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기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기산은 일본 시즈오카현에 위치한 산으로, 최고봉은 1,405.6m의 반자부로다케이다. 이즈 동부 화산군에 속하며, 다양한 봉우리와 고개로 이루어져 있다. 여름에는 많은 비가 내리고, 겨울에는 적설이 있는 기후를 보인다. 과거에는 도쿠가와 막부의 천령으로 관리되었으며, 와사비 재배가 번성했다. 현재는 후지하코네이즈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아마기 고에' 등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가시이즈정 - 기토촌 (시즈오카현 가모군)
    기토촌은 시즈오카현 이즈 반도 동부에 위치했던 촌으로, 토모로 곶과 아마기산, 여러 하천 등 자연환경을 가지며 아타가와 바나나 악어원과 온천 등의 관광지와 국도 제135호선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였으나 현재는 히가시이즈정에 합병되었다.
  • 이즈시의 지리 - 시로산 (이즈시)
  • 시즈오카현의 산 - 니혼다이라
    니혼다이라는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에 위치한 우도산을 최고봉으로 하는 구릉 지대로, 지각 변동으로 형성되었으며 구노잔 도쇼구, 니혼다이라 유메 테라스 등의 명소와 시즈오카시도 이케다 니혼다이라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시즈오카현의 산 - 시로산 (이즈시)
아마기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북쪽에서 바라본 아마기산
북쪽에서 바라본 아마기산
다른 이름아마기산 (天城山)
높이1406m
산맥이즈 반도
등재일본의 산 목록 (높이별)
위치일본, 시즈오카현, 이즈 반도
좌표34.8628° N, 139.0017° E
종류성층 화산
화산호이즈-보닌-마리아나 호
지질안산암
마지막 분화0.2 Ma (백만 년 전)
쉬운 경로하이킹
지리
아마기 연산아마기 연산 (天城連山)
반사부로다케반사부로다케 (万三郎岳)
높이 (반사부로다케)1406m
반지로다케반지로다케 (万二郎岳)
높이 (반지로다케)1300m
도가사야마도가사야마 (遠笠山)
높이 (도가사야마)1197m

2. 지리

아마기산은 시즈오카현 이즈반도 중앙부에 위치한 여러 화산 봉우리들의 총칭이다. 최고봉은 万三郎岳|반자부로다케일본어(1405.6m)이다.

아마기산은 제4기성층 화산으로, 80만~20만 년 전 분화로 형성되었다. 화산 활동을 마친 후 침식이 진행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과거 산 정상은 침식이 심한 남쪽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7] 도가사 산을 포함하여 아마기 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화산학상으로는 이즈 동부 화산군에 속하며, 아마기 산이 활동을 마친 후 만들어진 화산 지형이다. 만사부로 산 서쪽에 위치한 가와코다이라 화구가 약 3200년 전에 분화하여 북쪽 기슭에 걸쳐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었는데, 이것도 이즈 동부 화산군의 활동으로 분류된다.[8]

아마기산은 강수량이 많은 지역으로, "아마기(雨木, 비 나무)"라는 단어가 산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9] 또한, 잎에 많은 당분을 함유한 아마기아마차(天城甘茶, 학명: Hydrangea macrophylla var.amagiana)라는 산수국과 비슷한 종류의 식물이 이즈 산지에 많이 자생하는데, 이 잎을 건조하여 감차를 만들어 약용이나 불사에 사용하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에 아마기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19]

2. 1. 주요 봉우리

삼등 삼각점 기준점명은 토오가사노[15].
산 이름은 산세에서 유래한다.1299m1325m아세비가 군생하여, 터널 모양을 이루고 있다.반사부로다케와의 사이에 샤쿠나게 군생지가 있다.1405.6m아마기 산의 최고봉. 일등 삼각점 기준점명은 반조다케[16]。1360m1160m가와코다이라로 내려가는 등산로.이즈 동부 화산군의 분화구.1197.4m삼등 삼각점 기준점명은 시라다토게[17]。1173m아마기 터널이 있다.


2. 2. 지형



아마기 산은 제4기성층 화산이다. 80만~20만 년 전 분화로 형성되었으며, 화산 활동을 마치고 침식이 진행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과거 산정상은 침식이 심한 남쪽에 있었다고 생각된다[7]。 도가사 산을 포함하여 아마기 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화산학상으로는 이즈 동부 화산군에 속하며, 아마기 산이 활동을 마친 후 만들어진 화산 지형이다. 만사부로 산 서쪽에 위치한 가와코다이라 화구가 약 3200년 전에 분화하여 북쪽 기슭에 걸쳐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었는데, 이것도 이즈 동부 화산군의 활동으로 분류된다[8]

동쪽부터 순서대로
명칭표고비고
遠笠山|토오가사야마일본어1197.3m이즈 동부 화산군의 스코리아 언덕.
삼등 삼각점 기준점명은 토오가사노[15]
산 이름은 산세에서 유래한다.
万二郎岳|반지로다케일본어1299m
馬の背|우마노세일본어1325m아세비가 군생하여 터널 모양을 이루고 있다.
花楠立|하나다테일본어반사부로다케와의 사이에 샤쿠나게 군생지가 있다.
万三郎岳|반자부로다케일본어1405.6m아마기 산의 최고봉. 일등 삼각점 기준점명은 반조다케[16]
片瀬峠|가타세토게일본어
小岳|고다케일본어1360m
戸塚峠|토츠카토게일본어1160m가와코다이라로 내려가는 등산로.
皮子平|가와고다이라일본어이즈 동부 화산군의 분화구.
白田峠|시라다토게일본어1197.4m삼등 삼각점 기준점명은 시라다토게[17]
八丁池|핫초이케일본어1173m
아마기 고개|아마기토게일본어아마기 터널이 있다.


3. 기후

여름에는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이 아마기산에 부딪혀 상승 기류가 형성되어 비구름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오며, 연간 강수량이 4000mm를 넘는 경우도 있다.[10] 아메다스 지점의 평년값(1991년-2020년)은 4552mm이며, 기상청 관측 지점으로는 야쿠시마 (가고시마현) 4651mm, 에비노 (미야자키현) 4625mm에 이어 국내 3위의 강수량이다. 또한, 겨울에는 적설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4. 역사

아마기 산은 제4기성층 화산이다. 80만~20만 년 전의 분화로 형성되었으며, 화산 활동을 마치고 침식이 진행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과거의 산 정상은 침식이 심한 남쪽에 있었다고 생각된다.[7]



근세에는 도쿠가와 막부의 천령으로서 아마기산을 니라야마 대관이 관리해 왔다. 산 중의 히노키, 스기, 적송, 향나무, 녹나무, 느티나무, 가시나무, 전나무, 젓나무의 9종은 금지된 나무로 지정되어 (아마기의 9금제), 공용 이외에는 벌채가 금지되었다.[11]

시즈오카현의 아베 강 상류의 우토기 지역에서 와사비 재배가 전해져[12], , 표고버섯과 함께 豆駿遠三國의 주요 특산물로, 에도에서도 유통되어 17세기 후반에는 연공으로도 납입되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畳石 재배가 시작되었고, 현재는 대규모 산지가 되어 아마기의 와사비는 최고급 브랜드가 되었다. 또한, 이 역시 메이지 시대에 아마기 유가시마 지역에서 표고버섯의 재배법이 확립되어, 일대에서는 현재에도 표고버섯 재배가 활발하다.

5. 자연

북쪽에서 바라본 모습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5. 1. 식생

기후 문단에서 언급했듯이, 아마기산은 다우 지역이며, "아마기(雨木, 비 나무)"라는 단어가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9] 또한, 잎에 많은 당분을 함유한 아마기아마차(天城甘茶, 학명: Hydrangea macrophylla var.amagiana)라는 산수국과 비슷한 종류의 식물이 있으며, 일본 국내에는 이 잎을 건조하여 감차를 만들어 약용이나 불사에 사용하는 풍습이 남아있는 지방이 있다. 그 아마기아마차가 이즈의 산지에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예전에 아마기산 주변의 주민들에게도 비슷한 풍습이 있었기 때문에 아마기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19]

아마기 산의 능선에는 너도밤나무 숲이 있으며, 그중에는 거대한 너도밤나무도 보인다.[18] 5월에는 아마기 철쭉, 6월에는 아마기 산철쭉이 만개한다.[18]

;낙엽 활엽수를 주로 하는 냉온대림



인공림으로는 삼나무와 편백나무가, 동쪽 기슭에서는 해발 1000m 부근까지, 북쪽 기슭에서는 800m 부근까지 조림되어 있다.

타로스기


;타로스기

아마기 산 중에서 가장 큰 거목.[20] 고목에서는 드물게 어린 나무를 그대로 거대하게 키운 듯한 정돈된 수형이 특징이다. 추정 수령 450년 이상,[20] 수고 53m,[20] 줄기 둘레 약 13.6m,[20] 시즈오카현 지정 천연기념물,[20] 숲의 거인 100선[20], 소재지 시즈오카현 이즈시 유가시마

;시라누타의 큰 삼나무 (부지늪의 큰 삼나무)

아마기 산의 남쪽 기슭에 있는 삼나무 거목으로, 타로스기에 이은 큰 삼나무로 지로스기라고도 불린다. 줄기 둘레 약 8.6m, 히가시이즈 정 지정 천연기념물, 소재지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오아자 나라모토

;오바케스기

시라누타의 큰 삼나무 근처에 있으며, 기이할 정도로 많은 가지를 가진 삼나무 거목. 센주칸논스기라고도 한다. 줄기 둘레 약 5.4m, 소재지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가타세 국유림

5. 2. 동물

유럽울새나 유럽솔새 등 연간 64종의 조류가 확인되고 있다.[18] 시라누타노이케 등은 산개구리의 산란지로 알려져 있으며, "시라누타노이케와 그 주변의 생물상"으로 시즈오카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18]

6. 등산

아마기산은 저명한 등산가인 후카다 규야에 의해 '''일본 백명산''' 중 하나로 선정되어, 등산 시즌에는 많은 등산객이 찾는다. 산 능선은 수목 한계선을 넘지 않아 등산로 대부분이 활엽수로 덮여 있다. 따라서 반지로다케에서 말의 등에 이르는 안부에 있는 두 곳의 암반, 핫초이케 전망대, 산체 서부의 아오스즈다이에서 전망을 볼 수 있다. 최고봉인 반자부로다케에서도 약간 북쪽이 보일 뿐이다.

반지로다케와 반자부로다케 사이의 '''말의 등'''이라 불리는 능선에는 등산로가 아세비 수림 속을 통과하는 '''아세비 터널'''이 있다.[18] 또한 반자부로다케 북동쪽에는 진달래 군락지가 있다.[18]

아마기산은 눈이 쌓이기 때문에 겨울철 등산 시에는 아이젠이 필요할 수 있다.



쇼와 천황1930년(쇼와 5년) 6월에 핫초이케까지 왕복했으며, 이때 사용한 등산로를 '''미유키 보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핫초이케에는 이 등산을 기념하여 "천필류종비"라고 새겨진 기념비가 남아 있다. 또한, 쇼와 천황은 1981년(쇼와 56년) 6월에도 등산을 했다. 쇼와 천황의 손자인 현 일왕1982년(쇼와 57년) 7월에 아마기산을 종주하며 만지로산에서 만사부로산, 핫초이케를 거치는 코스를 걸었다.[19]

환경부 환경 카운슬러이자 자연공원 지도원은 "양손에 드는 더블 스톡이 본격적인 '멋진' 등산 스타일이라고 오해받고 있다. 스톡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무릎 부담을 줄이는 등의 효과는 있지만, 자신의 몸으로 균형을 잡으면서 근력도 키울 수 있다. 특히 젊은 사람은 필요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21]

7. 문화

아마기산은 다우 지역이며, "아마기(雨木, 비 나무)"라는 단어가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9] 또한, 잎에 많은 당분을 함유한 아마기아마차(天城甘茶, アマギアマチャ|아마기아마차일본어, 학명: Hydrangea macrophylla var.amagiana)라는 산수국과 비슷한 종류의 식물이 있으며, 일본 국내에는 이 잎을 건조하여 감차를 만들어 약용이나 불사에 사용하는 풍습이 남아있는 지방이 있다. 그 아마기아마차가 이즈의 산지에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예전에 아마기산 주변의 주민들에게도 비슷한 풍습이 있었기 때문에 아마기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19]

쇼와 천황1930년 6월에 핫초이케까지 왕복하며, 이때 사용한 등산로를 '''미유키 보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핫초이케에는 이 등산을 기념하여 "천필류종비"라고 새겨진 기념비가 남아 있다. 또한, 쇼와 천황은 1981년 6월에도 등산을 했다. 쇼와 천황의 손자인 현 일왕1982년 7월에 아마기산을 종주하며 만지로산에서 만사부로산, 핫초이케를 거치는 코스를 걸었다.[19]

8. 갤러리


참조

[1] opentopomap Mount Amagi 2023-05-28
[2] 웹사이트 Amagi San https://gbank.gsj.jp[...] Geological Survey of Japan 2023-04-01
[3] peakbagger Amagi-san 2023-04-01
[4] 웹사이트 Hyakumeizan, Hiking Japan! http://www.japangaze[...]
[5] 뉴스 標高値を改定する山岳一覧 資料1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4-03-26
[6] 문서 GNSS測量等の点検・補正調査による2014年4月1日の国土地理院『日本の山岳標高一覧-1003山-』における改定値。なお、旧版での標高は1,405m。
[7] 웹사이트 伊豆の大地の物語(35) 伊豆新聞連載記事(2008年4月27日) https://sakuya.vulca[...] 静岡大学教育学部総合科学教室 小山真人研究室 2008-04-27
[8] 웹사이트 伊豆の大地の物語(88) 伊豆新聞連載記事(2009年5月3日) https://sakuya.vulca[...] 静岡大学教育学部総合科学教室 小山真人研究室 2009-05-03
[9] 방송 伊豆 天城越え NHK 新日本風土記 2012-11-09
[10] 웹사이트 気象庁 年間降水量 天城山 https://www.data.jma[...]
[11] 문서 현지 설명판
[12] 웹사이트 とれたてぴちぴち伊豆育ち。ふるさとの特産品をご紹介① http://www.city.izu.[...] 伊豆市 2012-11-11
[13] 뉴스 2012年5月3日14時08分 読売新聞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2-05-03
[14] 보고서 静岡地方気象台 平成24年4月30日から5月3日にかけての大雨に関する気象速報 http://www.jma-net.g[...] 静岡地方気象台
[15] 웹사이트 基準点成果等閲覧サービス https://sokuseikagis[...] 국토지리원 2016-04-26
[16] 웹사이트 基準点成果等閲覧サービス https://sokuseikagis[...] 국토지리원 2016-04-26
[17] 웹사이트 基準点成果等閲覧サービス https://sokuseikagis[...] 국토지리원 2016-04-26
[18] 웹사이트 天城山ハイキングマップ http://kanko.city.iz[...] 昭和の森・天城山自然休養林管理運営協議会 2021-06-26
[19] 웹사이트 伊豆・天城山のブナ・ヒメシャラ林を訪ねる http://www.chiba-shi[...] 千葉県森林インストラクター会
[20] 웹사이트 天城の自然10選と探索マップ https://izunotabi.co[...] 伊豆の国市観光協会 2021-12-19
[21] 웹사이트 天城の自然環境(下) 荒れる登山道 http://amayulc.net/k[...] 伊豆新聞掲載 2011-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