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영어 위키백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2001년 9월 18일에 시작된 위키백과의 한 갈래이다. 일반적인 영어보다 쉬운 단어와 문법을 사용하여,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이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다. 약 1,500개의 기본 단어 사용을 권장하지만, 엄격한 제한은 두지 않는다. 문서들은 영어 위키백과보다 짧고, 더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1920년대 베이직 잉글리시를 기반으로 한다.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어린이 1인당 1개의 백과사전' 프로젝트와 연계되어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 백과사전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1768년 에든버러에서 초판 발행 후 15개의 판본을 거치며 발전해 온 세계적인 백과사전으로, 현재는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권위 있는 지식 정보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주제 범위의 편향성과 정보 정확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영어 백과사전 - 영어 위키백과
영어 위키백과는 2001년 1월 15일에 시작된 가장 큰 규모의 위키백과로, 지미 웨일스의 주도적인 역할과 중재위원회의 관리, 전 세계 영어 사용 인구의 참여로 많은 사용자와 문서 수를 보유하며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 영향을 주었으나, 편집 분쟁, 정확성 문제, 미국법상 공정 이용 정책 등의 특징과 논쟁 및 비판에 직면해 있다. - 백과사전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백과사전 - 고금도서집성
《고금도서집성》은 강희제의 명으로 편찬되어 1726년에 완성된 백과사전으로, 고대부터 청나라 초기까지의 문헌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천문, 지리, 인간, 자연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언어별 위키백과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언어별 위키백과 - 중국어 위키백과
중국어 위키백과는 2001년에 설립된 위키백과의 중국어 버전으로, 간체자와 번체자 자동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중국 정부의 검열과 논란 속에서 바이두 백과와 경쟁한다.
쉬운 영어 위키백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심플 영어 위키백과 |
종류 | 온라인 백과사전 |
언어 | 기초 영어 학습 영어 |
등록 | 선택 사항 |
소유자 | 위키미디어 재단 |
시작일 | 2001년 9월 18일 |
사용자 수 | N명의 사용자, N명의 관리자 (-1|0}}명) ( 기준) |
콘텐츠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대부분의 텍스트는 GFDL에 따라 이중 라이선스 부여됨) |
미디어 라이선스 | 다양함 |
URL | |
설명 | |
특징 | 어린이 및 영어를 배우는 성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함. 일반 영어 위키백과보다 더 적은 단어와 이해하기 쉬운 문법을 사용함.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 및 성인, 영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유용함. 간단한 언어는 익숙하지 않은 주제나 복잡한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
용도 | 어린 독자 영어 학습자 학습 장애가 있는 사람 복잡한 주제에 대한 쉬운 설명이 필요한 사람 |
2. 역사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2001년 9월 18일에 시작되었다.[4]
2012년, 위키백과 편집자이자 작가인 앤드루 리(Andrew Lih)는 NBC 뉴스의 헬렌 A.S. 팝킨에게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위키백과 공동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다"고 말했으며, "14세 미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복잡한 기사의 더 간단한 버전인지"와 같이 명확한 목적이 없었다고 팝킨은 썼다.[5]
쉬운 영어 위키백과의 자료는 2014년에 종료된 어린이 1인당 1개의 백과사전(One Encyclopedia per Child)[6]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어린이 1인당 1대의 노트북(One Laptop per Child)[7]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8]
2. 1. 쉬운 영어 위키백과의 시작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2001년 9월 18일에 시작되었다.[4] 2012년, 위키백과 편집자이자 작가인 앤드루 리(Andrew Lih)는 NBC 뉴스의 헬렌 A.S. 팝킨에게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위키백과 공동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다"고 말했으며, "14세 미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복잡한 기사의 더 간단한 버전인지"와 같이 명확한 목적이 없었다고 팝킨은 썼다.[5]쉬운 영어 위키백과의 자료는 2014년에 종료된 어린이 1인당 1개의 백과사전(One Encyclopedia per Child)[6]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어린이 1인당 1대의 노트북(One Laptop per Child)[7]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8]
2. 2. 초기 목적과 위상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2001년 9월 18일에 시작되었다.[4] 2012년, 위키백과 편집자이자 작가인 앤드루 리(Andrew Lih)는 NBC 뉴스에서 쉬운 영어 위키백과가 "위키백과 공동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다"고 말했다.[5] 또한, "14세 미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복잡한 기사의 더 간단한 버전인지"와 같이 명확한 목적이 없었다고 덧붙였다.[5]쉬운 영어 위키백과의 자료는 2014년에 종료된 어린이 1인당 1개의 백과사전(One Encyclopedia per Child)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어린이 1인당 1대의 노트북(One Laptop per Child)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6][7][8]
2. 3. 어린이 교육 프로젝트 활용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어린이 1인당 1대의 노트북(One Laptop per Chil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4년에 종료된 어린이 1인당 1개의 백과사전(One Encyclopedia per Child)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다.[6][7][8]2. 4. 현재 현황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2001년 9월 18일에 시작되었다.[4] 2012년, 위키백과 편집자이자 작가인 앤드루 리(Andrew Lih)는 NBC 뉴스에서 쉬운 영어 위키백과가 "위키백과 공동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다"고 말했다.[5] 쉬운 영어 위키백과의 자료는 2014년에 종료된 어린이 1인당 1개의 백과사전(One Encyclopedia per Child)[6]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어린이 1인당 1대의 노트북(One Laptop per Child)[7]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8]3. 특징 및 구성
쉬운 영어(Simple English영어)는 통상적인 영어와 별로 다르지 않다. 그래서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1,500개 이내의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문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단, 개별 문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수준을 확보하고 있다). 물론 한 문서를 영어 위키백과와 쉬운 영어판 위키백과 양쪽 모두에 투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문서는 특별히 선택된 2,000개의 단어 이내에서 집필되고 있으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도 몇 개월만 공부하면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영어의 관용적인 표현을 2,000개의 단어 이내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어휘나 시제, 접두어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방침은 없다. 어휘 수와 난이도를 엄격히 제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쉬운 영어로 문서를 작성할 때 그 단어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단어를 이용해도 쉬운 영어로 작성된 것으로 본다.
한편 그 단어가 쉬운 단어가 아니라서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면, 새로 문서를 만들어, 거기서 설명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단순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영어 위키백과 문서들보다 짧으며, 보통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다. 영국 신문 ''가디언''의 팀 다울링은 "단순 영어 버전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에 충실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11] 인터페이스 또한 더 단순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영어 위키백과의 "임의 문서" 링크는 "아무 문서나 보기" 링크로 대체되며, 사용자는 페이지를 "편집"하는 대신 "변경"하도록 권장된다. 레드 링크를 클릭하면 일반적인 "문서 없음" 대신 "문서가 생성되지 않음" 메시지가 표시된다.[10] 이 프로젝트는 1920년대 찰스 케이 오그던이 만든 850단어의 제한된 자연어인 베이직 잉글리시를 기반으로 하는, 약 1,500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의 어휘 사용을 권장하지만 강제하지는 않는다.[1][11]
3. 1. 단순화된 정보
쉬운 영어(Simple English)는 통상적인 영어와 별로 다르지 않다. 그래서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1,500개 이내의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문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단, 개별 문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수준을 확보하고 있다). 물론 한 문서를 영어 위키백과와 쉬운 영어판 위키백과 양쪽 모두에 투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문서는 특별히 선택된 2,000개의 단어 이내에서 집필되고 있으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도 몇 개월만 공부하면 읽을 수 있게 된다.그러나 영어의 관용적인 표현을 2,000개의 단어 이내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어휘나 시제, 접두어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방침은 없다. 어휘 수와 난이도를 엄격히 제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쉬운 영어로 문서를 작성할 때 그 단어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단어를 이용해도 쉬운 영어로 작성된 것으로 본다.
한편 그 단어가 쉬운 단어가 아니라서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면, 새로 문서를 만들어, 거기서 설명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단순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영어 위키백과 문서들보다 짧으며, 보통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다. 영국 신문 ''가디언''의 팀 다울링은 "단순 영어 버전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에 충실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11] 인터페이스 또한 더 단순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영어 위키백과의 "임의 문서" 링크는 "아무 문서나 보기" 링크로 대체되며, 사용자는 페이지를 "편집"하는 대신 "변경"하도록 권장된다. 레드 링크를 클릭하면 일반적인 "문서 없음" 대신 "문서가 생성되지 않음" 메시지가 표시된다.[10] 이 프로젝트는 1920년대 찰스 케이 오그던이 만든 850단어의 제한된 자연어인 베이직 잉글리시를 기반으로 하는, 약 1,500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의 어휘 사용을 권장하지만 강제하지는 않는다.[1][11]
3. 2. 단순화된 인터페이스
쉬운 영어는 통상적인 영어와 별로 다르지 않다.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1,500개 이내의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문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1] 대부분의 문서는 특별히 선택된 2,000개의 단어 이내에서 집필되고 있으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도 몇 개월만 공부하면 읽을 수 있게 된다.영어의 관용적인 표현을 2,000개의 단어 이내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어휘 수와 난이도를 엄격히 제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쉬운 영어로 문서를 작성할 때 그 단어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단어를 이용해도 쉬운 영어로 작성된 것으로 본다. 만약 그 단어가 쉬운 단어가 아니라서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면, 새로 문서를 만들어, 거기서 설명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단순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영어 위키백과 문서들보다 짧으며, 보통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다. 영국 신문 ''가디언''의 팀 다울링은 "단순 영어 버전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에 충실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11] 인터페이스 또한 더 단순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영어 위키백과의 "임의 문서" 링크는 "아무 문서나 보기" 링크로 대체되며, 사용자는 페이지를 "편집"하는 대신 "변경"하도록 권장된다. 레드 링크를 클릭하면 일반적인 "문서 없음" 대신 "문서가 생성되지 않음" 메시지가 표시된다.[10] 이 프로젝트는 1920년대 찰스 케이 오그던이 만든 850단어의 제한된 자연어인 베이직 잉글리시를 기반으로 하는, 약 1,500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의 어휘 사용을 권장하지만 강제하지는 않는다.[1][11]
3. 3. 베이직 잉글리시 기반 어휘 사용
쉬운 영어(Simple English)는 일반적인 영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1,500개 정도의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단어를 사용하며,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문의 사용을 지양한다.[1] 하지만 개별 문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문서는 특별히 선택된 2,000개의 단어 이내에서 작성되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도 몇 개월만 공부하면 읽을 수 있다.영어의 관용적인 표현을 2,000개의 단어 이내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어휘, 시제, 접두어에 관해 미리 정해진 방침은 없다. 어휘 수와 난이도를 엄격히 제한하기 어렵기 때문에, 쉬운 영어로 문서를 작성할 때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단어는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만약 어떤 단어가 쉽지 않아 잘 사용되지 않는다면, 새로 문서를 만들어 설명하는 것이 권장된다.
쉬운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영어 위키백과 문서들보다 짧고,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다. 영국 신문 ''가디언''의 팀 다울링은 "단순 영어 버전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에 충실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11] 인터페이스 또한 더 단순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영어 위키백과의 "임의 문서" 링크는 "아무 문서나 보기" 링크로, "편집" 대신 "변경"하도록 권장된다. 레드 링크를 클릭하면 "문서 없음" 대신 "문서가 생성되지 않음" 메시지가 표시된다.[10] 이 프로젝트는 1920년대 찰스 케이 오그던이 만든 850단어의 제한된 자연어인 베이직 잉글리시를 기반으로 하는, 약 1,500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의 어휘 사용을 권장하지만 강제하지는 않는다.[1][11]
3. 4. 어휘 사용의 유연성
'쉬운 영어'(Simple English)는 통상적인 영어와 별로 다르지 않다. 그래서 쉬운 영어 위키백과는 1,500개 이내의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문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단, 개별 문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수준을 확보하고 있다). 물론 한 문서를 영어 위키백과와 쉬운 영어판 위키백과 양쪽 모두에 투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문서는 특별히 선택된 2,000개의 단어 이내에서 집필되고 있으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도 몇 개월만 공부하면 읽을 수 있게 된다.그러나 영어의 관용적인 표현을 2,000개의 단어 이내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어휘나 시제, 접두어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방침은 없다. 어휘 수와 난이도를 엄격히 제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쉬운 영어로 문서를 작성할 때 그 단어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단어를 이용해도 쉬운 영어로 작성된 것으로 본다.
한편 그 단어가 쉬운 단어가 아니라서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다면, 새로 문서를 만들어, 거기서 설명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단순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영어 위키백과 문서들보다 짧으며, 보통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다. 영국 신문 ''가디언''의 팀 다울링은 "단순 영어 버전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에 충실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11] 인터페이스 또한 더 단순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영어 위키백과의 "임의 문서" 링크는 "아무 문서나 보기" 링크로 대체되며, 사용자는 페이지를 "편집"하는 대신 "변경"하도록 권장된다. 레드 링크를 클릭하면 일반적인 "문서 없음" 대신 "문서가 생성되지 않음" 메시지가 표시된다.[10] 이 프로젝트는 1920년대 찰스 케이 오그던이 만든 850단어의 제한된 자연어인 베이직 잉글리시를 기반으로 하는, 약 1,500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의 어휘 사용을 권장하지만 강제하지는 않는다.[1][11]
참조
[1]
서적
Adolescent Literacy, Field Tested: Effective Solutions for Every Classroom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Reading Assoc.
[2]
문서
Simple English Wikipedia
[3]
서적
How to Learn English, the ebook 📘
https://how-to-learn[...]
how-to-learn-english.com
2011-06-18
[4]
웹사이트
Simple English Wikipedia
https://meta.wikimed[...]
2023-08-06
[5]
뉴스
You're not smart enough to read Wikipedia
https://www.nbcnews.[...]
NBC News
2012-12-07
[6]
웹사이트
One Encyclopedia Per Child
http://wiki.laptop.o[...]
Wiki.laptop.org
2009-07-29
[7]
서적
Encyclopedia of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Idea Group Inc (IGI)
[8]
웹사이트
OLPC's $100 laptop was going to change the world — then it all went wrong
https://www.theverge[...]
2020-06-13
[9]
문서
Special:Statistics
[10]
서적
How Wikipedia works: and how you can be a part of it
https://archive.org/[...]
No Starch Press
[11]
웹사이트
Wikipedia too long-winded for you? Try the simple version
https://www.theguard[...]
2008-01-14
[12]
웹사이트
Wikipedia too long-winded for you? Try the simple version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9-05-17
[13]
서적
Adolescent Literacy, Field Tested: Effective Solutions for Every Classroom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Reading Assoc.
[14]
간행물
Simple English Wikipedia
Wikimedia Foundation
2009-05-17
[15]
간행물
Wikipedia:How to write Simple English pages
Wikipedia.org
2020-07-14
[16]
간행물
Wikipedia:About#What is the Simple English Wikipedia?
Wikipedia.org
2020-07-14
[17]
문서
One Encylopedia Per Child
http://wiki.laptop.o[...]
[18]
서적
Encyclopedia of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Idea Group Inc (IGI)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