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 (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瑟)은 고대 중국의 현악기로, 전설에 따르면 복희가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서주 시대부터 춘추 시대에 걸쳐 널리 사용되었으며, 금과 함께 시경에 언급되기도 했다. 주나라 시대에는 엘리트 계층의 악기로, 제례 음악에 사용되었으며, 전국 시대에는 쟁의 초기 형태로 발전했다. 고고학적으로는 25현 슬이 주로 발견되며, 수·당 시대까지 연악에 사용되다가 송대 이후에는 아악 전용 악기가 되었다. 현대에는 연주자가 드물지만, 한국의 문묘 제례악에서 사용되며, 일본과 베트남에서도 제한적으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금과 함께 사용되어 부부의 화합을 상징하는 '금슬상화'라는 고사성어를 낳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현악기 - 하프시코드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로, 플렉트럼으로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음높이의 현과 레지스터를 통해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피아노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에 부활하여 고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 발현악기 - 기타
    기타는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로,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로 구분되며, 넥, 바디, 헤드로 구성되고 다양한 튜닝과 연주법, 액세서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연주한다.
  • 중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악기 - 편경
    편경은 한국 전통 악기로, 중국에서 유입된 후 자체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16개의 석경을 쳐서 소리를 내고,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음정으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
  • 한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한국의 악기 - 편경
    편경은 한국 전통 악기로, 중국에서 유입된 후 자체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16개의 석경을 쳐서 소리를 내고,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음정으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
슬 (악기)
일반 정보
명칭瑟 (sè, 슬)
다른 명칭古瑟 (gǔ sè, 고슬)
타이난 공자묘 문물 소장 악기 슬
타이난 공자묘에 전시된 현대적인 슬
분류
악기 종류현악기
연주 방식뜯는 악기
특징
재료나무, 금속, 명주실
현의 수25현 또는 50현 (고대에는 다양했음)
음역넓음 (조율에 따라 다름)
음색맑고 청아함, 깊고 풍부함
역사
기원중국
시대춘추전국시대 이전
관련 유물허베이성 우안시 자산 유적지에서 발견된 악기 (기원전 6900-6600년)
문화적 의미
상징고상함, 우아함, 풍류
관련 행사제례악, 궁중 음악, 문인들의 연주
연주법
주법뜯기, 튕기기, 미끄러짐
기교다양한 기교를 통해 풍부한 표현 가능
관련 악기
유사 악기가야금

야금
참고 문헌
문헌 기록시경
예기
악기론

2. 역사

슬(瑟)은 매우 오래된 역사를 지닌 현악기로, 문헌에서는 금과 함께 "금슬"로 자주 언급된다. 시경[9], 서경[10] 등 선진 시대 문헌에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시대까지 슬은 연악(燕楽) 중 청악(清楽)의 반주 악기로 사용되었으나, 대 이후에는 제례에 사용하는 아악 전용 악기가 되었다.[12] 남송의 강기는 슬의 제도를 정비하기도 했다.[13]

원나라의 슝펑라이(熊朋來)는 슬에 관한 최초의 전문서인 『슬보(瑟譜)』 6권을 저술하여 1277년에 출판하였다. 그러나 이 책은 각 현에 황종(黃鐘)에서 응종(應鐘)까지의 십이율을 차례대로 배정하는 등(제13현을 사용하지 않아 음역은 2옥타브) 강기의 방식과는 차이를 보였다.[14] 의 주재육 또한 『슬보』 10권을 저술하여 1560년에 출판하였다.[14]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전설에 따르면, 슬(瑟)은 복희가 만들었다고 한다. 음악을 뜻하는 'yue' (樂)는 실을 뜻하는 'si' (絲)와 나무를 뜻하는 'mu' (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악기를 나타낸다고 한다. 여씨춘추에는 염제 때 5현 슬이 만들어졌고, 때 15현으로 늘어났으며, 때 23현으로 늘어났다고 한다.[17] 사기에는 원래 50현이었으나, 소리가 너무 슬퍼서 황제가 반으로 쪼개어 25현으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8]

270px


슬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서주 시대(기원전 1045–771년)부터 시작되며, 춘추 시대(기원전 771–476년)에 인기 있는 악기였다.[2] 금과 함께 시경의 관저에 언급되었으며,[3] 논어(기원전 5~3세기)에도 언급되어 있다. 주나라 시대에 슬은 엘리트 계층의 악기로 여겨졌으며, 제사용 의식 음악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기』 명당위 편에는 대슬과 소슬, 두 종류의 슬에 대해 기술하고 있어, 여러 종류의 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1]

전국 시대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 슬은 또 다른 종류의 발현 악기인 쟁의 초기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4] 따라서 쟁은 때때로 더 적은 수의 현을 가진, 슬의 더 작고 단순화된 버전으로 여겨진다.[4][5]

고고학적으로 오래된 것으로는 후난성 창사 류청차오 1호 초묘(춘추 말기 - 전국 초기)에서 출토된 슬이 있다. 출토된 슬의 대부분은 25현이지만, 24현이나 23현의 것도 있다. 마왕퇴 한묘에서 출토된 25현 슬은 괘(琴柱)의 위치가 비교적 뚜렷하여, 오음 음계에 따라 조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2. 2. 발전과 변화

전설에 따르면, 슬(瑟)은 신 복희가 만들었다고 한다. 음악을 뜻하는 한자 '악'(樂)은 실을 뜻하는 '사'(絲)와 나무를 뜻하는 '목'(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슬을 나타낸다고 한다.

슬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서주 시대(기원전 1045–771년)부터 시작되며, 춘추 시대(기원전 771–476년)에 인기 있는 악기였다.[2] 금과 함께 관저에 언급되었는데, 이 시는 시경(기원전 11~7세기)의 유명한 첫 번째 시이다.[3] 슬은 논어(기원전 5~3세기)에도 언급되어 있다. 주나라 시대에 슬은 엘리트 계층의 악기로 여겨졌으며, 제사용 의식 음악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었다.

전국 시대(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 슬은 또 다른 종류의 발현 악기인 쟁의 초기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4] 따라서, 쟁은 때때로 더 적은 수의 현을 가진, 슬의 더 작고 단순화된 버전으로 여겨진다.[4][5] 슬은 진나라 이전과 한나라 시대에 매우 인기가 있었다.

슬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문헌에서는 고금과 함께 "금슬"로 병칭되며, 가장 오래된 현악기이다. 시경[9], 서경[10]을 비롯하여 선진 시대의 문헌에서 자주 보인다. 예기 명당위 편에는 대슬과 소슬, 두 종류의 슬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1]

후난성 창사 류청차오 1호 초묘(춘추 말기 - 전국 초기)에서 슬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슬의 대부분은 25현이지만, 24현이나 23현의 것도 있다. 마왕퇴 한묘에서 출토된 25현의 슬은 괘(琴柱)의 위치가 비교적 뚜렷하여, 오음 음계에 따라 조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까지 연악(燕楽) 중 청악(清楽)의 반주 악기로서 슬은 존속했지만, 대 이후에는 제례에 사용하는 아악 전용 악기가 되었다.[12] 남송의 강기는 슬의 제도를 정했다.[13]

원의 슝펑라이(熊朋來)는 『슬보(瑟譜)』 6권을 저술했다(1277년 출판). 이것은 슬에 관한 최초의 전문서이지만, 각 현에 황종(黃鐘)에서 응종(應鐘)까지의 십이율을 차례대로 배정했으며(제13현을 사용하지 않아 음역은 2옥타브가 된다), 강기의 방식과는 전혀 다르다.[14] 의 주재육도 『슬보』 10권을 저술했다(1560년 출판).[14]

2. 3. 고고학적 발견

후베이성후난성, 그리고 장난 지역에서 슬의 표본들이 발굴되었다. 이 악기는 장쑤성, 안후이성, 산둥성, 랴오닝성에서도 발견되었다.[6] 기원전 5세기 후반 증후 이의 묘에서는 ''슬'', 완전한 세트의 ''편종''(청동 종), ''고금''(현악기), 석경, 그리고 북을 포함한 풍부한 악기들이 출토되었다.

중국예술연구원 음악연구소는 초기 청나라 시대의 ''슬''을 소장하고 있으며, 길이는 207cm, 너비는 43cm이다.

춘추 말기 - 전국 초기 후난성 창사 류청차오 1호 초묘에서 슬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슬의 대부분은 25현이지만, 24현이나 23현의 것도 있다. 마왕퇴 한묘에서 출토된 25현의 슬은 괘(琴柱)의 위치가 비교적 뚜렷하여, 오음 음계에 따라 조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3. 구조

고대 슬은 중앙이 약간 굽은 나무 공명판으로 만들어졌고, 현을 고정하기 위한 기둥이 있었다. 공명판과 기둥에는 옻칠과 장식적인 무늬가 새겨져 있었다. 현은 꼬인 실크로 만들어졌으며, 그 수는 문헌과 지역에 따라 다양했다. 여씨춘추에는 다섯 줄에서 시작하여 순 임금 시대에 스물세 줄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50현에서 25현으로 줄었다는 설도 있다.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25현, 24현, 23현, 19현 등 다양한 예시가 존재한다. 현을 매는 방식은 복잡했는데, 나비 매듭, 대나무 막대, 다리 등을 이용해 현을 고정했다.

현대 슬은 일반적으로 기둥이 없으며, 쟁과 유사한 방식으로 현을 맬 수 있다.

3. 1. 고대 슬

고대 슬은 중앙이 약간 굽은 나무 공명판으로 만들어졌으며, 끝 부분에 세 개의 다리, 머리 부분에 한 개의 다리가 있었다. 보통 현을 고정하기 위해 한쪽 끝에 네 개의 기둥이 설치되었지만, 일부 악기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기둥만 있었다. 공명판과 기둥은 종종 옻칠을 하고 장식적인 무늬를 새겨 넣었다. 슬의 아래쪽 끝에는 현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길고 아치형의 구멍이 있다.

현은 다양한 두께의 꼬인 실크로 만들어졌다. 여씨춘추(기원전 3세기)에는 "다섯 줄의 슬이 나중에 열다섯 줄의 슬이 되었다. 순이 권력을 잡았을 때 여덟 줄을 더하여 스물세 줄이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다른 견해는 슬이 50개의 현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나중에 십반은 이를 25개로 변경했다. "큰 슬에는 50개의 현이 있고, 중간 슬에는 25개의 현이 있다." 또한 복희가 사(sha)라고 불리는 50현 슬을 만들었고, 황제가 이를 25현으로 줄였다고 한다. 또한 현이 절반(14개)인 "작은 슬"도 있었다. 현의 개수와 악기의 길이는 지역마다 다르며, 고고학적 발견에서는 25, 24, 23, 또는 19개의 현을 가진 예시가 발견된다. 악기에 현을 맬 때는, 현의 머리에 나비 매듭을 묶어 대나무 막대에 통과시키고, 머리 부분의 다리를 지나 악기의 몸통 위로 통과시켜 꼬리 부분 다리 안으로 넣고, 악기 하단의 사운드 홀 밖으로 빼내 꼬리 부분을 지나 네 개 또는 세 개의 그룹으로 기둥 주위에 감았다.

3. 2. 현의 수와 변천

고대 슬(瑟)은 중앙이 약간 굽은 나무 공명판으로 만들어졌으며, 끝 부분에 세 개의 다리, 머리 부분에 한 개의 다리가 있었다. 보통 현을 고정하기 위해 한쪽 끝에 네 개의 기둥이 설치되었지만, 일부 악기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기둥만 있었다. 공명판과 기둥은 종종 옻칠을 하고 장식적인 무늬를 새겨 넣었다. 슬(瑟)의 아래쪽 끝에는 현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길고 아치형의 구멍이 있다.

현은 다양한 두께의 꼬인 실크로 만들어졌다. 여씨춘추(기원전 3세기)에는 "다섯 줄의 슬(瑟)이 나중에 열다섯 줄의 슬(瑟)이 되었다. 순이 권력을 잡았을 때 여덟 줄을 더하여 스물세 줄이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다른 견해는 슬(瑟)이 50개의 현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나중에 십반은 이를 25개로 변경했다. "큰 슬(瑟)에는 50개의 현이 있고, 중간 슬(瑟)에는 25개의 현이 있다." 또한 복희가 사(沙)라고 불리는 50현 슬(瑟)을 만들었고, 황제가 이를 25현으로 줄였다고 한다. 또한 현이 절반(14개)인 "작은 슬(瑟)"도 있었다. 현의 개수와 악기의 길이는 지역마다 다르며, 고고학적 발견에서는 25, 24, 23, 또는 19개의 현을 가진 예시가 발견된다. 악기에 현을 맬 때, 현의 머리에 나비 매듭을 묶어 대나무 막대에 통과시키고, 머리 부분의 다리를 지나 악기의 몸통 위로 통과시켜 꼬리 부분 다리 안으로 넣고, 악기 하단의 사운드 홀 밖으로 빼내 꼬리 부분을 지나 네 개 또는 세 개의 그룹으로 기둥 주위에 감았다.

현대 슬(瑟)은 일반적으로 기둥이 없으며, 외형이 유사한 쟁과 약간 비슷한 방식으로 현을 맬 수 있다.

3. 3. 현대 슬

현대의 슬은 일반적으로 기둥이 없으며, 외형이 쟁과 약간 비슷한 방식으로 현을 맬 수 있다.

4. 연주

현대에는 슬을 연주하는 사람이 거의 없으며, 고대에는 대부분 사라졌지만 개념적으로는 쟁에 의해 계승되었다.[4] 20세기 유일한 주목할 만한 슬 연주자는 주로 금 연주자였던 우징략이다. 악기용 악보 또한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대부분은 슬이 금의 반주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 금보 (금 악보)에 존재한다.

최근에는 슬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여 일부 음악가들이 이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나일론으로 감싼 금속 현을 사용하여 현대적인 슬을 만드는 몇몇 공장이 있지만, 일반적인 음악적 목적을 위해 연주 가능한 악기로 완전히 받아들여지려면 현대 재료를 사용하여 악기를 제대로 연구해야 한다. 때때로 일반 슬에 일렉트릭 기타 스타일의 자기 픽업을 부착하여 악기 앰프 또는 PA 시스템을 통해 악기를 증폭할 수 있다.

5. 한국, 일본, 베트남의 슬

한국에서는 이 악기를 '슬'(seul)이라고 부르며, 서울의 문묘에서 1년에 두 번 열리는 유교 음악 의식에 여전히 사용된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슬'은 현악기 중에서 가장 크며, 25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7]

일본에서는 이 악기를 '실'(shitsu)이라고 부르며, 한때 가가쿠 음악에 사용되었으나 현대 공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14현의 '실'은 '민가쿠' 음악에 사용된다.[8] 쇼소인에는 슬 잔해 한 장이 있다(남창 177).[15] 현재 아악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명악의 슬은 14현이었다.[16]

베트남에서는 이 악기를 '삿'(sắt)이라고 부르며, 고대 중국 음악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6. 관련 성어

금(琴)은 슬(瑟)과 음색이 어울려 항상 함께 편성된다는 데에서 '금슬상화'(琴瑟相和)라는 말이 생겨났다. '금슬상화'는 부부 사이가 좋은 것을 표현하는 말이며, 와전되어 '금실 좋다'고도 쓴다.

참조

[1] 웹사이트 Se" at Yale University Art Gallery https://artgallery.y[...]
[2] 서적 Chinese Music: Introductions to Chinese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기타 詩·周南·關雎》: 窈窕淑女,琴瑟友之。 ''Classic of Poetry'', Odes of South Zhou, "Guan ju": The fair and good lady, befriend her with the ''qin'' and the ''se''.
[4]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the Chinese Language McFarland & Company
[5] 웹사이트 Brief Bio of Yadong Guan – Sacred Music From China http://www.sarnia.co[...]
[6] 서적 正倉院の宝物 保育社
[7] 웹사이트 슬(瑟)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6-02
[8] 서적 魏氏楽器図 http://base1.nijl.ac[...] 宮内庁書陵部蔵
[9] 기타 『詩経』小雅・鹿鳴「我有嘉賓、鼓瑟吹笙。」
[10] 기타 『書経』虞書・益稷「夔曰:戛撃鳴球、搏拊琴瑟、以詠。」
[11] 기타 『礼記』明堂位「大琴大瑟、中琴小瑟。」
[12] 서적 中国音楽詞典 人民音楽出版社
[13] 기타 『宋史』楽志17
[14] 서적 中国音楽史 楽譜篇 台湾商務印書館
[15] 서적 正倉院の宝物 保育社
[16] 서적 魏氏楽器図 https://kokusho.nijl[...] 宮内庁書陵部蔵
[17] 기타 『呂氏春秋』仲夏紀・古楽
[18] 기타 『史記』封禅書「太帝使素女鼓五十弦瑟。悲、帝禁不止。故破其瑟為二十五弦。」
[19] 기타 『太平御覧』巻576・楽部14・瑟「『世本』曰:庖羲氏作瑟。」
[20] 기타 『説文解字』巻12・珡(琴)部「瑟、庖犧所作弦楽也。从珡必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