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 자체 시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동 자체 시험(POST, Power-On Self Test)은 컴퓨터가 전원을 켰을 때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이다. IBM PC 호환 기종의 경우, BIOS 또는 UEFI가 CPU, 메모리, 주변 장치 등을 검사하며, 오류 발생 시 비프음이나 화면 메시지를 통해 문제점을 알린다. 매킨토시 컴퓨터는 시동 소리나 Sad Mac 아이콘, 16진수 문자열 등을 통해 오류를 표시하며, Apple Silicon 기반 Mac은 시작 소리가 없고, 화면에 느낌표가 표시되거나 전원 LED가 깜박이는 방식으로 오류를 알린다. 아미가 컴퓨터는 독특한 색상 시퀀스와 키보드 LED를 통해 POST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역시 자체 테스트 루틴을 통해 하드웨어 상태를 점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오스 - 아메리칸 메가트렌즈
아메리칸 메가트렌즈(AMI)는 1985년에 설립된 회사로, BIOS 펌웨어, 서버용 마더보드, 스토리지 컨트롤러 등을 공급하며, 현재는 AMIBIOS, Aptio, AMIDiag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 바이오스 - 부트 섹터
부트 섹터는 시스템 부팅 코드를 담은 저장 매체의 특정 영역으로, 볼륨 부트 레코드(VBR)와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로 나뉘며, BIOS는 이를 실행하고 UEFI는 부트로더를 직접 로드하지만 바이러스 공격에 취약하다.
시동 자체 시험 | |
---|---|
개요 | |
종류 | 자가 진단 |
대상 | 컴퓨터 하드웨어 |
주체 |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루틴 |
목적 | 하드웨어 기능 점검 및 초기화 |
과정 | |
설명 | 전원 공급 후 CPU가 초기화되면 POST 루틴이 시작됨. BIOS 또는 UEFI 펌웨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시스템 하드웨어를 점검함. 메모리 테스트, 키보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 장치의 존재 및 작동 여부를 확인. 문제가 발견되면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림.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운영 체제 부팅 과정을 시작함. |
기능 | |
주요 기능 | 시스템 하드웨어 초기화 및 점검 메모리 테스트 키보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 장치 확인 오류 메시지 표시 또는 경고음 발생 운영 체제 부팅 과정 시작 |
사용 환경 | |
일반적인 사용 환경 | 개인용 컴퓨터 (PC) 서버 임베디드 시스템 |
문제 해결 | |
POST 오류 발생 시 대처 방법 | 오류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통해 문제 진단 하드웨어 연결 상태 확인 및 재장착 CMOS 설정 초기화 문제 해결이 어려울 경우 전문가의 도움 요청 |
2. IBM 호환 PC POST
wikitext
IBM PC 호환 기종 컴퓨터에서 POST의 주요 기능은 BIOS 또는 UEFI에서 처리하며, 이러한 기능 중 일부는 비디오 및 SCSI 초기화와 같이 매우 특정한 주변 장치를 초기화하도록 설계된 다른 프로그램으로 넘겨질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의무별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옵션 ROM이라고 통칭되거나 개별적으로 비디오 BIOS, SCSI BIOS 등으로 알려져 있다.[1]
POST(전원 켜짐 자가 진단) 동안, BIOS는 PC가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의 매트릭스에 대해 여러 경쟁적이고, 변화하며, 심지어 상호 배타적인 표준과 이니셔티브를 통합해야 하며, 간단한 메모리 테스트와 설정 화면만 표시된다.[1] POST 동안 주요 BIOS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1]
- CPU 레지스터 확인[1]
- BIOS 코드 자체의 무결성 확인[1]
- DMA, 타이머, 인터럽트 컨트롤러와 같은 일부 기본 구성 요소 확인[1]
- 시스템 주 메모리 초기화, 크기 조정 및 확인[1]
- BIOS 초기화[1]
- (설치된 경우) 다른 특수 확장 BIOS로 제어 권한 전달[1]
- 부팅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 식별, 구성 및 선택[1]
위의 기능은 최초의 모든 BIOS 버전의 POST에서 제공된다.[1] 이후 BIOS 버전에서는 POST가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1]
초기 BIOS에서는 POST가 부팅 장치를 구성하거나 선택하지 않고, 단순히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를 식별했으며, 시스템은 항상 해당 순서대로 부팅을 시도했다.[1]
전원을 켜면, POST는 BIOS에 의해 제어되며, 비디오 및 SCSI와 같은 주변 장치의 초기화는 전용 프로그램이 분담한다.[1] 이러한 특정 기능을 분담하는 프로그램은 비디오 BIOS, SCSI BIOS 등으로 불리며, 전체적으로 옵션 ROM 등으로 불린다.[1]
BIOS가 POST 실행 중에 수행하는 처리는 다음과 같다.[1]
# BIOS 코드 자체가 문제 없는지 확인한다.[1]
# POST를 실행하는 계기가 무엇인지 특정한다.[1]
# 시스템의 메인 메모리를 찾아, 크기를 조사하고 문제 없는지 검증한다.[1]
# 모든 프런트 사이드 버스와 장치를 감지하고, 초기화하고, 등록한다.[1]
# 필요하다면, 개별 BIOS군에 제어를 넘긴다.[1]
# 시스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
# 부팅 가능한 장치를 특정하고, 선택한다.[1]
# 대상 OS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 환경이 있다면, 그것을 구축한다.[1]
BIOS는 CPU가 리셋되었을 때 POST를 시작한다.[1] CPU가 리셋 후에 처음에 실행하려는 메모리 위치를 리셋 벡터라고 부른다.[1] 하드 리부트의 경우, 노스브리지가 해당 코드 페치 요청을 BIOS가 있는 시스템 플래시 메모리로 향하게 한다.[1] 웜 부트에서는 BIOS가 RAM 내의 적절한 위치에 놓여 있으므로, 노스브리지가 해당 RAM상의 위치로 리셋 벡터를 향하게 한다.[1]
최근 BIOS에서는, POST 실행에서 처음에 왜 기동되었는지를 특정해야 한다.[1] 예를 들어 콜드 부트라면, 모든 기능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1] 그러나 시스템이 절전 모드나 퀵 부트와 같은 것을 지원하고 있는 경우, BIOS는 표준 POST에서의 장치 감지 공정을 하지 않아도 되며, 이미 있는 시스템 장치 테이블을 사용하여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1]
POST의 처리는 본래 매우 단순했지만, PC의 발전과 함께 복잡해졌다.[1] POST 실시 중, BIOS는 하드웨어와 OS가 지원하기를 기대하는 다양한 (그리고 때로는 상호 배타적인) 각종 표준 규격을 고려해야 한다.[1] 그러나, 사용자가 보는 POST와 BIOS는, 종래와 거의 변함없는 메모리 테스트 화면과 설정 화면일 뿐이다.[1]
PC/AT 호환 기종의 경우, 주 BIOS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1] POST 부분(POST 코드)은 상술한 처리를 수행하고, POST가 OS를 위해 구축하는 환경이 이른바 런타임 BIOS(런타임 코드)이다.[1] 기본적으로 POST 코드는 역할이 끝나면 OS에 제어가 넘어가기 전에 메인 메모리상에서 삭제되지만, 런타임 코드는 메모리에 상주한다.[1] 이러한 구분은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일 수 있지만, 물론 POST 처리 중에도 런타임 코드가 사용된다.[1]
2. 1. 역사
초창기 BIOS(2000년 전후)에서는 POST(전원 켜기 자가 진단)가 모든 장치를 철저하게 검사했는데, 여기에는 완전한 메모리 검사도 포함되었다.[2] IBM의 이러한 설계는 콜드 스타트 프로세스의 일부로 완전한 하드웨어 검사를 수행하는 대형 메인프레임 시스템을 모델로 했다.[2] PC 플랫폼이 일종의 상용 소비자 장치로 발전하면서 패리티 메모리 및 모든 POST에서 철저한 메모리 검사와 같이 메인프레임 및 미니컴퓨터에서 영감을 얻은 높은 신뢰성 기능은 대부분의 모델에서 삭제되었다.[2] 메모리 가격의 기하 급수적인 하락에 의해 주도된 PC 메모리 크기의 기하 급수적인 증가는 또한 이러한 요인으로 작용했는데, 이는 주어진 CPU를 사용한 메모리 검사 기간이 메모리 크기에 정비례하기 때문이다.[2]초창기 IBM PC는 16KB의 RAM만 장착할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64KB에서 640KB 사이의 RAM을 가졌으며, 장착된 메모리 용량에 따라 컴퓨터의 4.77MHz 8088은 POST를 완료하는 데 5초에서 1분 30초가 걸렸으며 이를 건너뛸 방법은 없었다.[2] IBM XT부터는 빈 화면 대신 POST 중에 메모리 카운트가 표시되었다.[2] 약 1GHz의 버스 속도와 32비트 버스를 가진 최신 PC는 2000배 또는 5000배 더 빠를 수 있지만 메모리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2] 1980년대보다 부팅 시간이 더 중요한 문제가 되면서 30~60초의 메모리 검사는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식되지 않는 신뢰성을 얻기 위해 원치 않는 지연을 추가한다.[2] 대부분의 복제 PC BIOS는 사용자가 키를 눌러 POST RAM 검사를 건너뛸 수 있었고, 최신 기계는 BIOS 설정을 통해 활성화하지 않는 한 RAM 검사를 전혀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2] 또한 최신 DRAM은 1980년대의 DRAM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다.[2]
2. 2. 진행 및 오류 보고
BIOS는 CPU가 재설정될 때 자체 점검(POST)을 시작한다. CPU가 실행을 시도하는 첫 번째 메모리 위치는 재설정 벡터라고 한다. 하드 재부팅의 경우, 노스브리지는 시스템 플래시 메모리에 위치한 BIOS로 코드 가져오기 요청을 보낸다. 웜 부팅의 경우, BIOS는 RAM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며, 노스브리지는 재설정 벡터 호출을 RAM으로 보낸다. 칩셋이 표준화되기 전, 초기 PC 시스템에서는 BIOS ROM이 재설정 벡터를 포함하는 주소 범위에 위치했으며, BIOS는 ROM에서 직접 실행되었다. 이것이 마더보드 BIOS ROM이 기본 메모리 맵의 세그먼트 F000에 있는 이유이다.현대 BIOS의 POST 흐름 동안, BIOS가 수행해야 하는 첫 번째 작업 중 하나는 실행 이유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콜드 부팅의 경우 모든 기능을 실행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이 절전 또는 빠른 부팅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BIOS는 표준 POST 장치 검색을 우회하고 미리 로드된 시스템 장치 테이블에서 장치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시작 시퀀스의 일부로, POST 루틴은 BIOS의 내장 설정 기능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를 누르도록 프롬프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운영 체제가 로드되기 전에 마더보드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키를 누르지 않으면 POST는 설치된 운영 체제를 로드하는 데 필요한 부팅 시퀀스로 진행된다.
많은 최신 BIOS 및 UEFI 구현은 POST 중에 제조업체 로고를 표시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한 기존 텍스트 화면을 숨긴다. 텍스트 화면은 "조용한 부팅" 옵션을 비활성화하여 BIOS 설정에서 활성화할 수 있다.




초창기 IBM BIOS는 POST 진단 정보를 I/O 포트 0x80에 숫자를 출력하여 제공했다(일부 고장 모드에서는 화면 표시가 불가능했다). 진행 상태 표시와 오류 코드가 모두 생성되었으며, 코드가 생성되지 않는 오류의 경우 문제 진단에 도움이 되도록 마지막으로 성공한 작업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 로직 분석기 또는 전용 POST 카드—작은 디스플레이에 포트 0x80 출력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카드—를 사용하면 기술자가 문제의 근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운영 체제가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이러한 보드에 표시되는 코드는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눅스와 같은 일부 운영 체제는 I/O 타이밍 작업을 위해 포트 0x80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가능한 단계 및 오류 조건에 대한 실제 숫자 코드는 BIOS 공급업체마다 다르다. 단일 공급업체의 서로 다른 BIOS 버전의 코드도 다를 수 있지만, 많은 코드는 서로 다른 버전에서도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후 BIOS는 마더보드에 연결된 PC 스피커가 있는 경우(존재하고 작동하는 경우) 오류 코드를 신호하기 위해 일련의 경고음을 사용했다. 일부 공급업체는 MSI의 D-브래킷과 같은 독점 변형 또는 향상된 기능을 개발했다. POST 비프음 코드는 제조업체마다 다르다.
숫자 및 비프음 코드에 대한 정보는 BIOS 및 마더보드 제조업체에서 제공한다. 많은 BIOS에 대한 코드를 수집하는 웹사이트가 있다.[3]
코드 | 의미 |
---|---|
100–199 | 시스템 보드 |
200–299 | 메모리 |
300–399 | 키보드 |
400–499 | 흑백 디스플레이 |
500–599 | 컬러/그래픽 디스플레이 |
600–699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어댑터 |
700–799 | 수학 보조 프로세서 |
900–999 | 병렬 프린터 포트 |
1000–1099 | 대체 프린터 어댑터 |
1100–1299 | 비동기 통신 장치, 어댑터 또는 포트 |
1300–1399 | 게임 포트 |
1400–1499 | 컬러/그래픽 프린터 |
1500–1599 | 동기 통신 장치, 어댑터 또는 포트 |
1700–1799 | 하드 드라이브 또는 어댑터 (또는 둘 다) |
1800–1899 | 확장 장치 (XT) |
2000–2199 | 양방향 동기 통신 어댑터 |
2400–2599 | 향상된 그래픽 어댑터/Enhanced Graphics Adapter영어 시스템 보드 비디오 (MCA) |
3000–3199 |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영어 어댑터 |
4800–4999 | 내장 모뎀 |
7000–7099 | 피닉스 BIOS 칩 |
7300–7399 | 3.5인치 디스크 드라이브 |
8900–8999 |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영어 어댑터 |
11200–11299 | SCSI 어댑터 |
21000–21099 | SCSI 고정 디스크 및 컨트롤러 |
21500–21599 | SCSI CD-ROM 시스템 |
2. 2. 1. 오리지널 IBM POST 비프 코드
비프음 수 | 의미 |
---|---|
짧은 비프음 1회 | 정상 POST - 시스템 정상 |
짧은 비프음 2회 | POST 오류 - 화면에 오류 코드 표시 |
비프음 없음 | 전원, 마더보드 문제 또는 스피커 고장. |
연속적인 비프음 | 전원, 마더보드, 키보드 문제 |
짧은 비프음 반복 | 전원, 마더보드, 키보드 중 하나 문제 |
긴 비프음 1회와 짧은 비프음 1회 | 마더보드 문제 |
긴 비프음 1회와 짧은 비프음 2회 | 비디오 카드 (MDA, CGA) 문제 |
긴 비프음 1회와 짧은 비프음 3회 | EGA 문제 |
긴 비프음 3회 | 3270 키보드 카드 문제 |
오류 코드 범위 | 의미 |
---|---|
100부터 199까지 | 마더보드 |
200부터 299까지 | 메모리 |
300부터 399까지 | 키보드 |
400부터 499까지 | 흑백 디스플레이 |
500부터 599까지 | 컬러/그래픽스 디스플레이 |
600부터 699까지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어댑터 |
700부터 799까지 | FPU |
900부터 999까지 | 병렬 프린터 포트 |
1000부터 1099까지 | 추가 프린터 포트 |
1100부터 1299까지 | 비동기 통신 장치, 어댑터, 포트 |
1300부터 1399까지 | 게임 포트 |
1400부터 1499까지 | 컬러/그래픽스 프린터 |
1500부터 1599까지 | 동기 통신 장치, 어댑터, 포트 |
1700부터 1799까지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어댑터 |
1800부터 1899까지 | 확장 장치 (XT) |
2000부터 2199까지 | BSC 통신 어댑터 |
2400부터 2599까지 | EGA 비디오 (MCA) |
3000부터 3199까지 | LAN 어댑터 |
4800부터 4999까지 | 내장 모뎀 |
7000부터 7099까지 | Phoenix BIOS 칩 |
7300부터 7399까지 | 3.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
8900부터 8999까지 | MIDI 어댑터 |
11200부터 11299까지 | SCSI 어댑터 |
21000부터 21099까지 | SCSI 고정 디스크 및 컨트롤러 |
21500부터 21599까지 | SCSI CD-ROM 드라이브 |
2. 2. 2. POST AMI BIOS 비프 코드
wikitable비프음 수 | 의미 |
---|---|
1 | 메모리 리프레시 타이머 오류 |
2 | 기본 메모리의 패리티 오류 (최초 64 KiB 블록) |
3 | 기본 메모리 읽기/쓰기 테스트 오류 |
4 | 메인보드 타이머 동작 불가 (PSU에서부터 MB 단자까지 모두 확인 필요) |
5 | 프로세서 고장 |
6 | 8042 게이트 A20 테스트 오류 (보호 모드로 전환 불가) |
7 | 일반 예외 오류 (프로세서 예외 인터럽트 오류) |
8 | 디스플레이 메모리 오류 (시스템 비디오 어댑터) |
9 | AMI BIOS ROM 체크섬 수정 |
10 | CMOS 셧다운 레지스터 읽기/쓰기 수정 |
11 | 캐시 메모리 테스트 실패 |
계속적인 비프음 | 메인보드가 RAM 모듈을 발견하지 못함 |
2. 2. 3. POST 비프 코드 (CompTIA A+ 인증 시험)
wikitable비프음 수 | 의미 |
---|---|
지속적인 짧은 비프음 | 파워 서플라이 불량 가능성 |
길고 지속적인 비프톤 | 메모리 고장 |
지속적인 긴 비프음 | 파워 서플라이 불량 |
비프음 없음 | 파워 서플라이 불량,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전원이 켜지지 않음 |
비프음 없음 | 모든 것이 정상 기능할 때 "비퍼" 그 자체의 문제일 수 있음. 시스템은 짧은 비프음과 함께 정상 동작함. |
1번 길게, 2번 짧게 | 그래픽 카드 고장 |
애플의 매킨토시 컴퓨터는 콜드 부팅 후 시동 자체 시험을 수행하며, 치명적인 오류 발생 시 시동 소리를 내지 않는다.
```
컴퓨터 기술 산업 협회(CompTIA) A+ 시험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는 POST 비프음 코드는 위와 같다.
3. 매킨토시 POST
==== 구형 맥 (1998년 이전) ====
1987년 이전에 제작된 맥은 POST 실패 시 아무 소리 없이 멈추고, 화면에 16진수 문자열과 Sad Mac 아이콘을 표시한다. 1987년 이후 1998년 이전 맥은 POST 실패 시 "죽음의 차임벨"이 즉시 울리는데, 이는 단순 경고음, 자동차 충돌 소리, 유리 깨지는 소리, 짧은 음표 등 모델에 따라 다르다. 작동 시에는 Sad Mac 아이콘과 문제 식별용 16진수 문자열 두 개가 표시된다.
일부 맥은 1987년 이전 맥과 같이 죽음의 차임벨 없이 Sad Mac 아이콘과 16진수 문자열을 표시하기도 했다. 구형 맥 기반 PCI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후기 맥(1998년 이전)은 Sad Mac 아이콘이나 16진수 문자열 없이 죽음의 차임벨만 재생한다.
==== 신형 맥 (1998-1999) ====
1998년 아이맥 출시와 함께, 뉴 월드 맥이 시작되었다.[5] 아이맥 G3, 파워 맥 G3 (블루 & 화이트), 파워 맥 G4 (PCI 그래픽), 파워북 G3 (브론즈 키보드), 파워북 G3 (FireWire) 등은 하드 드라이브에서 Mac OS ROM을 불러온다.[5]
치명적이지 않은 오류는 오류 메시지를, 치명적인 하드웨어 오류는 비프음으로 알린다:[5]비프음 의미 1 RAM 미설치/미감지 2 호환되지 않는 RAM 유형 (예: EDO) 3 RAM 뱅크 메모리 테스트 실패 4 부트 롬 나머지 부분 체크섬 오류 5 ROM 부트 블록 체크섬 오류
==== 신형 맥 (1999년 이후) 및 인텔 기반 맥 ====
1999년 10월 비프음 코드가 개정되었고, 일부 모델은 전원 LED가 깜빡인다.[6]비프음 의미 1 RAM 미설치/미감지 2 호환되지 않는 RAM 유형 3 사용 가능한 뱅크 없음 4 부트 ROM에 유효한 부트 이미지 없음, 잘못된 시스템 구성 블록 또는 둘 다 5 프로세서 사용 불가
인텔 기반 Mac은 EFI 기반 펌웨어를 도입하여 시작음을 변경했다.[7][8] T2 보안 칩 장착 Mac은 POST 과정이 달라 시작음이 없다.[7]음정 의미 5초마다 반복되는 한 번의 음 RAM 미설치/미감지 5초 간격으로 반복되는 세 번의 연속적인 음 호환되지 않는 RAM 유형; 사용 가능한 뱅크 없음 전원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한 번의 긴 음 EFI ROM 업데이트 진행 중 (2012년까지 제작된 Mac) 세 번의 긴 음, 세 번의 짧은 음, 세 번의 긴 음 EFI ROM 손상, ROM 복구 진행 중
==== Apple Silicon 기반 Mac ====
Apple Silicon으로의 Mac 전환으로 POST 과정이 크게 바뀌었다. Apple Silicon Mac은 iPhone 및 iPad 펌웨어와 유사하게 Low-Level Bootloader(LLB)를 로드하는 부트 ROM을 사용한다. T2 칩 탑재 인텔 Mac처럼 시작 시 소리가 나지 않는다. 오류 발생 시 화면에 느낌표가 표시되거나 장치 펌웨어 업데이트(DFU) 모드로 들어간다. 치명적 하드웨어 오류 시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소리도 없으며, 일부 모델은 전원 LED가 규칙적으로 깜박인다.
3. 1. 구형 맥 (1998년 이전)
1987년 이전에 제작된 맥은 전원 켜짐 자가 진단(POST, Power-On Self Test)에 실패하면 아무런 소리도 내지 않고 조용히 멈추며, 작동하는 경우 화면에 16진수 문자열과 Sad Mac 아이콘을 표시하며 멈춘다. 1987년 이후 1998년 이전에 제작된 맥은 POST에 실패하면 모델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나는 "죽음의 차임벨"이 즉시 울린다. 죽음의 차임벨은 단순한 경고음, 자동차 충돌 소리, 유리가 깨지는 소리, 짧은 음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작동하는 경우 화면에는 Sad Mac 아이콘과 문제 식별에 사용할 수 있는 두 개의 16진수 문자열이 표시된다.
이 시기에 제작된 일부 맥은 1987년 이전에 제작된 맥과 같이 죽음의 차임벨을 사용하지 않지만, Sad Mac 아이콘과 화면에 두 개의 16진수 문자열이 표시되는 등 죽음의 차임벨을 사용한 맥과 동일한 형식을 유지했다. 1998년 이전의 구형 맥 기반 PCI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후기 맥은 화면에 Sad Mac 아이콘이나 16진수 문자열을 표시하지 않고 죽음의 차임벨만 재생한다.
1998년까지 제조된 매킨토시에서는 POST 처리에 실패하면 "죽음의 차임"이라고 불리는 소리와 함께 멈춘다(소리 자체는 기종에 따라 다르며, 삐 소리, 차가 충돌하는 소리, 유리가 깨지는 소리, 음악 등 다양하다). 화면에는 우는 얼굴의 Macintosh 아이콘이 표시되며, 16진수 문자열이 2행 표시되어 문제 해결의 단서가 된다.
3. 2. 신형 맥 (1998-1999)
1998년 애플이 아이맥을 출시했을 때, 이는 당시 다른 맥들과는 근본적인 차이를 보였다. 아이맥은 이른바 뉴 월드 맥의 생산을 시작했다.[5] 아이맥 G3, 파워 맥 G3 (블루 & 화이트), 파워 맥 G4 (PCI 그래픽), 파워북 G3 (브론즈 키보드), 파워북 G3 (FireWire)와 같은 뉴 월드 맥은 하드 드라이브에서 Mac OS ROM을 불러온다.[5]
치명적인 하드웨어 오류가 아닌 오류가 발생하면, 시동 시 "0 >" 프롬프트 대신 오류 메시지가 표시된다. 치명적인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비프음이 발생한다:[5]
비프음 | 의미 |
---|---|
1 | RAM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감지되지 않음 |
2 | 호환되지 않는 RAM 유형이 설치됨 (예: EDO) |
3 | RAM 뱅크가 메모리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함 |
4 | 부트 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잘못된 체크섬 |
5 | ROM 부트 블록에 대한 잘못된 체크섬 |
3. 3. 신형 맥 (1999년 이후) 및 인텔 기반 맥
1999년 10월에 비프음 코드가 개정되었다.[6] 또한 일부 모델에서는 전원 LED가 리듬에 맞춰 깜빡인다.비프음 | 의미 |
---|---|
1 | RAM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감지되지 않음 |
2 | 호환되지 않는 RAM 유형 |
3 | 사용 가능한 뱅크 없음 |
4 | 부트 ROM에 유효한 부트 이미지 없음, 잘못된 시스템 구성 블록 또는 둘 다 |
5 | 프로세서 사용 불가 |
인텔 기반 Mac의 도입과 함께 EFI 기반 펌웨어가 도입되면서 시작음이 다시 변경되었다.[7][8] T2 보안 칩이 장착된 인텔 기반 Mac에는 이러한 시작음이 존재하지 않는데,[7] 이는 T2 보안 칩이 없는 Mac과는 POST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음정 | 의미 |
---|---|
5초마다 반복되는 한 번의 음 | RAM이 설치/감지되지 않음 |
5초 간격으로 반복되는 세 번의 연속적인 음 | 호환되지 않는 RAM 유형; 사용 가능한 뱅크 없음 |
전원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한 번의 긴 음 | EFI ROM 업데이트 진행 중 (2012년까지 제작된 Mac의 경우) |
세 번의 긴 음, 세 번의 짧은 음, 세 번의 긴 음 | EFI ROM 손상 감지, ROM 복구 진행 중 |
3. 4. Apple Silicon 기반 Mac
Apple Silicon으로의 Mac 전환은 Mac의 POST 과정에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Apple Silicon 기반 Mac은 iPhone 및 iPad에서 발견되는 펌웨어와 유사하게 Low-Level Bootloader(LLB)를 로드하는 부트 ROM을 사용한다. T2 보안 칩이 탑재된 인텔 기반 Mac과 마찬가지로, 시작 시의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오류가 발생하면 화면에 느낌표가 표시되거나 장치가 장치 펌웨어 업데이트(DFU) 모드로 들어간다. 치명적인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하면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소리도 들리지 않으며, 일부 모델에서는 전원 LED가 규칙적으로 깜박인다.4. 아미가 POST
아미가의 역사적인 컴퓨터 라인업은 A1000에서 4000까지 다양한 색상의 깜박이는 화면 시퀀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다른 시스템에서와 같이 소리가 아닌 방식으로 다양한 하드웨어 POST 테스트가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또는 실패했는지를 알려주는 흥미로운 POST 시퀀스를 제공한다.
아미가 시스템은 부팅 시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 하드웨어 안정화를 위해 테스트 시작을 0.1초 지연한다.
# 진단 카드(있는 경우)의 ROM 코드로 점프한다.
# 모든 DMA 및 인터럽트를 비활성화하고 지운다.
# 화면을 켠다.
#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확인한다. 화면이 밝은 회색으로 유지되고 테스트가 계속되면 하드웨어가 정상이다. 오류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중단된다.
# ROM에 대한 체크섬 테스트를 수행한다.
시스템이 ROM 테스트에 실패하면 화면이 빨간색으로 바뀌고 시스템이 중단된다.
4. 1. 아미가 키보드 LED 오류 신호
아미가(Amiga) 초기 모델의 키보드는 ANSI/ISO 8859-1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키보드 자체는 지능형 장치였으며, 자체 프로세서와 4킬로바이트의 RAM을 갖추고 있었다. 키보드에 고장이 발생하면 주 LED를 순서대로 깜박여 사용자에게 알렸다.깜빡임 수 | 의미 |
---|---|
1 | ROM 체크섬 오류 |
2 | RAM 테스트 실패 |
3 | 워치독 타이머 실패 |
4 | 두 개의 행 라인 또는 7개의 특수 키 중 하나 사이에 단락이 존재함 (구현되지 않음) |
4. 2. 아미가 색상 시퀀스
대부분의 아미가 모델은 전원을 켰을 때 검은색, 어두운 회색, 밝은 회색 화면이 빠르게 연속적으로 전체 모니터 화면을 채우는 동일한 색상 시퀀스를 나타낸다. 아미가는 일반적으로 켜지고 부팅하는 데 2~3초가 걸린다.[9]
A4000은 부팅 시간 동안 옅은 회색 화면을 표시한다(2초 또는 최대 3초 동안만 나타납니다).
색상 | 의미 | |
---|---|---|
style="background-color: red" | | 빨강 | ROM 오류 - 재설정 또는 교체 |
style="background-color: green" | | 녹색 | 칩 RAM 오류 (AGNUS 재설정 및 재테스트) |
style="background-color: blue" | | 파랑 | 사용자 지정 칩 오류 |
style="background-color: yellow" | | 노랑 | 소프트웨어가 이를 포착하기 전에 68000 감지된 오류 (GURU) |
5. 임베디드 시스템
주요 가전 제품, 항공 전자 공학, 통신 또는 의료 장비와 같은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은 전원을 켤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내장형 자체 테스트 루틴을 가지고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How BIOS Works
http://flint.cs.yale[...]
2021-10-22
[2]
뉴스
A Closer Look at the IBM Personal Computer
https://archive.org/[...]
1982-01
[3]
웹사이트
Post Code Master - PC BIOS Power On Self Test POST Codes & Diagnostic Beep Codes
http://postcodemaste[...]
[4]
웹사이트
AMIBIOS8 Check Point and Beep Code List Version 2.0 - June 10, 2008
http://www.ami.com/a[...]
2008-06-10
[5]
웹사이트
Power-On Self-Test Beep Definition - Part 1
https://support.appl[...]
2012-02-18
[6]
웹사이트
Power On Self-Test Beep Definition - Part 2
https://support.appl[...]
2012-01-10
[7]
웹사이트
About Mac startup tones
https://support.appl[...]
2018-11-08
[8]
웹사이트
If your Mac beeps during startup
https://support.appl[...]
2024-05-23
[9]
웹사이트
A3000 Booting Problems
https://amiga.servef[...]
[10]
문서
https://www.lemonami[...]
[11]
웹사이트
Hardware Diagnostics and Power on Self Tests
https://www.eventhel[...]
2021-10-22
[12]
문서
컴퓨터 용어(TTA) 사전 참조: PC에 전원을 넣었을 때 시스템 전반을 검사하는 과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