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존왕지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존왕지네는 북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세계 최대의 지네로, 몸길이가 최대 40cm에 달한다. 열대 및 아열대 우림에서 서식하며, 곤충, 작은 척추동물까지 섭취하는 육식성이다. 붉은색 머리, 와인색 몸통, 분홍색 관절, 노란색 다리를 가진 화려한 체색을 띤다. 2014년 베네수엘라에서 어린이가 물려 사망한 사례가 보고되었지만, 독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되어 학술 연구 목적 외 사육 및 유통이 금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지네속 - 베트남왕지네
    베트남왕지네는 몸길이 30cm까지 자라는 대형 지네로, 동남아시아, 일본, 한국 등지에 서식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고 독을 가지고 있어 사람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나 식량 자원으로 활용된다.
  • 왕지네속 - 브라질왕지네
    브라질왕지네(Scolopendra viridicornis)는 절지동물, 쥐, 개구리, 뱀 등을 잡아먹는 강력한 포식자이며, 턱과 독을 이용해 먹이를 제압하고, 꼬리 다리로 방어하며, 브라질 북동부에서는 진통제로 사용되고 항균 펩타이드를 함유해 의학적 사용 가능성이 있는 지네이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거미
    물거미는 8~15mm 크기의 검은 거미로, 삶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내는 유일한 거미이며, 잠수종 형태의 집을 짓고 수생 곤충 등을 잡아먹고,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벼룩
    물벼룩은 갑각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 살면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역할을 하며, 최초로 게놈이 해독된 갑각류로서 유전자 연구와 생태 독성 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아마존왕지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Scolopendra gigantea (1)
Scolopendra gigantea (1)
학명Scolopendra gigantea
명명자Linnaeus, 1758
일반명페루 자이언트 옐로우레그 지네, 아마존 자이언트 지네
분류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순각강 Chilopoda
왕지네목 Scolopendromorpha
왕지네과 Scolopendridae
왕지네속 Scolopendra
특징
크기30 cm
분포
서식지베네수엘라
생태
식성박쥐
포식거대 지네 Scolopendra gigantea에 의한 베네수엘라 동굴의 세 종류의 박쥐 포식
기타
화석 범위플라이스토세-최근

2. 분포 및 서식지

아마존왕지네는 북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아루바, 브라질, 퀴라소,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마르가리타 섬 포함) 및 트리니다드 등지에서 발견된다.[2]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세인트토마스, 히스파니올라 (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온두라스의 기록은 우발적인 유입 또는 라벨링 오류로 추정된다.[2]

열대 또는 아열대 우림 및 열대 건조림에서 낙엽이나 바위 아래와 같은 어둡고 습한 장소에서 서식한다.[3]

3. 특징

세계 최대의 지네로, 몸길이는 보통 20~30cm이며, 최대 40cm를 넘는 거대한 종이다. 붉은색 머리, 와인색 몸통, 분홍색 관절, 노란색 다리를 가진 화려한 체색은 경고색이다.

4. 생태

아마존왕지네는 육식동물로 곤충, 지렁이, 달팽이, 거미, 다지류, 전갈, 타란툴라와 같은 무척추동물도마뱀, 개구리, , 참새 크기의 , 생쥐, 박쥐를 포함한 작은 척추동물까지 먹는다.[4][5] 큰 개체는 근력으로 박쥐를 잡기 위해 동굴 천장에 매달리는 독특한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4] 자연 포식자로는 코아티, 킨카주, 주머니쥐 등 큰 새, 거미, 절지동물을 사냥하는 포유류가 있다.

열대 우림 지상층에 살며,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며 먹이를 찾아 나무를 오르기도 한다. 목을 쳐들고 위협하며, 플라스틱 그물 등을 부술 정도의 강력한 턱을 가졌다.

2014년 베네수엘라에서 4세 어린이가 아마존왕지네에게 물려 사망한 사건이 확인되었으나,[7] 독의 강도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생물계 작가 히라사카 칸은 세 번 물린 경험에서 물리적 통증 외 강한 통증이나 마비는 없었고 가려움만 느꼈다고 한다.[8]

5. 독

아마존왕지네의 독에 의한 사망 사례는 2014년 베네수엘라에서 보고되었다. 당시 4세 어린이가 소다 캔 속에 숨어 있던 아마존왕지네에게 물려 사망했다.[6][7] 오리엔테 대학교 연구진은 이 개체가 아마존왕지네임을 확인했다.[6] 그러나 유독 생물 연구자인 레오나르도 데 소우자 박사는 아마존왕지네가 사람을 살상할 정도의 독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다른 종일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7]

생물계 작가 히라사카 칸은 아마존왕지네에게 세 번 물린 경험이 있지만, 물리적인 통증 외에 강한 통증이나 마비는 없었고 가려움만 느꼈다고 한다.[8] 전문가들은 아마존왕지네가 강한 독을 가질 필요가 없을 정도로 크고 힘이 세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8]

하지만 물린 사람의 체질, 컨디션, 지네의 개체 차이 등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마존 왕지네는 플라스틱 그물 정도는 부숴버릴 정도의 강력한 이빨을 가지고 있어, 만지는 사람에게 용서없이 물어 뜯을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6. 유사종

로브스터 왕지네(''Scolopendra gigantea robusta'')는 몸 전체가 붉은색이다. 타이거 왕지네(''Scolopendra'' sp.)는 노란색과 관절 부분의 검은색 투톤 컬러가 특징이며, 이들 역시 체장이 30cm 이상에 달한다.

근연의 거대종으로는 갈라파고스 제도나 맞은편의 에콰도르 등에 분포하는 갈라파고스 왕지네(''S. galapagosensis'')가 있으며, 체색은 검은색이고, 아마존왕지네보다 굵고 튼튼한 체격을 가지고 있다. 갈라파고스 왕지네는 미확인 정보로 60cm 이상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실하지 않으며,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도 있다.

7. 사육

아마존왕지네는 세계 최대의 지네라는 점 때문에 애완동물로서 인기가 매우 높지만, 그 크기만큼 확실한 사육 시설이 필요하며, 쇠로 된 철망으로 뚜껑을 덮는 것이 좋다. 먹이로는 귀뚜라미나 생쥐를 준다. 기본적으로 살아있는 먹이만 먹는다고 알려져 있다.

대형 지네류는 생명력이 강하여 수분이나 먹이를 전혀 섭취하지 않아도 수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다. 배로 밀항하여 영국에서 발견된 적도 있다.

8. 대한민국에서의 아마존왕지네

대한민국에서는 아마존왕지네가 '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되어 학술연구 목적 외에는 사육 및 유통이 금지되어 있다. 이는 아마존왕지네의 독성과 생태계 교란 가능성 때문이다. 아마존왕지네를 불법으로 사육하거나 유통할 경우 환경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를 어길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ossilworks: Scolopendra https://paleobiodb.o[...]
[2] 논문 Neotype designation and a diagnostic account for the centipede, ''Scolopendra gigantea'' L. 1758, with an account of ''S. galapagoensis'' Bollman 1889 (Chilopoda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https://www.research[...]
[3] 서적 Wicked Bugs Algonquin Books of Chapel Hill
[4] 논문 Predation by giant centipedes, ''Scolopendra gigantea'', on three species of bats in a Venezuelan cave http://caribjsci.org[...]
[5] 웹사이트 Scolopendra gigantea https://animaldivers[...] 2023-06-03
[6] 웹사이트 Niño de 4 años murió tras ser picado por ciempiés gigante http://eltiempo.com.[...] 2014-11-13
[7] 웹사이트 Niño de 4 años murió tras ser picado por ciempiés gigante {{!}} Accidente {{!}} Sucesos {{!}} El Tiempo - El Periódico del Pueblo Oriental https://web.archive.[...] 2023-08-13
[8] 웹사이트 咬まれて検証!世界最大のムカデ『ペルビアンジャイアントセンチピード』に咬まれるとどうなる? https://www.youtube.[...] Youtube 2023-08-13
[9] 저널인용 Neotype designation and a diagnostic account for the centipede, ''Scolopendra gigantea'' L. 1758, with an account of ''S. galapagoensis'' Bollman 1889 (Chilopoda Scolopendromorpha Scolopendridae) http://www.fupress.n[...] 2014-07-30
[10] 저널인용 Predation by giant centipedes, ''Scolopendra gigantea'', on three species of bats in a Venezuelan cave http://caribjsci.org[...] 2014-07-30
[11] 웹인용 Puerto Rican Giant Centipede http://www.petbugs.c[...] 2014-07-30
[12] 웹인용 Giant Peruvian Centipedes http://www.angelf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