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킹 블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킹 블루는 1967년 결성된 네덜란드의 록 밴드이다. 1968년 보컬 마리스카 베레스를 영입하여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1969년 발표한 "비너스"는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Mighty Joe", "Never Marry a Railroad Man" 등 여러 곡을 히트시켰다. 1974년 해체 후, 1979년과 1984년에 재결성했으나 2006년 마리스카 베레스의 사망으로 활동이 중단되었다. 쇼킹 블루의 음악은 한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특히 "비너스"는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록 밴드 - 에이리온
에이리온은 아르옌 뤼카센이 이끄는 프로그레시브 메탈/록 오페라 프로젝트로,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공상 과학, 판타지, 심리학 등 다양한 주제의 컨셉 앨범을 발표하고 라이브 공연도 진행한다. - 네덜란드의 록 밴드 - 포커스 (밴드)
포커스는 티스 반 리어를 중심으로 1969년 네덜란드에서 결성되어 "Hocus Pocus"와 "Sylvia" 등의 히트곡으로 1970년대 초 국제적인 성공을 거둔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이다. - 1974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무디 블루스
무디 블루스는 1964년 버밍엄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R&B 그룹에서 프로그레시브 록 선구자로 변화하며 오케스트라 협연과 멜로트론 사용으로 독창적인 사운드를 구축했고, 대표곡 〈Go Now〉, 〈Nights in White Satin〉 등으로 2018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74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킹 크림슨
킹 크림슨은 로버트 프립을 중심으로 1968년 결성된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서, 복잡한 구성과 즉흥 연주,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여러 장르에 영향을 주며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해왔다. - 196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파리 관현악단
파리 관현악단은 1967년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 해체 후 샤를 뮌슈를 초대 음악감독으로 창단되어 세계적인 지휘자들을 거쳐 현재 클라우스 맥켈라가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으로, 파리 필하모니를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고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독일계 지휘자 비중이 높았던 점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6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트래픽 (밴드)
트래픽은 스티브 윈우드, 짐 카팔디, 크리스 우드, 데이브 메이슨을 주축으로 1967년 영국 버밍엄에서 결성되어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록, 재즈 록을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인 록 밴드이며, 멤버 구성 변화와 해체 후 1994년 재결합, 200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쇼킹 블루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네덜란드 록 (Nederbeat) 개러지 팝 |
결성 | 1967년 |
해체 | 1974년 |
재결합 | 1979년, 1980년, 1984년 |
출신지 | 헤이그, 네덜란드 |
레이블 | 핑크 엘리펀트 폴리도르 포노그램 폴리그램 유니버설 머큐리 페니 파딩 콜로서스 |
관련 활동 | 더 모션스 갤럭시-린 안틸로페 리빈 블루스 |
구성원 | |
과거 구성원 | 마리스카 베레스 로비 판 레이우벤 프레트 더 빌더 클라스여 판 더 발 코르 판 더 베이크 레오 판 더 케터레이 마르틴 판 바이크 헹크 스미츠캄프 |
2. 역사
로비 판 레우엔이 네덜란드에서 쇼킹 블루를 결성했고, 보컬 마리스카 베레스는 중간에 합류했다.
마리스카 베레스는 헝가리와 독일 혼혈이며, 아버지가 집시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연주자였기 때문에 어릴 적부터 아버지와 함께 노래를 불렀다. 쇼킹 블루에 합류하기 전에도 여러 밴드에서 보컬을 담당했다.
1969년 7월, 네덜란드에서 비너스를 발매, 1970년 2월 7일 미국 빌보드지에서 주간 랭킹 1위를 차지했다. 같은 잡지의 1970년 연간 랭킹에서는 22위를 기록하며 쇼킹 블루의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에서는 주간 차트 1위를 기록했지만, 네덜란드에서의 주간 차트 최고 순위는 3위에 머물렀다.
1971년에는 일본 공연을 했다.
2. 1. 결성 초기 (1967-1968)
1967년 더 모션스의 기타리스트 로비 반 레우엔에 의해 결성되었다. 당시 그룹의 다른 멤버는 프레드 드 빌데, 클라시예 판 데르 발 (1949년 2월 1일 ~ 2018년 2월 12일), 코르 판 데르 베이크 (1949년 6월 9일 ~ 1998년 4월 2일)였다. 1968년에는 "Lucy Brown is Back in Town"으로 작은 성공을 거두었다. 드 빌데가 밴드의 리드 싱어였을 때, 밴드는 원래 비틀즈와 브라더스 포의 중간 지점에 있는 사운드를 냈다고 묘사되었다.2. 2. 전성기 (1968-1973)
로비 판 레우엔이 네덜란드에서 결성했다. 보컬 마리스카 베레스는 중간에 합류했다.[5][6]마리스카는 헝가리와 독일의 혼혈이며, 아버지가 집시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연주자였기 때문에 어릴 적부터 아버지와 함께 노래를 불렀다. 쇼킹 블루에 합류하기 전에도 여러 밴드에서 보컬을 담당했다.
1969년 7월, 네덜란드에서 「비너스」를 발매, 1970년 2월 7일 미국의 「빌보드」지에서 주간 랭킹 1위를 차지했다. 같은 잡지의 1970년 연간 랭킹에서는 22위를 기록하며 쇼킹 블루의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에서는 주간 차트 1위를 기록했지만, 네덜란드에서의 주간 차트 최고 순위는 3위에 머물렀다.
연도 | 제목 | 빌보드 순위 | 네덜란드 순위 | 오리콘 순위 | 비고 |
---|---|---|---|---|---|
1968년 | Send Me a Postcard | 11 | |||
1969년 | 내일로 향하는 길 (원제: Long Lonesome Road) | 75 | 17 | ||
1969년 | 비너스 | 1 | 3 | 2 | 일본에서는 1970년 봄에 큰 인기를 기록 |
1969년 | 마이티 조 | 43 | 1 | 세계적으로는 밀리언 셀러를 기록[23] | |
1970년 | 슬픈 철도원 (원제: Never Marry a Railroad Man) | 102 | 1 | 2 | 일본에서는 회전수를 빠르게 한 싱글로 1970년 가을~겨울에 큰 인기를 기록 |
1971년 | 굿 샐리 | 일본에서만 싱글로 발매 | |||
1971년 | 슬픈 사랑 (원제: Blossom Lady) | 2 | 17 | 일본 방문 기념반 | |
1972년 | 새벽의 태양 | 일본에서만 싱글로 발매. 원제는 "I'll follow the sun"이지만 비틀즈의 곡과는 동명 이곡 |
1971년에는 일본 공연을 했다.
2. 3. 변화와 해체 (1973-1975)
1971년, 클라시예 판 데르 발이 탈퇴했다. 1974년, 로비 반 레우벤과 마리스카 베레스가 차례로 탈퇴하면서 밴드는 해체되었다.[5][6][7] 이후 마리스카 베레스는 솔로 활동을 이어갔다.2. 4. 재결성 (1979-2006)
1979년, 쇼킹 블루는 가장 유명했던 라인업으로 재결성하여 1974년 해체 이후 첫 싱글 "Louise"를 녹음했지만, 발매되지는 않았다.[1] 1984년과 1994년에도 재결성을 시도하여 싱글을 발표했다.[1] 1998년, 드러머 코르 판 데르 베이크가 사망했다.[1] 2006년, 보컬 마리스카 베레스가 담낭암으로 사망하면서 밴드의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1] 2018년, 베이시스트 클라스예 판 데르 발이 사망했다.[1]3. 구성원
쇼킹 블루는 여러 멤버 교체를 겪었다. 주요 멤버로는 보컬 마리스카 베레스, 기타와 시타르를 연주한 로비 판 레우엔, 베이스 클라스제 판 데르 발, 드럼 코르 판 데르 베이크가 있다.
1979년 재결성하여 싱글 "Louise"를 녹음했으나 발매되지는 않았다. 1980년에는 "비너스" 등의 초창기 곡들을 라이브로 공연했다. 1984년에는 싱글 "The Jury and the Judge"를, 1994년에는 "Body and Soul"을 발매했다.
코르 판 데르 베이크는 1998년, 마리스카 베레스는 2006년, 클라스제 판 데르 발은 2018년에 각각 사망했다.[5][6][7]
3. 1. 멤버 목록
멤버 | 역할 | 활동 기간 |
---|---|---|
프레드 데 빌더 (Fred de Wilde) | 보컬 | 1967년 1월 1일 ~ 1968년 10월 1일 |
마리스카 베레스 (Mariska Veres) | 보컬 | 1968년 10월 1일 ~ 1975년 6월 1일, 1980년 10월 1일 ~ 2006년 1월 1일 |
로비 판 레우엔 (Robbie van Leeuwen) | 기타, 시타르 | 1967년 1월 1일 ~ 1974년 1월 1일, 1980년 10월 1일 ~ 1987년 11월 1일 |
코르 판 데르 베크 (Cor van der Beek) | 드럼 | 1967년 1월 1일 ~ 1975년 6월 1일, 1980년 10월 1일 ~ 1984년 1월 1일 |
클라스제 판 데르 발 (Klaasje van der Wal) | 베이스 | 1967년 1월 1일 ~ 1972년 1월 1일, 1980년 10월 1일 ~ 1984년 1월 1일 |
헹크 스미츠캄프 (Henk Smitskamp) | 베이스 | 1972년 1월 1일 ~ 1975년 6월 1일 |
레오 판 더 케터레이 (Leo van de Ketterij) | 기타 | 1970년 1월 1일 ~ 1972년 1월 1일 |
마르틴 판 베이크 (Martin van Wijk) | 기타 | 1973년 7월 1일 ~ 1975년 6월 1일 |
앙드레 판 헬도르프 (André van Geldorp) | 기타 | 1987년 11월 1일 ~ 2006년 1월 1일 |
미헐 스흐뢰더 (Michel Schreuder) | 드럼 | 1996년 1월 1일 ~ 2006년 1월 1일 |
3. 2. 타임라인
연도 | 내용 |
---|---|
1967년 | 로비 판 레우엔이 밴드 결성. 초기 보컬은 프레드 데 빌데. |
1968년 | 마리스카 베레스가 보컬로 합류. |
1969년 | 네덜란드에서 「비너스」 발매. |
1970년 | 「비너스」 빌보드 차트 1위 (미국).[5][6] |
1971년 | 일본 공연. |
1974년 | 밴드 해체. |
1979년 | 가장 유명한 라인업으로 재결성, 싱글 "Louise" 녹음 (미발매). |
1980년 | "비너스" 등 초창기 곡 라이브 공연. |
1984년 | 재결성 시도, 싱글 "The Jury and the Judge" 발매. |
1986년 | 바나나라마가 "Venus" 커버 버전 발매, 미국, 캐나다, 호주 1위. |
1994년 | 싱글 "Body and Soul" 발매. |
1998년 | 드러머 코르 판 데르 베이크 사망 (49세).[5] |
2006년 | 마리스카 베레스 담낭암으로 사망 (59세).[5][6] |
2018년 | 베이시스트 클라스예 판 데르 발 사망 (69세).[7] |
4. 음반 목록
쇼킹 블루는 다양한 정규 음반, 라이브 음반, 컴필레이션 음반, 싱글을 발매했다.
;기타 컴필레이션 앨범
- 1969년 ''Sensational Shocking Blue'' (Discofoon)
- 1970년 ''Shocking Blue'' (Pink Elephant)
- 1971년 ''Hello Darkness'' (Pink Elephant)
- 1972년 ''The Shocking Blue, Perfect Collection'' (Polydor)
- 1972년 ''The Best of Shocking Blue'' (Pink Elephant)
- 1973년 ''Shocking Blue's Best'' (Metronome)
- 1973년 ''With Love from... Shocking Blue'' (Capri)
- 1978년 ''The Shocking Blue Double Deluxe'' (Polydor)
- 1980년 ''Venus'' (Piccadilly)
- 1981년 ''The Shocking Blue Greatest Hits'' (CNR)
- 1986년 ''Best of Shocking Blue'' (CNR)
- 1986년 ''Classics'' (21 Records)
- 1986년 ''The Best of Shocking Blue'' (Victor)
- 1990년 ''The Very Best of Shocking Blue'' (Red Bullet), (Arcade, 1993)
- 1990년 ''Shocking Blue 20 Greatest Hits'' (Repertoire)
- 1990년 ''Venus'' (Castle Communications AG)
- 1994년 ''A Portrait of Shocking Blue'' (Castle)
- 1995년 ''The Golden Hits'' (Red Bullet)
- 1997년 ''Singles A's and B's'' (Repertoire)
- 1997년 ''Shocking Blue Grand Collection'' (A.R.O.)
- 1998년 ''Shocking You'' (Laserlight)
- 2000년 ''Shocking Blue Golden Collection 2000'' (Lighthouse)
- 2000년 ''All Gold of the World Shocking Blue'' (Mekkophone & Castle Communications)
- 2004년 ''Shocking Blue Greatest Hits'' (Red Bullet)
- 2011년 ''The Very Best of Shocking Blue (Part One - The A Sides)'' (Red Bullet)
- 2011년 ''The Very Best of Shocking Blue (Part Two - The B Sides)'' (Red Bullet)
- 2022년 ''At Home (The Singles)'' (Music on Vinyl; RSD 한정판 10인치 핑크색 바이닐)
4. 1. 정규 음반
- 쇼킹 블루 (독일어 버전, ''Beat with Us''라고도 함) (1967)
- 앳 홈 (미국 버전, 1970년, ''The Shocking Blue''라고도 함) (1969)
- Scorpio's Dance (일본 제목, ''Sally Was a Good Old Girl''라고도 함) (1970)
- Third Album (''Shocking You''라고도 함) (1971)
- 잉크팟 (1972)
- 아틸라 (일본 제목, ''Rock in the Sea''라고도 하며, ''Eve and the Apple''이라고도 함) (1972)
- 햄 (1973)
- Dream on Dreamer (1974)
- Good Times (1974)
4. 2. 라이브 음반
일본 라이브 (1971년 7월 28일과 30일, 도쿄 후생 연금 회관에서 녹음)[9]4. 3. 주요 싱글
연도 | 싱글 | 최고 순위 | 인증 | 앨범 | |||||||||
---|---|---|---|---|---|---|---|---|---|---|---|---|---|
네덜란드[11] | 호주[12] | 오스트리아[13] | 벨기에[14] | 캐나다[15] | 독일[16] | 노르웨이[17] | 스위스[18] | 영국[19] | 미국[20] | ||||
1967 | "Love Is in the Air" b/w "What You Gonna Do" | — | — | — | — | — | — | — | — | — | — | 쇼킹 블루 | |
1968 | "Lucy Brown Is Back in Town" b/w "Fix Your Hair Darling" | — | — | — | — | — | — | — | — | — | — | 비음반 싱글 | |
"Send Me a Postcard" b/w "Harley Davidson" | 10 | — | — | — | — | — | 4 | — | — | — | |||
1969 | "Long and Lonesome Road" b/w "Fireball of Love" | 16 | — | — | — | 72 | — | — | — | — | 75 | ||
"비너스" b/w "Hot Sand" | 2 | 1 | 2 | 1 | 1 | 2 | 2 | 1 | 8 | 1 | 앳 홈 (국제 버전 & 재발매) | ||
"Mighty Joe" b/w "Wild Wind" | 2 | 43 | 16 | 3 | 22 | 5 | — | 6 | 43 | 43 | 비음반 싱글 | ||
1970 | "Never Marry a Railroad Man" b/w "Roll Engine Roll" | 1 | 40 | 15 | 1 | — | 12 | 5 | 6 | — | 102*[22] | ||
"Sally Was a Good Old Girl" b/w "Long and Lonesome Road" | — | — | — | — | — | — | — | — | — | — | 스콜피오의 댄스 | ||
"Hello Darkness" b/w "Pickin' Tomatoes" | 4 | — | — | 14 | — | 44 | — | — | — | — | 비음반 싱글 | ||
1971 | "Shocking You" b/w "Waterloo" | 10 | — | — | 29 | — | 45 | — | — | — | — | 세 번째 앨범 | |
"Serenade" b/w "Sleepless at Midnight" | — | — | — | — | — | — | — | — | — | — | |||
"Blossom Lady" b/w "Is This a Dream" | 2 | 78 | — | 4 | — | 41 | — | — | — | — | 비음반 싱글 | ||
"Out of Sight, Out of Mind" b/w "I Like You" | 6 | — | — | 13 | — | — | — | — | — | — | |||
1972 | "Inkpot" b/w "Give My Love to the Sunrise" | 5 | 97 | — | 4 | — | 12 | — | — | — | — | 잉크팟 | |
"Rock in the Sea" b/w "Broken Heart" | 14 | — | — | 23 | — | 31 | — | — | — | — | Attila | ||
"Eve and the Apple" b/w "When I Was a Girl" | 15 | — | — | 19 | — | — | — | — | — | — | 이브와 사과 | ||
1973 | "Let Me Carry Your Bag" b/w "I Saw You in June" | — | — | — | — | — | — | — | — | — | — | 비음반 싱글 | |
"Oh Lord" b/w "In My Time of Dying" | 14 | — | — | 15 | — | — | — | — | — | — | 햄 | ||
1974 | "This America" b/w "I Won't Be Lonely Long" | — | — | — | 23 | — | — | — | — | — | — | 비음반 싱글 | |
"Dream on Dreamer" b/w "Where the Pick-Nick Was" | — | — | — | — | — | — | — | — | — | — | |||
"굿 타임스" b/w "Come My Way" | — | — | — | — | — | — | — | — | — | — | 굿 타임스 | ||
1975 | "Gonna Sing My Song" b/w "Get It On" | — | — | — | — | — | — | — | — | — | — | 비음반 싱글 | |
1986 | "The Jury and the Judge" b/w "I Am Hanging on to Love" | — | — | — | — | — | — | — | — | — | — | ||
1990 | "Venus '90" | — | 49 | — | — | — | — | — | — | 78 | — | ||
1994 | "Body and Soul" b/w "Angel" | — | — | — | — | — | — | — | — | — | — | ||
"—"는 해당 지역에서 차트에 오르지 못했거나 발매되지 않은 음반을 나타낸다. |
쇼킹 블루의 주요 싱글은 다음과 같다.
- "Send Me a Postcard" (1968년, 네덜란드 11위)
- "내일로 향하는 길" (원제: Long Lonesome Road) (1969년, 빌보드 75위, 네덜란드 17위)
- 비너스 (1969년, 빌보드 1위, 네덜란드 3위, 오리콘 2위. 일본에서는 1970년 봄에 큰 인기를 기록했다)
- "마이티 조" (1969년, 빌보드 43위, 네덜란드 1위. 세계적으로는 밀리언 셀러를 기록[23])
- "슬픈 철도원" (원제: Never Marry a Railroad Man) (1970년, 빌보드 102위[22], 네덜란드 1위, 오리콘 2위. 일본에서는 회전수를 빠르게 한 싱글로 1970년 가을~겨울에 큰 인기를 기록했다)
- "굿 샐리" (1971년, 일본에서만 싱글로 발매)
- "슬픈 사랑" (원제: Blossom Lady) (1971년, 일본 방문 기념반, 네덜란드 2위, 오리콘 17위)
- "새벽의 태양" (1972년, 일본에서만 싱글로 발매. 원제는 "I'll follow the sun"이지만 비틀즈의 곡과는 동명 이곡이다)
- "아메리카" (1974년)
- "Gonna sing my song" (1975년, 소속 레코드 회사와의 계약 관계상, 해산 다음 해에 발매되었다. 일본 미발매)
- "러브 버즈" (너바나의 커버 버전으로도 알려져 있다)
- "핫 샌드" (비너스의 B면 곡. 처음에는 비너스와 양 A면 취급이었다)
5. 영향 및 평가
쇼킹 블루는 독특한 음악 스타일과 히트곡들로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표곡 비너스는 바나나라마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리메이크하여 다시 히트하기도 했다.[23] 너바나는 쇼킹 블루의 "Love Buzz"를 커버하기도 했다.
6. 한국에서의 쇼킹 블루
쇼킹 블루의 노래는 한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특히 1969년에 발매된 비너스는 1980년대 한국 화장품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면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다.[23] 1970년에 발매된 "Never Marry a Railroad Man"은 "슬픈 철도원"으로 번안되어 1970년대 초 한국 팝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쇼킹 블루의 음악은 한국 록 음악 팬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간행물
The Number Ones: Shocking Blue's "Venus"
https://www.stereogu[...]
2018-12-14
[2]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and Jenkins Ltd
[3]
웹사이트
Shocking Blue
http://www.alexgitli[...]
Alex Gitlin
2010-07-21
[4]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1971-01-09
[5]
웹사이트
Mariska Veres, 59, Singer for Shocking Blue, Dies
https://www.nytimes.[...]
2006-12-08
[6]
웹사이트
News: Obituaries Mariska Veres Singer with Shocking Blue
https://www.independ[...]
2006-12-05
[7]
웹사이트
Klaasje van der Wal, Haags popicoon, is overleden
https://www.haagmedi[...]
2018-02-14
[8]
뉴스
De mooie jongen van Shocking Blue, die al in 1975 zijn gitaar in de wilgen hing
https://www.volkskra[...]
2018-03-08
[9]
Discogs release
The Shocking Blue – Live In Japan
[10]
웹사이트
Dutch Albums
http://dutchcharts.n[...]
dutchcharts.nl
2022-08-21
[11]
웹사이트
Discografie Shocking Blue
https://dutchcharts.[...]
2022-01-16
[1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12]
웹사이트
Shocking Blue – Venus '90
https://australian-c[...]
2022-10-08
[13]
웹사이트
Austrian Charts > Shocking Blue
https://austrianchar[...]
2022-08-24
[14]
웹사이트
Belgian Singles
http://www.ultratop.[...]
ultratop.be
2012-10-21
[15]
웹사이트
RPM Top 100 Singles - June 27, 1970
http://www.collectio[...]
[15]
웹사이트
RPM Top 100 Singles - January 31, 1970
http://www.collectio[...]
[15]
웹사이트
RPM Top 100 Singles - April 25, 1970
http://www.collectio[...]
[16]
웹사이트
German Singles
http://www.officialc[...]
Charts.de GfK Entertainment
2022-08-22
[17]
웹사이트
Discography Shocking Blue
https://norwegiancha[...]
2022-01-16
[18]
웹사이트
Swiss Charts > Shocking Blue
http://swisscharts.c[...]
2022-08-26
[19]
웹사이트
SHOCKING BLUE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s://www.official[...]
2022-01-16
[20]
웹사이트
Shocking Blue - Awards
http://www.allmusic.[...]
2022-01-16
[21]
웹사이트
RIAA GOLD & PLATINUM
https://www.riaa.com[...]
riaa.com
2022-09-27
[22]
간행물
Bubbling Under The Hot 100
https://books.google[...]
1971-01-23
[23]
서적
Billboardただ1曲のスーパーヒット・2(1968~1984)
音楽之友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