나라의 원군이 장왕의 진영을 포위하자 초나라 전군에 돌격 명령을 내려 진나라 군을 철저히 격파했다.
4. 1. 화친 주장
비 전투에서 손숙오는 영윤으로서 국력 소모를 우려하여 진나라와의 화친을 주장했다. 그러나 진나라 사자가 장왕의 진영을 습격하고, 진나라 원군이 장왕의 진영을 포위하자 초나라 전군에 돌격 명령을 내려 진나라 군을 격파했다. 반면, 부장인 오참(오자서의 증조부)은 진나라 군 내부의 혼란을 감지하고 결전을 원했다.4. 2. 돌격 명령
기원전 597년, 비 전투에서 장왕을 따라 종군했지만, 부장인 오참(오자서의 증조부)이 진나라 군 내부의 혼란을 감지하고 결전을 원한 데 반해, 손숙오는 영윤으로서의 입장에서 국력 소모를 우려하여 끝까지 진나라와의 화해를 주장했다. 그러나 진나라의 사자가 장왕의 진영을 습격하고, 더 나아가 진나라의 원군이 장왕의 진영을 포위하자 초나라 전군에 돌격 명령을 내려 진나라 군을 철저히 격파했다.5. 평가
5. 1. 긍정적 평가
5. 2. 현대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辭典檢視 「孫叔敖 : ㄙㄨㄣ ㄕㄨˊ ㄠˊ」
http://dict.revised.[...]
2021-11-03
[2]
서적
[3]
문서
초나라의 가장 척박한 땅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