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매미나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매미나방은 아시아집시나방, 감벌레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매미나방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주로 러시아, 중국, 대한민국 등 아시아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1991년 이후 북아메리카에서도 발견되었다. 아시아매미나방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치며, 알 상태로 월동한다. 성충은 짝짓기와 산란만 가능하며, 다양한 운송 수단을 통해 알이 전파될 수 있어, 선박 검사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극나방과 - 붉은매미나방
붉은매미나방은 유충 시기 몸 색깔과 무늬가 변하며 암컷과 수컷의 크기 및 날개 무늬 차이가 뚜렷하고 여러 아종으로 나뉘어 특정 지역에 분포하는 나방의 일종이다.
아시아매미나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Lymantria dispar asiatica (리만트리아 디스파르 아시아티카) |
학명 명명 | Vnukovskij, 1926 |
속 | 매미나방속 (Lymantria) |
종 | 매미나방 (L. dispar) |
아종 | 아시아매미나방 |
생물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나비목 |
과 | 태극나방과 |
2. 명칭
아시아매미나방은 아시아집시나방, 감벌레(persimmon caterpillar), 감총생나방(persimmon tussock moth) 등의 몇 가지 이름을 달고 있다.[2] USDA의 동식물위생검사서비스(APHIS)에서는 이 나방의 여러 명칭들을 통일해 ‘리만트리아나방’(Lymantria moth)으로 교체했다. APHIS에서는 ‘아시아집시나방’이라 불리는 나방들(Lymantria dispar asiatica, Lymantria dispar japonica, L. albescens, L. postalba, and L. umbrosa)의 이름을 ‘비행 가능한 매미나방류’(flighted spongy moth complex)로 한데 묶었다.[3]
아시아매미나방은 원래부터 매미나방의 아종으로 기재되었다(Vnukovskij, 1926).[2] 2004년에는 쉰틀마이스터에 의해 유럽매미나방의 이명으로 처리되었다.[2] 아시아매미나방은 매미나방의 아종으로 취급된다.[2]
3. 분류
아시아매미나방은 매미나방과 함께 매미나방과에서 밤나방, 그리고 태극나방과로 이동하는 재분류를 겪었다.[4]
4. 분포 범위
4. 1. 아시아권
아시아매미나방은 아시아 온대권 도처에서 발견된다.[2] 보통 러시아 극동부 위와 우랄산맥 동쪽, 중국과 대한민국 대다수 지역에 분포한다.[2] 인도의 히말라야산맥 남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2]
4. 2. 북미권
아시아매미나방은 1991년 후반에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기 시작했다.[5] 캐나다의 경우,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최초 발견되었다.[5] 미국의 경우, 워싱턴주[6][7] 및 오레건주 북서부 태평양면[7]에서 발견되었다.[5] 알집이 배에 부착되어 러시아에서 넘어와,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해안가로 날아간 것으로 추정된다.[5] 이 전파는 근절되었다.[5] 1997년 워싱턴주에서 발생했으며, 2000년 오레건주에서도 나타났다.[5] 이러한 발생은 2005년 이후로는 근절된 것으로 보고되었다.[5]
1997년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도 발생했으며, 독일에서 넘어온 운송 화물 컨테이너에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5] 이 발생도 이후 근절되었다.[5] 2021년 즈음 워싱턴주 소재 농업부에서는 Btk(''Bacillus thuringiensis kurstaki'') 독소를 활용한 방제를 사용해 아시아 및 유럽매미나방의 정착을 방지해 근절시키려 다시 시도 중에 있다.
5. 생활사
아시아매미나방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친다.[5]
;알
알집은 10센트 동전 한개 정도의 크기이다.[5] 알 상태로 월동한다.[5] 애벌레는 이듬해 봄에 부화한다.
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매미나방이 커다란 소나무의 가지 수피 아랫면에 알집을 산란한다.[2] 러시아와 몽골에서는 바위 노두면이나 바위 아래의 흙바닥에 산란한다.[2] 다른 알집 또는 전해의 알집 잔여물 위에 알집을 두기도 한다.[2] 러시아 동부에서는, 아시아매미나방이 활엽수 나뭇잎의 뒷면에 알집을 낳아두기도 한다.[2] 잎이 떨어지면 알은 눈에 덮이게 되어 저온에 대한 단열효과를 받게된다.[2]
;유충
다 자란 애벌레는 몸길이가 50~55mm이며, 몸의 바탕색은 회색이고, 양 옆으로 불규칙한 백색 무늬가 얼룩 져 있다.[2] 황색 또는 검정색을 띠기도 한다.
애벌레가 부화하면 날아가서 흩어진다.[2] 애벌레는 견사를 뽑아내고 거기에 매달려서 자신을 적당한 기주로 날려보낼 바람을 기다린다.[2] 중앙아시아에서는, 부화유충이 솟은 곳에 올라서서 비행을 시도한다.[2] 몽골에서는 바위 표면이나 소나무로 바람을 타고 날아가 흩어진다.[2] 비행 가능한 거리는 다양해서 수 백 미터 내지는 조건만 맞으면 수 킬로미터 이상 날아가기도 한다.[2] 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유충이 먹이가 될 적당한 기주로 흩어지나, 성충은 매 년 반복되는 산란을 위해 커다란 소나무로 다시 날아간다.[2]
;번데기
애벌레는 6월 또는 7월에 번데기가 된다.[5] 번데기에서 10~14일이 지나면 성충이 된다.[5]
;성충
성충 암컷은 거무잡잡하면서도 유백색을 띠며, 앞날개를 가로지르는 검은 띠가 있다.[2] 뒷날개는 백색이다.[2] 암컷의 몸은 통통하며 털이 빽빽하게 덮고 있고, 더듬이는 암갈색에 실 모양이다.[2]
수컷은 암컷보다 작으며, 앞날개를 가로지르는 검은 띠가 있고 암갈색을 띤다.[2] 뒷날개의 경우 갈색이며 초승달 모양의 둥근 반점이 있기도 하다.[2] 머리의 앞쪽 끝과 더듬이 병절은 연갈색이다. 더듬이는 연갈색이며 깃털 모양이다.[2]
성충은 먹이를 먹을 수 없고 짝짓기 및 산란만 가능하다.[5] 성충은 우화 후 1주에서 3주 내로 죽는다.[5]
5. 1. 성충
성충 암컷은 거무잡잡하면서도 유백색을 띠며, 앞날개를 가로지르는 검은 띠가 있다.[2] 뒷날개는 백색이다.[2] 암컷의 몸은 통통하며 털이 빽빽하게 덮고 있고, 더듬이는 암갈색에 실 모양이다.[2]수컷은 암컷보다 작으며, 앞날개를 가로지르는 검은 띠가 있고 암갈색을 띤다.[2] 뒷날개의 경우 갈색이며 초승달 모양의 둥근 반점이 있기도 하다.[2] 머리의 앞쪽 끝과 더듬이 병절은 연갈색이다. 더듬이는 연갈색이며 깃털 모양이다.[2]
성충은 먹이를 먹을 수 없고 짝짓기 및 산란만 가능하다.[5] 성충은 우화 후 1주에서 3주 내로 죽는다.[5]
5. 2. 알
알집은 10센트 동전 한개 정도의 크기이다.[5] 알 상태로 월동한다.[5] 애벌레는 이듬해 봄에 부화한다.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매미나방이 커다란 소나무의 가지 수피 아랫면에 알집을 산란한다.[2] 러시아와 몽골에서는 바위 노두면이나 바위 아래의 흙바닥에 산란한다.[2] 다른 알집 또는 전해의 알집 잔여물 위에 알집을 두기도 한다.[2] 러시아 동부에서는, 아시아매미나방이 활엽수 나뭇잎의 뒷면에 알집을 낳아두기도 한다.[2] 잎이 떨어지면 알은 눈에 덮이게 되어 저온에 대한 단열효과를 받게된다.[2]
5. 2. 1. 알 배치
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매미나방이 커다란 소나무의 가지 수피 아랫면에 알집을 산란한다.[2] 러시아와 몽골에서는 바위 노두면이나 바위 아래의 흙바닥에 산란한다.[2] 다른 알집 또는 전해의 알집 잔여물 위에 알집을 두기도 한다.[2] 러시아 동부에서는, 아시아매미나방이 활엽수 나뭇잎의 뒷면에 알집을 낳아두기도 한다.[2] 잎이 떨어지면 알은 눈에 덮이게 되어 저온에 대한 단열효과를 받게된다.[2]5. 3. 애벌레
다 자란 애벌레는 몸길이가 50~55mm이며, 몸의 바탕색은 회색이고, 양 옆으로 불규칙한 백색 무늬가 얼룩 져 있다.[2] 황색 또는 검정색을 띠기도 한다.애벌레가 부화하면 날아가서 흩어진다.[2] 애벌레는 견사를 뽑아내고 거기에 매달려서 자신을 적당한 기주로 날려보낼 바람을 기다린다.[2] 중앙아시아에서는, 부화유충이 솟은 곳에 올라서서 비행을 시도한다.[2] 몽골에서는 바위 표면이나 소나무로 바람을 타고 날아가 흩어진다.[2] 비행 가능한 거리는 다양해서 수 백 미터 내지는 조건만 맞으면 수 킬로미터 이상 날아가기도 한다.[2] 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유충이 먹이가 될 적당한 기주로 흩어지나, 성충은 매 년 반복되는 산란을 위해 커다란 소나무로 다시 날아간다.[2]
5. 4. 번데기
애벌레는 6월 또는 7월에 번데기가 된다.[5] 번데기에서 10~14일이 지나면 성충이 된다.[5]6. 전파 방지를 위한 노력
6. 1. 운송 수단
아시아매미나방은 다양한 운송 수단을 통해 알집이 안팎으로 옮겨질 가능성이 있다.[8]
참조
[1]
웹인용
Bug experts seeking new name for destructive gypsy moths
https://www.king5.co[...]
2021-07-10
[2]
웹인용
A review of selected species of Lymantria Huber [1819]
http://www.fs.fed.us[...]
Forest Health Technology Enterprise Team
2012-09-14
[3]
웹사이트
https://www.aphis.us[...]
[4]
저널
Molecular phylogenetics of Erebidae (Lepidoptera, Noctuoidea)
2012-01-01
[5]
웹인용
Asian Gypsy Moth
http://www.aphis.usd[...]
APHIS
2012-09-17
[6]
웹인용
Asian Spongy Moth
https://agr.wa.gov/d[...]
2022-08-04
[7]
웹인용
details
http://www.tsusinvas[...]
Lamar University {{!}} Sul Ross State University {{!}} Texas State University, San Marcos
2022-08-04
[8]
웹인용
LP Briefing - Asian Gypsy Moth - June 2012
http://fin.nepia.com[...]
2012-09-17
[9]
웹인용
80 ships in Maritimes inspected for invasive moth
https://www.cbc.ca/n[...]
2012-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