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네모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네모네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식물로, 붉은색, 흰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운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꽃잎처럼 보이는 꽃덮이 조각과 검은색 중심부를 특징으로 하며, 겹꽃과 홑꽃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한다. 아네모네는 전초에 독성 물질인 프로토아네모닌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에 닿으면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문화적으로는 이스라엘의 국화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신화와 전설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나리아재비과 - 매발톱꽃
매발톱꽃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식물로, 자갈색 꽃받침과 노란색 꽃잎, 그리고 뒤쪽으로 뻗은 자갈색의 거(距)가 있는 아래를 향한 꽃을 피우며, 애기앉은부채와 큰산매발톱꽃 등의 하위 분류군이 있다. - 미나리아재비과 - 복수초
깊은 산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인 복수초는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방에서 약재로 쓰이지만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예술 분야에서 이미지가 활용되기도 한다. - 이스라엘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 이스라엘의 식물상 - 루콜라
루콜라는 이탈리아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향미 채소로, 볶은 참깨와 비슷한 풍미와 매운맛이 특징이며, 샐러드, 피자 토핑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하며, 한해살이풀로 재배가 용이하다. - 시리아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 시리아의 식물상 - 치커리
치커리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은 샐러드, 뿌리는 커피 대용품, 일부 품종은 사료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도 활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식용된다.
아네모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nemone coronaria |
이명 | 버튼이치게 (牡丹一華) 하나이치게 (花一華) |
어원 | 그리스어 'Άνεμος(Anemos, 바람)'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목 | 미나리아재비목 |
과 | 미나리아재비과 |
아과 | 미나리아재비아과 |
속 | 아네모네속 |
종 | 아네모네 (Anemone coronaria) |
2. 특징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초본 다년생 구근 식물로, 키는 20cm에서 40cm 정도(드물게 60cm까지) 자라며, 옆으로는 15cm에서 23cm 정도 퍼진다. 뿌리잎은 몇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잎은 세 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되고 각 작은잎은 깊게 갈라져 있다. 4월부터 6월까지 키 큰 줄기에 꽃이 하나씩 달리며, 꽃 바로 아래에는 작은 잎들이 돌려나기로 난다. 꽃은 지름 3~8cm이며, 꽃잎처럼 보이는 꽃덮이 조각이 5~8개이고 붉은색(흰색 또는 파란색일 수도 있음)이며 검은색 중심부를 가지고 있다. 화분은 건조하며, 무늬가 없는 외막을 가지고 있고, 지름이 40nm 미만이며, 보통 1.5m 이내에 흩뿌려진다. 중앙의 융기부는 중앙에 빽빽하게 모여 있는 암술들로 구성되며, 그 주위에는 수술들이 왕관 모양의 고리로 배열되어 있어 종의 종소명인 ''coronaria''가 붙게 되었다. 이 꽃은 200~300개의 종자를 생성한다. 이 식물은 단단한 검은색 괴경을 저장 기관으로 형성한다.
아네모네속 내에서 아네모네(Anemone coronaria)는 아네모네아과, 아네모네절, 아네모네아절에 속한다. 아네모네 호르텐시스, 아네모네 팔마타, 아네모네 파보니나, 아네모네 소말리엔시스와 함께 아네모네 계열을 구성하는 다섯 종 중 하나이다. 아네모네는 이 계열 내에서 아네모네 소말리엔시스의 자매군이다. 이 계열은 지중해 괴경성 아네모네의 분지군이며, 아네모네아과의 모식종이다.[10]
''아네모네 코로나리아''(Anemone coronaria)는 꽃 중앙의 왕관 모양 때문에 '왕관 아네모네'를 의미하며, 왕족을 연상시킨다. 아랍어 이름은 ''샤카익 안누만''(shaqa'iq An-Nu'man)으로, 직역하면 "누만의 상처" 또는 "조각들"을 의미한다.[1][2]
아네모네는 지중해 연안 지역이 원산지이다. 그리스, 알바니아, 터키 남부, 시리아, 이라크, 아라비아 북부에서 시나이 반도까지 분포하며, 이란 동부와 이탈리아, 프랑스 남부,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을 따라 서쪽으로 산발적으로 분포한다.[9]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미국 농무부 내한성 구역 7~10 지역, 즉 양지바른 곳에서 반그늘을 선호하는 환경에서 잘 자란다.[10] 원산지 기후에서는 다년생이지만, 서늘한 기후에서는 구근에서 일년생으로 재배되는 경우가 많다.
꽃이 양귀비와 비슷한 것 외에도, 붉은색의 단일 야생종 꽃은 '''아시아산 미나리아재비'''의 붉은색 단일 야생종 꽃과 유사하다. 원산지인 지중해 지방에서는 비교적 비가 많은 겨울에 자라며, 초여름에 지상부가 말라 죽으면 구근(괴근)이 되어 덥고 건조한 여름을 난다. 일본에서는 기온이 내려가는 가을에 싹을 틔워 봄에 피고 여름 전에 지상부가 말라 죽어 괴근을 만들고 휴면한다.[10]
일반적으로 봄에 꽃을 피우는데, 꽃은 홑꽃부터 겹꽃까지, 꽃 색깔도 분홍색, 파란색, 빨간색, 흰색 등 다양하다. 키도 절화용 고성종부터 왜성종까지 있으며, 야생종뿐만 아니라 현재는 다양한 원예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씨앗에는 긴 털이 있어 바람에 의해 운반된다. 이 때문에 "바람"이라는 뜻이 포함된 이름이 여러 지역에서 볼 수 있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잎이 같은 역할을 한다.
이스라엘에서는 2013년부터 시클라멘을 대신하여 국화가 되었다.[11]
3. 분류
4. 어원
이 이름의 유래는 안누만 3세 빈 알문티르와 관련이 있다. 안누만 3세는 아랍계 기독교인이자 알-히라의 마지막 락힘 왕(582년~609년경)으로, 통치 기간 동안 아네모네를 보호했다고 알려져 있다.[1] 전설에 따르면 사산 제국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후 그의 무덤에서 아네모네가 피어났다고 한다.
다른 유래는 식량과 식물의 수메르 신인 탐무즈와 관련이 있다. 탐무즈의 페니키아어 별칭은 "네아만"(Nea'man)이었다.[3] 탐무즈는 그리스 신화의 아도니스로 여겨지는데, 멧돼지 사냥 중 상처를 입고 죽은 후 아도니스의 피로 물든 꽃으로 변신했다는 이야기가 있다.[3] 탐무즈의 별칭 "네아만"은 아랍어 "안누만"(시리아어를 통해 유입)과 그리스어 "아네모네"의 기원으로 여겨진다.[3]
히브리어로 아네모네는 ''칼라닛 메추야''(kalanit metzuya)이다. "칼라닛"(Kalanit)은 "신부"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칼라"(kala כלה)에서 유래했고, "메추야"(metzuya)는 "흔한"을 의미한다. 칼라닛은 결혼식 날 신부처럼 아름답고 위엄있어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얻었다.[4] 2013년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이스라엘 자연보호협회와 Ynet의 여론 조사에서 이스라엘의 국화로 선정되었다.[5] 이스라엘에서는 매년 붉은 아네모네 개화를 기념하는 축제가 열린다.[6]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 시절, 영국 낙하산 부대는 붉은 베레모 때문에 "칼라니요트"(kalaniyot)라는 별명을 얻었다.[7]
아네모네의 붉은색은 팔레스타인 깃발을 연상시켜 팔레스타인의 상징이기도 하다.[8]
5. 분포 및 서식지
야생에서 *아네모네 코로나리아*(A. coronaria)는 겨울에 꽃을 피우며 벌, 파리, 딱정벌레에 의해 교차 수분되며, 이러한 곤충들은 꽃가루를 장거리로 운반할 수 있다. 원산지인 지중해 지방에서는 비교적 비가 많은 겨울에 자라며, 초여름에 지상부가 말라 죽으면 구근(괴근)이 되어 덥고 건조한 여름을 난다.
6. 재배
한국에서는 주로 가을에 구근을 심어 봄에 꽃을 피운다. 9월 말부터 11월 초 사이에 구근의 뾰족한 쪽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심는다. 심는 간격은 약 20cm이며, 화분에 심는 경우에는 지름 약 18cm(6寸) 화분에 3개의 구근을 심는다. 흙은 약 2cm 정도 덮어준다.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이라면 비교적 잘 개화하며, 거름을 너무 많이 주지 않고 관리하면 몇 년 동안 계속 심어 놓아도 꽃을 피울 수 있다.[10]
6. 1. 품종
현대 원예품종은 매우 큰 꽃을 피우며, 밝은 색과 파스텔 색, 그리고 두 가지 색깔이 섞인 품종까지 다양한 색상을 자랑한다. 중심부는 보통 검은색이지만, 흰색 품종에서는 연한 녹색일 수도 있다. 줄기는 40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각 식물은 13~15개의 꽃을 피울 수 있다.[10]
수많은 원예품종이 선발 및 명명되었으며, 그중 가장 인기 있는 품종으로는 드 칸(De Caen, 홑꽃)과 세인트 브리지드(St. Brigid, 겹꽃 및 겹겹꽃) 계열이 있다.
계열 | 특징 | 주요 품종 | 비고 |
---|---|---|---|
드 칸 (De Caen) | 홑꽃, 다양한 색상 | Bicolor (흰색과 빨간색), Blue Poppy (파란색), Mr Fokker (보라색), Sylphide (진한 분홍색), The Bride (흰색) | 18세기 프랑스 캉, 바요 지방에서 유래, 양귀비 아네모네라고도 불림 |
세인트 브리지드 (St. Brigid) | 겹꽃 및 겹겹꽃, 다양한 색상 | Lord Lieutenant (보라색 계열 파란색), The Governor (빨간색) | 아일랜드 유래, 지역 성인 이름에서 유래 |
Rissoana | 매우 소박하고 이른 시기(11월)에 개화 | ||
Grassensis | 봄에 큰 겹꽃 |
드 칸 계열은 18세기에 프랑스의 캉과 바요 지방에서 재배된 잡종이며, 'Bicolor'(흰색과 빨간색), 'Blue Poppy'(파란색), 'Mr Fokker'(보라색), 'Sylphide'(진한 분홍색), 'The Bride'(흰색) 등이 포함된다. 진짜 양귀비(Papaveroideae)와 매우 흡사하여 양귀비 아네모네라고도 불린다. 세인트 브리지드 품종은 아일랜드에서 유래했으며, 그 지역의 성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Lord Lieutenant'(보라색 계열의 파란색)과 'The Governor'(빨간색) 등이 포함된다.[10]
7. 갤러리
8. 독성
전초, 특히 즙액에 프로토아네모닌이라는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즙액이 피부에 닿으면 피부염, 수포, 화농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원예할 때 주의해야 한다.
독성분 | 프로토아네모닌 |
---|---|
독성 부위 | 전초, 즙액 |
중독 증상 | 피부염, 수포, 화농 |
참조
[1]
서적
Arabic-English Lexicon
https://books.google[...]
Islamic Book Centre
1872
[2]
서적
The Poetics of Anti-colonialism in the Arabic Qaṣīdah
https://books.google[...]
BRILL
2004
[3]
서적
History of Syria
https://archive.org/[...]
2020-07-02
[4]
웹사이트
Anemone coronaria
http://www.wildflowe[...]
[5]
뉴스
הכלנית: הזוכה בתחרות "הפרח של ישראל"
http://www.ynet.co.i[...]
2013-11-25
[6]
웹사이트
60,000 flock to south where fields torched by incendiary balloons now bloom
https://www.timesofi[...]
2019-02-02
[7]
서적
One Palestine, Complete: Jews and Arabs under the British Mandate
Metropolitan Books, Henry Holt and Company LLC
2000
[8]
학술지
Land of Symbols: Cactus, Poppies, Orange and Olive Trees in Palestine
https://doi.org/10.1[...]
2024-01-25
[9]
웹사이트
Anemone coronaria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09-25
[10]
웹사이트
NHK みんなの趣味の園芸 - アネモネの基本情報
https://www.shuminoe[...]
2020-10-11
[11]
웹사이트
'Calanit' (the anemone) crowned as Israel's national flower - National News - Jerusalem Post
https://www.jpost.co[...]
2019-08-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