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강돌고래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은 남아메리카 강돌고래의 한 속으로, 분류학적으로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34년 처음 기술되었으며, 단일 종인 아마존강돌고래(Inia geoffrensis)와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볼리비아강돌고래(Inia boliviensis)와 아라과이아강돌고래(Inia araguaiaens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학계의 분류 기준에 따라 종의 수와 분류 체계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빨고래류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이빨고래류 - 향고래상과
향고래상과는 이빨고래아목의 분류군으로, 현생하는 향고래, 꼬마향고래, 쇠향고래를 포함하며, 튼튼한 몸과 노 모양 지느러미, 깊이 잠수하는 특징을 가진다. - 강돌고래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강돌고래 - 남아시아강돌고래
남아시아강돌고래는 남아시아강돌고래과에 속하며 갠지스강돌고래와 인더스강돌고래 두 종이 있는 이빨고래의 일종이다. - 1834년 기재된 포유류 - 너구리
너구리는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한국 고유 명칭을 가지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동면하는 습성이 있으며, 모피를 얻기 위해 사냥되거나 유해조수로 관리되기도 한다. - 1834년 기재된 포유류 - 볼리비아강돌고래
볼리비아강돌고래는 볼리비아 강에 서식하는 남아메리카 강돌고래로, 한때 아마존강돌고래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 또는 아마존강돌고래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 감소 위협에 직면하여 볼리비아 정부에 의해 국보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아마존강돌고래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학명 | Inia |
명명자 | d'Orbigny, 1834 |
모식종 | Inia boliviensis |
모식종 명명자 | d'Orbigny, 1834 |
![]() | |
분류 | |
하위 분류 | * 본문 참조 |
2. 분류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은 분류학적으로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34년 알시드 도르비니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1817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이 기술한 ''Delphinus geoffrensis''를 독특한 분류군으로 인식한 것이다.[2] 도르비니는 또한 이 속의 모식종으로 ''Inia boliviensis''를 기술했다.[2]
초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아종 또는 별도의 종으로 재분류되었다. 1998년 분류에서는 이 속 ''Inia''에 단일 종 ''Inia geoffrensis''를 등재하고 세 개의 아종을 인정했다.[3]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을 포함한 대부분의 과학계는 이 단일 종 분류를 받아들였다.[4]
하지만 2012년 해양 포유류 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는 볼리비아강돌고래(''Inia geoffrensis boliviens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기 시작했고,[10] 2014년에는 아라과이아강-토칸칭스강 유역의 개체군을 추가 종인 아라과이아강돌고래(''Inia araguaiaensis'')로 정의할 것을 제안했다.[6] 이러한 재분류는 아직 논쟁 중에 있으며, 학계에 따라 분류 기준이 다르다.
2016년 현재 해양 포유류 학회의 분류 위원회는 속 ''Inia''가 단일 종을 포함하며 볼리비아 아종(''I. g. boliviensis'')과 아마존 아종(''I. g. geoffrensis'') 단 두 개의 아종만 있다고 본다.[5] 미국 포유류 학회는 4종으로 가장 많은 종 수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는 분류를 확인하거나 부정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인 사항이다.[7]
다음은 주요 학회의 분류 현황이다.
'''미국 포유류 학회 분류'''[7]
속 ''Inia''
- 종 ''Inia araguaiaensis'' – 아라과이강돌고래
- 종 ''Inia boliviensis'' – 볼리비아강돌고래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종 ''Inia humboldtiana'' – 오리노코강돌고래
'''IUCN 분류'''[4]
속 ''Inia''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 * 오리노코 아종 ''I. g. humboldtiana''
'''해양 포유류 학회 분류'''[5]
- 속 ''Inia''
-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2. 1. 초기 분류
1834년 알시드 도르비니에 의해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이 처음 기술되었다. 그는 1817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이 기재했던 ''Delphinus geoffrensis''를 이 속의 유일종으로 지정했다. 도르비니는 또한 이 속의 모식종으로 ''Inia boliviensis''를 기술했다.[2]1998년 분류에서는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에 아마존강돌고래(''Inia geoffrensis'') 단일 종을 등재하고, 그 아래에 3개의 아종을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3] 이 분류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을 포함한 대부분의 분류학 단체에서 채택되었다.[4]
2012년 해양 포유류 학회는 기존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던 볼리비아강돌고래(''Inia geoffrensis boliviens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10] 2014년에는 아라과이아강과 토칸칭스강 분지에서 발견되는 토착 개체군을 별도의 종인 아라과이아강돌고래(''Inia araguaiaensis'')로 추가했다.[11] 하지만 이 분류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미국 포유류 학회는 4종으로 가장 많은 종 수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는 분류를 확정하거나 부정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인 사항이다.[7]
'''이전 분류 (1998년)'''
- 아마존강돌고래속 (''Inia'')
- * 아마존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 ** 아마존강돌고래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강돌고래 (''I. g. boliviensis'')
- ** 홈볼트강돌고래 (''I. g. humboldtiana'')
'''현재 분류 (2012년 이후)'''[10]
- 아라과이아강돌고래 또는 아라과이아강보토 (''Inia araguaiaensis'')[11]
- 볼리비아강돌고래 (''Inia boliviensis'')
- 아마존강돌고래 또는 아마존강보토 (''Inia geoffrensis'')
- * 아마존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geoffrensis'')
- * 홈볼트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humboldtiana'')
'''미국 포유류 학회 분류'''
속 ''Inia''
- 종 ''Inia araguaiaensis'' – 아라과이강돌고래
- 종 ''Inia boliviensis'' – 볼리비아강돌고래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종 ''Inia humboldtiana'' – 오리노코강돌고래
'''IUCN 분류'''
속 ''Inia''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 * 오리노코 아종 ''I. g. humboldtiana''
'''해양 포유류 학회 분류'''
- 속 ''Inia''
-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2. 2. 현대 분류
1817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Henri Marie Ducrotay de Blainville)이 아마존강돌고래(''Delphinus geoffrensis'')를 기재했고, 1834년 알시드 도르비니(Alcide d'Orbigny)가 유일종으로 하여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을 기술했다. 1998년 분류에서는 아마존강돌고래속에 유일종인 ''Inia geoffrensis''와 3종의 아종을 포함시켰다.[3]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을 포함한 대부분의 분류학 단체는 단일종으로 기술했다.[4]2012년 해양 포유류 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에서 볼리비아강돌고래(''Inia geoffrensis boliviens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10] 2014년 아라과이아강-토칸칭스강 분지에서 발견되는 토착 개체군을 별도의 종인 아라과이아강돌고래(''Inia araguaiaensis'')으로 추가했다.[11]
'''미국 포유류 학회 분류'''
속 ''Inia''
- 종 ''Inia araguaiaensis'' – 아라과이강돌고래
- 종 ''Inia boliviensis'' – 볼리비아강돌고래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종 ''Inia humboldtiana'' – 오리노코강돌고래
'''IUCN 분류'''
속 ''Inia''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 * 오리노코 아종 ''I. g. humboldtiana''
'''해양 포유류 학회 분류'''
- 속 ''Inia''
-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알시드 도르비니는 1834년에 이 속을 처음 기술했으며, 1817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이 기술한 ''Delphinus geoffrensis''를 고유한 분류군으로 인식했다. 도르비니는 또한 이 속의 모식종으로 ''Inia boliviensis''를 기술했다.[2] 1998년의 분류에서는 이 속 ''Inia''에 단일 종 ''Inia geoffrensis''를 등재하고 세 개의 아종을 인정했다.[3] 대부분의 과학계는 IUCN과 마찬가지로 이 단일 종 분류를 받아들였다.[4] 2016년 현재 해양 포유류 학회의 분류 위원회는 속 ''Inia''가 단일 종을 포함하며 볼리비아 아종(''I. g. boliviensis'')과 아마존 아종(''I. g. geoffrensis'') 단 두 개의 아종만 있다고 본다.[5] 2014년에는 아라과이 강-토칸칭스 강 유역의 개체군을 추가 종인 ''Inia araguaiaensis''로 정의할 것을 제안했지만,[6] 이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미국 포유류 학회는 4종으로 가장 많은 종 수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는 분류를 확인하거나 부정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인 사항이다.[7]
2. 2. 1. 분류 현황
1817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이 아마존강돌고래(''Delphinus geoffrensis'')를 기재했으며, 1834년 알시드 도르비니가 이를 유일종으로 하는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을 기술했다.[2] 1998년 분류에서는 보토속(''Inia'')에 유일종(''Inia geoffrensis'')을 등재하고, 그 아래에 3종의 아종을 포함시켰다.[3]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을 포함한 대부분의 분류학 단체는 오랫동안 단일종으로 기술했다.[4] 하지만 2012년 해양 포유류 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에서 볼리비아강돌고래(''Inia geoffrensis boliviens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10] 2014년에는 아라과이아강-토칸칭스강 분지에서 발견되는 토착 개체군을 별도의 종인 아라과이아강돌고래(''Inia araguaiaensis'')로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6]
'''이전 분류'''
- 아마존강돌고래속 (''Inia'')
- * 아마존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 ** 아마존강돌고래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강돌고래 (''I. g. boliviensis'')
- ** 홈볼트강돌고래 (''I. g. humboldtiana'')
'''현재 분류'''[10]
- 아라과이아강돌고래 또는 아라과이아강보토 (''Inia araguaiaensis'')[11]
- 볼리비아강돌고래 (''Inia boliviensis'')
- 아마존강돌고래 또는 아마존강보토 (''Inia geoffrensis'')
- * 아마존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geoffrensis'')
- * 홈볼트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humboldtiana'')
한편, 미국 포유류 학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7] 이는 분류를 확정하거나 재고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인 사항이다.
'''미국 포유류 학회 분류'''
속 ''Inia''
- 종 ''Inia araguaiaensis'' – 아라과이강돌고래
- 종 ''Inia boliviensis'' – 볼리비아강돌고래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종 ''Inia humboldtiana'' – 오리노코강돌고래
'''IUCN 분류'''
속 ''Inia''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 * 오리노코 아종 ''I. g. humboldtiana''
'''해양 포유류 학회 분류'''
- 속 ''Inia''
- * 종 ''Inia geoffrensis''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I. g. boliviensis''
2. 3. 분류학적 논쟁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은 1817년에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Henri Marie Ducrotay de Blainville)가 기재했던 아마존강돌고래(''Delphinus geoffrensis'')를 1834년에 알시드 도르비니(Alcide d'Orbigny)가 유일종으로 하여 기술했다.[8] 도르비니는 또한 이 속의 모식종으로 ''Inia boliviensis''를 기술했다.[2] 1998년 분류에서 보토속(''Inia'')에 유일종(''Inia geoffrensis'')에 3종의 아종을 포함시켰다.[3]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분류학 단체가 단일종으로 기술했다.[4]2012년 해양 포유류 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에서 그동안 아종으로 간주했던 볼리비아강돌고래(''Inia geoffrensis boliviens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10] 2014년 아라과이아강-토칸칭스강 분지에서 발견되는 토착 개체군을 별도의 종 아라과이아강돌고래(''Inia araguaiaensis'')으로 추가할 것을 제안했지만,[6] 이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11] 미국 포유류 학회는 분류를 확인하거나 부정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으로 4종으로 가장 많은 종 수를 인정하고 있다.[7] 2016년 현재 해양 포유류 학회의 분류 위원회는 속 ''Inia''가 단일 종을 포함하며 볼리비아 아종(''I. g. boliviensis'')과 아마존 아종(''I. g. geoffrensis'') 단 두 개의 아종만 있다고 본다.[5]
'''이전 분류'''
- 아마존강돌고래속 (''Inia'')
- * 아마존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 ** 아마존강돌고래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강돌고래 (''I. g. boliviensis'')
- ** 홈볼트강돌고래 (''I. g. humboldtiana'')
'''현재 분류'''[10]
- 아라과이아강돌고래 또는 아라과이아강보토 (''Inia araguaiaensis'')[11]
- 볼리비아강돌고래 (''Inia boliviensis'')
- 아마존강돌고래 또는 아마존강보토 (''Inia geoffrensis'')
- * 아마존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geoffrensis'')
- * 홈볼트강돌고래 (''Inia geoffrensis humboldtiana'')
'''미국 포유류 학회 분류'''
속 ''Inia''
'''IUCN 분류'''
속 ''Inia''
- 종 ''아마존강돌고래'' – 아마존강돌고래
- * 아마존 아종 ''I. g. geoffrensis''
- * 볼리비아 아종 ''볼리비아강돌고래''
- * 오리노코 아종 ''I. g. humboldtiana''
'''해양 포유류 학회 분류'''
3. 계통 분류
다음은 비남아시아 강돌고래의 계통 분류이다.[11]
{| class="wikitable"
|-
! 비-남아시아 강돌고래
|-
|
{| class="wikitable"
|-
! 남미 강돌고래
|-
|
{| class="wikitable"
|-
! 아마존강돌고래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아마존강돌고래
|}
|-
| 볼리비아강돌고래
|}
|-
| 라플라타돌고래
|}
|-
| † 양쯔강돌고래
|}
|}
3. 1. 비-남아시아 강돌고래
다음은 비남아시아 강돌고래의 계통 분류이다.[11]참조
[1]
MSW3
[2]
논문
Early descriptions of whales: D'Orbigny, A. 1834. Note on a new cetacean genus, from the rivers of the central part of South America. [Notice sur un nouveau genre de cétacé, des rivières du centre de l'Amèrique méridionale. Nouvelles annales du Muséum d'histoire naturelle, 3:28–36].
[3]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ociety of Marine Mammalogy Special Publication Number 4
[4]
간행물
"''Inia geoffrensis''"
[5]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https://www.marinema[...]
2016-11-13
[6]
논문
A New Species of River Dolphin from Brazil or: How Little Do We Know Our Biodiversity
2014-01-22
[7]
MDD
2021-09-05
[8]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ociety of Marine Mammalogy Special Publication Number 4
[9]
서적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http://www.iucnredli[...]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0]
웹사이트
Committee on Taxonomy. 2012.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www.marinemammalscience.org, consulted on May 6, 2012.
http://www.marinemam[...]
[11]
저널
A New Species of River Dolphin from Brazil or: How Little Do We Know Our Biodiversity
http://www.plosone.o[...]
2014-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