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녀는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종교적 서약을 하고 수도 생활을 하는 여성 신자를 지칭한다. 가톨릭 수녀는 수도회에 소속되어 청빈, 정결, 순명을 서약하며, 수녀복을 착용하고, 수련 과정을 거쳐 종신 서원을 한다. 동방 정교회 수녀는 수도원에서 생활하며, 불교에서는 비구니라고 불리며, 각 종교와 전통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녀 - 사막 교모
    사막 교모는 초기 기독교 시대에 금욕주의를 실천하며 영적 성장을 추구한 여성들을 지칭하며, 세속적인 욕망을 절제하고 신에 대한 헌신을 강조하는 삶을 살았던 대표적인 인물로는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 사막의 사라, 멜라니아 등이 있다.
  • 종교 관련 직업 - 승려
    승려는 불교에서 출가하여 수행하는 사람으로, 계율에 따라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 등으로 나뉘며, 화상은 덕이 높은 승려, 동자승은 어린 나이에 출가한 승려를 의미한다.
  • 종교 관련 직업 - 추기경
    추기경은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보필하고 교황 선출에 참여하는 고위 성직자를 지칭하며, 본래 로마 교구의 주요 성직자들을 지칭했으나 점차 권위가 높아져 교황 선출권을 갖고 중세 시대에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수녀
개요
수녀
수녀
정의여성 종교 공동체의 구성원
종교기독교
불교
자이나교
기독교 수녀
역할여성 종교 수도회의 일원
서약청빈
정결
순명
소속로마 가톨릭 수도회
특징단순 서원 하에 로마 가톨릭 수도회에 소속된 여성
불교 수녀
역할불교 여성 출가 수행자
기타 종교
관련 종교자이나교

2. 가톨릭

가톨릭교회에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수녀회와 수도회가 존재하며, 각기 고유한 카리스마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전통적으로 수녀는 폐쇄 수도회의 구성원이며 엄숙한 종교 서약을 하는 반면, 자매들은 교황청의 폐쇄 구역에서 살지 않고 이전에는 "단순 서약"이라고 하는 서약을 했다.[4]

수도 생활의 일환으로, 폐쇄 구역 내에서 사는 수녀들은 역사적으로 하루 종일 교회에서, 보통 엄숙한 방식으로 전체 성무일도를 바치는 데 전념했다. 이들은 수도원 유지 보수나 수도원 밖의 심부름을 하는 평신도 수녀와 달리 수도 공동체 내에서 "합창 수녀"로 구분되었다.

스콜라스티카(St. Scholastica), 성 베네딕토(St. Benedict)의 누이이자 베네딕토회 수녀회 창립자


힐데가르트 폰 빙엔(Hildegard of Bingen)과 그녀의 수녀들


Maria Johanna Baptista von Zweyer, 발트의 시토회 수녀원 수녀원장


아르망 고티에(Armand Gautier)의 ''교회 현관의 세 수녀''

2. 1. 가톨릭 수녀가 되는 과정

가톨릭에서 수녀가 되려면 특정 연령 이하의 독신 여성이어야 하며, 수도원에서 실시하는 모임에 참여하면서 수도 생활을 준비해야 한다.[4] 수도원에 입회한 후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가톨릭 수녀가 되는 과정
단계기간주요 활동 및 내용
열망자6개월기도 생활, 교리 및 전례, 성경, 예절, 수도원 역사, 성가 공부, 수도원 공동 작업 등을 통해 자신의 성소(聖召, 하느님의 부르심)를 확인한다.
지원자(수도 성소에 대한 확신 후)수녀회 입회식을 거치며, 공부와 공동 노동을 실천한다.
수련 수녀1~2년[5]하얀 베일과 수녀복을 착용하고, 공부와 노동을 통해 수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을 익힌다. 수련 기간 동안에는 서원을 하지 않는다.[5]
유기 서약 수녀1~3년 (최대 6년)[7]첫 임시 서원을 한다.
종신 서약 수녀평생검정 베일과 정복을 착용하고, 청빈, 정결, 순명의 생활을 평생 동안 할 것을 서약한다. 종신 서약 후에는 결혼할 수 없으며, 결혼하려면 종신 서약을 취소하고 수녀를 그만두어야 한다.



베네딕토회 전통(베네딕토회, 시토회, 캄알돌리회, 트라피스트회 등)의 수녀들은 안정 서원(단일 수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남는 것), 순명 서원(수녀원장 또는 원장에게 순종하는 것), 생활 개선(가난과 독신 생활 포함) 서원을 한다.[9][10] 클라라 수녀회(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코 수녀회와 같은 다른 전통에서는 가난, 정결, 순명의 삼종 서원을 한다. 대부분의 수녀회는 이 두 가지 형태 중 하나를 따르며, 일부 수도회는 수도회의 특정한 활동이나 특성과 관련된 추가적인 서원을 하기도 한다.[9][10]

2. 2. 가톨릭 수녀복

교회법 제669조 제1항에 따라 “수도자들은 자기의 축성의 표지와 청빈의 증거로서 고유법의 규범에 따라 정해진 수도복을 입어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4] 수도복은 수도회에 따라 형태와 색상이 조금씩 다르다. 전통적인 수녀복의 기본 양식은 긴 치마 형태의 튜닉에 허리에 매는 천이나 가죽으로 된 띠 그리고 머리두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수녀회에서는 튜닉 위에 스카풀라를 걸쳐 입도록 하고 있는데, 이 스카풀라는 양모로 만든 넓은 형태의 의복으로 어깨 위에 걸치고 머리 부분은 나올 수 있도록 터 놓았다. 또 다른 수녀회에서는 얼굴 둘레를 윔플로 감싸고 머리를 가리는 두건에 베일을 덧입도록 하고 있다. 글라라회 같은 수녀회의 경우, 허리띠에 커다란 묵주를 착용한다. 베네딕토 수도회의 수녀원장들은 목에 십자가가 달린 목걸이를 패용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많은 수도회들은 자체 규정에서 전통적인 수도복 착용을 더 이상 하지 않기로 하고 수도명을 선택하지 않기로 했다. 가톨릭 교회 교회법은 "수도자는 적법한 법의 규범에 따라 제정된 수도회의 수도복을 그들의 봉헌의 표시이자 가난에 대한 증거로 착용해야 한다."[14]라고 명시하고 있다.

2. 3. 가톨릭 수녀의 역할과 활동

가톨릭 전통에서 수녀는 남성 수도사 또는 수도승에 대응하는 여성으로, 다양한 수도회에 속하며 각 수도회는 고유한 카리스마를 지닌다. 폐쇄 수도회에 속한 수녀들은 엄숙한 종교 서약을 하고 주로 기도와 관상 생활에 전념한다.[4] 이들은 하루 종일 성무일도를 바치며, 수도원 유지 보수나 외부 심부름은 평신도 수녀나 '외부인'에게 맡긴다.[15]

13세기 탁발 수도회 등장 이후, 일부 수녀회는 기도와 더불어 설교, 고해성사, 가난한 이들에 대한 봉사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15] 17세기까지 교회는 수도 서원을 한 여성이 수도원을 떠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지만, 프랑스 혁명 이후 상황이 변하여 사회 봉사와 복음 전파에 힘쓰는 새로운 형태의 수녀회가 등장했다.[19]

역사적으로 "수녀"(''monialis'')는 엄숙한 서원을 한 여성을, "수녀"(''soror'')는 "단순한" 서원(엄숙 서원이 아닌 서원)을 한 여성을 지칭했다.[4] 1900년 레오 13세는 단순 서원을 한 여성도 수도자로 인정했으며,[18] 1917년 교회법은 엄숙 서원을 한 여성에게 "수녀"(monialis)라는 용어를, "수도회" 구성원에게는 "수녀"(soror)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0] 그러나 1983년 법전은 이러한 구분을 없애고 모든 여성 수도자를 "수도회"로 통칭한다.

2. 4. 가톨릭 수녀와 일반 수녀의 구분

가톨릭 전통에서 '수녀'(nun)와 '자매'(sister)는 모두 여성 수도자를 지칭하지만, 역사적으로 구분이 있었다. 수녀는 폐쇄 수도회에서 엄숙한 종교 서약을 하는 구성원을 의미했고, 자매들은 교황청의 폐쇄 구역 밖에서 생활하며 이전에는 "단순 서약"이라고 불리는 서약을 했다.[4]

폐쇄 구역 내에서 생활하는 수녀들은 하루 종일 교회에서 엄숙한 방식으로 전체 성무일도를 바치는 데 전념했다. 이들은 수도원 유지 보수나 심부름을 담당하는 평신도 수녀와 구분되는 "합창 수녀"였다. 수도원 밖의 심부름은 주로 수도원 안에 살지만 폐쇄 구역 밖에 거주하는 "외부인" 여성들이 맡았다. 이들은 봉헌자이거나 관련 제3회의 구성원이었으며, 종종 다른 수도복이나 당시의 표준 여성 복장을 착용했다.

19세기 초부터 수녀들은 미국의 종교, 교육, 간호, 사회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5] 유럽에서는 수녀원이 수 세기 동안 많은 기부를 받고 귀족의 후원을 받았지만, 미국에서는 부유한 가톨릭 신자나 귀족이 거의 없었다. 미국의 수도회는 필요와 기회를 인식한 여성들에 의해 설립되었고, 가난한 가정 출신의 독실한 여성들이 봉사했다. 1840년 15개 수도회 900명이었던 수녀는 1900년 170개 수도회 5만 명, 1930년 300개 수도회 13만 5천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1820년부터 수녀의 수는 항상 사제와 수사의 수를 넘어섰다.[26] 1965년 18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수녀의 수는 2010년 5만 6천 명으로 감소했는데, 많은 여성들이 수도회를 떠났고 새로운 회원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27]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수녀들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 많은 봉사를 제공하고 그들과 더 직접적으로 함께 일했다.[28]

2. 5. 초기 근세 스페인 가톨릭 수녀

초기 근세 스페인에서 여성이 수녀가 되는 과정은 트렌토 공의회의 규정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되었으며, 필립 2세는 히에로니미토회의 도움을 받아 수도원의 폐쇄성과 수녀 서원의 진정성을 강조했다.[30][31] 수녀가 되기 위해서는 수도원 혼수금을 감당할 경제적 능력이 필요했으며,[32] 예술적 재능이 있는 경우 혼수금이 면제되기도 했다.[34]

수녀들은 수련 과정을 거쳐 공동체의 인정을 받아야 정식 엄숙 서원을 할 수 있었으며,[35][32] 서원 후에는 상속권과 재산권을 포기해야 했다.[32] 출신 배경, 역할, 교육 기회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합창 수녀와 평수녀 간의 계급 구분이 존재했다.[37]

구분설명
합창 수녀주로 엘리트 가문 출신으로, 직책을 맡고 수도원 내에서 투표할 수 있었으며, 읽고 쓰는 기회를 얻었다.[37]
평수녀하층 계급 여성으로, 수도원의 노동과 관련된 일을 맡았고, 일반적으로 읽고 쓰는 기회를 얻지 못했으며, 더 낮은 혼수금을 지불했다.[37]


3. 정교회

정교회에서는 여성 수도자와 남성 수도자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수도승'이라고 부르며, 여성 수도원과 남성 수도원 모두 '수도원'이라고 칭한다.[38] 영어에서는 명확성과 편의를 위해 '수녀'와 '수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여원장에 대한 용어는 원장(헤구멘(hegumen))의 여성형인 ἡγουμένηgrc (''hegumeni'')이며, 세르비아어로는 игуманијаsr (''igumanija''), 러시아어로는 игуменияru (''이구메니아(igumenia)'')이다. 정교회 수도승들은 서방 기독교와 달리 별개의 수도회를 가지지 않으며, 모두 동일한 영적 생활을 추구한다.[38]

여원장은 수녀원의 영적 지도자로서 절대적인 권위를 가지며, 여러 면에서 주교와 동등한 권한을 행사한다. 정교회 수도원은 일반적으로 관할권을 가진 주교의 지역 시노드와 관련이 있지만, 그 외에는 자치권을 가진다. 여원장은 고해(Confession (religion))를 듣지만 사면하지는 않으며, 성찬례(Divine Liturgy) 거행 등은 사제(presbyter)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정교회 수녀들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도 생활에 정진한다.


  • '''수련자''' – 수도원에 들어간 후 처음 3년에서 5년 동안은 수련자로 지낸다. 수련자는 검은색 안감 옷(이소라사(Isorassa))을 입거나 입지 않을 수 있으며, 머리에는 사도복(apostolnik)이나 검은색 스카프를 두른다.
  • '''라사포르''' – 여원장이 수련자가 준비되었다고 판단하면 정식 예배에서 머리를 깎고 외투(엑소라사(Exorassa))와 베일(에파노카멜라브키온(Epanokamelavkion))을 받으며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
  • '''스타브로포르''' – 첫 번째 머리 깎기 후 몇 년 후에 여원장이 수녀가 규율, 헌신, 겸손(humility)의 수준에 도달했다고 느낄 때 이루어진다. 정식 예배에서 수녀는 수도복에 특정 상징적 의복을 추가하여 '소 스키마(Little Schema)'로 승격된다.
  • '''대 스키마''' – '대 스키마(Great Schema)'는 최종 단계로, 여원장이 수녀가 높은 수준의 탁월함에 도달했다고 느낄 때 이루어진다. 일부 수도 전통에서는 임종 시에만 주어지지만, 다른 전통에서는 25년의 봉사 후에도 승격될 수 있다.


수녀가 되기 전의 프라스코비아 유수포바 공주(Princess Praskovya Yusupova), 니콜라이 네브레프(Nikolai Nevrev), 1886


''겸손의 길'': 러시아 정교회 수녀가 엔 카렘(Ein Karem), 예루살렘(Jerusalem)에서 일하고 있다

4. 개신교

종교개혁 이후, 마르틴 루터의 영향을 받은 일부 수도원과 수녀원은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여 루터교 수녀원으로 존속했다. 예를 들어 에브스토르프 수도원(Ebstorf Abbey)은 베네딕트 수도회 전통을 이어받은 루터교 수녀원으로 남아 있다.[39] 반면, 개혁파 지역의 수녀원들은 종교 개혁 이후 폐쇄되었고, 일부 수녀들은 결혼을 선택했다.

19세기부터 독일을 중심으로 여성 집사(Deaconess) 직책 부흥 운동이 일어나면서, 간단한 서원과 매일의 기도 의무와 같은 종교 생활의 일부 요소들이 포함되었다. 루터교와 성공회 내에서 일부 집사들은 공동체 생활과 종교 서원 선택권을 가진 종교 공동체를 형성했다.[40] 이 운동은 1910년경 정점에 달했지만, 유럽에서의 세속화가 종교성을 약화시키고 간호와 사회복지의 전문화가 젊은 여성들에게 더 나은 직업 기회를 제공함에 따라 서서히 쇠퇴했다. 그러나 소규모 운동은 여전히 존재하며, 그 유산은 수많은 병원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41]

이러한 집사 공동체의 사례는 일부 개신교 전통 내에서 수도사와 수녀의 종교 공동체 설립으로 이어졌다.[42] 특히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영향을 받은 전통들에서 그러했다. 루터교 내에는 루터파 프란치스코 수도회(Order of Lutheran Franciscans)와 마리아의 딸들(Daughters of Mary) 등 수많은 수도회가 있으며, 대부분 유럽에 위치해 있다. 루터교 수녀회인 복음주의 마리아 자매회(Evangelical Sisterhood of Mary)는 예루살렘에서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을 위한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43]

4. 1. 성공회

앵글리칸 수녀 두 명


헨리 8세종교 개혁으로 잉글랜드 내 수도 공동체는 파괴되었다.[39] 수도원과 수녀원은 토지와 재산을 박탈당했고, 수도자들은 속세에서 살거나 나라를 떠나야 했다.[39]

19세기 초 옥스포드 운동을 계기로 잉글랜드에서 수도 생활의 부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44] 1841년부터 1855년 사이에 수녀들을 위한 여러 앵글리칸 수도회가 설립되었다.[44]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1845년 뉴욕에서 성체 수녀회(Sisterhood of the Holy Communion)가 설립되면서 앵글리칸 수녀 수도회가 설립되기 시작했다.[44]

모든 수도회에 대한 단일 중앙 권위는 없으며, 앵글리칸 공동체의 많은 회원 교회는 수도회를 인정하고 규제하기 위한 자체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44] 다만, 일부 중앙 기능은 잉글랜드 교회(Church of England)의 앵글리칸 수도 공동체 부서에서 수행한다.[44] 이 부서는 세계 수도회 디렉토리인 ''앵글리칸 수도 생활(Anglican Religious Life)''을 발행하고 수도회를 위한 공식 앵글리칸 공동체 웹사이트도 운영한다.[44]

''앵글리칸 수도 생활''은 네 가지의 공동체 범주를 정의한다.[44]

  • 전통적인 독신 수도회와 공동체: 회원들은 독신 서원(다른 서원들과 함께)을 하고 공통된 생활 규칙을 따른다.
  • 분산된 공동체: 회원들이 서원(독신 서원 포함)을 하지만 공동체에서 함께 살지 않는 수도회나 공동체이다.
  • 인정된 공동체: 전통적인 그리스도인 생활을 하지만 전통적인 서원은 적응되거나 변경된다.
  • 기타 공동체: 에큐메니컬(앵글리칸 포함)이거나 앵글리칸 교회와 완전한 친교 관계를 맺은 비앵글리칸 교회에 속한 공동체를 포함한다.


미국에서는 "수도회"와 "공동체"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있다.[45] 감독교회는 "수도회"와 "그리스도인 공동체"에 대한 자체적인 두 가지 정의를 가지고 있다.[45] ''앵글리칸 수도 생활'' 디렉토리는 "이 구분은 전통적인 서원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공동체'를 사용하는 앵글리칸 공동체의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라고 명시한다.[46]

일부 앵글리칸 수도회에는 서품을 받고 성찬식을 거행할 수 있는 수녀들이 있다.[47]

4. 2. 장로교

카메룬 장로교회(PCC)에는 에마뉘엘 수녀회가 존재한다.[48]

4. 3. 감리교

세인트 브리지드 오브 킬데어 베네딕트 수도원은 수사와 수녀 모두 있는 감리교의 이중 수도원이다.[49]

5. 불교

모든 불교 전통에는 비구니가 있지만, 그 지위는 불교 국가마다 다르다. 부처는 여성의 출가를 허용했지만, 그 영향으로 불교의 수명이 단축될 것이라고 예언했다는 기록이 있다.[50] 비구니는 비구보다 더 많은 바띠목카 계율을 지켜야 하지만, 중요한 서원은 동일하다.

푸퉈산 섬에서 계단을 오르는 중국 비구니


아시아 불교 문화권에서 비구니의 복장과 사회적 관습은 다양하다. 중국 비구니는 완전한 계율을 받지만, 티베트 비구니는 그렇지 않다. 상좌부 불교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비구니의 완전한 계율 계승이 사라졌다고 믿지만, 많은 곳에서 "사프란"색 가사를 입고 사미니처럼 10계만을 지킨다.

5. 1. 태국 불교

태국에서는 완전히 계율을 받은 비구니 전통은 없었지만, 매치(mae chi)라 불리는 비구니가 아닌 여성 출가자 계층이 존재했다. 이들 중 일부는 담마 수행자 공동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1] 태국 숲 전통에서는 반 후아이 사이 수녀원을 설립한 매 지 카에우 시앙람과 같이 몇몇 사람들에 의해 깨달은 것으로 여겨지는 우파시카 키 나나욘과 같은 저명한 수녀들이 있다.[52] 21세기 초, 태국의 일부 불교 여성들은 공개적인 수용은 아직 부족하지만[53] 자국에 비구니 승가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성공적인 학자였던 챗수마른 카빌싱 박사였던 담마난다 비구니는 태국에서 불교 수녀 양성을 위한 논란이 많은 사찰을 설립했다.[54][55]

5. 2. 대만 불교

대만에서 수녀들의 비교적 활동적인 역할은 일부 연구에서 주목받았다. 연구원 찰스 브루어 존스(Charles Brewer Jones)는 1951년부터 1999년까지 중화민국 불교협회가 공개적인 수계를 조직했을 때 여성 지원자 수가 남성보다 약 3대 1로 많았다고 추정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台北중국어와 三峽중국어 지역의 나의 모든 정보 제공자들은 수녀들을 승려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존경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반대로, 시우쿠엔 츠웅(Shiu-kuen Tsung)은 台北縣중국어에서 여성 성직자들이 사회로부터 다소 의심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녀는 외부인들이 반드시 그들의 직업을 존경할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기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수녀들을 사회 부적응자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고 보고합니다.[56]

웨이이 청(Wei-yi Cheng)은 대만 남부의 향광(香光) 사찰을 연구했다. 청은 대만의 재교(Zhaijiao) 전통이 더 많은 여성의 참여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 성장과 가족 제한의 완화로 더 많은 여성이 수녀가 될 수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이전 연구들을 검토했다. 향광 사찰 연구를 바탕으로 청은 대만의 승가는 여전히 젊고 수녀들에게 더 많은 발전의 여지를 주었으며, 더욱 이동성이 있는 신자들이 사찰에 도움이 되었다고 결론지었다.[57]

5. 3. 티베트 불교

2007년 8월, 14세 달라이 라마의 지원을 받은 국제 불교 여성의 승가 역할에 관한 회의에서 수세기 동안 인도와 티베트에서 끊어졌던 겔롱마(다르마굽타카 비나야 비크후니) 계승이 복원되었다. 겔롱마 계율은 동일한 서약을 지키는 완전히 계율을 받은 10명의 사람들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새로운 수녀를 서임하는 데 10명의 수녀가 필요하기 때문에 다르마굽타카 비크후 전통을 확립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티베트 수녀는 다른 살아있는 전통(예: 베트남)에서 비크후니 서임을 받는 것이 허용된다. 이를 바탕으로 티베트 전통에서 서임된 서구 수녀들, 예를 들어 투텐 초드론은 다른 전통에서 완전한 서임을 받았다.

티베트 불교에서 승려와 수녀의 서임은 랍중마, 겟슐마, 겔롱마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 티베트 수녀들의 의복은 기본적으로 승려들의 의복과 같지만, 수계 수녀와 겔롱의 가사에는 차이가 있다.

5. 4. 일본 불교

법화사는 747년에 천황의 배우자가 설립하였다. 이 절은 지방의 사찰들을 관할하고, 국가 보호를 위한 의식을 거행하며, 순례지가 되었다. 근세 이전 시대에는 귀족 일본 여성들이 불교 수녀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원래 여성들은 오장애 때문에 구제를 받을 수 없다고 여겨졌는데, 이는 여성이 남성으로 변하지 않는 한 부처가 될 수 없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1249년에 12명의 여성이 승려로서 완전한 서임을 받았다.[58]

6. 한국의 수녀 현황

한국 가톨릭에서 수녀가 되려면 특정 연령 이하의 독신 여성이어야 하며, 수도원에서 실시하는 모임에 참여하면서 수도 생활을 준비해야 한다. 수도원에 입회한 사람은 6개월간 기도 생활, 교리, 전례, 성경, 예절, 수도원의 역사, 성가 등을 공부하고 수도원의 공동 업무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성소(聖召, 하느님의 부르심)를 확인한다.

수도 성소에 대한 확신이 들면 지원자가 되어 수녀회 입회식을 거친다. 지원자 기간에는 공부와 공동 노동을 실천하며, 기간이 끝나면 수련 수녀가 되어 하얀 베일과 수녀복을 입는다. 수련 수녀 기간에도 공부와 노동을 통해 수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을 익힌다. 수련 수녀가 정기 서약을 통해 검정 베일과 정복을 착용하게 되면 일생 동안 청빈, 정결, 순명의 생활을 할 것을 서약하는 종신 서약을 준비한다. 종신 서약을 마치면 정식 수녀가 된다.

교회법 제669조 제1항에 따라 "수도자들은 자기의 축성의 표지와 청빈의 증거로서 고유법의 규범에 따라 정해진 수도복을 입어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수도복은 수도회에 따라 형태와 색상이 조금씩 다르다. 전통적인 수녀복은 긴 치마 형태의 튜닉, 허리에 매는 천이나 가죽으로 된 띠, 머리 두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수녀회에서는 튜닉 위에 스카풀라(어깨 위에 걸치고 머리 부분이 나올 수 있도록 터 놓은 양모로 만든 넓은 형태의 의복)를 걸쳐 입기도 한다. 또 다른 수녀회에서는 얼굴 둘레를 윔플로 감싸고 머리를 가리는 두건에 베일을 덧입도록 하고 있다. 글라라회 같은 수녀회의 경우, 허리띠에 커다란 묵주를 착용한다. 베네딕토회의 수녀원장들은 목에 십자가가 달린 목걸이를 착용한다.[1]

7. 이미지

폴란드 클라리스 수녀회 수녀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Nun? (with pictures) http://www.wise-geek[...] 2021-09-10
[2]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3] 사전 Sister https://www.merriam-[...] 2024-05-26
[4]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ister and a nun? https://anunslife.or[...] 2019-03-04
[5] 웹사이트 Canon 648 https://www.vatican.[...] 2020-03-12
[6] 웹사이트 Canon 656 https://www.vatican.[...] 2017-07-06
[7] 웹사이트 Canon 655 https://www.vatican.[...] 2017-07-06
[8] 웹사이트 Canon 657 https://www.vatican.[...] 2017-07-06
[9] 뉴스 Mother Teresa, who becomes a saint on Sunday, began her life as a nun in Dublin http://www.irishtime[...] 2018-02-14
[10] 뉴스 Nun in iconic Italy quake photo shares her story of survival http://www.cbsnews.c[...] 2018-02-14
[11] 웹사이트 Canon 667 https://www.vatican.[...] 2020-03-12
[12] 웹사이트 Sister Grace Corde Myerjack – Maryknoll Sisters https://www.maryknol[...] 2018-05-24
[13] 웹사이트 Vocation: Sister Disciples Of The Divine Master http://www.pddm.us/p[...] 2018-05-24
[14]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18-02-14
[1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Mary Ward http://www.newadvent[...] 2018-02-14
[16] 웹사이트 Religious Life http://oce.catholic.[...] Robert Appleton Company 2011-07-18
[17] 서적 Religious Congregations in Their External Relations https://archive.org/[...]
[18] 서적 Dominicans at Home in a New Nation http://www.dom.edu/e[...]
[19] 서적 Dominicans at Home in a New Nation http://www.dom.edu/e[...]
[20] 웹사이트 CIC 1917: text – IntraText CT http://www.intratext[...] 2018-02-14
[21] 웹사이트 Verbi Sponsa (13 May 1999) https://www.vatican.[...] 2018-11-22
[22] 웹사이트 "Cor Orans" – Implementing Instruction of the Apostolic Constitution "Vultum Dei quaerere" on women's contemplative life, of the Congregation for the Institutes of Consecrated Life and the Societies of Apostolic Life (1 April 2018) https://www.vatican.[...] 2018-11-22
[23] 뉴스 Contemplative nuns roll with the changes under Pope Francis https://web.archive.[...] 2018-11-22
[24] 웹사이트 The Theresienne Sisters of Basankusu (La congrégation des soeurs thérésiennes de Basankusu) http://stbasankusu.b[...] 2014-05-09
[25] 서적 Called to Serve: A History of Nuns in America https://www.amazon.c[...]
[26] 서적 The Faithful: A History of Catholics in Americ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Called to Serve
[28] 웹사이트 Sisters of Mercy: Spirituality, Resources, Prayer and Action https://www.sisterso[...] 2018-02-14
[29] 간행물 Writing the Convent in New France: The Colonialist Rhetoric of Canadian Nuns
[30] 학술지 The Spanish Hieronymites and the Reformed Texts of the Council of Trent 2006-01-01
[31] 학술지 Discipline, Vocation, and Patronage: Spanish Religious Women in a Tridentine Microclimate 1999-01-01
[32] 학술지 Convents as Litigants: Dowry and Inheritance Disputes in Early-Modern Spain https://engagedschol[...] 2000-01-01
[33] 서적 Nuns: A history of convent life, 1450–1700 Oxfor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34] 학술지 Art and Alienation in Early Modern Spanish Convents 2000-01-01
[35] 서적 Brides of Christ: Conventual life in colonial Mexico Stan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Brides of Christ: Conventual life in colonial Mexico Stan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Nuns: A history of convent life, 1450–1700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Law of God Printshop of St. Job of Pochaev
[39] 웹사이트 Kloster Ebstorf http://www.medievalh[...] Medieval Histories 2017-11-20
[40] 웹사이트 CSA history http://anglicanhisto[...]
[41] 서적 The Deaconess Movement https://books.google[...] Indiana U.P.
[42] 웹사이트 One example of a Protestant religious order http://www.lutheranf[...]
[43] 웹사이트 Israeli press report concerning one German Lutheran order of nuns http://www.timesofis[...]
[44] 서적 Anglican Religious Life 2012–13 Canterbury Press
[45] 웹사이트 Anglican Communion Religious Communities http://communities.a[...]
[46] 서적 Anglican Religious Life 2012–13 Canterbury Press
[47] 웹사이트 What We Do http://www.ssmbos.co[...]
[48] 웹사이트 Ihre Homepage - HOME PAGE https://web.archive.[...] 2023-10-23
[49] 웹사이트 Methodist woman founds monastery http://www.natcath.o[...] National Catholic Reporter 2011-10-01
[50] 웹사이트 http://www.accesstoi[...]
[51] 웹사이트 Mae Chee Kaew – Her Journey to Spiritual Awakening & Enlightenment e-book http://www.forestdha[...] 2023-06
[52] 웹사이트 Upasika Kee Nanayon and the Social Dynamic of Theravadin Buddhist Practice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Issues | Authoritarianism of the holy kind https://www.buddhist[...] 2022-12-14
[54] 웹사이트 Bhikkhuni Dhammananda https://web.archive.[...] 2007-06-22
[55] 웹사이트 Thai Bhikkhunis – Songdhammakalyani Monastery http://www.thaibhikk[...]
[56] 서적 Buddhism in Taiwan: Religion and the State, 1660–1990 University of Hawaii Press
[57] 학술지 Luminary Buddhist Nuns in Contemporary Taiwan: A Quiet Feminist Movement http://ccbs.ntu.edu.[...] 2013-06-05
[58] 서적 Hokkeji and the Reemergence of Female Monastic Orders in Premodern Japan https://www.amazon.c[...]
[59] 사전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60] 사전 Sister https://www.merri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