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난다 (몽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난다는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의 손자이자 안서왕 만갈라의 차남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그는 아버지의 작위를 계승하여 중국 서부 일대를 지배했으며, 오고타이 가문의 카이두와 전투를 벌였다. 테무르 칸 사후, 황후 불간의 지지를 받아 권력을 잡으려 했으나 쿠데타로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아난다는 몽골 황족 중 이슬람교 신앙을 가진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며, 그의 사후, 그의 영지는 동생에게 넘어갔다. 2009년에는 그의 묘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의 무슬림 - 아흐마드 파나카티
    아흐마드 파나카티는 원나라 초기의 재정 관료로서 쿠빌라이 칸의 신임을 받아 재정 확립에 기여했으나 가혹한 세금 제도로 민중의 불만을 샀고, 몽골 귀족과의 갈등 속에 암살당했으며, 역사적 평가는 엇갈린다.
  • 원나라의 무슬림 - 포수경
    포수경은 남송 시대에 무역상으로 성장하여 원나라에 투항, 남송 멸망에 기여하고 원나라에서 중용되어 취안저우를 무역항으로 발전시킨 인물이다.
  • 1307년 사망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1307년 사망 -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1세는 1272년부터 1307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플랜태저넷 왕조의 국왕으로, 왕실 권력 회복, 웨일스 정복,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분쟁 개입, 법률 정비 및 의회 제도 발전 등 잉글랜드의 영향력 확대와 통치 체제 강화에 기여했다.
아난다 (몽골)
기본 정보
안서왕 인장
안서왕 인장
칭호안서왕
카안
존호법본가와
통치
통치 시작1293년
통치 종료1307년
선임카말라
후임아난다
개인 정보
출생1267년
사망1307년
아버지뭉케
어머니바이린케 부인
형제자매시린기, 쿠투쿠, 테무데르
친척쿠빌라이 칸 (삼촌)
종교불교

2. 생애

쿠빌라이의 손자이자 안서왕(安西王) 만갈라의 차남이다. '아난다'라는 이름은 석가의 십대 제자 중 한 명인 아난다(아난)에서 따온 것이지만, 아난다 자신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집사』 쿠빌라이 칸기 · 제자표에 따르면, 그가 "아난다"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그가 태어났을 때 인근 부족이 반란을 일으켰고 그 부장(아미르)의 이름이 "아난다"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1280년 아버지 만갈라가 사망하자 안서왕의 작위와 영지를 계승하여 경조부(당나라장안, 현재의 시안시) 및 개성부(육반산, 현재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구위안시위안저우구)를 중심으로 산시, 간쑤, 쓰촨중국 서부 일대를 지배했다. 1294년 사촌인 테무르가 즉위하고, 몽골 고원 서부 알타이 산맥 방면에서 오고타이 가문의 카이두와의 전투가 격렬해지자, 아난다도 몽골 고원에 투입되어 쿠빌라이의 증손자인 회녕왕 카이샨과 함께 오고타이 가문과 싸웠다.

1306년, 오고타이 가문에 속했던 아리크부케 가문의 멜리크 테무르가 항복하자, 아난다는 멜리크 테무르와 함께 원의 수도 대도로 향했다. 그러나 1307년 정월, 테무르 칸이 병사하자, 정무를 돌보던 황후 불간은 테무르의 사후에도 권세를 유지하기 위해 카이샨과 아유르바르와다 형제가 아닌, 테무르의 사촌이자 방계인 아난다를 옹립하려 했다. 아난다는 불간의 유혹에 넘어가 멜리크 테무르와 함께 대도로 들어가 한때 정권을 탈취했다[7]

그러나 불간의 전횡에 반대하는 중신들이 몰래 아유르바르와다를 허난에서 대도로 불러들여 쿠데타를 일으켰으므로, 아난다는 칸으로 즉위하기 전에 불간, 멜리크 테무르와 함께 체포되었다. 이어서 카이샨이 상도에 도착하여, 아유르바르와다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자, 아난다는 카이샨에 의해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8]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쿠빌라이 칸의 셋째 아들이자 차브이 카툰의 셋째 아들인 안서왕 망갈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알탄 부카를 둘째 아들로 보는 설에 의하면 아난다가 망갈라의 장남이 된다.[7] 그의 이름은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한 명인 아난다 존자의 이름을 따서 지었으나[8], 성장하면서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 라시드 웃딘에 의하면 아난다는 양아버지이자 유모의 남편인 핫산 아이아치의 영향으로 무슬림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원나라 내 몽골 황족 중 이슬람교를 믿는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였다.

1272년 10월 아버지 망갈라는 안서왕(安西王)에 책봉되고, 구 하서(서하의 옛 영토)를 봉지로 하사받았다. 1280년 아버지 망갈라가 사망하자, 쿠빌라이 칸은 아난다가 어리다는 이유로 안서왕부 부활 요청을 거절했다가 얼마 뒤 승인하였다. 그는 경조부(현 시안시)와 개성부(현 닝샤후이족자치구 구위안시 위안저우구)를 거점으로 섬서성, 감숙성, 사천성 일대를 지배하였다.

2. 2. 안서왕 계승과 통치

1280년 아버지 망갈라가 사망하자, 망갈라의 왕비는 안서왕부를 부활해줄 것을 쿠빌라이 칸에게 요청했다. 쿠빌라이 칸은 아난다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처음에는 수락하지 않았으나, 얼마 뒤 승인하였다.[7] 아난다는 경조부(京兆府, 구 당나라의 장안부, 현재의 시안시(西安市))와 개성부(開成府, 륙판산(六盤山) 근처, 현 닝샤후이족자치구 구이위안시(固原市) 위안저우구(原州区) 주변)를 근거지로 하여 섬서성, 감숙성, 사천성 일대를 통치하였다.

아난다는 아버지의 안서왕위를 계승하였고, 형 또는 동생인 알탄부카는 진왕위와 인장을 계승했다. 처음 통치한 곳은 현재의 중국 시안시를 중심으로 하는 산시성 안시현 일대였다. 나중에 아난다는 형 또는 동생 알탄부카의 진왕작위를 차지하였다. 알탄부카가 진왕에서 해임되고 아난다가 그 작위를 차지한 이유는 원사, 원사연의에 나타나지 않는다. 아난다는 류판산(六盤山)과 장안(長安)을 오가면서 거주하였다.

1293년 6월 2일 하서(河西)의 질자군(質子軍)을 이끌고 서번(西番)을 토벌하였다.[7]

2. 3. 군사 활동과 이슬람 신앙

1294년 쿠빌라이 칸이 사망하고 원 성종이 즉위한 직후, 오고타이 한국의 카이두가 몽골 서부를 침공했다. 원 성종은 안서왕 아난다와 회령왕 카이산에게 군사를 주어 카이두와 교전하게 했다. 1295년1302년에도 아난다는 카이두와의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11]

아난다는 독실한 무슬림이었다. 그는 15만 명의 군사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켰고, 영지 내 몽골 아이들에게 할례를 시행하는 등 이슬람교 전파에 힘썼다. 원 성종은 아난다의 이슬람 신앙을 반대하며 불교로 개종할 것을 권유했으나, 아난다는 이를 거절하였다. 황후 코코친의 중재 덕분에 아난다는 종교적 자유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10]

1302년 11월, 아난다는 사신으로 고려에 파견되어 충렬왕에게 예물을 바쳤다.[11]

2. 4. 정변 실패와 죽음

1307년 1월 8일 원 성종 올제이투 테무르 칸이 사망하자, 불루간 대카툰은 아난다를 옹립하여 권력을 유지하려 하였다. 당시 투루판에 주둔 중이던 아난다는 불루간 대카툰의 부름을 받고 군사를 이끌고 1월 5일상도에 도착, 대도로 진입하여 정권을 장악하려 시도하였다.[7] 그러나 우승상 하라하슨이 허베이성에 있던 아유르바르와다와 다기 카툰 측에 밀사를 보내 아난다 추대 사실을 알렸다. 하라하슨은 인장 등을 감춘 뒤 병을 핑계로 결재를 미루었다.

3월 3일 아유르바르와다가 군사를 이끌고 대도로 잠입, 쿠데타를 일으켜 승상 아구타이를 죽이고 불루간 대카툰을 폐하였다. 아난다 역시 체포되어 상도로 연행되었고, 남은 부하들은 투루판 북서쪽으로 도주했다. 그해 6월 21일(음력 5월 21일) 상도에서 카이샨이 즉위하면서, 아난다는 카이샨의 명으로 메리크테무르와 함께 사사되었다.[8] 일설에는 참수당했다는 설도 있다.

3. 사후

그의 영지인 구 서하 지역, 감숙성, 쓰촨성 북부, 투루판 일대는 원 무종이 동생 아유르바르와다에게 넘겨주었다가, 1323년 아난다의 아들 오루크 테무르에게 상속되었다. 아난다의 패배와 실각 이후에도 중국 서북부의 이슬람인들은 살아남았고, 후일 후이족의 근간이 되었다. 그가 차지했던 진왕 작위는 동생 알탄부카에게 되돌아갔다.[1]

그의 아들 오루크 테무르는 추종자들과 카이산 치세부터 여러 번 안서왕부 부활을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했고, 오루크 테무르는 영종 즉위 후 1323년 2월 윈난 성 유배에서 풀려나 1323년 9월 4일 안서왕에 봉해졌다.[1]

2009년 3월 25일 내몽골 자치구의 구 상도 유적지 200km 떨어진 구위안현에서 아난다의 묘지가 발굴되었다. 가운데 남성의 관곽이 40세가량 남성의 유골이었고, 양쪽으로는 그의 두 부인으로 추정되는 여성의 유골이 목관곽에 담겨 있었다. 이 묘는 아난다의 묘라는 설과, 쿠빌라이 칸의 다른 자손인 딸 월렬공주(月烈公主)와 외손 쾨르키스의 묘라는 설이 있다.[1]

『원사』 권107・종실 세계표에는 아난다의 아들로 올루크 테무르(월로철목아) 왕가 기록되어 있으며, 『집사』 쿠빌라이 카안기・제자표에 따르면 아난다에게는 아들로 상술한 울루크 테무르( Ūruk Tīmūr:월로첩목아와 동일)가 한 명, 이름 불명의 딸이 한 명 있었다고 한다.[1]

4. 가계


  • 안서왕 망갈라(Mangγalamn)
  • * 아르슬란 부카
  • * 진왕 알탄 부카
  • * '''안서왕 아난다'''
  • ** 안서왕 올루그 테무르
  • ** 이름 미상의 딸 (원사 및 집사에 기록)
  • ** 우루진 공주 ([12], 신원사에 기록)

참조

[1] 서적 History of Yuan
[2] 웹사이트 成吉思汗在六盘山区的活动及影响 http://www.nmg.xinhu[...] 2017-06-04
[3] 서적 New History of Yuan
[4] 서적 History of Yuan
[5]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Chinese Islam http://norislam.com/[...] 2017-06-04
[6] 서적 元史
[7] 서적 도ーソン 1971
[8] 서적 도ーソン 1971
[9]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New York 1971
[10]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New York 1971
[11] 문서 카치운-제남왕 아루치타이(済南王 按只吉歹)-차쿠르(察忽剌)-야지리
[12] 문서 쿠빌라이의 딸로, 카부카(适孛花)의 아내이며, 창국공주에 봉해진 우루진과는 동명이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