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안류(Systellommatophora)는 껍데기가 없는 연체동물로, 항문이 몸 뒤쪽에 위치하며 자웅동체이다. 과거에는 아목 또는 목으로 분류되었으며, 현재는 콩갯민숭이상과, 베로니켈라상과, 그리고 세 개의 과(갯민숭달팽이과, 납작배나비과, 가시납작배과)로 분류된다. 분자 계통 분석 결과, 수안류는 오카미미가이과나 유키카라마츠가이과에 더 가깝고, 자루눈류와 함께 Amphipulmonata를 구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유폐류 - 진유폐류
진유폐류는 복족류의 주요 분류군으로 엘로비오상과, 수강류, 줄기눈과 등을 포함하며, 범유폐류의 계통 분류 연구를 통해 위치와 관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있다. - 범유폐류 - 대추귀고둥상과
대추귀고둥상과는 범유폐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대추귀고둥과, 오티나과, 트리무스쿨루스과를 하위 과로 가진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수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Systellommatophora Pilsbry, 1948 |
이전 학명 | Soleolifera Colosi, 1921 Gymnomorpha Salvini-Plawen, 1970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복족강 |
아강 | 이새아강 |
하강 | 직신경하강 |
상목 | 진유폐류 |
목 | 수안목 |
하위 분류 | |
과 | 본문 참조 |
2. 형태
이 분류군에 속하는 종들은 성체가 되었을 때 껍데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2][3] 이 민달팽이들은 몸 뒤쪽에 항문이 위치한다는 특징을 보인다.[4]
수안류는 과거 자루눈류와 함께 Geophila라는 클레이드를 구성한다고 여겨졌으나,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오카미미가이과나 유키카라마츠가이과에 더 가깝고, 함께 Amphipulmonata라는 클레이드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안류와 자루눈류는 모두 눈이 촉각의 끝에 위치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 형질은 유폐류 내에서 두 번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이다.[14]
두 상과 모두 성체 껍데기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3] 옹키디오이데아(Onchidioidea)는 흔적 기관인 비광물화 껍데기 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며,[5] 유생 껍데기를 가지고 있다.[6] 베로니켈리과(veronicellids)가 유생 껍데기를 가지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7]
항문은 몸의 후단에 열린다.[12] 자웅동체이며, 암수 생식공은 분리되어 있다. 배면의 외투막은 경화되어 가죽질의 판(notum)을 형성하여, 몸의 배면에서 측면 전체를 덮는다. 외투강은 퇴화 경향을 보인다.[13]
3. 분류
3. 1. 하위 분류
이전의 복족류 분류(폰더 & 린드버그, 1997년)는 수안류를 아목 또는 목의 일종으로 간주했다.[16] 2005년의 복족류 분류(부쉐 & 로크루아)가 인정하고 있는 상과 및 과는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자루눈류(Stylommatophora)와 함께 Geophila라는 클레이드를 구성한다고 여겨졌으나,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오카미미가이과나 유키카라마츠가이과에 더 근연하며, 함께 Amphipulmonata라는 클레이드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안류와 자루눈류는 모두 눈이 촉각의 끝에 위치한다는 형질을 가지지만, 이 형질은 유폐류 내에서 2번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이다.[14]
다음의 3개 과가 속한다.[13]3. 2. 계통 분류
다음은 2022년 크루그(Krug) 등의 연구에 의한 범유폐류의 계통 분류이다.[17]
Systellommatophora영어는 이전 복족류의 분류 (Ponder & Lindberg, 1997)에 따르면, 아목 또는 목으로 간주되었다.[8]
다음 두 상과 및 과가 Bouchet & Rocroi (2005)의 분류에서 인정되었다.
과거에는 자루눈류(Stylommatophora영어)와 함께 Geophila라는 클레이드를 구성한다고 여겨졌으나,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오카미미가이과나 유키카라마츠가이과에 더 근연하며, 함께 Amphipulmonata라는 클레이드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안류와 자루눈류는 모두 눈이 촉각의 끝에 위치한다는 형질을 가지지만, 이 형질은 유폐류 내에서 2번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이다.[14]
다음의 3개 과가 속한다.[13]
참조
[1]
간행물
Stylommatophora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0-05-02
[2]
논문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of the systematics of Onchidiidae (Mollusca: Gastropoda: Pulmonata) with a checklist of nominal species
http://www.mapress.c[...]
[3]
논문
"Valiguna flava'' (Heynemann, 1885) from Indonesia and Malaysia: Redescription and Comparison with ''Valiguna siamensis'' (Martens, 1867) (Gastropoda: Soleolifera: Veronicellidae)"
[4]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5]
논문
A new mountain Platevindex from Philippine Islands (Pulmonata: Onchidiidae)
Malacological Soc London
[6]
서적
The Marine Flora and Fauna of Hong Kong and Southern China III___ Fouling and pollution, morphology, behaviour and physiology, Hoi Ha Wan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7]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euthyneuran gastropods (Mollusca): a cladistic re-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8]
간행물
ITIS
[9]
논문
"Valiguna flava'' (Heynemann, 1885) from Indonesia and Malaysia: Redescription and Comparison with ''Valiguna siamensis'' (Martens, 1867) (Gastropoda: Soleolifera: Veronicellidae)"
[10]
서적
The Marine Flora and Fauna of Hong Kong and Southern China III___ Fouling and pollution, morphology, behaviour and physiology, Hoi Ha Wan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1]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euthyneuran gastropods (Mollusca): a cladistic re-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1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3]
논문
A small slug from a tropical greenhouse reveals a new rathouisiid lineage with triaulic tritrematic genitalia (Gastropoda: Systellommatophora)
[14]
논문
Time to say “Bye-bye Pulmonata”?
http://www.pfeil-ver[...]
2014
[15]
논문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of the systematics of Onchidiidae (Mollusca: Gastropoda: Pulmonata) with a checklist of nominal species
http://www.mapress.c[...]
[16]
간행물
ITIS
[17]
저널 인용
2022-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