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구부산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을 잇는 고속도로입니다. 고속국도 제55호선 중앙고속도로의 일부 구간(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에 해당하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민자고속도로입니다.
- 명칭 유래: 대구와 부산을 연결하는 기존의 경부고속도로보다 약 40km를 단축하는 새로운 고속도로라는 의미에서 '신(新)대구부산고속도로'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개통: 2006년 1월 25일에 개통되었습니다.
- 건설 및 운영: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건설 및 운영을 맡고 있으며, 2036년까지 30년간 운영 후 정부에 기부 채납할 예정입니다.
- 제원: 총 길이 82.05km, 폭 23.4m의 왕복 4차선 도로입니다.
- 경유 지역: 부산광역시(사상구, 강서구) - 경상남도(김해시, 양산시, 밀양시) - 경상북도(청도군, 경산시) - 대구광역시(수성구, 동구)
- 주요 시설:
- 나들목(IC): 상동, 삼랑진, 남밀양, 밀양, 청도, 수성, 동대구 등 7개
- 휴게소: 청도새마을휴게소 (상행선, 하행선)
- 졸음쉼터: 3개 (밀양시 상남면에 상행, 하행 2개소)
- 터널: 14개
- 교량: 103개
- 효과:
-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하고, 대구-부산 간 운행 거리 및 시간을 약 30분 단축합니다.
- 부산항, 김해공항 등의 물류 수송을 원활하게 합니다.
- 영남 내륙 지역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기타:
- 민간 운영 고속도로이기 때문에 동일 구간 경부고속도로보다 통행료가 비쌉니다.
- 2006년 개통 당시 '아이웨이(I'WAY)'라는 브랜드를 도입했으나, 현대산업개발그룹에서 국민연금공단으로 소유주가 변경되면서 브랜드가 폐지되었습니다.
- 2024년 7월 9일, 국민연금이 신대구부산고속도로의 잔여 지분을 매각한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이는 최소수입보장(MRG) 제도 기한 만료가 임박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신대구부산고속도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주식회사 |
원어 | New DAEGU BUSAN Expressway Co.,Ltd.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일 | 1999년 12월 8일 |
위치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산외로 42-57 |
대표이사 | 남궁 윤 |
산업 | 고속도로 건설·관리·운영 |
서비스 | 고속도로건설관리업 도로 건설업 |
재무 정보 (2015년 기준) | |
자본금 | 159,400,000,000원 |
매출액 | 247,035,130,195원 |
영업 이익 | 159,075,778,509원 |
순이익 | -9,920,682,710원 |
자산 총액 | 1,207,118,378,517원 |
주주 구성 | |
주주 | (주)발해인프라투융자회사: 40.92% KB 대구부산고속도로 투자신탁: 40.20% 국민연금공단: 18.88% |
기타 정보 | |
종업원 수 | 31명 (2015년 기준) |
웹사이트 | 신대구부산고속도로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