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누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아누웡은 1804년 비엔티안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불교를 장려하고 왓 시사켓 사원을 건설하는 등 종교 및 문화 정책을 펼쳤다. 1819년 참파삭 왕국을 통합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으나, 1826년 시암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고, 아누웡은 체포되어 방콕에서 처형되었다. 그의 반란은 라오스 민족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라오스에서는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왕족 - 알리 무가얏 샤
    알리 무가얏 샤는 16세기 초 아체 술탄국의 첫 번째 술탄으로, 피디를 정복하고 포르투갈 세력과 대립하며 영토를 확장하다가 1530년에 사망했다.
  • 아시아의 왕족 - 디파느가라
    디파느가라는 1785년 족자카르타에서 태어나 네덜란드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자바 전쟁을 이끌었으며, 체포 후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했고, 인도네시아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1829년 사망 -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는 헝가리 왕국 출신의 체코 문헌학자, 역사학자, 가톨릭 사제로, 체코어와 슬라브어 연구를 통해 체코 민족 부흥 운동에 기여했으며 특히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한 연구로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 1829년 사망 - 존 제이
    존 제이는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로서 독립 전쟁 중 외교관, 초대 대법원장, 뉴욕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독립 선언과 헌법 제정에 참여, 파리 조약 체결에 기여, 연방주의자 논문 저술, 제이 조약 체결 등 미국 건국과 초기 법치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누웡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짜오 아누웡의 동상, 비엔티안의 짜오 아누웡 공원에 위치함
이름짜오 아누웡
로마자 표기Chao Anuwong
라오어 표기ເຈົ້າອານຸວົງສ໌
ໄຊຍະເສດຖາທິຣາຊທີ່ຫ້າ
태국어 표기เจ้าอนุวงศ์
ไชยเชษฐาธิราชที่ห้า
출생1767년, 란쌍 비엔티안
사망1828년 11월 12일, 시암 방콕
왕위
왕국비엔티안의 왕
재위 기간1805년 2월 7일 – 1828년 11월 12일
전체 이름솜뎃 파라마나다 파라마 부파티 솜뎃 브랏 펜 짜오 싱하다무라자, 솜뎃 브랏 파라마 부파티 브랏 마하 카샤트리야 카티야 아디파티 자야세타 자티카수리야 바르만, 앙가 펜 브랏 율루마나야 마하 나가라 찬드라푸리 스리 사다나 카나유다 비수디라타나 라자다나푸리 라마 란 창 크룸 클라오
왕명사이야 세타티랏 5세
선왕인타봉
후임시암에 의해 합병됨
섭정키 멘 (1805–1826)
티싸 (1826–1827)
부왕옹 분
모후프라낭 캄퐁
부왕 (부왕 재위)
부왕의 왕국비엔티안 부왕
부왕 재위 기간1795년 2월 2일 – 1805년 2월 7일
선대 부왕인타봉
후대 부왕키 멘
섭정인타봉

2. 즉위 전

2. 1. 시암의 속국 통치자

3. 치세

1804년, 형 인타봉(Inthavong)이 사망하자, 아누봉(Anouvong)은 시암의 승인을 받아 비엔티안의 통치자가 되었다.

1804년, 그의 형 인타봉(Inthavong)이 사망한 후 아누봉(Anouvong)은 방콕에 의해 비엔티안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Hem Vejakorn(c.1969)이 삽화를 그렸다.


아누웡은 불교를 장려하고 종교적, 상징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펼쳤다. 1813년, 그는 라오스 역사상 세 번째로 상가(sangha) 대회의를 소집하고 새로운 에메랄드 불상을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호 프라 꿰오(Ho Phra Kèo)를 수리하고 에메랄드 불상을 모시기 위한 새로운 사원들을 건립했다. 이상하게도 그는 넓은 메콩강(Mekong)을 가로지르는 큰 다리를 건설할 것을 명령했다.

1819년, 아누웡은 참파삭 왕국(Kingdom of Champasak)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그의 아들 뇨(Nyô)를 참파삭의 통치자로 임명하여 세 라오스 왕국 중 두 개를 통합했다.

아누웡은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왓 시사켓(Wat Si Saket)을 건설했다. 1824년에 완공된 이 사원은 아누웡의 봉신들이 매년 충성을 맹세하러 올 때 방콕(Bangkok)을 등지게 배치되어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왓 시사켓(Wat Si Saket), 비엔티안(Vientiane). 아누봉 왕이 1824년에 완공했다.

3. 1. 종교 및 문화 정책

아누웡은 불교를 장려하고 종교적, 상징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펼쳤다. 1813년, 그는 라오스 역사상 세 번째로 상가(sangha) 대회의를 소집하고 새로운 에메랄드 불상을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호 프라 꿰오(Ho Phra Kèo)를 수리하고 에메랄드 불상을 모시기 위한 새로운 사원들을 건립했다.

1819년, 아누웡은 참파삭 왕국(Kingdom of Champasak)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그의 아들 뇨(Nyô)를 참파삭의 통치자로 임명하여 세 라오스 왕국 중 두 개를 통합했다.

아누웡은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왓 시사켓(Wat Si Saket)을 건설했다. 1824년에 완공된 이 사원은 아누웡의 봉신들이 매년 충성을 맹세하러 올 때 방콕(Bangkok)을 등지게 배치되어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4. 라오스 반란 (1826-1828)

1824년 라마 2세가 사망하고,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하자, 아누웡은 이 기회를 틈타 독립을 위한 반란을 계획했다. 아누웡은 시암의 강제 문신 정책에 대한 라오족의 불만을 이용하고, 주변국과의 외교적 지원을 모색하는 등 치밀하게 반란을 준비했다.

라마 2세 사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존재했다. 왕비 스리 수리옌드라의 아들 몽꿋과 몽꿋의 이복형제 제사다보딘드라가 유력한 후계자였으나, 제사다보딘드라는 궁중 첩의 아들이었다. 몽꿋 왕자가 비쿠(불교 승려)가 되면서 제사다보딘드라가 라마 3세로 즉위하여 위기는 해소되었다.

이러한 왕위 계승 과정에서 군대는 경계 태세를 유지했고, 영국 제국은 제1차 영국-버마 전쟁을 시작하며 상황을 주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루앙프라방, 비엔티안, 참파삭의 라오스 왕들은 왕실 장례식을 위해 방콕으로 왔다. 라마 3세는 코라트 고원에서 인구 조사와 강제 문신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고, 아누웡의 수행원과 아들은 운하 준설, 야자수 벌채, 대나무 수확, 프라 사뭇 체디 건설 등의 징용 사업에 동원되었다. 아누웡의 아들이 조롱당하고 구타당했을 가능성도 제기되며, 아누웡은 격분하여 차크리 궁정에서의 전통적인 경의 표시를 단축했다.

아누웡은 방콕 체류 중 반란을 결심했는지, 아니면 이미 계획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는 에메랄드 불상 반환, 45년 전 인질로 잡혀간 여동생 석방, 사라부리로 이주된 라오스 가족들의 귀환을 요구했다. 태국 역사가들은 아누웡의 요청이 거절당하고 개인적인 모욕 때문에 반란을 일으켰다고 기술하지만, 반란의 강도는 그의 동기가 더 복잡했음을 시사한다.

4. 1. 반란의 배경

라마 2세 사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존재했다. 왕비 스리 수리옌드라의 아들 몽꿋과 몽꿋의 이복형제 제사다보딘드라가 유력한 후계자였으나, 제사다보딘드라는 궁중 첩의 아들이었다. 몽꿋 왕자가 비쿠(불교 승려)가 되면서 제사다보딘드라가 라마 3세로 즉위하여 위기는 해소되었다.

이러한 왕위 계승 과정에서 군대는 경계 태세를 유지했고, 영국 제국은 제1차 영국-버마 전쟁을 시작하며 상황을 주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루앙프라방, 비엔티안, 참파삭의 라오스 왕들은 왕실 장례식을 위해 방콕으로 왔다. 라마 3세는 코라트 고원에서 인구 조사와 강제 문신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고, 아누봉의 수행원과 아들은 운하 준설, 야자수 벌채, 대나무 수확, 프라 사뭇 체디 건설 등의 징용 사업에 동원되었다. 아누봉의 아들이 조롱당하고 구타당했을 가능성도 제기되며, 아누봉은 격분하여 차크리 궁정에서의 전통적인 경의 표시를 단축했다.

아누봉은 방콕 체류 중 반란을 결심했는지, 아니면 이미 계획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는 에메랄드 불상 반환, 45년 전 인질로 잡혀간 여동생 석방, 사라부리로 이주된 라오스 가족들의 귀환을 요구했다. 태국 역사가들은 아누봉의 요청이 거절당하고 개인적인 모욕 때문에 반란을 일으켰다고 기술하지만, 반란의 강도는 그의 동기가 더 복잡했음을 시사한다.

4. 2. 반란의 전개

1826년, 아누봉은 시암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아누봉은 강제 문신으로 인한 민중의 불만, 초토화 작전을 통한 시암군의 추격 지연, 그리고 베트남, 중국, 영국 등 외부 세력의 지원을 얻는 것을 전략으로 삼았다. 그는 동남아시아에서 힘의 균형이 시암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시암 궁정의 파벌주의, 영국군의 존재, 캄보디아에서 베트남의 영향력 증가, 라오 지역의 불만 등이 이러한 판단의 근거였다. 특히, 1826년 영국과 시암 간의 버니 조약(Burney Treaty) 체결은 아누봉에게 침공이 임박했다는 인식을 심어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아누봉은 시암과 라오스 간의 군사력 차이를 오판했다. 시암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으로부터 대량의 현대식 화기와 탄약을 구입해 놓은 상태였다.

1826년 12월, 아누봉은 1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칼라신(Kalasin)으로 진격하며 반란을 시작했다. 1827년 1월, 아누봉은 나콘랏차시마(Nakhon Ratchasima)를 점령하고, 그의 군대는 롬삭(Lomsak), 차이야품(Chaiyaphum), 사라부리(Saraburi)로 진격했다. 아누봉의 아들 냐(Nyô)가 이끄는 군대는 우본을 점령했다.

시암은 즉각 반격을 개시하여 나콘랏차시마와 롬삭으로 군대를 파견했다. 아누봉의 군대는 농 부아람푸(Nong Bua Lamphu)로 후퇴했으나 3일간의 전투 끝에 패배하고, 비엔티안으로 퇴각했다. 시암군의 화력과 현대식 무기는 아누봉의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아누봉은 베트남 국경으로 피신했다.

차오 프라야 보딘데차로 승진한 시암 장군은 비엔티안을 점령하고 궁궐을 약탈했으나, 사원과 도시의 많은 부분은 남겨두었다. 치앙마이(Chiang Mai), 람빵(Lampang), 람푼(Lamphun), 난, 프래(Phrae)의 통치자들과 루앙프라방 왕국(kingdom of Luang Phrabang)은 시암에 충성을 맹세했다. 보딘데차는 비엔티안 주변 사람들을 이주시키고 무기와 탄약을 몰수했다.

아누봉은 베트남 군인들과 함께 돌아와 시암과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야소톤(Yasothon)에 세워진 시암의 승전 기념물을 보고 격분하여 시암군을 공격했다. 라마 3세는 보딘데차에게 비엔티안을 완전히 파괴하고 아누봉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보딘데차는 아누봉을 추격하여 체포했고, 아누봉과 그의 가족은 방콕으로 압송되었다.

아누봉은 방콕에서 철제 우리에 갇혀 가혹한 처벌을 받다가 사망했고, 그의 시신은 강둑에 매달렸다.

4. 3. 반란의 진압

아누웡의 반란 초기, 시암은 즉시 대규모 반격을 조직하고 두 개의 군대를 파견했다. 하나는 사라부리 경유로 나콘랏차시마를 탈환하고, 다른 하나는 파삭 계곡을 통해 롬삭으로 향했다. 아누웡의 군대는 농 부아람푸로 철수했지만, 3일간의 전투 끝에 함락되었다. 시암 군대의 힘과 현대 무기는 아누웡의 예상을 뛰어넘었고, 그의 군대는 비엔티안으로 계속 후퇴했다. 그들은 5일 동안 도시를 방어했지만, 결국 아누웡은 베트남 국경을 향해 도망쳤다.

나중에 차오 프라야 보딘데차로 승진한 시암 장군 프라야 랏차수파와디는 비엔티안을 점령하고 궁궐을 약탈했으며 도시의 방어 시설을 파괴했다. 치앙마이(Chiang Mai), 람빵(Lampang), 람푼(Lamphun), 난, 프래(Phrae)의 통치자들과 루앙프라방 왕국(kingdom of Luang Phrabang)은 시암에 충성을 맹세했다. 보딘데차는 비엔티안 주변 사람들을 이주시키고 무기와 탄약을 몰수했다.

아누봉은 1,000여명의 군인과 베트남 관찰자들과 함께 돌아와 시암과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야소톤에 세워진 승전 기념물을 보고 격분하여 시암군을 공격했다. 라마 3세는 보딘데차에게 비엔티안을 완전히 파괴하고 아누봉을 사로잡으라고 명령했다. 보딘데차는 아누봉을 추격하여 체포했고, 아누봉과 그의 가족은 방콕으로 압송되어 처형되었다.

비엔티안은 철저하게 파괴되었고, 인구는 완전히 이주되었다. 남은 라오 왕국들은 더욱 엄격한 통제를 받았고, 코랏 고원은 시암에 병합되었다.

5. 죽음

5. 1. 최후

6. 유산

아누봉의 라오 반란은 비록 실패했지만, 라오스 민족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8세기와 19세기 전쟁 및 인구 이동의 결과로 현재 태국이산 지역에는 1,900만 명이 넘는 라오족이 거주하는 반면, 라오스에는 600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비엔티안은 프랑스의 호의를 얻고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라오스의 수도로 재건되었다.

시암-라오스 분쟁에 대한 여러 기록이 존재하며, 시암의 타오 수라나리에 대한 기록은 대중화되었고,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30년대 피분은 모든 타이족 통합을 위한 정치, 군사 캠페인의 일환으로 시암 전설을 홍보했다.

시암 정부는 승리한 장군의 이름을 따서 학교와 박물관을 설립했다. 그러나 현대 라오스 민족주의 운동은 아누웡의 반란이 란쌍 왕국의 멸망, 비엔티안 파괴, 라오스와 태국 북동부 라오어 사용 지역 간 영구적 분열을 초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누웡을 영웅으로 만들었다. 그의 반란은 라오스 국적과 정체성이 확립된 시점으로, 란나가 태국에 완전히 병합된 것과 달리 현대 라오스 국가의 존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대 라오스에서 아누웡은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그의 동상이 비엔티안에 세워져 있다.

6. 1. 라오스 민족주의에 미친 영향

아누웡의 라오스 반란은 라오스 민족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세기와 19세기 전쟁 및 인구 이동의 결과로 현재 태국이산 지역에는 1,900만 명이 넘는 라오족이 거주하는 반면, 라오스에는 600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비엔티안은 프랑스의 호의를 얻고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라오스의 수도로 재건되었다.

시암-라오스 분쟁에 대한 여러 기록이 존재하며, 시암의 타오 수라나리에 대한 기록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30년대 피분은 모든 타이족 통합을 위한 정치, 군사 캠페인의 일환으로 시암 전설을 홍보했다.

시암 정부는 승리한 장군의 이름을 따서 학교와 박물관을 설립했다. 현대 라오스 민족주의 운동은 아누웡의 반란이 란쌍 왕국의 멸망, 비엔티안 파괴, 라오스와 태국 북동부 라오어 사용 지역 간 영구적 분열을 초래했음에도 불구, 아누웡을 영웅으로 만들었다. 그의 반란은 라오스 국적과 정체성이 확립된 시점으로, 란나가 태국에 완전히 병합된 것과 달리 현대 라오스 국가의 존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6. 2. 역사적 평가

아누봉의 라오 반란은 18세기와 19세기의 전쟁과 인구 이동으로 이어져, 현재 이산 지역(태국)에는 1900만 명이 넘는 라오족이 거주하고 라오스 독립국에는 600만 명이 채 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 동안, 비엔티안은 프랑스의 호의를 얻고 권위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라오스의 수도로 재건되었다.

역사가들과 당국자들은 시암-라오스 분쟁에 대한 기록을 남겼는데, 많은 부분에서 서로 상충된다. 특히 시암의 여걸 타오 수라나리와 쿤잉 붕레우에 대한 기록은 대중화되었고,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1930년대에 플렉 피분송크람(피분) 원수는 모든 타이족을 통합하기 위한 정치 및 군사 캠페인의 일환으로 시암 전설을 홍보했다.

시암 정부는 승리한 장군의 이름을 따서 학교와 박물관을 설립했다. 그러나 현대 라오스 민족주의 운동은 아누봉을 영웅으로 만들었다. 그의 반란은 란쌍 왕국의 멸망, 비엔티안의 파괴, 그리고 라오스와 태국 북동부의 라오어 사용 지역 사이의 영구적인 분열을 초래했음에도 불구하고 라오스의 국적과 정체성이 확립된 시점으로 여겨진다. 그는 인근 타이 위안 왕국인 란나가 태국에 완전히 병합된 것과 달리, 현대 라오스 국가의 존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7. 기념물

비엔티안의 아누봉 공원


아누봉이 건설한 왓 시사켓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2010년, 비엔티안 45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라오스 정부는 아누봉 공원을 조성하고 그의 청동상을 건립했다. 그가 소유했던 코끼리 코끼리 등상은 비엔티안의 라오스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8. 자녀

차오 아누웡에게는 27명의 자녀가 있었다.[2]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디사라 수리아 (손테산 수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ສຸດທິສານສຸລິຍະlo 또는 포)
  • 사뎃 차오 파 자야 나가야 (비엔티안의 응아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ຄ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유바 (라자부드 요/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ຍຸວະlo 또는 뇨), 참파삭의 부왕
  • 사뎃 차오 파 자야 데바 (테/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ເທວ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바르나 (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ບາລະນ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두앙 찬드라 (두앙 찬/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ດວງຈັນທ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키민히야 (키 멩/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ກິມິນຫິຍະlo), 비엔티안의 부왕. 나리라타나 공주의 외할아버지.
  • 사뎃 차오 파 자야 카마빙가 (캄 펭/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ກາມະບິງຄ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오아나야 (파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ໂອະອະນາຢ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바르나 차크라 (수반나차크/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ສຸວັນນະຈັກກະ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자야사라 (사야사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ໄຊຍະສາລ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리아 (수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ສຸລິຍ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멘 (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ແມນ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장가야 (창/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ຊັງຄະຢ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운가가마 (웅 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ອຸງຄະຄາມ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카티야라 (카티그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ຂັດຕິຍະ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부다사다 (푸타사트/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ພຸດທະສະດາ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티사붕가 (디사퐁/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ຕິສະບຸງຄ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다난드라 (테만/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ທະນັນທະ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헨 노이 (헨 노이/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ແຮນນ້ອຍ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온-라 (온-라/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ອົງຫຼ້າ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푸이 (푸이/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ພຸຍ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창 (창/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ຊ້າງ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키 (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ຂີ່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아누라 (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ອະນຸ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툰 (툰/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ທູນ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디 (디/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ດີlo)


; 공주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누지니 (누 친/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ງນຸດຊິນີ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스리
    출산 후 차오 촘 먼다의 칭호를 받음, 마하 세나누락, 시암의 부왕의 후궁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찬드라주미니 (찬타라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ງຈັນທະລະຊຸມມິນີlo)
    출산 후 차오 촘 먼다의 칭호를 받음, 시암의 라마 3세 국왕의 후궁.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가마바니 (캄 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ງກາມະວັນ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장가미 (시앙 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ງຊັງຄະມີ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가마방기 (캄 펭/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ງກາມະບັງຄີ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부이 (낭 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ງບຸຍlo)
    시암의 라마 3세 국왕의 후궁.

8. 1. 왕자

차오 아누웡에게는 27명의 자녀가 있었다.[2]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디사라 수리아 (손테산 수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ສຸດທິສານສຸລິຍະlo 또는 포)
  • 사뎃 차오 파 자야 나가야 (비엔티안의 응아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ນາຄ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유바 (라자부드 요/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ຍຸວະlo 또는 뇨), 참파삭의 부왕
  • 사뎃 차오 파 자야 데바 (테/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ເທວ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바르나 (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ບາລະນ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두앙 찬드라 (두앙 찬/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ດວງຈັນທ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키민히야 (키 멩/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ກິມິນຫິຍະlo), 비엔티안의 부왕. 나리라타나 공주의 외할아버지.
  • 사뎃 차오 파 자야 카마빙가 (캄 펭/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ກາມະບິງຄ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오아나야 (파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ໂອະອະນາຢ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바르나 차크라 (수반나차크/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ສຸວັນນະຈັກກະ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자야사라 (사야사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ໄຊຍະສາລ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리아 (수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ສຸລິຍ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멘 (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ແມນ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장가야 (창/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ຊັງຄະຢ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운가가마 (웅 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ອຸງຄະຄາມ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카티야라 (카티그나/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ຂັດຕິຍະ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부다사다 (푸타사트/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ພຸດທະສະດາ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티사붕가 (디사퐁/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ຕິສະບຸງຄ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다난드라 (테만/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ທະນັນທະ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헨 노이 (헨 노이/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ແຮນນ້ອຍ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온-라 (온-라/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ອົງຫຼ້າ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푸이 (푸이/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ພຸຍ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창 (창/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ຊ້າງ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키 (키/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ຂີ່lo)
  • 사뎃 차오 파 자야 아누라 (누/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ອະນຸຣະlo)
  • 사뎃 차오 파 자야 툰 (툰/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ທູນlo)
  • 사뎃 차오 파 자야 디 (디/ເສດຖາເຈົ້າຟ້າໄຊຍະດີlo)

8. 1. 1.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디사라 수리아 (손테산 수아 또는 포)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위키 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8. 1. 2. 사뎃 차오 파 자야 나가야 (응아오)

(내용 없음)

8. 1. 3. 사뎃 차오 파 자야 유바 (라자부드 요 또는 뇨)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요약에 기반하여 작성합니다.)

참파삭의 부왕이었다.

8. 1. 4. 사뎃 차오 파 자야 데바 (테)

(내용 없음)

8. 1. 5. 사뎃 차오 파 자야 바르나 (반)

요약(summary)이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내용을 제공해 주십시오.

8. 1. 6. 사뎃 차오 파 자야 두앙 찬드라 (두앙 찬)

아무런 내용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사뎃 차오 파 자야 두앙 찬드라 (두앙 찬)'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1. 7. 사뎃 차오 파 자야 키민히야 (키 멩)

요약과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8. 1. 8. 사뎃 차오 파 자야 카마빙가 (캄 펭)

(내용 없음)

8. 1. 9. 사뎃 차오 파 자야 오아나야 (파네)

8. 1. 10.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바르나 차크라 (수반나차크)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바르나 차크라 (수반나차크)' 섹션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1. 11. 사뎃 차오 파 자야 자야사라 (사야사네)

(내용 없음)

8. 1. 12.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리아 (수아)

요약(summary)이 비어있으므로, 원본 소스(source)가 없으므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8. 1. 13. 사뎃 차오 파 자야 멘

(내용 없음)

8. 1. 14. 사뎃 차오 파 자야 장가야 (창)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8. 1. 15. 사뎃 차오 파 자야 운가가마 (웅 캄)

8. 1. 16. 사뎃 차오 파 자야 카티야라 (카티그나)

요약(summary)의 내용이 없습니다.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8. 1. 17. 사뎃 차오 파 자야 부다사다 (푸타사트)

8. 1. 18. 사뎃 차오 파 자야 티사붕가 (디사퐁)

(내용 없음)

8. 1. 19. 사뎃 차오 파 자야 다난드라 (테만)

아무런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8. 1. 20. 사뎃 차오 파 자야 헨 노이

(내용 없음)

8. 1. 21. 사뎃 차오 파 자야 온-라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8. 1. 22. 사뎃 차오 파 자야 푸이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어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으므로, 빈 섹션을 생성합니다.

8. 1. 23. 사뎃 차오 파 자야 창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text

8. 1. 24. 사뎃 차오 파 자야 키

(내용 없음)

8. 1. 25. 사뎃 차오 파 자야 아누라 (누)

(내용 없음)

8. 1. 26. 사뎃 차오 파 자야 툰

(내용 없음)

8. 1. 27. 사뎃 차오 파 자야 디

(내용 없음)

8. 2. 공주

차오 아누봉(짜오 아누웡/ເຈົ້າອານຸວົງສ໌lo)에게는 27명의 자녀가 있었다.[2]

; 왕자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디사라 수리아 (손테산 수아 또는 포)
  • 사뎃 차오 파 자야 나가야 (비엔티안의 응아오/Ngao of Vientiane영어 또는 응아오)
  • 사뎃 차오 파 자야 유바 (라자부드 요 또는 뇨), 참파삭의 부왕(Viceroy)
  • 사뎃 차오 파 자야 데바 (테)
  • 사뎃 차오 파 자야 바르나 (반)
  • 사뎃 차오 파 자야 두앙 찬드라 (두앙 찬)
  • 사뎃 차오 파 자야 키민히야 (키 멩), 비엔티안의 부왕. 나리라타나 공주의 외할아버지.
  • 사뎃 차오 파 자야 카마빙가 (캄 펭)
  • 사뎃 차오 파 자야 오아나야 (파네)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바르나 차크라 (수반나차크)
  • 사뎃 차오 파 자야 자야사라 (사야사네)
  • 사뎃 차오 파 자야 수리아 (수아)
  • 사뎃 차오 파 자야 멘
  • 사뎃 차오 파 자야 장가야 (창)
  • 사뎃 차오 파 자야 운가가마 (웅 캄)
  • 사뎃 차오 파 자야 카티야라 (카티그나)
  • 사뎃 차오 파 자야 부다사다 (푸타사트)
  • 사뎃 차오 파 자야 티사붕가 (디사퐁)
  • 사뎃 차오 파 자야 다난드라 (테만)
  • 사뎃 차오 파 자야 헨 노이
  • 사뎃 차오 파 자야 온-라
  • 사뎃 차오 파 자야 푸이
  • 사뎃 차오 파 자야 창
  • 사뎃 차오 파 자야 키
  • 사뎃 차오 파 자야 아누라 (누)
  • 사뎃 차오 파 자야 툰
  • 사뎃 차오 파 자야 디


; 공주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누지니 (누 친)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스리
    출산 후 차오 촘 먼다의 칭호를 받음, 시암 부왕 마하 세나누락의 후궁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찬드라주미니 (찬타라촘)
    출산 후 차오 촘 먼다의 칭호를 받음, 시암의 라마 3세 국왕의 후궁.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가마바니 (캄 반)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장가미 (시앙 캄)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가마방기 (캄 펭)
  •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부이 (낭 누)
    시암의 라마 3세 국왕의 후궁.

8. 2. 1.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누지니 (누 친)

(내용 없음)

8. 2. 2.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스리

요약과 원본 소스에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스리`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2. 3.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찬드라주미니 (찬타라촘)

차오 촘 만다는 아누웡 왕의 아들인 낭가오 왕자의 부인으로, 출산 후에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찬드라주미니(찬타라촘)'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이후 시암의 라마 3세의 후궁이 되었다.

8. 2. 4.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가마바니 (캄 반)

요약(summary)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8. 2. 5.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장가미 (시앙 캄)

(내용 없음)

8. 2. 6.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가마방기 (캄 펭)

아무런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8. 2. 7. 사뎃 차오 파 자야 낭 부이 (낭 누)

자료가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Kingdoms of Laos: Six Hundred Year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https://www.royalark[...]
[3] 서적 라오스·캄보디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4] 서적 In search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