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탁구 연합(ATTU)이 주최하는 탁구 대회이다. 1952년 싱가포르에서 TTFA 탁구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1970년까지 10번의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72년 중국 베이징에서 ATTU 선수권 대회로 변경되어 2024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27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대회는 남녀 개인전, 복식, 혼합 복식, 단체전 등으로 진행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역대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A 유스컵
FA 유스컵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주관하는 15세에서 18세 사이 유스팀 토너먼트 대회로, 젊은 선수 기량 향상과 유소년 시스템 발전을 장려하며 잉글랜드 축구 스타들의 등용문 역할을 해왔고, 현재 단일 경기 방식으로 결승전이 진행되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5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국제 배구 연맹이 주관하는 여자 배구 국가대항전으로, 1952년 시작되어 4년 주기로 개최되며, 러시아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탁구 대회 - 올림픽 탁구
올림픽 탁구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으로 시작되었고, 복식 종목 폐지 후 단체전 도입, 혼합 복식 추가를 거쳐 대한민국이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는 종목이다. - 탁구 대회 - ITTF 프로 투어
ITTF 프로 투어는 국제 탁구 연맹이 1996년부터 세계 각지에서 투어 형식으로 개최한 탁구 대회로, 남녀 단식, 복식, 혼합 복식 등의 종목을 진행하며 그랜드 파이널 출전 자격을 부여했으나, 2012년 ITTF 월드 투어로 변경, 2020년부터는 WTT로 대체되었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아시아 국가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아시아 축구 발전과 함께 성장하며 대회 양상 변화와 규모 확대를 거듭해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탁구 챔피언십 |
상태 | 진행 중 |
빈도 | 격년 |
장소 | 아시아 |
첫 대회 | 1972년 |
마지막 대회 | 2024 아스타나 |
이전 대회 | 2023 평창 |
다음 대회 | 2025 TBA |
주최 | 아시아 탁구 연합 |
현재 대회 | 2024년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
일본어 정보 | |
레벨 | 레이팅 3, 보너스 3ITTF |
시작 년도 | TTFA 1952, ATTU 1972 |
주최 | ITTF, ATTU |
사용구 | 닛타쿠 플라3 스타 프리미엄 |
남자 단식 우승 | 장 본지 화 |
여자 단식 우승 | 김금용 |
남자 복식 우승 | 임종훈 / 안재현 |
여자 복식 우승 | 오후지 사츠키 / 요코이 사쿠라 |
혼합 복식 우승 | 린스둥 / 콰이만 |
남자 단체 우승 | 중국 (왕추친/량징쿤/린가오위안/린스둥/저우치하오) |
여자 단체 우승 | 일본 (하야타 히나/하리모토 미와/이토 미마/히라노 미우/오후지 사츠키) |
남자 단식 최다 우승 | 하세가와 노부히코 4회 |
여자 단식 최다 우승 | 고야마 치레 (허즈리) 4회 |
이전 대회1 | 2023 |
다음 대회1 | 2025 |
2. 역대 개최지
1952년부터 시작된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는 2년마다 아시아 각국을 순회하며 개최된다. 초기에는 아시아 탁구 연맹(TTFA)이 주최했으나, 1972년 아시아 탁구 연합(ATTU) 설립 이후 ATTU가 주최하고 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중화민국의 국제 탁구 연맹(ITTF) 가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였다.
2. 1. TTFA 탁구 선수권 대회 (1952–1970)
# | 연도 | 개최지 | 경기 수 |
---|---|---|---|
1 | 1952 | 싱가포르 | 7 |
2 | 1953 | 도쿄, 일본 | 7 |
3 | 1954 | 싱가포르 | 7 |
4 | 1957 | 마닐라, 필리핀 | 7 |
5 | 1960 | 봄베이, 인도 | 7 |
6 | 1963 | 마닐라, 필리핀 | 7 |
7 | 1964 | 서울, 대한민국 | 7 |
8 | 1967 | 싱가포르 | 7 |
9 | 1968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7 |
10 | 1970 | 나고야, 일본 | 7 |
2. 2. ATTU 탁구 선수권 대회 (1972년 이후)
# | 연도 | 개최지 | 경기 수 |
---|---|---|---|
1 | 1972 | 베이징, 중국 | 7 |
2 | 1974 | 요코하마, 일본 | 7 |
3 | 1976 |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7 |
4 | 1978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7 |
5 | 1980 | 캘커타, 인도 | 7 |
6 | 1982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7 |
7 | 1984 |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7 |
8 | 1986 | 선전, 중국 | 7 |
9 | 1988 | 니가타, 일본 | 7 |
10 | 199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7 |
11 | 1992 | 뉴델리, 인도 | 7 |
12 | 1994 | 톈진, 중국 | 7 |
13 | 1996 | 칼랑, 싱가포르 | 7 |
14 | 1998 | 오사카, 일본 | 7 |
15 | 2000 | 도하, 카타르 | 7 |
16 | 2003 | 방콕, 태국 | 7 |
17 | 2005 | 제주, 대한민국 | 7 |
18 | 2007 | 양저우, 중국 | 7 |
19 | 2009 | 럭나우, 인도 | 7 |
20 | 2011 | 마카오 | 7 |
21 | 2013 | 부산, 대한민국 | 7 |
22 | 2015 | 파타야, 태국 | 7 |
23 | 2017 | 우시, 중국 | 7 |
24 | 2019 | 족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7 |
25 | 2021 | 도하, 카타르 | 7 |
26 | 2023 | 평창, 대한민국 | 7 |
27 | 2024 |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7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이 진행된다.
2023년 대회까지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탁구 강국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1954년 싱가포르 대회에서는 이경호 선수와 위쌍숙 선수가 혼합 복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의 첫 아시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1960년 뭄바이 대회에서는 최경자 선수와 황율자 선수가 여자 복식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3. 경기 종목
4. 역대 메달 집계
순위 나라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중국 128 79 105.5 312.5 2 일본 14 24 64 102 3 대한민국 11 23 47 81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 19 27 53 5 홍콩 5 10 33.5 48.5 6 타이완 2 6 20 28 7 싱가포르 1 7 8 16 8 인도 0 0 1 1 9 말레이시아 0 0 1 1 10 베트남 0 0 1 1 합계 168 168 308 644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 목록
5. 대한민국 탁구 국가대표팀의 성과
5. 1. 주요 성과
연도 | 대회 | 성과 |
---|---|---|
1964년 | 서울 | 남자 단체전 은메달, 여자 단체전 은메달 |
1968년 | 자카르타 | 여자 단체전 금메달 |
2005년 | 제주 | 남자 복식 은메달 (이정우, 오상은), 여자 복식 동메달 (김경아, 이은실) |
2013년 | 부산 | 남자 단체전 은메달 |
2021년 | 도하 | 남자 단체전 금메달, 여자 단체전 은메달 |
참조
[1]
웹사이트
2017年ITTFカレンダー
http://old.ittf.com/[...]
2017-09-30
[2]
웹사이트
大会使用球に決定!「2017アジアジュニア選手権大会」
https://www.nittaku.[...]
니탁쿠
[3]
뉴스
『朝日新聞』1970年4月12日付朝刊、15面
『朝日新聞』
1970-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