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골리다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골리다 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 동부에 위치하며, 오렌지와 올리브 생산이 주요한 지역이다. 북동쪽으로는 사로니코스 만, 남쪽과 동남쪽으로는 아르골리다 만에 접하며, 아르고스, 나프플리오, 크라니디 등의 도시가 있다. 아르골리다 현의 역사는 아르고스, 미케네 등 고대 도시와 관련이 있으며, 1833년부터 1949년까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현재는 아르고스-미케네, 에피다우로스, 에르미오니다, 나프플리오 4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교통 노선으로는 유럽 고속도로 65호선, 그리스 국도 7호선, 70호선 등이 있으며, 여러 신문, 라디오 방송국, 텔레비전 채널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펠로폰네소스주의 현 - 코린티아현
코린티아현은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코린토스만과 사로니코스만에 접하고,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이오니아 해와 에게 해를 연결하며, 현청 소재지는 코린토스인, 고대 코린토스의 중심지이자 현대에는 아테네 위성 도시로서 경제, 산업, 교통의 요충지이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현 - 라코니아현
라코니아현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반도 남부에 위치하며 스파르타가 있던 지역에서 유래, 비옥한 계곡과 산악 지형, 반도를 포함하고 스파르티를 현도로 역사 유적지와 관광 명소가 있는 현이다. - 아르골리다현 - 미케네
미케네는 아르골리스 지방의 고대 유적지로,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에게 문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아가멤논 왕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고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쇠퇴했으나 후대 그리스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르골리다현 - 아르고스
아르고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로, 기원전 7,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스파르타와의 경쟁과 쇠퇴,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그리스 왕국에 속하게 되었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다양한 유적과 박물관을 보유한 관광 도시이다.
아르골리다현 | |
---|---|
지도 | |
개요 | |
명칭 | 아르골리다 |
지방 | 펠로폰네소스주 |
일반 정보 | |
지역 유형 | 현 (周) |
현도 | 나프플리오 |
지리 | |
면적 | 2154 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 93216명 |
인구 (2005년) | 108636명 |
인구 밀도 | 50명/km² (2005년 기준) |
행정 | |
자치체 | 4개 |
차량 번호 | AP |
우편 번호 | 21x xx |
지역 번호 | 275x0 |
웹사이트 | 아르골리다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아르골리다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 동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농지가 많다. 남부 및 동부는 해안이며, 서부, 북동부, 동부는 고지대이다. 가장 경작 가능한 토지는 아르골리다 중앙부에 위치하며, 주요 농산물은 오렌지와 올리브이다.
아르골리다현은 북동쪽으로 사로니코스 만, 남쪽과 동남쪽으로는 아르골리다 만과 접한다. 주요 산맥으로는 북서쪽의 올리기르토스 산, 서쪽의 리르케이오 산과 크테니아 산, 동쪽의 아라크네오 산과 디디모 산이 있다.
육상 경계는 서쪽과 서남쪽으로 아르카디아 현, 북쪽으로 코린티아 현, 동쪽으로 도서 현(트로이젠 지역)과 접한다. 고대 아르골리다에는 트로이젠이 포함되었다.
2. 1. 주요 도시
- 아르고스 (아르고스-미케네스 시) - 24,239명
- 나프플리오 (나프플리오 시) - 13,822명
- Kranidi|크라니디영어 (에르미오니다 시) - 6,719명

3. 역사
이 지역의 역사는 아르고스, 미케네, 에피다우로스, 나플리오, 트로이젠, 에르미오니, 크라니디, 티린스, 톨로 관련 문서에서 더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아르골리다 현은 1833년부터 1899년까지 이드라 섬, 스페체스 섬, 안티키티라 섬 등을 포함한 아르골리다-코린시아 현의 일부였다. 1909년에는 코린시아 현 지역도 편입되었다가, 1949년에 코린시아 현이 분할되었다.
1998년에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3. 1. 고대 역사
이 지역의 역사는 아르고스, 미케네, 에피다우로스, 나플리오, 트로이젠, 에르미오니, 크라니디, 티린스, 톨로 관련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2. 근대 역사
1833년부터 1899년까지 아르골리다는 현재의 코린티아현, 히드라, 스페체스, 키티라섬을 포함하는 아르골리도코린티아현의 일부였다.[1] 1909년에 코린티아현과 다시 합쳐 아르골리도코린티아현을 형성했으나,[1] 1949년에 다시 코린티아현에서 분리되었다.[1]1998년에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3. 3. 현대 역사
1833년부터 1899년까지 아르골리다는 현재의 코린티아현, 히드라, 스페체스, 키티라섬을 포함하는 아르골리도코린티아현의 일부였다.[1] 1909년에는 코린티아현과 다시 합쳐 아르골리도코린티아현을 형성했다가,[1] 40년 후인 1949년에 아르골리다는 코린티아현에서 분리되었다.[1]1998년에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행정 구역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에 따라 이전의 아르골리다 현(Νομός Αργολίδας|노모스 아르골리다스el)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1] 현재 아르골리다현은 아르고스-미케네, 에피다브로스, 에르미오니다, 나프플리오의 4개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2006년까지 아르골리다 현에는 다음의 3개 군(에파르키아)이 있었지만, 현재는 법적인 지위를 갖지 않는다.
군 이름 | 표기 | 중심지 |
---|---|---|
아르고스 군 | Άργος|아르고스el | 아르고스 |
나프플리아 군 | Ναυπλία|나프플리아el | 나프플리오 |
에르미오니다 군 | Ερμιονίδα|에르미오니다el | 크라니디 |
4. 1. 지방 자치 단체
아르골리다현은 4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1]- 아르고스-미케네
- 에피다브로스
- 에르미오니다
- 나프플리오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으로 아르골리다 현은 이전의 아르골리다 현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현재의 지방 행정 구역과 동일한 영토를 갖게 되었다. 이와 함께 시정촌도 아래 표와 같이 재편되었다.[1]
신설 시정촌 | 기존 시정촌 | 행정 중심지 |
---|---|---|
아르고스-미키네스 | 아르고스 | 아르고스 |
아클라도캄포스 | ||
알레아 | ||
쿠초포디 | ||
레르나 | ||
리르케이아 | ||
미키네스 | ||
네아 키오스 | ||
에피다우로스 | 에피다우로스 | 리고우리오 |
아스클리피에이오 | ||
에르미오니다 | 에르미오니 | 크라니디 |
크라니디 | ||
나프플리오 | 나프플리오 | 나프플리오 |
아시니 | ||
미데아 | ||
네아 티린타 |
200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아르골리다 현을 구성하는 자치체는 다음과 같다.
자치체명 | 철자 | 정부 소재지 | 면적 (km²) | 인구 | |
---|---|---|---|---|---|
1 | 나프플리오 | Ναύπλιο|나프플리오el | 나프플리오 | 387.8km2 | 33,406 |
2 | 아르고스-미케네스 | Άργος-Μυκηνών|아르고스-미키논el | 아르고스 | 1002.6km2 | 48,188 |
3 | 에피다우로스 | Επίδαυρος|에피다브로스el | 아스클리피이오 | 338.1km2 | 9,275 |
4 | 에르미오니다 | Ερμιονίδα|에르미오니다el | 크라니디 | 417.6km2 | 14,901 |
칼리크라티스 개혁(2010년) 이전, 아르골리다 현은 16개의 기초 자치체(14개의 디모스, 2개의 키노티타)로 구성되었다. 개혁 이후, 구 자치체는 신 자치체를 구성하는 행정구(디모티키 에노티타)가 되었다.
구 자치체 | 철자 | 정청 소재지 | 신 자치체 | |
---|---|---|---|---|
1 | 나프플리오 | Ναύπλιο|나프플리오el | 나프플리오 | 나프플리오 |
2 | 아르고스 | Άργος|아르고스el | 아르고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3 | 아시니 | Ασίνη|아시니el | 드레파노 | 나프플리오 |
4 | 아스크리피이오 | Ασκληπιείο|아스클리피이오el | 리고우리오 | 에피다브로스 |
5 | 에피다우로스 | Ἐπίδαυρος|에피다브로스el | 아르헤아 에피다우로스 | 에피다브로스 |
6 | 에르미오니 | Ερμιόνη|에르미오니el | 에르미오니 | 에르미오니다 |
7 | 쿠초포디 | Κουτσοπόδι|쿠초포디el | 쿠초포디 | 아르고스-미키네스 |
8 | 크라니디 | Κρανίδι|크라니디el | 크라니디 | 에르미오니다 |
9 | 레르나 | Λέρνα|레르나el | 밀리 | 아르고스-미키네스 |
10 | 릴키아 | Λυρκεία|리르키아el | 릴키아 | 아르고스-미키네스 |
11 | 미데아 | Μιδέα|미데아el | 아야 트리아다 | 나프플리오 |
12 | 미키네스 | Μυκήνες|미키네스el | 미키네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13 | 네아 키오스 | Νέα Κίος|네아 키오스el | 네아 키오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14 | 네아 티린타 | Νέα Τίρυνθα|네아 티린타el | 티린스 | 나프플리오 |
15 | 아레아 | Αλέα|알레아el | 스코티니 | 아르고스-미키네스 |
16 | 아흘라도캄보스 | Αχλαδόκαμπος|아흘라도캄보스el | 아흘라도캄보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2006년까지 아르골리다 현에는 3개의 군(에파르키아)이 있었으나, 현재는 법적인 지위를 갖지 않는다.
군 이름 | 표기 | 중심지 |
---|---|---|
아르고스 군 | Άργος|아르고스el | 아르고스 |
나프플리아 군 | Ναυπλία|나프플리아el | 나프플리오 |
에르미오니다 군 | Ερμιονίδα|에르미오니다el | 크라니디 |
4. 2. 과거 행정 구역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으로 아르골리다 현이 신설되었는데, 이는 이전의 아르골리다 현(Νομός Αργολίδας|노모스 아르골리다스el)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 현은 현재의 지방 행정구역과 동일한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1]동시에, 아래 표와 같이 시정촌이 재편되었다.[1]
신설 시정촌 | 기존 시정촌 | 행정 중심지 |
---|---|---|
아르고스-미키네스 | 아르고스 | 아르고스 |
아클라도캄포스 | ||
알레아 | ||
쿠초포디 | ||
레르나 | ||
리르케이아 | ||
미키네스 | ||
네아 키오스 | ||
에피다우로스 (에피다브로스) | 에피다우로스 | 리고우리오 |
아스클리피에이오 | ||
에르미오니다 | 에르미오니 | 크라니디 |
크라니디 | ||
나프플리오 | 나프플리오 | 나프플리오 |
아시니 | ||
미데아 | ||
네아 티린타 |
칼리크라티스 개혁(2010년) 이전, 아르골리다 현은 16개의 기초 자치체(14개의 디모스, 2개의 키노티타)로 구성되었다. 개혁 후, 구 자치체는 신 자치체(디모스)를 구성하는 행정구(디모티키 에노티타)가 되었다.
| | 구 자치체 | 철자 | 정청 소재지 | 신 자치체 |
---|---|---|---|---|
1 | 나프플리오 | Ναύπλιο|나프플리오el | 나프플리오 | 나프플리오 |
2 | 아르고스 | Άργος|아르고스el | 아르고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3 | 아시니 | Ασίνη|아시니el | 드레파노 | 나프플리오 |
4 | 아스클리피이오 | Ασκληπιείο|아스클리피이오el | 리글리오 | 에피다브로스 |
5 | 에피다우로스 | Ἐπίδαυρος|에피다우로스el | 아르헤아 에피다우로스 | 에피다우로스 |
6 | 에르미오니 | Ερμιόνη|에르미오니el | 에르미오니 | 에르미니다 |
7 | 쿠초포디 | Κουτσοπόδι|쿠초포디el | 쿠초포디 | 아르고스-미키네스 |
8 | 크라니디 | Κρανίδι|크라니디el | 크라니디 | 에르미니다 |
9 | 레르나 | Λέρνα|레르나el | 밀리 | 아르고스-미키네스 |
10 | 리르키아 | Λυρκεία|릴키아el | 릴키아 | 아르고스-미키네스 |
11 | 미데아 | Μιδέα|미데아el | 아야 트리아다 | 나프플리오 |
12 | 미키네스 | Μυκήνες|미키네스el | 미키네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13 | 네아 키오스 | Νέα Κίος|네아 키오스el | 네아 키오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14 | 네아 티린타 | Νέα Τίρυνθα|네아 티린타el | 티린스 | 나프플리오 |
15 | 알레아 ※ | Αλέα|알레아el | 스코티니 | 아르고스-미키네스 |
16 | 아흘라도캄보스 ※ | Αχλαδόκαμπος|아흘라도캄보스el | 아흘라도캄보스 | 아르고스-미키네스 |
아르골리다 현에는 2006년까지 3개의 군(에파르키아)이 있었으나, 이후 법적인 지위는 없다.
군 이름 | 표기 | 중심지 |
---|---|---|
아르고스 군 | Άργος|아르고스el | 아르고스 |
나프플리아 군 | Ναυπλία|나프플리아el | 나프플리오 |
에르미오니다 군 | Ερμιονίδα|에르미오니다el | 크라니디 |
5. 교통
이 지역은 다음과 같은 고속도로로 연결된다.
- E65 (북서쪽)
- 그리스 국도 제7호선
- 그리스 국도 제70호선
6. 언론
아르골리다현에는 다양한 언론 매체가 있다.
그리스어 신문, 그리스의 라디오 방송, 그리스어 텔레비전 채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신문
- * 아르고스의 아르게이아콘 비마
- * 나플리오의 타 네아 티스 아르골리도스
- 라디오
- * 아르고스의 아르가이키 라디오포니아
- * 아르고스의 아르고스 라디오 디제이 (96.2 FM)
- * 아르고스 케팔라리의 쿨 FM (90.7 FM)
- * 나플리오의 디모티코 라디오포니우 나프플리우
- * 아르고스의 오렌지 FM (91.1 FM)
- * 나플리오의 라디오 아르골리다 (90.2 FM)
- * 에르미오니의 라디오 에르미오니다
- * 크라니디의 라디오 크라니디
- * 아르고스의 스타일 89.6 (89.6 FM)
- 텔레비전
- * 맥스 TV
6. 1. 신문
- 아르게이아콘 비마 – 아르고스
- 타 네아 티스 아르골리도스 – 나플리오
- 아르골리아콘 비마
- 타 네아 티스 아르골리다스
6. 2. 라디오
방송국명 | 위치 | 주파수 |
---|---|---|
아르가이키 라디오포니아 | 아르고스 | |
아르고스 라디오 디제이 | 아르고스 | 96.2 FM |
쿨 FM | 아르고스, 케팔라리 | 90.7 FM |
디모티코 라디오포니우 나프플리우 | 나플리오 | |
오렌지 FM | 아르고스 | 91.1 FM |
라디오 아르골리다 | 나플리오 | 90.2 FM |
라디오 에르미오니다 | 에르미오니 | |
라디오 크라니디 | 크라니디 | |
스타일 89.6 | 아르고스 | 89.6 FM |
6. 3. 텔레비전
그리스어 텔레비전 채널 목록- 맥스 T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