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담 자가예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폴란드 시인, 수필가이자 번역가로, 1945년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나 2021년 크라쿠프에서 사망했다. 그는 '68세대' 문학 운동에 참여했으며, 공산주의 체제 비판으로 작품이 금지되어 파리로 망명했다가 2002년 폴란드로 돌아왔다. 자가예프스키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며, 특히 9.11 테러 이후 발표한 시 "훼손된 세계를 찬양하라"로 유명해졌다. 그의 작품은 밤, 꿈, 역사, 시간, 침묵, 죽음 등을 주제로 다루며, 일상생활과 역사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그는 또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와 시카고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폴란드 공훈 훈장,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수필가 - 볼레스와프 프루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알렉산데르 그워바츠키라는 본명을 가진 폴란드의 소설가, 언론인, 단편 작가로, 사회 비판적인 주제를 사실주의적, 실증주의적 관점으로 다루었으며, 대표작으로는 《인형》과 《파라오》가 있다.
  • 폴란드의 수필가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폴란드의 시인이자 수필가인 비스와바 심보르스카는 역설과 아이러니를 사용하여 인간 조건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를 썼으며 199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폴란드의 번역가 - 얀 코하노프스키
    얀 코하노프스키는 폴란드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이자 시인으로, 폴란드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만가》 등이 있다.
  • 폴란드의 번역가 - L. L. 자멘호프
    러시아 제국 출신 안과 의사 L. L. 자멘호프는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창시하고 에스페란토 운동에 헌신하며 관련 저작물을 번역하는 데 몰두했다.
  • 휴스턴 대학교 교수 - 엘리자베스 워런
    엘리자베스 워런은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이자 하버드 로스쿨 교수 출신 법학자로, 소비자 보호와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주창하며 소비자금융보호국 설립에 기여했고,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진보적 성향의 정치인이다.
  • 휴스턴 대학교 교수 - 서대숙
    서대숙은 김일성 항일 운동 연구로 북한 연구에 기여한 한국의 정치학자이자 대학교수로, 미국 여러 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하와이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아담 자가예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스톡홀름의 아담 자가예프스키
2014년의 아담 자가예프스키
이름아담 자가예프스키
출생일1945년 6월 21일
출생지르비우, 폴란드
사망일2021년 3월 21일 (향년 75세)
사망지크라쿠프, 폴란드
국적폴란드
직업
직업시인
수필가
번역가
학력
모교야기엘론스키 대학교
작품
주요 작품보이지 않는 손
또 다른 아름다움
절대 음감 (Słuch absolutny)
비대칭 (Asymetria)
수상
수상 내역스트루가 시의 밤 황금 화환상 (2018년)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2017년)
그리핀 평생 공로상 (2016년)
하인리히 만 상 (2015년)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2004년)
빌레니차 상 (1996년)
코시치엘스키 상 (1975년)

2. 생애와 경력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리비우(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나 글리비체(Gliwice)를 거쳐 크라쿠프(Kraków)의 야기엘론스키 대학교(Jagiellonian University)에서 심리학철학을 공부했다. AGH 과학기술대학교(AG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철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1967년 시 ''뮤직(Music)''으로 등단한 후, '68세대'로 알려진 ''뉴 웨이브(Nowa fala)'' 문학 운동에 참여했다. 59인의 서한(Letter of 59)에 서명한 후 작품이 금지되자 파리(Paris)로 이민을 갔지만, 2002년 폴란드로 돌아와 크라쿠프(Kraków)에 거주했다. 폴란드 작가 협회 회원이었다.[4]

그의 문학 작품은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며,[2] 그의 시는 "밤, 꿈, 역사와 시간, 무한과 영원, 침묵과 죽음"을 반복되는 주제로 다룬다.[5] 9·11 테러 직후 ''뉴요커(The New Yorker)''에 실린 시 ''"훼손된 세계를 찬양하라(Try To Praise The Mutilated World)"''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7][8]

자가예프스키는 야기엘론스키 대학교(Jagiellonian University)와 미국 휴스턴 대학교(University of Houston),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등에서 강의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1945년 리비우(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타데우시 자가예프스키(Tadeusz Zagajewski)였고 어머니는 루드비카 자가예프스카(Ludwika Zagajewska)였다.[2]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가예프스키 가족은 리비우에서 폴란드 중부 지역으로 추방되어 글리비체로 이주했다.[2] 그는 그곳에서 안제이 스트루그 5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이후 크라쿠프의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에서 심리학철학을 공부했다.[2]

2. 2. 문학 활동과 망명

1967년 ''지치에 리테라츠키에(Życie Literackie)'' 잡지에 시 ''음악(Music)''을 발표하며 등단했다.[2] 그는 ''오드라(Odra)''(1969–1976)와 ''트워르초슈치(Twórczość)''(1969, 1971–1973) 등의 잡지에 작품과 비평을 발표했다.[2] 이 시기 동안 그는 '68세대'로도 알려진 ''뉴 웨이브(Nowa fala)'' 문학 운동에 참여했는데, 이 그룹은 "현실의 왜곡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와 선전에 의한 언어의 착취에 맞서 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3]

59인의 서한(Letter of 59)에 서명한 후, 그의 작품은 폴란드 공산당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다. 1978년, 그는 과학훈련협회의 창립자이자 최초 강사 중 한 명이었다. 1975년 헬싱키 선언(전유럽안보협력회의) 이후 59통의 서한에 서명하고, 1976년 폴란드 노동자 방위 위원회에 시민권 운동가로 참여했지만, 공산주의 체제 비판으로 출판 금지 처분을 받았다. 1982년 그는 파리(Paris)로 망명했다.[4]

2. 3. 귀국과 국제적 명성

2002년 아내 마야 보데츠카와 함께 폴란드로 돌아와 크라쿠프(Kraków)에 정착했다.[4] 9·11 테러 직후 그의 시 "훼손된 세계를 찬양하라(Try To Praise The Mutilated World)"가 ''뉴요커(The New Yorker)''에 실리면서 유명해졌다.[7][8] 그는 미국 휴스턴 대학교(University of Houston)에서 창작 글쓰기 강좌를 가르쳤고,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사회사상 위원회(Committee on Social Thought) 회원이었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그는 동료 폴란드 시인 체스와프 미워시(Czeslaw Milosz)에 관한 강좌를 포함하여 두 개의 강좌를 가르쳤다.[8]

2. 4. 사망

아담 자가예프스키(Adam Zagajewskipl)는 2021년 3월 21일 크라쿠프에서 7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9][10]

3. 주요 작품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그의 작품은 폴란드어 원본 외에도 영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Komunikat》(1972), 《Pragnienie》(1999), 《Powrót》(2003) 등이 있으며, 산문집으로는 《체프워, 짐노》(1975), 《스와흐 아브솔루트니》(1979) 등이 있다. 또한, 《세계 미표현》(1974), 《연대와 고독》(1986), 《두 도시》(1991) 등 깊이 있는 사색이 담긴 수필집도 다수 출간하였다.

3. 1. 시집


  • 《Komunikat》 (크라쿠프, 1972)
  • 《Sklepy mięsne》 (크라쿠프, 1975)
  • 《List. Oda do wielkości》 (파리, 1983)
  • 《Jechać do Lwowa》 (런던, 1985)
  • 《Płótno》 (파리, 1990)
  • 《Ziemia ognista》 (포즈난, 1994)
  • 《Trzej aniołowie / Three Angels》 (크라쿠프, 1998)
  • 《Pragnienie》 (크라쿠프, 1999)
  • 《Powrót》 (크라쿠프, 2003)
  • 《Anteny》 (크라쿠프, 2005)
  • Unseen Hand (''Niewidzialna ręka'') (크라쿠프, 2009)
  • 《Wiersze wybrane》 (크라쿠프, 2010)
  • 《Asymetria》 (크라쿠프, 2014)
  • 《Lotnisko w Amsterdamie / Airport in Amsterdam》 (크라쿠프, 2016)
  • 《Prawdziwe życie》 (크라쿠프, 2019)

3. 2. 산문집


  • 《체프워, 짐노》(Ciepło, zimno). 바르샤바, 1975.
  • 《스와흐 아브솔루트니》(Słuch absolutny). 크라쿠프, 1979.
  • 《치엥카 크레스카》(Cienka kreska). 크라쿠프, 1983.

3. 3. 수필집


  • 《세계 미표현》(Świat nieprzedstawiony|세계 미표현pl). 크라쿠프, 1974.
  • 《두 번째 숨》(Drugi oddech|두 번째 숨pl). 크라쿠프, 1978.
  • 《연대와 고독》(Solidarność i samotność|연대와 고독pl). "Zeszyty literackie", 1986.
  • 《두 도시》(Dwa miasta|두 도시pl). 파리-크라쿠프, 1991.
  • 《또 다른 아름다움》(W cudzym pięknie|또 다른 아름다움pl) (Another Beauty). 포즈난, 1998.
  • 《열정의 방어》(Obrona żarliwosci|열정의 방어pl). 크라쿠프, 2002.
  • 《시인이 철학자와 대화하다》(Poeta rozmawia z filozofem|시인이 철학자와 대화하다pl). 바르샤바, 2007.
  • 《약간의 과장》(Lekka przesada|약간의 과장pl). 크라쿠프, 2011.
  • 《초보자를 위한 시》(Poezja dla początkujących|초보자를 위한 시pl). 바르샤바, 2017.
  • 《무질서한 물질》(Substancja nieuporządkowana|무질서한 물질pl). 크라쿠프, 2019.
  • 《연대와 고독》(Solidarity, Solitude). 에코 프레스(Ecco Press), 1990.
  • 《두 도시: 망명, 역사, 그리고 상상력》(Two Cities: On Exile, History, and the Imagination). 조지아 대학교 출판부(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5.
  • 《또 다른 아름다움》(Another Beauty). 조지아 대학교 출판부(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2.
  • 《열정의 변호: 에세이》(A Defense of Ardor: Essays). 클레어 캐버너(Clare Cavanagh)영어 번역, 패러, 스트라우스 앤드 지루(Farrar, Straus and Giroux), 2014년 10월 28일.
  • 《약간의 과장: 에세이》(Slight Exaggeration: An Essay). 클레어 캐버너(Clare Cavanagh)영어 번역. 패러, 스트라우스 앤드 지루(Farrar, Straus and Giroux), 2017년 4월 4일.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92년구겐하임 펠로우십
1995년비레니차 국제 문학상
2000년토마스 란스트룀상
2004년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2015년하인리히 만 상
2016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2016년야누스 판노니우스 시문학 대상
2016년그리핀 시상 평생 공로 부문
2017년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문학 부문
2018년스트루가 시의 밤 금관상
2018년폴란드 니케 상 후보 (Poezja dla początkujących)
2019년과학예술훈장 푸르 르 메리트
기타폴란드 공훈 훈장
기타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사관 십자훈장 (2회)



체슬라프 미워시 이후 두 번째로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을 받은 폴란드 작가이다.[11][12] 2016년 5월에는 튀빙겐 대학교의 레오폴드 루카스 박사 상을 받았다.[13] 2017년에는 스페인어권에서 가장 중요한 상 중 하나인 아스투리아스 공주상을 수상했다.[14] 생전에 그는 잠재적인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자주 거론되었다.[8]

5. 작품 세계와 주제

자가예프스키의 문학 작품은 국제적인 인정을 받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2] ''월드 리터러처 투데이(World Literature Today)''의 평론가 요아힘 T. 베어(Joachim T. Baer)는 그의 시에서 반복되는 주제로 "밤, 꿈, 역사와 시간, 무한과 영원, 침묵과 죽음"을 꼽았다.[5] 콜름 토이빈(Colm Tóibín)은 자가예프스키의 최고의 시에서 "그는 상상의 공간을 경험과 연결하는 데 성공했으며, 모든 한계와 슬픔, 그리고 기쁨을 만끽하는 모든 것을 보고 듣고 기억한 것들이 그에게는 마법처럼 만들어진 것들과 같은 힘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한다.[6] 로버트 핀스키(Robert Pinsky)는 그의 시가 "일상생활에서 과거의 존재에 관한 것: 죽은 자들의 연대기가 아니라… 사람들이 매일 보고 느끼는 것, 그리고 우리가 보고 느끼는 방식에 내재하는 거대하고 때로는 미묘한 힘으로서의 역사"라고 설명한다. 그의 시 ''"훼손된 세계를 찬양하라(Try To Praise The Mutilated World)"''는 9·11 테러 직후 ''뉴요커(The New Yorker)''에 실리면서 유명해졌다.[7][8]

참조

[1] 뉴스 Adam Zagajewski – Poet https://www.poets.or[...] 2019-03-23
[2] 웹사이트 Adam zagajewski http://culture.pl/en[...] 2018-03-26
[3] 웹사이트 Adam Zagajewski https://web.archive.[...] 2018-03-26
[4] 뉴스 Odszedł esteta, eseista, poeta. Kilka słów o Adamie Zagajewskim https://lubimyczytac[...] 2021-03-22
[5] 뉴스 Adam Zagajewski https://www.poetryfo[...] 2018-03-26
[6] 뉴스 Lvov Story https://www.theguard[...] 2018-03-26
[7] 잡지 Try to Praise the Mutilated World https://www.newyorke[...] Condé Nast 2021-03-23
[8] 뉴스 Acclaimed Polish poet Adam Zagajewski dies at age 75 https://apnews.com/a[...] 2022-10-31
[9] 웹사이트 Adam Zagajewski: Poland's unassuming 'poet of 9/11' https://web.archive.[...] 2021-03-21
[10] 웹사이트 Acclaimed Polish poet Adam Zagajewski dies at age 75 - ABC News https://abcnews.go.c[...]
[11] 웹사이트 2004 Neustadt Prize Laureate – Adam Zagajewski https://www.worldlit[...] 2018-03-26
[12] 뉴스 Polish poet awarded 2004 Neustadt prize https://archive.toda[...] 2013-11-02
[13] 웹사이트 Leopold Lucas-Preis 2016 geht an Adam Zagajewski https://www.uni-tueb[...] University of Tübingen 2018-03-26
[14] 웹사이트 Adam Zagajewski with the Princess of Asturias literary award : Kraków Miasto Literatury UNESCO http://krakowcityofl[...] 2018-09-04
[15] 웹사이트 Wyborcza.pl http://wyborcza.pl/7[...] 2018-09-04
[16] 웹사이트 Orden Pour le mérite wählt neue Mitglieder https://www.bundesre[...]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2019-08-03
[17] 뉴스 Zmarł wybitny poeta i eseista Adam Zagajewski https://krakow.wybor[...] 2021-03-22
[18] 웹인용 알라딘: 아담 자가예프스키 http://www.alad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