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의 나씨 (중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나씨는 조선 중종의 후궁으로, 나주 나씨 출신이다. 1489년에 태어나 중종 원년에 입궁하였으며,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1514년 출산 중 2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중종실록》에 따르면, 숙의 나씨는 산고 중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했으며, 중종은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여 장례를 정중히 치렀다. 숙의 나씨의 묘는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에 있으며, 2014년 이천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4년 사망 - 도나토 브라만테
    도나토 브라만테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건축가, 화가, 디자이너로, 밀라노에서 활동하다 로마로 이주하여 교황 율리우스 2세의 후원을 받으며 산 피에트로 대성당 재건축 등 주요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템피엣토와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 성당의 회랑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회화, 건축 저술, 소네트 작품 활동도 했다.
  • 1514년 사망 - 안 드 브르타뉴 여공작
    안 드 브르타뉴는 브르타뉴 공국의 마지막 독립 군주로서 프랑스 국왕 샤를 8세, 루이 1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예술을 후원하고 브르타뉴의 자치권을 지키려 노력했다.
  • 나주 나씨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나주 나씨 - 나도향
    나도향은 1902년에 태어나 1926년에 사망한 일제강점기의 소설가이며, 낭만주의에서 현실주의로 작품 경향이 변화하며 《벙어리 삼룡이》, 《뽕》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 1489년 출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1489년 출생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숙의 나씨 (중종) - [인물]에 관한 문서
왕족 정보
이름숙의 나씨
淑儀 羅氏
작위중종의 후궁
배우자중종
아버지나숙담
출생일1489년
사망일1514년 음력 10월 5일
능묘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

2. 생애

나주 나씨인 나숙담의 딸로[1] 1489년(성종 20년)에 태어나, 중종 원년에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하였다.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1514년(중종 9년) 10월, 26세의 나이로 출산 중 사망하였다. 이때 나씨가 낳은 아이도 함께 죽었다.[1]

淑儀羅氏卒.중국어

> 이때 경빈 박씨도 또한 해산(解産)에 임박하였으므로, 궁중에서는 이미 나씨를 살릴 수 없음을 알고서 이를 꺼린 까닭에 그로 하여금 나가서 피방하도록 했다.

> 바야흐로 나씨의 병이 위급한데도 의원(醫員)들은 치료에 진력하지 않았고 내간(內間)도 박씨에게 아부하면서 나씨를 전혀 구호(救護)하지 않았으며, 또 거짓말로써 선동하기를 숨이 끊어져서 내보냈다고 했지만 신음하는 소리가 길에서까지 들렸다.

> 임산(臨産)했을 때에 몸을 흔들어 산모와 태아(胎兒)가 모두 죽었으므로 궁중과 외간에서 불쌍하게 여겼다.

>《중종실록》 21권, 중종 9년(1514년 명 정덕(正德) 9년) 10월 5일 (갑오)중국어

나씨가 산고로 죽자, 나씨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관을 엄벌하라는 청이 있었으나 중종은 윤허하지 않았다.[2] 중종은 숙의 나씨의 죽음을 슬퍼하여 전답과 노비를 내리고 장례를 정중히 치르도록 하였다.

숙의 나씨의 묘는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에 있다. 1980년대에 후손들이 이장하였으며, 2014년 1월 6일 이천시의 향토유적 제22-1호 〈숙의나주나씨 묘역 및 묘비〉로 지정되었다.[3]

2. 1. 가계 및 입궁

본관은 나주이며, 군수(郡守) 나숙담의 딸로[1] 1489년(성종 20년)에 태어났다. 사족 출신으로 중종 원년에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하였다. 생모는 누구인지 알 수 없으나, 이복형제로 나윤명(羅允明), 나윤철(羅允哲)이 있고, 동복형제로 나개미치(羅介未致)가 있었다는 기록을 통해 정실 부인의 소생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 2. 사망

1514년(중종 9년) 10월, 출산 중 2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이때 나씨가 낳은 아이도 함께 죽었다.[1]

淑儀羅氏卒.중국어

> 이때 경빈 박씨도 또한 해산(解産)에 임박하였으므로, 궁중에서는 이미 나씨를 살릴 수 없음을 알고서 이를 꺼린 까닭에 그로 하여금 나가서 피방하도록 했다.

> 바야흐로 나씨의 병이 위급한데도 의원(醫員)들은 치료에 진력하지 않았고 내간(內間)도 박씨에게 아부하면서 나씨를 전혀 구호(救護)하지 않았으며, 또 거짓말로써 선동하기를 숨이 끊어져서 내보냈다고 했지만 신음하는 소리가 길에서까지 들렸다.

> 임산(臨産)했을 때에 몸을 흔들어 산모와 태아(胎兒)가 모두 죽었으므로 궁중과 외간에서 불쌍하게 여겼다.

>《중종실록》 21권, 중종 9년(1514년 명 정덕(正德) 9년) 10월 5일 (갑오)중국어

나씨가 산고로 죽은 후, 나씨의 치료에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관을 탄핵하고 엄벌할 것을 청하였으나, 중종은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2] 중종은 숙의 나씨의 죽음을 애통히 여겨 전답과 노비를 하사하고 정중히 장례를 치르도록 하였다.

숙의 나씨의 묘는 본래 다른 곳에 있었으나, 1980년대에 후손들이 이장하여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에 있다. 2014년 1월 6일 이천시의 향토유적 제22-1호 〈숙의나주나씨 묘역 및 묘비〉로 지정되었다.[3]

3. 사후

숙의 나씨의 묘는 본래 다른 곳에 있었으나, 1980년대에 후손들이 이장하여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에 있다. 2014년 1월 6일 이천시의 향토유적 제22-1호 〈숙의나주나씨 묘역 및 묘비〉로 지정되었다.[3]

참조

[1] 실록 명종실록 8권, 명종 3년 12월 21일 임술 1번째기사
[2] 실록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21권, 중종 9년 10월 9일 무술 1번째기사
[3] 공고 이천시 향토유적 지정 https://www.icheon.g[...] 이천시장 2014-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