쑤이펀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쑤이펀허시는 흑룡강성 목단강시 관할의 현급시로, 4천 년 전부터 만주족의 조상인 숙신인들이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1860년 베이징 조약 체결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고, 1897년 동청철도 개통으로 대러시아 무역 기지가 되었다. 1926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인가를 받아 변경 개방 도시로 지정되었다. 쑤이펀허시는 러시아와의 교역이 활발하며, 특히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보따리상들이 많이 방문하면서 상업 도시로 발전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목재 가공업, 관광업, 종합 보세구 등이 있다. 쑤이펀허는 중국과 러시아의 철도 및 도로 국경 통과 지점이며, 일본과의 협력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단장시의 행정 구역 - 하이린시
하이린시는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풍부한 삼림 자원과 철도, 도로 교통의 발달, 그리고 다양한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 무단장시의 행정 구역 - 둥안구
둥안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무단장 시에 위치한 시할구로, 1901년 동청 철도 개통과 함께 시가지가 형성되어 행정 구역 명칭 변경을 거쳐 1980년 둥안구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5개의 가도를 관할하고 교통의 요지이다. - 헤이룽장성의 현급시 - 하이린시
하이린시는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풍부한 삼림 자원과 철도, 도로 교통의 발달, 그리고 다양한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 헤이룽장성의 현급시 - 퉁장시
퉁장시는 헤이룽장성 북동부에 위치한 러시아 국경 도시로, 쑹화강과 아무르강 합류 지점에 있으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2022년 철도교 개통으로 중국-러시아 간 철도 통로가 되었다.
쑤이펀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绥芬河市 |
유형 | 현급시 및 부지급시 |
토지 면적 | 460km² |
인구 | 100,000명 |
고도 | 464m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157300 |
지역 번호 | 0453 |
기후 | 냉대 습윤 기후 (Dwb) |
웹사이트 | suifenhe.gov.cn |
행정 구역 | |
관할 | 2개의 진 |
시 정부 소재지 | 쑤이펀허 진(绥芬河镇) |
지리 | |
위치 | 무단장 시 내 위치 |
역사 | |
건치 | 1975년 |
언어별 명칭 | |
만주어 | (수이푼 울라) |
기타 정보 | |
중국어 병음 | Suífēnhé |
가타카나 | 스이펜호 |
행정 구역 코드 | 231081 |
2. 역사
쑤이펀허시는 발해의 영토였다. 1945년 8월 소비에트 군이 일본 점령하의 만주를 침공했을 때, 쑤이펀허와 주변 국경 지대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
2. 1. 고대
만주족의 조상인 숙신인들이 4천 년 전부터 이곳에서 생활하기 시작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1] 쑤이펀허시는 고조선, 부여 등 한민족 초기 국가들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고구려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읍루, 숙신 등의 민족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2. 2. 발해와 그 이후
당대에는 발해 율빈부 화주의 땅이었고, 금나라 시대에는 상경로 휼품로에 속했다.[1] 원대에는 요양중서성 개원로 만호부에 속했고, 명대에는 누르간 도지휘사사 율빈강위에 속했으며, 청대에는 녕고탑 부도통 관할 구역이었다.[1]2. 3. 근현대
1860년 중러 베이징 조약 체결로 쑤이펀허 지역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1]1897년 러시아가 건설한 동청철도가 개통되어 쑤이펀허 지역의 일부는 철로 부속지가 되었으며, 러시아가 운영하는 하얼빈 철로국이 관리했다.[1] 1921년 중동 철도의 부속지 행정권이 회수되었고, 1926년 쑤이펀허 시가 설치되었다.[1] 철도 개통으로 쑤이펀허 지역은 대러시아 무역 기지가 되었고, 특히 보따리상의 밀무역으로 번성했다.[1]
1945년 수양현에 편입되었고, 1948년 수양현은 동녕현에 편입되었다.[1]
1968년 쑤이펀허는 현급 구역으로 승격되어 목단강 지구의 관할이 되었지만, 1973년 다시 동녕현에 편입되었다.[1]
1975년 동녕현으로부터 쑤이펀허 시가 분할 설치되어 목단강 지구에 소속되었다.[1]
1984년 쑤이펀허 시가 성할시가 되었고, 목단강 시가 관리를 대행했다.[1]
1992년 국무원의 인가를 받아 제1차 변경 개방 도시로 지정되었다.[1]
1999년 6월,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양 시 사이에 무역구가 탄생했다.[1]
2007년 4월, 국가 목재 유통 협회에 '중국 목업의 도시'로 수여되었다.[1]
2009년 4월, 국무원의 비준으로 '흑룡강 쑤이펀허 종합 보세구'가 설립되었다.[1]
2011년 6월, 쑤이펀허 시가 흑룡강성 직할 현급 시가 되었다.[1]
2017년 11월, 쑤이펀허 시가 목단강 시에 소속되었다.[1]
3. 지리 및 기후
쑤이펀허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b)이다.
3. 1. 기후 특징
쑤이펀허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b)로, 길고 매우 추우면서 건조한 겨울과 따뜻하고 습한 여름이 특징이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의 -16.1°C에서 7월의 19.3°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3.17°C이다. 강수량은 겨울철에 적으며, 연간 강수량의 2/3 이상이 6월부터 9월 사이에 발생한다. 월별 가조시간 비율은 7월의 44%에서 1월과 2월의 64%까지이며, 이 도시는 연간 2,413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하는데, 겨울철 후반기에 특히 햇볕이 잘 든다.[13][14]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10.6°C | -6.2°C | 1.1°C | 11.4°C | 17.9°C | 22.1°C | 24.4°C | 24.4°C | 19.3°C | 11.6°C | 0.2°C | -8.2°C | |
평균 기온 (°C) | -16.1°C | -12°C | -4.6°C | 5.3°C | 11.5°C | 16.2°C | 19.3°C | 19.2°C | 12.8°C | 5.1°C | -5.3°C | -13.4°C | 3.17°C |
평균 최저 기온 (°C) | -20.6°C | -17.1°C | -10.1°C | -0.9°C | 5°C | 10.6°C | 14.8°C | 14.7°C | 7.1°C | -0.6°C | -9.9°C | -17.6°C | |
평균 강수량 (mm) | 8.5mm | 7.7mm | 16.1mm | 31mm | 63.7mm | 91.8mm | 129mm | 107.6mm | 57.1mm | 36.3mm | 15.3mm | 10.8mm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6.1 | 6.8 | 8.2 | 9.6 | 13.0 | 15.6 | 15.2 | 14.1 | 10.7 | 8.7 | 7.9 | 7.9 | |
평균 상대 습도 (%) | 65 | 61 | 57 | 54 | 61 | 76 | 83 | 82 | 75 | 61 | 61 | 65 | |
평균 월간 일조 시간 | 182.1 | 188.5 | 229.9 | 216.4 | 236.5 | 211.2 | 206.3 | 203.4 | 206.9 | 206.1 | 169.2 | 156.7 | 2,413 |
일조율 (%) | 64 | 64 | 63 | 54 | 52 | 46 | 44 | 47 | 55 | 61 | 59 | 57 | 54 |
4. 행정 구역
- 쑤이펀허진 ()
- 푸닝진 ()
5. 경제
綏芬河|쑤이펀허중국어시는 러시아와의 국경 무역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해왔다. 1897년 동청철도 개통으로 쑤이펀허 지역은 대러시아 무역 기지가 되었고, 특히 보따리상의 밀무역으로 번성했다.[12] 1992년 국무원의 인가를 받아 제1차 변경 개방 도시로 지정되었다.
최근 쑤이펀허를 찾는 러시아 관광객은 연간 약 30만 명에 달하지만, 그 대부분은 보따리상이다. 이 때문에 헤이룽장성에서는 성도 하얼빈 다음으로 부유한 도시가 되었으며, '북방의 작은 선전'이라고 불린다.
일본과의 협력 방안은 다음과 같다.
- "육해 연운 대통로"(헤이룽장성→블라디보스토크→일본)를 통한 물류 루트 확대.
- 대외 무역, 목재의 정밀 가공, 수출 가공에서의 협력.
- 쑤이펀허-블라디보스토크-일본 간 관광 교류 (또는 역 루트).
5. 1. 주요 산업
綏芬河|쑤이펀허중국어시는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서 많은 보따리상이 상품을 사러 오게 되면서 이들을 상대하는 상업 도시로 크게 발전했다.[12] 러시아와의 교역 및 소규모 무역이 활발하며, 특히 보따리상을 통한 무역이 주를 이룬다.[12]공업에서는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목재 가공업이 발달했다. 2007년 4월에는 국가 목재 유통 협회로부터 '중국 목업의 도시'로 지정되기도 했다.
최근 러시아 관광객은 약 30만 명에 달하며, 이들 대부분은 보따리상이다. 러시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업도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 제품의 저렴한 가격은 러시아 관광객의 수요에 부응하고 있다. 주말에는 쑤이펀허 시 검문소를 통해 쇼핑하러 입국하는 관광객 수가 2000명 정도에 달한다.
2009년 4월에는 국무원의 비준으로 '흑룡강 쑤이펀허 종합 보세구'가 설립되었다. 이곳은 비관세 지역으로, 외국 상품의 무관세 수입, 국산 상품의 수출세 환급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물류, 가공, 무역, 금융 서비스, 전시회 개최 등의 기능이 수행될 예정이며, 중국, 일본, 한국에서 러시아 시장으로의 상품 공급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1999년 6월에는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양 시 사이에 무역구가 탄생했다. 양국 국민은 이 무역구에서 수입 관세 및 수입 환절세가 면제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5. 2. 경제 현황
쑤이펀허 시는 헤이룽장성에서 하얼빈 다음으로 부유한 도시로, '북방의 선전'이라고 불린다.[12]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서 많은 보따리상이 상품을 사러 오게 되면서 이들을 상대하는 상업 도시로 크게 발전했다. 绥芬河중국어는 러시아와 중국 간 교역 및 소규모 무역이 빈번하며,[12] 특히 보따리상의 밀무역으로 번성했다.2000년대 후반 금융 위기 등으로 관광객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경제 회복과 함께 러시아인의 구매력이 향상되면서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중국 정부는 쑤이펀허 시를 동북 지방의 주요 경제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9년 4월에는 국무원의 비준으로 '헤이룽장 쑤이펀허 종합 보세구'가 설립되었다. 이는 동북 지방에서 유일한 내륙의 종합 비관세 지역으로, 외국 상품은 무관세로 수입되고 국산 상품은 수출품으로 간주되어 수출세 환불 혜택을 받는다. 1999년 6월에는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양 시 사이에 무역구가 탄생하여 양국 국민은 이곳에서 수입 관세 및 수입 환절세(수입 부가가치세)가 면제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공업에서는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목재 가공업이 발달했으며, 최근에는 러시아를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도 연간 7만 명 정도이다.
일본과의 협력도 제안하고 있는데, "육해 연운 대통로"(헤이룽장 성→블라디보스토크→일본)를 통한 물류 루트 확대를 통해 헤이룽장 성·일본 간 거리를 1,000km 단축할 수 있다고 한다.
6. 교통
만주횡단철도의 일부 구간인 빈쑤이 철로(하얼빈역~쑤이펀허역)가 지나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시작되는 시베리아횡단철도에서 분기하여 러시아 포그라니치니역과 연결되는 국제철도역이다.[8] 국경을 넘는 철도는 화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2015년 기준으로 이 철도를 통해 러시아에서 중국으로 들어오는 주요 화물은 철광석이었다.[9]
G10 쑤이펀허-만저우리 고속도로와 국도 301호선이 쑤이펀허에서 끝나며, 도로 국경 통과 지점을 통해 러시아의 A184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중국 쑤이펀허와 포그라니치니 사이를 오가는 버스와 러시아 포그라니치니-쑤이펀허 구간을 운행하는 801번 버스가 상시 운행된다.[11]
6. 1. 철도
만주횡단철도의 구간 노선인 빈쑤이 철로(하얼빈역~쑤이펀허역)의 철도역이자 블라디보스토크의 시베리아횡단철도에서 분기한 러시아 포그라니치니역과 연계되는 국제철도역이다.[8] 국경을 넘는 철도 노선은 화물 운송에 중요하며, 2015년 기준으로 이 철도 국경을 통해 러시아에서 중국으로 들어오는 주요 화물은 철광석이다.[9]6. 2. 도로
G10 쑤이펀허-만저우리 고속도로와 국도 301호선의 종점이다. 도로 국경 통과 지점을 통해 러시아의 A184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중국발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구간 버스와 러시아 포그라니치니-쑤이펀허 구간 버스인 801번이 상시 운행한다.[11]6. 3. 출입국 검사
쑤이펀허시는 중국과 러시아의 철도 시스템이 중-러 국경의 철도 국경 통과 지점을 통해 연결되는 지점 중 하나이다. 이 철도 노선은 20세기 초에 중국동청철도로 건설되었으나, 현재는 하얼빈-쑤이펀허 철도의 종착역 역할을 한다. 국경 반대편의 기차역은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포그라니치니에 있는 그로데코보이다.G10 쑤이펀허-만저우리 고속도로와 쑤이펀허에서 종착하는 국도 301호선은 도로 국경 통과 지점을 통해 러시아의 A184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러시아 측 국경 통과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는 포그라니치니이다.
1999년 6월,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양 시 사이에 무역구가 탄생했다.
7. 국제 관계
=== 러시아와의 관계 ===
1994년 헤이룽장성 정부와 러시아 연해주 정부는 "중러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국경 양시 무역구 회담 기요"에 조인했고, 1999년 양국 정부 간 외교 문서 교환 확인을 거쳐 발효되어 1999년 6월 쑤이펀허와 포그라니치니 양 시 사이에 무역구가 탄생했다.[12] 이 무역구는 양국 국민에게 수입 관세 및 수입 환절세 면제 혜택을 제공하며, 2011년에는 무역 거래를 위한 무역 스폿이 설립되었다.[12] 무역구는 계획 면적이 4.53km2이며, 총 투자액은 100억위안, 양측의 투자액은 누계 14억위안에 달했다.[12]
최근 쑤이펀허 시에서는 러시아 관광객을 위한 중러 카드 도입 등 새로운 조치가 시행되었다. 러시아 관광객들은 주말에 쑤이펀허 시에서 활발하게 쇼핑을 하며, 이는 쑤이펀허 시의 중요한 풍경이 되었다.
2009년 4월, 중국 정부는 쑤이펀허시에 동북 지방 유일 내륙 종합 비관세 지역 결성을 공식 승인했다. 비관세 지역은 1.18km2 면적에 울타리가 쳐져 있으며, 세관 검사소, 자동차 도로, 통신 시설, 급수·급전·열에너지 공급·가스 공급 시설 건설 작업이 진행 중이다. 쑤이펀허시의 비관세 지역은 중국 정부가 승인한 6번째 지역으로, 비관세 상품의 가공, 운송, 수출입 무역, 금융 서비스, 전시회 개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 일본과의 관계 ===
쑤이펀허시는 러시아와 중국 간의 교역 및 소규모 무역이 빈번한 지역이다.[12]
7. 1. 러시아와의 관계
1999년 6월, 쑤이펀허와 포그라니치니 양 시 사이에 무역구가 탄생했다.[12] 1994년 헤이룽장성 정부와 러시아 연해주 정부는 "중러 쑤이펀허-포그라니치니 국경 양시 무역구 회담 기요"에 조인했고, 1999년 양국 정부 간 외교 문서 교환 확인을 거쳐 발효되어 무역구 건설이 시작되었다. 국가는 이 무역구가 있는 지역에 "양시간 무역을 통해 수입된 상품 중 가격이 8000CNY 이하인 경우 수입 관세 및 수입 환절세(수입 부가가치세)를 면제한다"는 특별 우대 정책을 시행했다. 2011년 8월 9일, 하얼빈 세관은 이 무역구에 양시간 무역 거래를 위한 무역 스폿 설립을 공식 인가했다. 국경 지역 주민들은 양시간 무역 거래를 하게 되었고, 양국 국민은 이 무역구에서 수입 관세 및 수입 환절세가 없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12]이 무역구는 계획 면적이 4.53km2이며, 총 투자액은 100억위안에 달할 전망이다. 중국 측 국경 내에는 국제 상업 전시 센터, 비즈니스 회의용 호텔, 동방의 정취를 담은 거리, 물류 가공 산업 지역 등이 건설될 예정이다. 러시아 측 국경 내에는 비즈니스 오피스 지역, 금융 센터, 저장·가공 지역 등이 건설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양측의 투자액은 누계 14억위안에 달했다.[12]
최근 쑤이펀허 시에서는 러시아 관광객을 위한 중러 카드 도입 등 새로운 조치가 시행되었다. 러시아 관광객은 중국어 카드를 모르기 때문에 중러 카드가 도입되었고, 이는 러시아 관광객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러시아 세무 기관의 규칙에 따라 카드가 없는 사람은 입국할 수 없게 되어 중러 카드는 입국 필수 서류가 되었다.
러시아 관광객들은 주말에 쑤이펀허 시에서 활발하게 쇼핑을 한다. 현재 매주 쑤이펀허 시 검문소를 통해 쇼핑하러 입국하는 관광객은 2000명 정도이며, 이는 쑤이펀허 시의 중요한 풍경이 되었다. 올해 전반기에는 금융 위기 등으로 쑤이펀허 시 검문소를 통과하는 관광객 수가 감소했지만, 경제 회복으로 러시아인의 구매력이 향상되고 러시아 세무 기관의 외국 체류 중 구매 제한이 중지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다. 또한, 저렴한 중국 제품은 러시아 관광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어 주말 쑤이펀허 시 검문소는 많은 사람들로 붐빈다.
중국은 러시아 연해주와의 국경에 위치한 헤이룽장성 쑤이펀허시에 비관세 지역을 빠르게 건설하고 있으며, 현재 조업을 시작했다.
2009년 4월, 중국 정부는 쑤이펀허시의 동북 지방 유일 내륙 종합 비관세 지역 결성을 공식 승인했다. 같은 해 9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동북 지방 등 기존 공업 기지 부흥 전략의 향후 실시에 대한 의견"을 통해 쑤이펀허시 종합 비관세 지역의 조기 건설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중국 동북 지방이 러시아 연해주와의 관계를 확대하고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9월 쑤이펀허시 행정부는 비관세 지역 건설을 위해 20일 이상 콰니고우 촌의 122가구를 이주시켰다. 이주민들을 위해 콰니고우 촌에서 2km 떨어진 곳에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다.
비관세 지역은 1.18km2 면적에 울타리가 쳐져 있으며, 세관 검사소, 자동차 도로, 통신 시설, 급수·급전·열에너지 공급·가스 공급 시설 건설 작업이 진행 중이다. 중국에서 비관세 지역은 개방도가 높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많은 특전을 받는 경제 특구이다. 쑤이펀허시의 비관세 지역은 중국 정부가 승인한 6번째 지역으로, 비관세 상품의 가공, 운송, 수출입 무역, 금융 서비스, 전시회 개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쑤이펀허시 전략 연구 센터 연구원 스니 슈리니는 종합 비관세 지역에서 외국 상품은 무관세로 수입되고, 국산 상품은 수출품으로 간주되어 수출세 환급을 받는다고 설명한다. 기업은 이 지역에서 화물 보관, 사업 시작, 무역을 할 수 있다. 쑤이펀허시 종합 비관세 지역 관리 위원회 부위원장 시지니치는 쑤이펀허시가 중국, 일본, 한국에서 러시아 시장으로 상품을 공급하는 중심지가 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 지역에서 중국의 이웃 국가들이 사업을 시작하고 무역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7. 2. 일본과의 관계
쑤이펀허시는 러시아와 중국 간의 교역 및 소규모 무역이 빈번한 지역이다.[12]참조
[1]
웹사이트
绥芬河卢布现钞使用试点进入正式实施阶段
http://rmb.xinhua08.[...]
中国金融信息网
2021-02-27
[2]
웹사이트
绥芬河试点使用卢布现钞-新华网
http://www.xinhuanet[...]
2021-02-27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7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7
[5]
웹사이트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6]
웹사이트
2011年统计用区划代码和城乡划分代码:绥芬河市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2-18
[7]
웹사이트
国家统计局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12-07
[8]
웹사이트
Russian train schedules site
http://www.poezda.ne[...]
[9]
웹사이트
绥芬河铁路口岸2015年1至5月进口铁矿创历史同期新高
http://news.huochepi[...]
[10]
웹사이트
쑤이펀허 시 공식홈페이지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러시아 버스정보
https://www.vl.ru/tr[...]
[12]
웹사이트
(동아일보 - [中 변경을 가다]<下>헤이룽장성 쑤이펀허)
http://news.donga.co[...]
[13]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14]
웹인용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old-cdc.cma.g[...]
중국기상국
2010-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