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은 1932년 아르헨티나 배구 연맹 설립 이후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1980년대에는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 3위, 1988년 서울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하며 남미의 강호로 부상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추가했으며,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3번,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2번 우승했다. 주요 선수로는 루시아노 데 체코, 파쿤도 콘테 등이 있으며, 현재 유니폼 공급 업체는 올림푸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핸드볼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아르헨티나 핸드볼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남자 핸드볼 팀 중 하나로, 올림픽 4회 출전 및 팬아메리카 게임 3회 우승, 팬아메리카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7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남자 필드하키 대표팀으로, 올림픽 금메달, 팬 아메리카 게임 13회 우승, 월드컵 동메달 등 국제 무대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준다.
  •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하고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했다.
  •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7년 창설된 일본 배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아시아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올림픽 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1회를 획득했으며,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르헨티나 국기
국기
연맹FeVA
대륙 연맹CSV
감독공석
웹사이트https://feva.org.ar/selecciones-nacionales/seleccion-nacional-masculina/
올림픽
출전 횟수9
첫 출전1984
최고 성적[[파일:Bronze medal.svg|16px]] (1988, 2020)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3
첫 출전1960
최고 성적[[파일:Bronze medal world centered-2.svg|16px|alt=동메달|link=1982 FIVB Volleyball Men's World Championship]] 1982
월드컵
출전 횟수7
첫 출전1985
최고 성적5위 (1985, 2015, 2019)
남미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32
첫 출전1951
최고 성적(1964, 2023)
유니폼 정보
null
null
null
null
메달 기록
올림픽0금, 0은, 2동
세계 선수권 대회0금, 0은, 1동
팬아메리칸 게임3금, 1은, 3동
팬아메리칸 컵2금, 5은, 2동
아메리카컵0금, 1은, 2동
남아메리카 게임5금, 0은, 0동
남미 선수권 대회2금, 19은, 8동
유니버시아드0금, 0은, 1동
주요 대회 메달
1988 서울[[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2020 도쿄[[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82 아르헨티나[[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팬아메리칸 게임 메달
1995 마르델플라타[[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5 토론토[[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9 리마[[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23 산티아고[[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63 상파울루[[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83 카라카스[[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91 하바나[[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2011 과달라하라[[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팬아메리칸 컵 메달
2017 가티노[[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8 코르도바[[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0 산후안[[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2 산토도밍고[[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5 리노[[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6 멕시코시티[[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9 콜리마 시티[[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3 멕시코시티[[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2014 티후아나[[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아메리카컵 메달
1998 마르델플라타[[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99 탬파[[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2001 부에노스아이레스[[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남아메리카 게임 메달
1978 라파스[[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1982 로사리오[[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0 메데인[[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4 산티아고[[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18 코차밤바[[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남미 선수권 대회 메달
1964 부에노스아이레스[[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23 헤시피[[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1962 산티아고[[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73 부카라망가[[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81 산티아고[[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83 상파울루[[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87 몬테비데오[[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89 쿠리치바[[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91 오자스쿠[[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93 코르도바[[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95 포르투알레그리[[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99 코르도바[[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01 칼리[[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05 라제스[[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07 산티아고 / 비냐델마르[[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09 보고타[[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1 쿠이아바[[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3 카보프리오[[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5 마세이오[[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19 산티아고[[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2021 브라질리아[[파일:silver medal icon.svg|16x16px]] 은메달
1961 리마[[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71 몬테비데오[[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75 아순시온[[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77 치클라요 / 리마 / 트루히요[[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85 카라카스[[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1997 카라카스[[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2003 리우데자네이루[[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2017 산티아고 / 테무코[[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유니버시아드 메달
2015 광주[[파일:Bronze medal icon.svg|16x16px]] 동메달
기타 정보
FIVB 순위6위 (2024년 3월 기준)

2. 역사

1932년, 아르헨티나 배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당시 연맹은 농구와 관리를 공유했다.[3] 1951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으며,[4] 같은 해, 첫 공식 경기인 1951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3] 첫 출전한 196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3] 자국에서 개최한 1964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브라질을 제외한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지만, 이는 브라질의 불참에 따른 것이다.

1980년대 아르헨티나는 공격적인 배구를 구사하며 브라질 다음 가는 남미의 강호로 떠올랐다.[5]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5]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 조별 예선에서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

1990년대 아르헨티나는 1991년 월드컵에서 탈락한 후 국제 대회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침체되었다.[5]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3개 대회 만에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3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에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6]

자국에서 개최한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 2차 라운드를 무패로 통과했지만, 8강전에서 프랑스에 패하며[7] 6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에서 올림픽 출전권을 잃은 후, 젊은 선수 중심으로 팀을 재편했다.[8] 강화된 유스, 주니어 대표팀은 2009년 9월 FIVB 랭킹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8]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변화된 고속 배구를 선보이며 9위를 기록했다.[9] 2011년 월드 리그에서는 세르비아를 꺾고 결승 라운드에 진출, 이탈리아와 불가리아를 상대로 승리하는 등 선전하며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3, 4위전에서 브라질을 꺾으며 8개 대회 만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초기 역사 (1932년 ~ 1970년대)

1932년, 아르헨티나 배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당시 연맹은 농구와 관리를 공유했다.[3] 1951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으며,[4] 같은 해, 첫 공식 경기인 1951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3] 첫 출전한 196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3] 자국에서 개최한 1964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브라질을 제외한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지만, 이는 브라질의 불참에 따른 것이다.

2. 2. 전성기 (1980년대)

1980년대 아르헨티나는 공격적인 배구를 구사하며 브라질 다음 가는 남미의 강호로 떠올랐다.[5]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5]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 조별 예선에서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

2. 3. 침체와 부활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 아르헨티나는 1991년 월드컵에서 탈락한 후 국제 대회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침체되었다.[5]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3개 대회 만에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3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에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6]

자국에서 개최한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 2차 라운드를 무패로 통과했지만, 8강전에서 프랑스에 패하며[7] 6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에서 올림픽 출전권을 잃은 후, 젊은 선수 중심으로 팀을 재편했다.[8] 강화된 유스, 주니어 대표팀은 2009년 9월 FIVB 랭킹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8]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변화된 고속 배구를 선보이며 9위를 기록했다.[9] 2011년 월드 리그에서는 세르비아를 꺾고 결승 라운드에 진출, 이탈리아와 불가리아를 상대로 승리하는 등 선전하며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3, 4위전에서 브라질을 꺾으며 8개 대회 만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3. 주요 대회 성적

3. 1. 올림픽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6위를 기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조별 예선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8위를 기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4위에 머물렀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12년 런던 올림픽,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모두 8강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 기록
연도라운드결과선수 명단
1984조별 예선6위6241113명단
1988준결승3위7431412명단
19968강8위8351318명단
2000준결승4위8351118명단
20048강5위6331412명단
20128강5위6331010명단
20168강5위642137명단
2020준결승3위8531817명단
2024조별 예선11위30319명단
합계동메달 2회9/16582731105116



''1964년부터 1980년까지 불참''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은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982년에 3위를 차지한 것이 가장 좋은 성적이다. 1960년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고, 1978년 대회에서는 22위를 기록했다. 1982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3위를 차지했다. 1986년 대회에서는 7위, 1990년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1994년 대회에서는 14위, 1998년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002년 대회에서는 5위 결정전까지 진출하여 6위를 차지했다. 2006년 대회에서는 2라운드까지 진출하여 13위, 2010년 대회에서는 9위 결정전까지 진출하여 9위를 기록했다. 2014년 대회에서는 2라운드까지 진출하여 11위, 2018년 대회에서는 2라운드 15위, 202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8위를 기록했다.

연도라운드순위
196011–14위 결정전11위532911
197821위 결정전22위1019728
1982준결승 3위9722213
19867위 결정전7위8441514
19905위 결정전6위752178
19941라운드14위30339
199811위 결정전11위12572223
20025위 결정전6위9722413
20062라운드13위12391832
20109위 결정전9위9632014
20142라운드11위12662121
20182라운드15위8351419
20228강8위5231111
2025진출 확정
합계3위14/211095257203216


3. 3. 월드컵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은 월드컵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기록했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득세트실세트명단
1985풀 리그5위7341214명단
1995풀 리그7위11561720명단
1999풀 리그9위11471823명단
2007풀 리그7위11561523명단
2011풀 리그7위11562121명단
2015풀 리그5위11742616명단
2019풀 리그5위11652420명단
합계5위7/15733538133137


  • 1985년 - 5위
  • 1995년 - 7위
  • 1999년 - 9위
  • 2007년 - 7위
  • 2011년 - 7위
  • 2015년 - 5위
  • 2019년 - 5위

3. 4. 월드 리그 / 네이션스 리그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은 1996년 월드 리그에서 7위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대회에 참가하였다. 1999년에는 6위, 2011년에는 4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2009년과 2010년 대회에서는 각각 5위를 차지했다.

2018년부터는 FIVB 월드 리그가 FIVB 발리볼 네이션스 리그로 변경되면서,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계속해서 네이션스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2018년에는 14위, 2019년에는 7위, 2021년과 2022년에는 9위를 기록했고, 2023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월드 리그 기록
년도라운드순위
1990불참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인터컨티넨탈 라운드7위12482226
1997인터컨티넨탈 라운드8위12482025
1998인터컨티넨탈 라운드9위12572225
1999파이널 라운드6위144102332
2000인터컨티넨탈 라운드8위12482328
2001인터컨티넨탈 라운드13위122101632
2002인터컨티넨탈 라운드9위12481926
2003불참
2004
2005인터컨티넨탈 라운드10위12391832
2006인터컨티넨탈 라운드7위12752221
2007인터컨티넨탈 라운드13위12012936
2008불참
2009파이널 라운드5위14773031
2010파이널 라운드5위140141542
2011준결승4위171163725
2012인터컨티넨탈 라운드10위12662223
2013파이널 라운드6위121111334
2014인터컨티넨탈 라운드13위12842916
2015인터컨티넨탈 라운드11위12752621
2016인터컨티넨탈 라운드10위9361620
2017인터컨티넨탈 라운드10위9361522
합계4위19/2823383150397517



네이션스 리그 기록
년도라운드순위선수 명단
2018예선 라운드14위154112334선수 명단
2019예선 라운드7위15873326선수 명단
2021예선 라운드9위15782329선수 명단
2022예선 라운드9위12572426선수 명단
20238강5위13943221선수 명단
20248강8위13672527선수 명단
총계5위6/6833944160163



1990년부터 1995년까지 불참

3. 5.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1964년과 2023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1964년 대회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으며, 아르헨티나는 4승 무패의 성적으로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4승 무패로 두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는 1964년과 2023년 우승 외에도 준우승 17회, 3위 7회를 기록하며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는 브라질에 이어 꾸준히 2위를 차지하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기록
년도라운드순위
1951라운드 로빈4위30319
1956불참
1958라운드 로빈4위41369
1961라운드 로빈3위42296
1962라운드 로빈2위642126
1964라운드 로빈1위440121
1967불참
1969라운드 로빈5위7341112
1971라운드 로빈3위752178
1973라운드 로빈2위43196
1975라운드 로빈3위752157
1977라운드 로빈3위63399
19795-7위 그룹5위422108
1981라운드 로빈2위541143
1983결선 라운드2위43193
1985라운드 로빈3위53296
1987라운드 로빈2위651154
1989라운드 로빈2위651173
1991결승2위42276
1993결승2위642145
1995결승2위42286
1997결선 라운드3위642126
1999결승2위42278
2001결선 라운드2위32163
2003라운드 로빈3위42276
2005라운드 로빈2위541124
2007결승2위541127
2009라운드 로빈2위651164
2011라운드 로빈2위651163
2013라운드 로빈2위431113
2015결승2위541125
2017준결승3위541144
2019결승2위532126
2021라운드 로빈2위431104
2023라운드 로빈1위440121
합계2회 우승33/3516210953363181


3. 6. 기타 대회

3. 6. 1. 팬아메리칸 게임

1963년 대회에서 8경기 5승 3패, 15세트 득, 12세트 실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67년 대회에서는 7-9위 그룹에서 5경기 2승 3패, 7세트 득, 10세트 실을 기록하여 7위를 차지했다.

1971년 대회에서는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으나, 8경기 2승 6패, 7세트 득, 21세트 실로 6위에 머물렀다.

1983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7경기 3승 4패, 13세트 득, 13세트 실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7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7경기 3승 4패, 12세트 득, 13세트 실로 4위를 기록했다.

1991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7경기 3승 4패, 12세트 득, 14세트 실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1995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 4경기 4승, 12세트 득, 2세트 실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의 팬아메리칸 게임 첫 우승이었다.

1999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5경기 3승 2패, 11세트 득, 7세트 실로 4위에 머물렀다.

2007년 대회에서는 순위 결정전에서 5경기 1승 4패, 4세트 득, 14세트 실로 6위를 기록했다.

2011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5경기 4승 1패, 15세트 득, 14세트 실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6경기 5승 1패, 15세트 득, 7세트 실로 금메달을 차지하며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 5경기 5승, 15세트 득, 1세트 실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 번째 우승이자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5경기 4승 1패, 12세트 득, 5세트 실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아르헨티나는 범아메리카 경기 대회 배구에서 총 3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브라질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우승을 기록한 국가가 되었다.

3. 6. 2. 팬아메리칸 컵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승리세트 패배대표팀
2010결승준우승43195대표팀
20118강7위42276대표팀
2012결승준우승5411210대표팀
2013준결승3위532109대표팀
2014준결승3위431117대표팀
2015결승준우승541136대표팀
2016결승준우승541145대표팀
2017결승우승550151대표팀
2018결승우승550154대표팀
2019결승준우승532137대표팀
합계2회 우승10/1847361111960


3. 6. 3. 아메리카스 컵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대표팀
1998결승준우승7431614명단
1999준결승3위7341114명단
2000준결승4위7341314명단
2001준결승3위7341214명단
2005준결승4위413510명단
2007준결승4위413411명단
2008준결승4위413311명단
합계준우승7/74016246488


3. 6. 4. 남미 게임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선수 명단
1978풀 리그우승
1982풀 리그우승
2010결승우승550151선수 명단
2014결승우승33090선수 명단
2018결승우승550152선수 명단
합계5회 우승5/513130393


4. 팀

4. 1. 현 대표팀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하계 올림픽 배구 남자 아르헨티나 대표팀 명단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몸무게스파이크 높이블로킹 높이2023-2024 클럽
S루시아노 데 체코1988년 6월 2일1.94 m98 kg333 cm315 cm루베 치비타노바it
S마티아스 산체스1996년 9월 20일1.73 m67 kg306 cm290 cm스lepsk 말로브 수바우키pl
S에제키엘 바스케스2002년 9월 17일1.90 m80 kg335 cm315 cmCD Voleibol Río Duero Soriaes
OP브루노 리마1996년 2월 4일1.98 m87 kg345 cm320 cmVNL 나르본프랑스어
OP파블로 코우카르체프1993년 5월 25일2.04 m105 kg363 cm343 cmZAKSA 켕지에진코질레pl
OH에세키엘 팔라시오스1992년 10월 2일1.98 m95 kg355 cm330 cm몽펠리에 HSC VB프랑스어
OH파쿤도 콘테1989년 8월 25일1.98 m86 kg354 cm334 cm시우다드 볼레이es
OH루시아노 비센틴2000년 1월 21일1.99 m100 kg335 cm315 cmVfB 프리드리히샤펜de
OH루시아노 팔론스키1999년 6월 8일1.98 m85 kg330 cm310 cm투르 VB프랑스어
OH마누엘 아르모아2002년 12월 1일1.95 m85 kg332 cm315 cm몽펠리에 HSC VB프랑스어
OH니콜라스 멘데스2002년 11월 2일1.91 m90 kg335 cm310 cmCD Voleibol Río Duero Soriaes
OH얀 마르티네스 프란치1998년 1월 28일1.90 m85 kg333 cm316 cm트레플 그단스크pl
MB아구스틴 로세르1992년 7월 14일2.02 m105 kg365 cm340 cm투르 VB프랑스어
MB마르틴 라모스1991년 8월 26일1.97 m99 kg332 cm312 cm클럽 파라나es
MB호아킨 가예고1996년 11월 21일2.04 m102 kg343 cm323 cmCVM 코로나 브라쇼브ro
MB니콜라스 제르바시오니2003년 8월 3일2.02 m95 kg345 cm320 cm클럽 시우다드 데 부에노스아이레스es
L산티아고 다나니1995년 12월 12일1.76 m77 kg324 cm309 cm파도바it



4. 2. 주요 선수

마르코스 밀린코비치, 왈도 칸토르, 하비에르 웨버, 다니엘 카스테야니, 우고 콘테, 라울 키로가, 존 우리아르테, 루시아노 데 체코는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들이다.

5. 기타

5. 1. 유니폼 공급 업체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공급 업체는 다음과 같다.

기간키트 공급업체
2000년–2006년토퍼
2008년–현재올림푸스


5. 2. 스폰서십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스폰서는 아르헨티나 국립은행(Banco de la Nación Argentina)과 Sonder이다. 기타 후원사로는 Pensma, Sodimac, Arnet, Enardo, 게토레이(Gatorade)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ank Team http://www.fivb.org/[...]
[2] 웹사이트 FIVB Senior World Ranking - Men https://en.volleybal[...] FIVB 2024-03-08
[3] 웹사이트 FIVB Men's Volleyball World Championship Italia 2010 - Media Guide / Argentina https://www.fivb.org[...] FIVB 2010-10-13
[4] 웹사이트 Confederación Sudamericana de Voleibol (CSV) http://www.fivb.org/[...] FIVB 2010-08-03
[5] 웹사이트 1998年バレーボール世界選手権 - 男子出場チーム アルゼンチン http://www.tbs.co.jp[...] TBS 2010-10-13
[6] 웹사이트 Italy settles for bronze http://sportsillustr[...] CNNSI.com 2010-10-13
[7] 웹사이트 Men's World Championship 2002 - Press Info http://www.fivb.ch/E[...] FIVB 2010-10-13
[8] 웹사이트 FIVB Junior and Youth World Ranking - Men's Team http://www.fivb.org/[...] FIVB 2010-10-13
[9] 웹사이트 バレー男子、実戦経験不足の影響=世界選手権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 2010-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