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딱따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딱따구리는 몸길이 13~15cm의 작은 딱따구리 종으로, 캄차카반도,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다양한 숲에서 서식하며, 곤충, 열매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수컷은 머리 뒤에 붉은 반점이 있으며, 암컷은 없다. 쇠딱따구리는 아홉 아종으로 분류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관심 필요 종으로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6년 기재된 새 - 뿔쇠오리
몸길이 24~25cm의 작은 바닷새인 뿔쇠오리는 번식기에 머리에 뿔 모양 깃털이 자라며, 북서 태평양에 서식하고 어류 등을 먹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적인 멸종위기종 및 한국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36년 기재된 새 - 뿔매
뿔매는 머리 윗부분 깃털이 뿔처럼 보이는 대형 맹금류로, 히말라야에서 동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다양한 동물을 사냥하지만, 서식지 감소로 개체수가 줄어 보호받고 있다. - 딱따구리과 - 오색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는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중간 크기의 딱따구리로, 흑색, 흰색, 적색 깃털을 가지며 곤충, 거미, 종자 등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만드는 잡식성 새로, 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 - 딱따구리과 - 크낙새
몸길이 46cm의 가장 큰 딱따구리류인 크낙새는 댕기깃과 뺨의 진홍색 반점이 특징이었으나,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한반도에서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어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텃새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한국의 텃새 - 동박새
동박새는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길이 약 12cm의 작은 새이며, 녹색 깃털과 흰색 눈 테두리가 특징이고, 꽃꿀, 과실,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조류이다.
쇠딱따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LC) |
학명 | Yungipicus kizuki |
명명자 | 템링크, 1836 |
이전 학명 | Picoides kizuki Dendrocopos kizuki |
생물 분류 (코게라)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딱따구리목 |
과 | 딱따구리과 |
속 | 아카게라속 |
종 | 코게라 (D. kizuki) |
학명 | Dendrocopos kizuki |
명명자 | 템링크, 1836년 |
일본어 이름 | コゲラ |
영어 이름 | Japanese Pygmy Woodpecker Pygmy Woodpecker |
아종 |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
아종 | |
아종 목록 | 에조코게라 (D. k. ijimae) 코게라 (D. k. seebohmi) 미야케코게라 (D. k. matsudairai) 시코쿠코게라 (D. k. shikokuensis) 쓰시마코게라 (D. k. kotataki) 규슈코게라 (D. k. kizuki) 아마미코게라 (D. k. amamii) 류큐코게라 (D. k. nigrescens) 오리이코게라 (D. k. orii) |
생물 분류 (쇠딱따구리)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딱따구리목 |
과 | 딱따구리과 |
속 | 딱따구리속 |
종 | 쇠딱따구리 |
학명 | Dendrocopos kizuki |
명명자 | 템링크, 1836 |
2. 분포
쇠딱따구리는 캄차카반도, 우수리, 사할린, 중국 동북부, 일본 훗카이도, 만주, 한반도 등에 분포한다.[22] 한반도 전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한국,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남동부, 사할린, 일본 및 류큐 열도에서 발견된다.[5]
쇠딱따구리는 몸길이가 13cm에서 15cm이다. 머리 깃털은 회갈색이다. 눈 위에서 시작하여 목과 가슴까지 이어지는 흰색 눈썹 줄이 있다. 귓깃은 갈색이며 흰색 수염 줄과 회갈색 뺨 줄이 있다. 턱과 목은 흰색이다. 등과 허리는 짙은 갈색이며 흰색 줄무늬가 있다. 덮깃과 날개깃은 갈색을 띤 검은색이며 흰색 줄무늬가 있다. 가슴에는 갈색 반점이 있다. 가슴, 옆구리 및 배에는 다양한 줄무늬가 있다.[5] 꼬리는 검은색을 띠며 바깥쪽 깃털에 흰색 줄무늬가 있다. 홍채는 밤색이고 부리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회색이다. 수컷은 목덜미 옆에 작은 붉은 반점이 있고 암컷은 없다. 암컷의 부리, 날개 및 꼬리는 수컷보다 더 길다. 어린 새의 목은 종종 줄무늬가 있다.[6] 이 새는 분포 지역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색이 어두워진다.[5][6] 울음소리는 높은 "찌-찌-찌"이며 빠른 드럼 소리를 낸다.
쇠딱따구리는 곤충류와 애벌레, 식물의 열매, 거미류, 다족류, 진딧물 등을 먹는다. 일본 쇠딱따구리는 암수 한 쌍으로 다니거나 혼합 무리를 이루어 나무 위에서 거미, 애벌레, 개미, 진딧물, 열매와 같은 무척추 동물을 찾는다.[6] 울음소리는 '키트'와 '크즈' 소리이며, 짧게 나무를 두드리는 소리를 낸다.
쇠딱따구리는 1836년 템민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이 종은 이전에 ''Dendrocopos''와 ''Picoides'' 속에 속했었다.[4]
러시아 남동부, 사할린, 한반도 북부, 중국 동북부, 일본 열도 등 동아시아의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며, 해발 2100m까지 서식한다. 서식지는 저지대, 고지대, 하천림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그리고 공원 및 정원이다.[6]
일본에서는 사도섬을 제외한 전국 아한(아고산)대 침엽수림부터 아열대 상록활엽수림까지 텃새로서 넓게 분포한다. 기본적으로는 텃새이지만, 한랭지에 서식하는 개체는 겨울에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도쿄도 고다이라시의 '시의 새'로 지정되어 있다.
3. 형태
전체 길이는 13-15 cm[13][14][15][16]이며, 참새와 비슷한 크기이다. 날개 펼친 길이는 약 27 cm[14]이다. 체중은 18-26 g[15]이다. 일본에 서식하는 딱따구리 중 가장 작다. 수컷보다 암컷이 약간 크다. 잿빛 갈색과 흰색의 얼룩무늬 깃털을 가지고 있다. 남쪽에 분포하는 개체일수록 체색이 짙어지는 경향이 있다. 암수 깃털 색깔의 차이는 머리 뒤쪽에 있는 붉은 반점의 유무(수컷에 있음) 정도이지만, 야외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깃털 색깔로 암수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발에는 앞발가락 2개와 뒷발가락 2개가 있다[17].
4. 생태
번식은 일본 남부에서는 3월에 시작하고, 일본 북부에서는 5월 말에 시작한다.[5] 둥지 구멍은 죽은 나뭇가지에 파며, 알은 흰색이고 크기는 약 19mm × 15mm이다.[7] 5~7개의 흰색 알을 낳고 12~14일 동안 품는다. 새끼새는 3주 후에 둥지를 떠난다.[5]
천연림부터 잡목림이나 도시 공원 내의 수목 등, 숲이 있는 장소라면 보통 관찰된다.[18] 원래는 평지에서 산림에 서식하는 새이지만, 최근에는 도시 근교에도 정착하여, 시가지에 가까운 가로수나 집의 정원수, 공원의 수목 등에서도 자주 보인다. 1980년대 이후, 도쿄 등의 도시부에서도 번식하게 되었다.[18]
암수 한 쌍이나 가족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고,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기, 기"라는 소리를 낸다. 영역 주장이나, 먼 곳으로 자신의 위치를 전달, 둥지를 떠난 새끼가 어미 새에게 먹이를 조를 때 등에는, "키키키"라는 강한 소리를 낸다. 부리로 나무를 강하게 연속해서 두드려 소리를 내는 드럼 연주도 한다. 드럼 연주 소리는, 오색딱따구리 등의 대형 딱따구리에 비해 작고 짧은 경우가 많다.
작은 몸집에 비해, 20헥타르 정도의 넓은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한 번 번식을 시작하면 같은 장소에서 계속 서식한다. 암수 한 쌍의 유대도, 한쪽 새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독이나 암수 한 쌍으로 있는 경우 외에도, 박새 등과 혼성 무리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14] 마른 나무나 살아있는 나무의 마른 가지 등에 둥지 구멍을 만들고, 매년 새로 판다.
식성은 잡식성이지만, 주로 곤충 등의 절지동물을 포식하고, 나무 열매를 먹기도 한다. 수피에 매달려, 종횡으로 섬세하게 이동하면서, 표면에서 떼어내거나, 쪼아서 작은 구멍을 내고, 긴 혀를 틈새나 곤충이 판 구멍에 넣어 포식한다.
5. 분류
5. 1. 아종
국제 조류 학회(IOC)는 ''Yungipicus kizuki permutatus'', ''Y. k. seebohmi'', ''Y. k. nippon'', ''Y. k. shikokuensis'', ''Y. k. kizuki'' (기준 아종), ''Y. k. matsudairai'', ''Y. k. kotataki'', ''Y. k. amamii'', ''Y. k. nigrescens'', ''Y. k. orii''를 쇠딱따구리의 아종으로 인정한다.[3] 쇠딱따구리는 이전에 ''Dendrocopos''와 ''Picoides'' 속에 속했다.[4]
기본 아종인 '''큐슈딱따구리'''를 포함하여, 아래 9개 아종이 기재되어 있으며, 순서는 북쪽에서 남쪽 순이다.[19] 체색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아종 | 학명 | 분포 지역 |
---|---|---|
에조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seebohmi (하르기트, 1884) | 홋카이도, 남쿠릴 열도[11] |
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nippon (구로다, 1922) | 혼슈 북부·중부, 사도(미조(迷鳥, 길을 잃은 새)로서)[11] (단, 분포 지역이 명확하지 않아 검토가 필요)[11] |
미야케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matsudairai (구로다, 1921) | 이즈 제도 (오시마, 미야케지마, 미쿠라지마, 하치조지마), 야쿠시마[11] (단, 분포 지역이 명확하지 않아 검토가 필요)[11] |
시코쿠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shikokuensis (구로다, 1922) | 혼슈 서부 및 시코쿠[11] (단, 분포 지역이 명확하지 않아 검토가 필요)[11] |
쓰시마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kotataki (구로다, 1922) | 쓰시마, 오키 제도[11] |
큐슈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kizuki (테밍크, 1836) | 규슈[11] |
아마미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amamii (구로다, 1922) | 아마미 제도고유 아종[20] (아마미오섬, 가케로마섬, 우케섬, 요로섬, 도쿠노섬)[11] |
류큐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nigrescens (시봄, 1887) | 오키나와섬, 야가지섬[11] |
오리이딱따구리 | Dendrocopos kizuki orii (구로다, 1923) | 야에야마 제도(이리오모테섬)에서 확인[11] |
6. 보전 상태
이 종은 넓은 분포와 안정적인 개체수를 가지고 있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관심 필요 종으로 평가했다.[1]
참조
[1]
IUCN
''Picoides kizuki''
2020-05-25
[2]
서적
Nouveau recueil de planches coloriées d'oiseaux
https://www.biodiver[...]
Legras Imbert et Co.
[3]
웹사이트
Woodpeckers
http://www.worldbird[...]
2017-07-25
[4]
백과사전
Japanese Pygmy Woodpecker (''Picoides kizuki'')
http://www.hbw.com/s[...]
[5]
서적
Woodpecker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0
[6]
서적
Woodpeckers of the World: The Complete Guid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4
[7]
학술지
Japanese Pygmy Woodpecker Kogera (Jpn) ''Dendrocopos kizuki''
http://www.bird-rese[...]
2017-07-25
[8]
웹사이트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Dendrocopos kizuki'')
http://www.iucnredli[...]
IUCN
2012-02-08
[9]
웹사이트
''Dendrocopos kizuki'' (Temminck, 1836)
http://www.itis.gov/[...]
ITIS
2012-02-08
[10]
서적
The 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11]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12]
웹사이트
Clements Checklist: Downloadable Checklist
https://www.birds.co[...]
Cornell University
2023-02-04
[13]
서적
フィールドガイド 日本の野鳥 増補改訂版
日本野鳥の会
[14]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15]
서적
Birds of 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서적
WOODPECKER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oodpeckers of the World
[17]
서적
野山の鳥
[18]
서적
庭で楽しむ野鳥の本
[19]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コゲラ)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2-08
[20]
간행물
鳥類レッドリスト (環境省) 2006年版でのランク変更
[21]
웹인용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http://env.seoul.go.[...]
2017-07-30
[22]
서적
세밀화로 보는 한반도 조류도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