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귄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으로, 로키의 아내로 알려져 있다. 《고 에다》와 《신 에다》 등의 문헌에서 시귄은 묶인 로키를 위해 뱀독을 받는 역할을 한다. 시귄은 로키의 곁을 지키며 헌신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인물로 묘사된다. 11세기의 고스포스 십자가에서도 시귄과 로키의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시귄의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한국 대중문화에서도 로키와 함께 등장하여 헌신적인 여성 캐릭터로 그려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키 - 마스크 (1994년 영화)
척 러셀 감독의 영화 마스크는 짐 캐리와 카메론 디아즈 주연의 1994년 미국 슈퍼히어로 코미디 영화로, 로키의 가면을 줍게 된 은행원 스탠리 입키스가 초능력을 가진 '마스크'로 변신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다크 호스 코믹스 원작의 작품이다. - 로키 - 로키 (마블 코믹스)
로키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토르의 의붓형제이자 뛰어난 마법 능력과 변신술을 이용해 음모를 꾸미는 악당이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톰 히들스턴이 연기하여 인기를 얻었다. - 아쉬냐 - 이둔
이둔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젊음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관리하며, 로키에게 납치당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쉬냐 - 요르드
요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으로 신격화되었으며 토르의 어머니이자 오딘의 아내 중 하나로, 흐로딘, 피요르귄 등으로도 불리는 "땅, 대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시귄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시귄 |
배우자 | 로키 |
가족 | 나르피 (아들) |
역할 | 로키의 아내 |
문화 | 노르드 신화 |
신화적 역할 | |
주요 역할 | 남편 로키를 돕는 헌신적인 아내 |
추가 정보 | |
특징 | 로키가 벌을 받는 동안 헌신적으로 곁을 지킴 |
상징 | 헌신, 인내, 사랑 |
2. 문헌 자료
시귄은 13세기 이전의 고대 스칸디나비아 문헌인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한다.
2. 1. 고 에다
《볼루스파》 35절에서 볼바는 오딘에게 여러 가지를 말하던 중, 속박된 남편 로키와 함께 "뜨거운 온천" 숲 아래에서 매우 불행하게 앉아 있는 시귄을 본다고 말한다.[2]《로키의 말다툼》의 마지막 산문 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신들에게 묶인 로키는 그의 아들 나리의 내장으로 결박되었고, 그의 아들 발리는 늑대로 변했으며, 여신 스카디는 로키의 얼굴 위에 독액을 내뿜는 뱀을 고정시켰다. 시귄은 떨어지는 독액 아래에 대야를 받치고 있다. 대야가 가득 차면, 그녀는 대야를 비우는데, 그 동안 로키에게 독이 떨어져 로키는 격렬하게 몸부림치며 지진이 일어나 온 세상을 흔든다.[3]
2. 2. 신 에다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31장에서는 시귄이 로키의 아내이며, 그들 사이에 나리(혹은 나르피)라는 아들이 있다고 언급된다.[4] 〈길피의 속임수〉 50장에서는 로키와 그의 두 아들(발리와 나리/나르피)이 신들에게 붙잡히는 사건이 다르게 묘사된다.[5] 발리는 늑대로 변해 나리(혹은 나르피)를 찢어 죽이고, 나리(혹은 나르피)의 내장은 로키를 묶는 데 사용된다. 스카디는 로키 위에 뱀을 놓고, 시귄은 독을 받기 위해 그릇을 들고 그의 곁을 지킨다. 하지만 그릇이 가득 차면 시귄이 독을 쏟아내기 위해 자리를 뜨고, 그 사이 로키는 독에 맞아 격렬하게 몸부림치며, 이는 라그나로크가 시작될 때까지 반복된다.[5]《신 에다》의 〈시가어론〉에서는 시귄이 아시냐(여신) 중 하나로 소개되며,[6] 로키의 케닝(kenning, 비유적 표현)에서 "시귄의 남편",[7] "주문-사슬의 [시귄] 팔의 화물 [로키]"[8] 등으로 언급된다. 〈시가어론〉의 부록인 나프나툴루르 75장에서는 아시뉴르 목록에 시귄이 포함되어 있다.[10]
3. 고고학적 기록
11세기 중반 잉글랜드 컴브리아에 위치한 고스포스 십자가는 북유럽 신화의 다양한 인물들을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십자가 서쪽 면 하단 부분에는 묶인 채 엎드려 있는 다른 인물 위로 물체를 들고 있는, 긴 머리의 여성 형상이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그들 위 왼쪽에는 매듭진 뱀이 있다. 이는 시귄(Sigyn)이 묶인 로키를 위로하는 모습으로 해석되어 왔다.[11]
4. 학술적 해석
'시귄'이라는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자료에서 여성 인명으로 발견되며(고대 노르드어 'sigr'은 '승리', 'vina'는 '여성 친구'를 의미), 현존하는 자료에서 그녀는 주로 단일 역할로 제한되지만, 9세기 스칼드 시 노르드교 시대의 스칼드 흐비니르의 푤돌프가 쓴 하우스트롱에 등장한다. 로키와의 이러한 초기 연관성 때문에, 시귄은 더 오래된 형태의 게르만 신화에서 유래된 신으로 추정된다.[12]
5. 현대의 영향
닐스 블로메르의 "Loke och Sigyn"(1850), 마르텐 에스킬 윙에의 "Loke och Sigyn"(1863)를 포함하여 시귄과 로키의 이야기는 여러 그림으로 묘사되었다.[12] 오스카 베르겔란의 "Loki och Sigyn"(1879), K. 에렌베르크의 삽화 "Loki und Sigyn; Hel mit dem Hunde Garm"(1883) 등도 시귄과 로키를 묘사한 작품이다.[12]
현대에는 시귄의 이름을 딴 다양한 대상이 존재한다. 노르웨이의 뻣뻣한 겨울 밀 품종인 *시귄 I*과 *시귄 II*[13], 마블 코믹스 캐릭터(1978)인 시귄[14], 사용 후 핵연료를 운반하는 스웨덴 선박 MS 시귄[15], 남극의 시귄 빙하[16] 등이 그 예시이다. 이 중 선박 MS 시귄은 로키를 보호하기 위해 독액 아래에 그릇을 든 시귄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참조
[1]
서적
Orchard
1997
[2]
서적
Larrington
1998
[3]
서적
Larrington
1998
[4]
서적
Byock
2006
[5]
서적
Byock
2006
[6]
서적
Faulkes
1995
[7]
서적
Faulkes
1995
[8]
서적
Faulkes
1995
[9]
서적
Faulkes
1995
[10]
서적
Faulkes
1995
[11]
서적
Orchard
1997
[12]
서적
Simek
2007
[13]
서적
Belderok
2000
[14]
웹사이트
Sigyn
http://www.marveldir[...]
Marvel Character, Inc.
2008-08-29
[15]
웹사이트
Båten som fraktarkärnbränslet
https://web.archive.[...]
Sveriges Radio
2008-08-28
[16]
웹사이트
Sigyn Glacier
http://geonames.usgs[...]
U.S. Geological Survey
2008-08-29
[1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