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르기스테스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네르기스테스균문은 세균의 한 문이다. 이 문에는 Aminiphilus, Aminobacterium, Aminomonas, Anaerobaculum, Candidatus Tammella, Cloacibacillus, Dethiosulfovibrio, Jonquetella, Pyramidobacter, Synergistes, Thermanaerovibrio, Thermovirga 속이 포함된다. 계통 분류는 LSPN과 The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균 - GFAJ-1
GFAJ-1은 고농도 비소 환경에서 생장하며 비소를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다는 논란이 있었던 박테리아이다. - 세균 - 황색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인구의 약 30%가 보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이 널리 퍼져 있어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시네르기스테스균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도메인 | 세균 |
문 | 시네르기스테스문 |
영어 이름 | Synergistetes |
하위 분류 | 강 |
하위 분류군 | 시네르기스테스강 |
하위 분류군 정보 | |
강 | 시네르기스테스강 (Synergistia) |
강 명명 | Jumas-Bilak 외, 2009년 |
목 | 시네르기스테스목 (Synergistales) |
목 명명 | Jumas-Bilak 외, 2009년 |
과 | 시네르기스테스과 (Synergistaceae) |
과 명명 | Jumas-Bilak 외, 2009년 |
하위 분류 링크 | 속 |
하위 분류군 | 본문 참조 |
2. 분류
- ''Aminiphilus'' Díaz et al. 2007
- ''Aminobacterium'' Baena et al. 1999
- ''Aminomonas'' Baena et al. 1999
- ''Anaerobaculum'' Rees et al. 1997 emend. Menes and Muxí 2002
- ''Candidatus'' Tammella Hongoh et al. 2007
- ''Cloacibacillus'' Ganesan et al. 2008
- ''Dethiosulfovibrio'' Magot et al. 1997
- ''Jonquetella'' Jumas-Bilak et al. 2007
- ''Pyramidobacter'' Downes et al. 2009
- ''Synergistes'' Allison et al. 1993
- ''Thermanaerovibrio'' Baena et al. 1999 emend. Zavarzina et al. 2000
- ''Thermovirga'' Dahle and Birkeland 2006
2. 1. 속 목록
- ''Aminiphilus'' Díaz et al. 2007
- ''Aminobacterium'' Baena et al. 1999
- ''Aminomonas'' Baena et al. 1999
- ''Anaerobaculum'' Rees et al. 1997 emend. Menes and Muxí 2002
- ''Candidatus'' Tammella Hongoh et al. 2007
- ''Cloacibacillus'' Ganesan et al. 2008
- ''Dethiosulfovibrio'' Magot et al. 1997
- ''Jonquetella'' Jumas-Bilak et al. 2007
- ''Pyramidobacter'' Downes et al. 2009
- ''Synergistes'' Allison et al. 1993
- ''Thermanaerovibrio'' Baena et al. 1999 emend. Zavarzina et al. 2000
- ''Thermovirga'' Dahle and Birkeland 2006
3. 계통 분류
아래 분류는 현재 인정되고 있는 원핵생물명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SPN)과[11] "현존하는 모든 생물 종의 계통수 프로젝트"(The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의 16S rRNA 계통발생학 연구를 기초로 작성했다.[12]
- ?''Candidatus Tammella caduceiae'' Hongoh et al. 2007
- ?''Aminomonas paucivorans'' Baena et al. 1999
- ''Anaerobaculum''
- ?''A. hydrogeniformans''[13] Maune and Tanner 2009
- ''A. mobile'' Menes and Muxí 2002
- ''A. thermoterrenum'' Rees et al. 1997
- ''Thermovirga lienii'' Dahle and Birkeland 2006
- ''Thermanaerovibrio''
- ''T. acidaminovorans'' (Guangsheng et al. 1997) Baena et al. 1999
- ''T. velox'' Zavarzina et al. 2000
- ''Aminiphilus circumscriptus'' Díaz et al. 2007
- ''Cloacibacillus evryensis'' Ganesan et al. 2008
- ''Synergistes jonesii'' Allison et al. 1993
- ''Aminobacterium''
- ''A. colombiense'' Baena et al. 1999
- ''A. mobile'' Baena et al. 2000
- ''Jonquetella anthropi'' Jumas-Bilak et al. 2007
- ''Pyramidobacter piscolens'' Downes et al. 2009
- ''Dethiosulfovibrio''
- ''D. salsuginis'' Díaz-Cárdenas et al. 2010
- ''D. acidaminovorans'' Surkov et al. 2001
- ''D. marinus'' Surkov et al. 2001
- ''D. peptidovorans'' Magot et al. 1997
- ''D. russensis'' Surkov et al. 2001
3. 1. 계통도
아래 분류는 현재 인정되고 있는 원핵생물명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SPN)과[11] "현존하는 모든 생물 종의 계통수 프로젝트"(The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의 16S rRNA 계통발생학 연구를 기초로 작성했다.[12]- ?''Candidatus Tammella caduceiae'' Hongoh et al. 2007
- ?''Aminomonas paucivorans'' Baena et al. 1999
- ''Anaerobaculum''
- ?''A. hydrogeniformans''[13] Maune and Tanner 2009
- ''A. mobile'' Menes and Muxí 2002
- ''A. thermoterrenum'' Rees et al. 1997
- ''Thermovirga lienii'' Dahle and Birkeland 2006
- ''Thermanaerovibrio''
- ''T. acidaminovorans'' (Guangsheng et al. 1997) Baena et al. 1999
- ''T. velox'' Zavarzina et al. 2000
- ''Aminiphilus circumscriptus'' Díaz et al. 2007
- ''Cloacibacillus evryensis'' Ganesan et al. 2008
- ''Synergistes jonesii'' Allison et al. 1993
- ''Aminobacterium''
- ''A. colombiense'' Baena et al. 1999
- ''A. mobile'' Baena et al. 2000
- ''Jonquetella anthropi'' Jumas-Bilak et al. 2007
- ''Pyramidobacter piscolens'' Downes et al. 2009
- ''Dethiosulfovibrio''
- ''D. salsuginis'' Díaz-Cárdenas et al. 2010
- ''D. acidaminovorans'' Surkov et al. 2001
- ''D. marinus'' Surkov et al. 2001
- ''D. peptidovorans'' Magot et al. 1997
- ''D. russensis'' Surkov et al. 2001
참조
[1]
웹사이트
Synergistetes
http://www.ncbi.nlm.[...]
NCBI
2008-09-11
[2]
논문
The division "Synergistes"
[3]
논문
"''Jonquetella anthropi'' gen. nov., sp. nov., the first member of the candidate phylum 'Synergistetes' isolated from man"
[4]
논문
Description of ‘Synergistetes’ phyl. nov.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phylum ‘Deferribacteres’ and of the family Syntrophomonadaceae, phylum ‘Firmicutes’
2009
[5]
논문
Synergistes group organisms of human origin
[6]
논문
Aminomonas paucivorans gen. nov., sp. nov., a mesophilic, anaerobic, amino-acid-utilizing bacterium
[7]
논문
Dethiosulfovibrio peptidovorans gen. nov., sp. nov., a new anaerobic, slightly halophilic, thiosulfate-reducing bacterium from corroding offshore oil wells
[8]
논문
null
[9]
논문
[10]
논문
[11]
웹인용
Thermotogae
http://www.bacterio.[...]
2011-11-17
[12]
웹인용
16S rRNA-based LTP release 106 (full tree)
http://www.arb-silva[...]
Silva Comprehensive Ribosomal RNA Database
2011-11-17
[13]
정보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정보에서는 발견되지만, 원핵생물명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SPN)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