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비아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비아코는 이탈리아 라치오주 로마현에 위치한 코무네이다. 로마 시대에는 인공 호수가 있는 네로 황제의 별장이 있었고, 중세 시대에는 성 베네딕토가 수도원을 세운 곳으로 유명하다. 고대에는 아이퀴족이 정착했고, 로마 제국 시대에 정복되어 발전했다. 성 베네딕토는 이곳에서 베네딕토회를 창시했으며, 수비아코는 수도원과 인쇄술의 중심지로서 번성했다. 주요 명소로는 네로의 빌라, 로카 아바치알레, 성 프란체스코 다리 등이 있으며, 이탈리아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 클럽에 가입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수도광역시의 코무네 - 리첸차
    리첸차는 이탈리아 로마현 동부에 위치한 코무네로, 호라티우스의 별장과 반두시아 샘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아니에네 산악부 공동체에 속한다.
  • 로마 수도광역시의 코무네 - 카스텔간돌포
    카스텔간돌포는 이탈리아 라치오 주 로마 수도권의 코무네로, 알반 언덕의 알바노 호수 호반에 위치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교황의 여름 별장인 교황 사도 궁전이 있는 역사적 명소이다.
  • 라치오주의 코무네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라치오주의 코무네 - 마르체텔리
    마르체텔리는 이탈리아 리에티현에 위치한 코무네로, 리에티에서 남동쪽으로 25km 떨어져 있으며 주변 코무네들과 인접해 있고, 이탈리아 기후 분류 3057, 지진 위험 등급 2B로 분류된다.
수비아코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비아코, 라치오
수비아코, 라치오 전경
공식 명칭수비아코 코무네
현지 명칭Comune di Subiaco
위치이탈리아, 라치오 주, 로마 수도권
행정
광역 자치체로마 수도권
시장도메니코 페트리니
지리
고도408m
면적63.23km²
지역라치오
프라치오니카푸치니, 리바타, 폰테 루치디-라 토레, 산 로렌초, 비뇰라
인구
인구 (2022년 1월 1일)8490명
인구 밀도134.27명/km²
주민수블라첸세 (복수: 수블라첸시)
상징
수호 성인성 베네딕토
축일3월 21일
수비아코 문장
수비아코 문장
기타 정보
우편 번호00028
지역 전화 코드0774
ISTAT 코드058103
행정 구역 코드I992
웹사이트수비아코 공식 웹사이트
자매 도시
자매 도시(정보 없음)

2. 역사

기원전 304년 이탈리아계 아이퀴족이 로마인에게 정복당하면서 로마 문명이 도입되었고, 아니에네 강의 물을 활용하게 되었다. 네로 황제는 이곳에 호화로운 별장을 짓고 인공 호수를 만들었는데, 이 호수의 이름에서 유래한 ''Sublaqueum''[2]이 현재 도시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수비아코 댐 중 가장 큰 댐은 1305년 파괴될 때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댐이었다.[3]

성 베네딕토는 14세(494년경)에 아니에네 강 위의 동굴에서 3년 동안 은수 생활을 하며 베네딕토회의 개념과 조직을 발전시켰다. 그는 이 동굴을 포함하여 12개의 수도원을 세웠다. 854년의 기록에 따르면 교황 레오 4세는 성 베네딕토와 그의 누이 스콜라스티카에게 제단을 봉헌했다.[4] 1053년에는 성 스콜라스티카 수도원의 훔베르토 아빠스에 의해 개축이 이루어졌고,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된 요한 5세 아빠스는 동굴을 연례 행렬의 종점으로 만들고 새로운 길을 건설했으며 제단을 재봉헌했다. 1200년경에는 12명의 수도사 공동체가 있었고, 인노첸시오 3세는 이들에게 수사원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1464년 독일인 인쇄업자 아르놀트 판나르츠와 콘라트 슈바인하임은 수비아코 인쇄소를 설립하고 키케로의 ''웅변가론''(1465년) 등 이탈리아 최초의 책들을 인쇄했다.[5] 1455년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수도원을 추기경에게 성직록으로 넘겨주었는데, 초대 추천 아바트는 후안 데 토르케마다 추기경이었고, 두 번째는 로데리고 보르자(훗날 알렉산데르 6세)였다.

1798–1799년과 1810–1814년에 프랑스 나폴레옹 군대가 도시를 점령하여 수도원과 교회를 약탈했다. 1849년과 1867년 주세페 가리발디는 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도시를 정복했고, 1870년 수비아코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20세기 초, 수비아코는 철도, 수력 발전소, 수도교 연결 등 국가 인프라 투자를 통해 발전했다. 전기가 공급되고 병원이 건설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을 받았다.

2. 1. 고대 로마 시대

이 지역의 고대 주민은 이탈리아계 아에퀴족이었으나, 기원전 304년에 로마인에게 정복되었다. 로마인들은 아에퀴족의 문명을 도입하여, 아니에네 강(라틴어: Anio)의 물을 이용했다.

네로 황제 (재위: 54년 – 68년)는 이곳에 호화로운 별장 (빌라)을 건설하고, 3개의 을 건설하여 오락 목적의 인공 호수를 만들었다. 호수 근처에 만들어진 마을은 "호수 아래"를 의미하는 수브라퀘움 (Sublaqueumla)[2]이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이것이 현재 도시명의 유래가 되었다. 이 인공 호수는 트라야누스 황제 (재위: 98년 - 117년)에 의해 로마에 물을 공급하는 신 아니오 수도의 새로운 수원으로 이용되었다. 52년에 완성된 신 아니오 수도는 당초에는 댐보다 하류에서 취수했지만, 불순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댐 호수가 장점이 있었다.

신 아니오 수도의 경로


수비아코에 건설된 댐 중 가장 큰 것은 50m 높이였다. 1305년에 노후화된 이 댐이 홍수로 파괴될 때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댐이었다.[3] 로마 제국이 붕괴되자, 빌라도 마을도 버려져 폐허가 되었다.

2. 2. 중세 시대: 베네딕토회와 수도원의 발전

성 베네딕토는 14세에 은둔 생활을 시작하여 아니오 강가의 동굴에서 3년간 살았다. 베네딕토의 은수 생활을 물질적, 정신적으로 지원한 것은 수비아코의 은자 로마누스Romanus of Subiaco영어였다. 베네딕토는 이 동굴(후에 사크로 스페코라고 불림)에서 수도회의 이념과 베네딕토회의 조직을 착상했다. 그는 12개의 수도원을 지었고(그 중 하나가 사크로 스페코였다), 각각에 수도사들을 배치했다. 베네딕토에 공감하여 많은 수도사들이 모였지만, 지역 주교와의 갈등도 생겨 베네딕토는 80km 정도 남동쪽의 몬테카시노 (현재의 프로시노네현카시노시)에 수도원을 열어 옮겨갔다.

수비아코 수도원군의 중심이 되는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Abbey of Saint Scholastica, Subiaco영어은 사크로 스페코에서 약 1.61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원래는 베네딕토에 의해 건설된 수도원이다. 601년 롬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어 약 1세기 동안 방치되었지만, 8세기 초 요한 7세 (재위: 705년 - 707년)의 명령으로 재건되었다. 이때 베네딕토와 그의 여동생 스콜라스티카에게 헌정되었다. 840년, 사라센족에 의해 수도원은 파괴되었지만, 854년의 문서에 재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해에 교황 레오 4세 (재위: 847년 - 855년)는 베네딕토와 스콜라스티카에게 바쳐진 제단을 (실베스테르 1세에게 바쳐진 제단과 함께) 성별했다고 한다. 또한 981년에는 헝가리인의 파괴를 받았지만, 곧 재건되었다. 베네딕토 7세 (재위: 974년 - 983년)는 새로운 교회를 성별했고, 수도원은 성 스콜라스티카에게 헌정되었다.

1052년에는 교황 레오 9세 (재위: 1049년 - 1054년)가 다양한 분쟁 해결을 위해 수비아코를 방문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 (재위: 1073년 - 1085년)도 비슷한 방문을 했고, 그의 비호로 인해 수도원은 큰 부와 권세를 가지게 되었다[10].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된 원장 요하네스 5세는 동굴을 연례 순례의 목적지로 정비하고,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여 제단을 성별했다. 수비아코의 수도원에 특별한 호의를 보인 교황 파스칼 2세 (재위: 1099년 - 1118년)에 의해, 수비아코의 수도원은 티볼리 주교의 관할에서 독립했다(현대에도 교회 행정상 수비아코 주변에는 교구 대신 수도원구Territorial abbey영어가 설정되어 있다Abbazia territoriale di Subiacoit). 1203년에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수도원을 방문하여 수도원의 자산은 더욱 증가했다.

사크로 스페코 수도원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

2. 3. 중세 후기: 인쇄술의 발달과 쇠퇴

독일 수도사들이 수비아코에 도착하면서 다른 독일인들이 몰려들었다. 인쇄업자 아르놀트 판나르츠와 콘라트 슈바인하임은 1464년에 이곳에 수비아코 인쇄소를 설립하고 도나투스의 판, 키케로의 ''웅변가론''(1465년 9월), 락탄티우스의 ''De divinis institutionibus''(1465년 10월) 및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1467)을 제작했는데, 이 책들은 이탈리아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이었다.[5]

종교적 열정이 쇠퇴하면서 수도사들 사이에 갈등과 불화가 심화되어 1364년 바르톨로메오 아바트는 교황의 명령에 따라 논쟁적인 수도사들을 해임하고 다른 수도원의 수도사들로 그 자리를 채워야 했다. 많은 수도사들이 독일에서 왔으며, 수비아코는 수십 년 동안 독일의 검소함, 과학, 예술의 중심지였다. 우르바노 6세(1378–1389)는 종신직 아바트 직책을 폐지하고 수도사들로부터 선거권을 박탈했으며, 행정과 수입을 교황청 구성원의 책임으로 만들었다.

교황 갈리스토 3세는 1455년에 수도원을 추기경에게 성직록으로 넘겨주었다. 이 중 첫 번째는 스페인 추기경 후안 데 토르케마다였고, 두 번째는 로데리고 보르자(후일 알렉산데르 6세)였는데, 그는 한때 교황의 여름 휴양지였던 카스트룸 수블라센을 개조하여 추천 아바트의 거주지로 만들었다. 이러한 아바트 중 많은 수가 수도사들의 종교적 삶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고 수입만 바라보았다. 예를 들어, 리에티 주교 폼페오 콜론나는 1506년부터 추천 아바트로 수도원의 재산을 탕진하고 부적절한 인물로 묘사된 사람들에게 수입을 주었다.

1510년 공동체로부터 불만을 접수한 율리우스 2세는 문제를 재조정하고 수도원의 재산을 복원했다. 영적인 이점을 위해 수비아코와 파르파 수도원(현재의 리에티현 파라 인 사비나)을 통합했지만, 이는 오래 지속되지는 못했다. 1514년, 수비아코는 성 스콜라스티카를 칭호로 하는 아바트-총장과 추기경이 추천 아바트로 남아 있는 산타 저스티나 수도회에 가입했다. 이러한 연합 이후에도 수비아코와 파르파, 수비아코와 몬테카시노 사이, 본질적으로 독일인과 이탈리아인 사이에 다툼이 있었다.

2. 4. 근현대

15세기 중반, 독일인 수도사들이 수비아코에 오면서 다른 독일인들도 이곳으로 몰려들었다. 인쇄업자 아르놀트 판나르츠와 콘라트 슈바인하임은 1464년에 수비아코 인쇄소를 설립하고 도나투스의 판, 키케로의 ''웅변가론''(1465년 9월), 락탄티우스의 ''De divinis institutionibus''(1465년 10월) 및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1467)을 제작했는데, 이 책들은 이탈리아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이었다.[5]

19세기까지 수도원과 도시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1798–1799년과 1810–1814년에 프랑스 나폴레옹 군대가 도시에 진입하여 수도원과 교회를 약탈했다. 1849년과 1867년 주세페 가리발디는 교황의 세속적 통치를 끝내고 이탈리아를 통일하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도시를 정복했다. 1870년에 이 도시는 최종적으로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20세기 초 수비아코 지역은 철도, 수력 발전소 및 수도교 연결을 통해 국가의 인프라 투자를 통해 개선되었다. 전기가 집에 공급되었고 병원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수비아코는 연합군의 비행기에 의해 폭격을 받았다.

3. 지리

수비아코는 로마 현 동부 발레 델라 아니에네의 코무네이다. 심브루이니 산지 남서쪽 기슭의 아니에네 강 강가에 있으며, 티볼리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24km, 프로시노네에서 북서쪽으로 약 38km, 로마에서 동쪽으로 약 51km, 라퀼라에서 남서쪽으로 약 54km 거리에 있다.

3. 1. 인접 코무네

코무네위치
카메라타 누오바
발레피에트라
옌네남동
알치나초 로마노남동
아피레
로카 산토 스테파노
칸테라노
아고스타북서
체르바라 디 로마북서


4. 주요 명소


  • 성 프란체스코 다리: 중세 시대에 지어진 다리로, 37m의 경간을 자랑하는 요새화된 다리이다.
    성 프란체스코 다리
  • 로카 아바치알레("수도원장 성"): 16세기와 17세기에 대대적으로 재건된 거대한 중세 건물이다.
  • 성 프란치스코 교회(1327): 15세기와 16세기의 주목할 만한 그림들을 소장하고 있다.
  • 산탄드레아와 산타 마리아 델라 발레: 신고전주의 양식의 교회들이다.
  • 네로의 빌라


수비아코는 이탈리아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 클럽에 가입된 코무네이다.

4. 1. 종교 건축물

성 베네딕토가 14세에 은둔 생활을 위해 아니에네강가의 동굴에서 3년간 살았을 때, 성 로마노라는 수도사가 그에게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했다.[4] 이 동굴에서 성 베네딕토는 베네딕토회의 이념과 조직을 발전시켰다. 그는 이 동굴을 포함한 열두 개의 수도원을 세우고 각 수도원에 열두 명의 수도사를 배치했다.[4] 854년에 개축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 해에 교황 레오 4세는 성 베네딕토와 그의 누이 스콜라스티카, 그리고 성 실베스테르에게 제단을 봉헌했다.[4]

1053년 성 스콜라스티카 수도원의 훔베르토 아바트 아래에서 또 다른 개축이 이루어졌다.[4]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된 존 5세 아바트는 동굴을 연례 행렬의 종점으로 만들고 새로운 길을 건설했으며 제단을 다시 봉헌했다.[4] 1200년경에는 열두 명의 수도사 공동체가 있었고,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이들에게 수사원이라는 칭호를 부여했으며, 교황 요한 22세는 1312년에 수도사들을 위한 특별 아바트를 임명했다.

이 신성한 동굴은 여전히 순례자들이 즐겨 찾는 장소이다. 1909년 10월 27일, 교황 비오 10세는 그곳에서 성체를 영하고 교황의 의도에 따라 기도하는 사람들에게 매일 전대사를 부여했다.

성 스콜라스티카 수도원은 원래 성 베네딕토가 520년경에 건설했으며, 로마 귀족 테르툴루스와 아이퀴티우스가 기증했다. 두 번째 아바트인 성 호라투스는 오래된 수도원을 참사회관으로 바꾸고 새로운 수도원을 지어 성 코스마스와 다미아노에게 헌정했다. 601년에 롬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었고 1세기 동안 폐허가 되었다. 교황 요한 7세의 명령에 따라 스티븐 아바트가 재건하여 성 베네딕토와 스콜라스티카에게 봉헌했다.

840년에 사라센족에 의해, 981년에 헝가리인에 의해 다시 파괴된 후, 매번 재건되었다. 교황 베네딕토 7세는 새로운 교회를 봉헌했고, 그 후 수도원은 성 스콜라스티카에게 헌정되었다. 1052년 교황 레오 9세는 여러 분쟁을 해결하고 남용을 시정하기 위해 수비아코에 왔으며, 그레고리오 7세도 비슷한 방문을 했다. 교황 파스칼 2세는 특별한 호의를 보여 수도원을 티볼리 주교의 관할에서 떼어내 아바티아 널리우스로 만들었다.

두 개의 수도원 외에도,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곳들도 주목할 만하다.

  • 로카 아바치알레("수도원장 성"), 16세기와 17세기에 대대적으로 재건된 거대한 중세 건물
  • 성 프란치스코 교회(1327), 15세기와 16세기의 주목할 만한 그림들을 소장하고 있다.
  • 중세 시대의 성 프란체스코 다리, 37m의 경간을 특징으로 하는 요새화된 다리
  • 산탄드레아와 산타 마리아 델라 발레의 신고전주의 교회들

4. 2. 역사 유적


  • 성 프란체스코 다리 : 중세시대에 지어진 다리이다. 37m의 경간을 특징으로 하는 요새화된 다리이다.
  •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 : 원래 520년경 성 베네딕토가 건설했다. 601년 롬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었고 1세기 동안 폐허가 되었다가, 요한 7세의 명령에 따라 재건되어 성 베네딕토와 스콜라스티카에게 봉헌되었다. 840년에 사라센족에 의해, 981년에 헝가리인에 의해 다시 파괴된 후, 매번 재건되었다. 베네딕토 7세는 새로운 교회를 봉헌했고, 그 후 수도원은 성 스콜라스티카에게 헌정되었다.
  • 네로의 빌라: 로마 황제 네로가 지은 호화로운 별장의 인공 호수이다.
  • 로카 아바치알레("수도원장 성"): 16세기와 17세기에 대대적으로 재건된 거대한 중세 건물이다.
  • 성 프란치스코 교회(1327): 15세기와 16세기의 주목할 만한 그림들을 소장하고 있다.
  • 산탄드레아와 산타 마리아 델라 발레: 신고전주의 교회들이다.


수비아코에서 인쇄된 De divinis institutionibus (1465)

4. 3. 기타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 외에도 주목할 만한 곳은 다음과 같다.

  • 네로의 빌라
  • 로카 아바치알레("수도원장 성"): 16세기와 17세기에 대대적으로 재건된 거대한 중세 건물
  • 성 프란치스코 교회(1327): 15세기와 16세기의 주목할 만한 그림들을 소장하고 있다.
  • 중세 시대의 성 프란체스코 다리: 37m 경간을 가진 요새화된 다리
  • 산탄드레아와 산타 마리아 델라 발레의 신고전주의 교회들


이탈리아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 클럽에 가입한 코무네이다.

5. 교통

수비아코의 주요 도로는 SR411Strada statale 411 Sublacense||it 도로로, 로비아노에서 아고스타를 거쳐 수비아코, 비코 넬 라치오까지 이어진다.

1901년에는 만델라와 수비아코를 잇는 만델라-수비아코선Ferrovia Mandela-Subiaco||it 철도가 개통되었지만, 1933년에 폐지되었다.

6. 출신 유명 인물

7. 관련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Lazio https://borghipiubel[...] 2023-08-01
[2] 서적 Barrington Atla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3] 서적 Roman Aqueducts & Water Supply Duckworth 1992
[4] 백과사전 Subiaco
[5] 백과사전 Arnold Pannartz and Konrad Sweinheim
[6]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Roma(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30
[7]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Kmq) - Roma(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30
[8]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9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9-10-06
[9] 웹사이트 스비아코 https://kotobank.jp/[...] 2014-12-02
[10] 웹사이트 스비아코 https://kotobank.jp/[...] 2014-12-02
[11] 웹사이트 2점간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다 http://www.benricho.[...] 2013-11-25
[12] 서적 Barrington Atla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13] 웹사이트 인쿠나불라 관련 연표 http://ndl.go.jp/inc[...] 국립국회도서관 2014-12-02
[14] 웹사이트 다양한 활자 http://ndl.go.jp/inc[...] 국립국회도서관 2014-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