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민 제마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민 제마옐은 1982년부터 1988년까지 레바논 대통령을 지낸 레바논의 정치인이다. 1942년 비크파야에서 태어나 생 조셉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다. 1970년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82년 동생 바시르 제마옐이 암살된 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이스라엘 군대의 철수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으나, 시리아의 영향력과 국내 정치적 분열로 어려움을 겪었다. 퇴임 후에는 망명 생활을 하다가 레바논으로 돌아와 정치 활동을 재개했으며, 푸마 헬리콥터 구매와 관련된 의혹에 연루되기도 했다. 그는 여러 저서를 저술하고, INMA 재단과 같은 사회 단체를 설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외교관 - 사미르 제아제아
    사미르 제아제아는 레바논 내전 당시 기독교 민병대 지휘관이자 레바논군 지도자였으나 교회 폭탄 테러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가 2005년 사면 후 석방되어 현재 레바논 주요 기독교 세력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레바논의 대통령 - 미셸 술레이만
    미셸 술레이만은 레바논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레바논 대통령을 역임하면서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 나흐르 알 바레드 난민촌 분쟁 및 2008년 정치적 위기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레바논 대학교에서 정치행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레바논의 대통령 - 타맘 살람
    레바논의 정치인 타맘 살람은 1996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리를 역임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하며 레바논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동문 - 주르지 하바시
    팔레스타인 혁명가 주르지 하바시는 팔레스타인 해방 인민전선을 창립하고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난민이 된 경험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몰락과 세속 민주 국가 건설을 목표하며 무장투쟁을 벌였으나, 과격한 활동과 오슬로 협정 반대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동문 - 자하 하디드
    이라크 출신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탈구축주의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유동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미래지향적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여성 최초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하고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등 세계적인 건축물을 남겼으나, 건설 비용과 디자인의 난해함으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아민 제마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아민 제마옐
원어 이름أمين الجميٌل
로마자 표기ʔæmiːn ɪlʒmaj.jɪl
출생일1942년 1월 22일
출생지비크파야, 대레바논
종교마론 가톨릭교
배우자조이스 치얀 (1967년 결혼)
자녀피에르, 사미 포함 3명
소속 정당카타이브
모교성 요셉 대학교
웹사이트아민 제마옐 공식 웹사이트
2012년 아민 제마옐
2012년 제마옐
레바논 대통령
직위제8대 레바논 대통령
임기 시작1982년 9월 23일
임기 종료1988년 9월 22일
총리샤피크 와잔
라시드 카라미
셀림 호스
이전엘리아스 사르키스
바시르 제마옐(선출)
이후미셸 아운 (논쟁)
셀림 호스 (대행)
르네 모와드
기타 정보
훈장OM
ONC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민 제마옐은 1942년 1월 22일 레바논 비크파야에서 마론파 기독교 집안인 제마옐 가문의 피에르 제마옐과 그의 아내 제네비에브 사이에서 태어났다.[2] 제마옐 가문은 본래 레바논 북부 지역 출신으로, 그의 조상들은 16세기 중반 베이루트에서 북동쪽으로 25km 떨어진 비크파야 마을에 정착했다.[1] 그는 두 명의 누이와 남동생 바시르 제마옐이 있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오스만 제국에 반대하여 20세기 초 레바논을 떠나 이집트에서 수년간 살아야 했다.[1] 제마옐의 삼촌 앙투안은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레바논 마론파 기독교 공동체의 정치적 대표로 참석했다.[1]

아민 제마옐은 1965년 베이루트에 있는 생 조셉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1][3]

3. 정치 경력

아민 제마옐은 1965년 변호사로 활동하며 경력을 시작했다.[1] 이후 그는 가문의 신문 사업을 확장하는 데 주력했다.[4] 1970년 보궐 선거에서 그는 사망한 삼촌 모리스 제마옐의 뒤를 이어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푸아드 라후드를 54% 대 41%의 득표율로 이겼다. 1972년, 20년 만에 치러진 마지막 선거에서 그는 압도적인 표차로 재선되었다.

그의 동생 바시르는 팔레스타인 게릴라의 레바논 영토 추방과 정치 시스템의 급진적 개편을 옹호하고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정을 시사하는 등 정치적 급진주의자로 여겨졌지만, 아민 제마옐은 더 온건한 인물로 평가받았다.[5] 그는 항상 합의를 중시하는 정치인이었고, 적어도 대통령 취임 전에는 동생처럼 무슬림 정치인들을 소외시키는 일을 피했다. 바시르 제마옐이 시리아 사회 민족주의당의 당원에게 암살당했을 때, 아민은 살해된 형의 지지자들과 무슬림 반대자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선택으로 여겨졌다.

1982년 9월 21일, 그는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임기는 1988년 9월 22일(레바논 헌법에 따라 6년)에 종료되었다. 이후 그는 하버드 대학교 국제 관계 센터에서 연구원 및 강사로 활동했다(1988–1989). 그는 메릴랜드 대학교와 저명한 객원 교수로도 연계되어 있다. 1990년부터 2000년 7월 30일까지 그는 파리에 거주하며 망명 야당 지도자로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레바논과 중동에 대해 광범위하게 강연했다. 2000년 7월 이후 그는 레바논에 거주하며 자신의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3. 1. 초기 정치 활동

3. 2. 대통령 선출과 임기 (1982-1988)

아민 제마옐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카타이브당에서 물러났으며, 이스라엘 관리와의 만남을 거부했다.[1] 당시 레바논은 국토의 3분의 2가 외세에 점령된 상태였는데, 시리아는 북부와 동부를, 이스라엘은 남부를 점령하고 있었다.[6] 나머지 지역은 정부 통제 밖의 사병들이 점령하고 있어 제마옐 정부는 실질적인 권력이 거의 없었다.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정 추진은 시리아와 국내 무슬림 정치인들에 의해 좌절되었고, 정부는 세금 징수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제마옐은 헌법 질서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아민 제마옐의 취임식, 베이루트 1982]]

아민 제마옐은 1982년 이스라엘의 침공으로 혼란에 빠진 레바논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이스라엘 군대의 철수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그는 레바논의 독립과 주권 재확립, 공동체 간 대화 유지, 국가 기관 복원 및 현대화를 목표로 설정했다.

미국 대통령 레이건이 백악관에서 레바논 대통령 아민 제마옐과 만남


1984년에는 1976년부터 시리아 군사 주둔의 법적 근거였던 "아랍 억지력"을 해산했고,[3] 1985년에는 시리아 중재의 "다마스쿠스 협정" 비준을 거부했다. 1987년에는 PLO의 레바논 내 군사 활동을 허가한 1969년의 "카이로 협정"을 무효화했다.

1988년, 헌법상 재선이 불가능한 제마옐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헌법 위기가 발생했다. 제마옐은 다니 샤문과 미셸 아운을 대통령 후보로 고려했으나, 시리아와 레바논 무슬림 정치인들은 이들을 수용할 수 없었다. 제마옐은 임기 만료 직전 아운을 총리로 임명하여 대통령 대행 역할을 맡겼다.[7] 그러나 무슬림 정치인과 군벌들은 아운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셀림 호스를 지지하는 경쟁 정부를 인정했다.

3. 3. 푸마 스캔들

아민 제마옐은 프랑스산 푸마 헬리콥터 구매와 관련된 인물로 여겨졌다. 1983년에 이 헬리콥터들은 실제로는 중고이며 우크라이나산으로 밝혀져 원래 가격(당시 1억 8400만 프랑, 약 8000만 달러 상당)보다 훨씬 가치가 떨어졌다. 이 거래는 1983년 7월 베이루트에서 레바논 국방부 장관 이쌈 쿠리와 "프랑스 육해상 장비 판매 및 자금 조달 회사(SOFRANTEM)" 간에 체결되었다. 제마옐은 이 사건과 관련이 없다고 부인했다.

1994년 관보에 게재된 의회 회의록에 따르면 의회는 계약 위반으로 인한 재정적 손실에 대해 프랑스 정부에 책임을 물었다. 또한, 당시 육군 사령관이었던 이브라힘 타누스 장군에게는 임기 중 불법 군사 거래가 이루어진 것에 대한 "과실"의 책임을 물었다. 회의록에는 의회가 제마옐에게도 책임을 물어 추가 조사를 위해 사건을 검찰에 회부했음이 나타났다. 이 모든 내용은 2002년, 아민 제마옐 전 대통령의 푸마 헬리콥터 판매 관련 역할에 대한 특별 의회 위원회의 조사의 일환으로 제기되었다.

3. 4. 퇴임 후 활동

아민 제마옐은 정치 활동 외에도 1976년 레바논과 중동의 사회, 정치, 경제 문제를 다루는 여러 기관을 조정하는 "INMA 재단"을 설립했다.[9] 그는 아랍어, 프랑스어, 영어로 발행되는 분기별 저널 ''Haliyyat''을 발행하는 싱크탱크이자 연구 센터인 "Beit-al-Mustakbal"(미래의 집)을 설립했으며, 이 저널은 지역의 주요 사건 연대기, 언론 보도 및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9] 또한 그는 프랑스어 일간지 ''르 레베이유''(Le Reveil)를 창간했다.[9]

2007년 2월 미국 국무장관 콘돌리자 라이스를 방문한 아민 제마옐


제마옐은 12년 동안 스위스, 프랑스, 미국 등에서 자발적인 망명 생활을 했다. 그는 처음에는 시리아의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나중에는 제이제아가 개인적인 해를 가하겠다고 위협했다고 회고록에서 밝혔다.[10] 1989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의 국제 문제 연구소에 합류했고,[3]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2000년 7월 30일 레바논으로 돌아와[11] 에밀 라후드 대통령 정부에 대한 반대 운동을 조직하기 시작했는데, 그는 라후드를 시리아의 꼭두각시로 여겼다. 당시 친시리아 성향이 지배적인 공식 카타이브 당의 통제권을 되찾을 수 없게 되자, 그는 아버지에 의해 창설된 구 카타이브 당의 진정한 후계자를 자처하는 새로운 정당인 '''알 카에다 알 카타이비야'''를 창당했다.[12] 그는 또한 반정부 기독교 정치인 단체인 코르네트 체흐완 모임에 참여했다.

2003년, 아민 제마옐은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와 이라크 대통령 사담 후세인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시도했다.[13] 이라크 전쟁을 막으려는 그의 노력은 실패했지만, 코피 아난의 임기가 만료될 때 그가 유엔 사무총장 후보가 될 수 있다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레바논 삼나무 혁명 이후, 카타이브 파벌은 제마옐의 지도 아래 통합되었다. 2006년 11월 아들 피에르가 암살된 후, 아민은 사망한 아들의 의석을 위해 출마했으나, 미셸 아운이 자유 애국 운동의 일원으로 내세운 무명의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했다.[14] 2008년 2월, 제마옐은 2007년 사임한 카림 파크라두니를 대신하여 팔랑헤 또는 카타이브 당의 당의장으로 임명되었다.[15]

4. 개인 생활

아민 제마옐은 1967년 12월 조이스 티안과 결혼했다.[16] 슬하에 딸 니콜과 아들 피에르, 사미를 두었다.[16] 피에르 제마옐은 2000년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고, 2005년 내각에 임명되었으나, 2006년 11월 21일 베이루트 교외의 주데이다에서 신원을 알 수 없는 괴한에게 암살당했다.[16] 아민 제마옐은 아들의 살해에 대해 시리아를 격렬하게 비난했다.[16] 그는 프랑스어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16]

5. 저서


  • 1986년: 《평화와 단결》(Peace and Unity) (콜린 앤 스마이드)
  • 1988년: 《공격과 용서》(L'Offense et le Pardon) (갈리마르), 레바논 사건에 대한 고찰.
  • 1990년: 《희망의 명상》(Méditations d'espoir) (JC. 라테스), 1989년 미국에서 행한 강연 모음집.
  • 1992년: 《레바논의 미래 재건》(Rebuilding Lebanon's Future), 하버드 대학교(C.F.I.A.) 출판.

참조

[1] 학술지 Dossier: Amine Gemayel Former President of Lebanon http://www.meforum.o[...] 2003-02
[2] 웹사이트 Pronunciation of Amine Gemayel http://www.infopleas[...] 2008-02-22
[3] 학술지 Amin Gemayel Says His Family's History "Runs Parallel To Lebanon's" http://www.wrmea.org[...] 2001-10
[4] 뉴스 A Favorable First Impression http://www.time.com/[...] 1982-11-01
[5] 웹사이트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http://www.bartleby.[...] 2008-02-22
[6] 뉴스 Anti-Gemayel 'front' formed in Lebanon https://news.google.[...] 1983-07-23
[7] 학술지 Lebanon http://www.pards.org[...]
[8] 웹사이트 Judiciary dredges up Gemayel's role in Puma scandal https://www.dailysta[...]
[9] 서적 Conflict on Mount Lebanon: The Druze, the Maronites and Collective Memor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السيرة الذاتيّة لأمين الجميّل: عندما يصبح الارتهان للخارج "مقاومة" [11] https://al-akhbar.co[...]
[11] 학술지 Gemayel Returns to Lebanon http://www.meforum.o[...] 2000-08-05
[12] 서적 Armies in Lebanon 1982-8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3] 뉴스 Gemayel on mission to ask Saddam to resign https://www.dawn.com[...] 2003-03-11
[14] 웹사이트 Opposition Wins Metn By-Election by narrow Margin, Gemayel Reaps Majority Maronite Votes http://www.naharnet.[...] 2008-02-22
[15] 뉴스 Gemayel appointed president of Phalange Party http://www.thefreeli[...] 2008-02-14
[16] 웹사이트 Gemayel murder leads to second 'Independence Intifada' http://yalibnan.com/[...] 2008-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