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유도는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는 유도 종목으로,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며,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구성된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부터 남녀 단체전이,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부터 남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다. 역대 대회에서 일본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과 중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유도 -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유도 연맹 주관의 국제 유도 대회로, 남자 대회는 1966년, 여자 대회는 1981년에 시작되었으며, 1991년부터 아시안 게임 개최 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2011년부터 남녀 국가별 단체전이 추가, 2019년에는 아시아 태평양 유도 선수권 대회로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으나 2022년부터 다시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로 환원되었다.
  • 아시안 게임 유도 - 2018년 아시안 게임 유도
    2018년 아시안 게임 유도는 2018년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7개, 여자 7개, 혼성 단체전 1개 등 총 15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어 일본이 금메달 9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유도 - 2022년 아시안 게임 유도
    2022년 아시안 게임 유도 경기는 2022년 9월 24일부터 27일까지 남자 7체급, 여자 7체급, 혼성 단체전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5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배구
    아시안 게임 배구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가 주관하는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남자 배구는 1958년, 여자 배구는 1962년부터 시작되었고, 1998년에는 비치 발리볼이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6인제 배구와 비치 발리볼이 진행되고 있고 대한민국, 일본, 중국이 강세를 보인다.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
유도 픽토그램
유도 픽토그램
종목 정보
종목유도
유형4년 주기
주최
주최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대회 통계
첫 대회서울 1986
횟수10
가장 최근 대회항저우 2022
세부 종목18
남자 종목9
여자 종목9

2. 역대 대회

1986년 서울 대회에서 유도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여자 유도는 1990년 베이징 대회부터 추가되었다.[1] 2022년 아시안 게임 유도는 원래 2022년 9월에 항저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연기되어 2023년 9월에 개최되었다.[1]

2. 1. 경기 종목

아시안 게임 유도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며, 체급별 개인전과 단체전이 있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부터 남녀 단체전이 도입되었고,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부터는 남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다.

연도남자여자남녀 혼합
2014 대한민국
최광현
방귀만
김재범
이규원
김성민
일본
나카무라 미사토
야마모토 안
아베 카나
아라이 치즈루
이나모리 나미
2018 일본
후나쿠보 하루카
타마오키 모모
에비누마 마사시
타나카 시호
신조 사키
고바야시 유스케
야마모토 사라
카게우라 코코로
오지타니 고시
2022 일본
타마오키 모모
다이키치 켄
타나카 시호
쿠와가타 모에카
타지마 고키
오노 유헤이
타카하시 루리
오타 효가


2. 2. 역대 개최지

연도날짜개최 도시경기장참가국선수최우수 국가경기
198610월 1일–4일서울, 대한민국새마을운동올림픽기념관align=left|
19909월 28일–10월 1일베이징, 중국위에탄 체육관align=left|
199410월 12일–15일히로시마, 일본히로시마 선 플라자23144align=left|
199812월 7일–10일방콕, 태국탐마삿 체육관 125184align=left|
20029월 30일–10월 3일부산, 대한민국구덕 운동장30174align=left|
200612월 2일–5일도하, 카타르카타르 SC 실내 경기장34138align=left|
201011월 13일–16일광저우, 중국화공 체육관32240align=left|
20149월 20일–23일인천, 대한민국도원체육관33218align=left|
20188월 29일–9월 1일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자카르타 컨벤션 센터35252align=left|
20222023년 9월 24일–27일항저우, 중국샤오산 린푸 체육관33227align=left|


3. 메달 집계

아시안 게임 유도 종목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일본473429110
2 대한민국372541103
3 중국20153267
4 몽골792743
5 북한461424
6 카자흐스탄1102031
7 이란171018
8 우즈베키스탄161825
9 타이완041923
10 투르크메니스탄0224
11 레바논0101
12 태국0077
13 인도0055
14 홍콩0033
타지키스탄0033
16 쿠웨이트0022
17 인도네시아0011
미얀마0011
합계118119234471



일본대한민국이 아시안 게임 유도 종목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국가들이다. 일본은 금메달 47개, 은메달 34개, 동메달 29개로 총 11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37개, 은메달 25개, 동메달 41개로 총 10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금메달 20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32개로 총 6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기록했다.

3. 1. 국가별 메달 순위 (2022년 대회까지)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일본473429110
2 대한민국372541103
3 중국20153267
4 몽골792743
5 북한461424
6 카자흐스탄1102031
7 이란171018
8 우즈베키스탄161825
9 타이완041923
10 투르크메니스탄0224
11 레바논0101
12 태국0077
13 인도0055
14 홍콩0033
타지키스탄0033
16 쿠웨이트0022
17 인도네시아0011
미얀마0011
합계118119234471


4. 역대 우승자

} || 우에다 무츠미|일본어 || 리중윈|중국어 || 김향란|중국어 || 장디|중국어 || 다나베 요코|일본어 || 장잉|중국어 || 좡샤오옌|중국어

|-

| 2 || 1994년 || 다무라 료코|일본어 || 현숙희 || 정선용 || 정성숙 || 오이시 아이코|일본어 || 김미정 || 장잉|중국어 || 아부 쿄코|일본어

|-

|-bgcolor="#EEEEEE"

! 회 !! 연도 !! 48kg 이하급 !! 52kg 이하급 !! 57kg 이하급 !! 63kg 이하급 !! 70kg 이하급 !! 78kg 이하급 !! 78kg 초과급

|-

| 3 || 1998년 || 마카베 도모에|일본어 || 계순희 || 히시그바트 에르데네트오드|mn || 왕셴보|중국어 || 임정숙 || 탕린|중국어 || 위안화|중국어

|-

|-bgcolor="#EEEEEE"

! 회 !! 연도 !! 48kg 이하급 !! 52kg 이하급 !! 57kg 이하급 !! 63kg 이하급 !! 70kg 이하급 !! 78kg 이하급 !! 78kg 초과급 !! 무차별

|-

| 4 || 2002년 || 기타다 가요|일본어 || 이은희 || 홍옥선 || 타니모토 아유미|일본어 || 친둥야|중국어 || 조수희 || 쑨푸밍|중국어 || 퉁원|중국어

|-

| 5 || 2006년 || 가오펑|중국어 || 안금애 || 쉬옌|중국어 || 쉬위화|중국어 || 우에노 마사에|일본어 || 나카자와 사에|일본어 || 퉁원|중국어 || 류환위안|중국어

|-

| 6 || 2010년 || 우수건|중국어 || 나카무라 미사토|일본어 || 마츠모토 가오리|일본어 || 우에노 유리에|일본어 || 황예슬 || 정경미 || 스기모토 미카|일본어 || 류환위안|중국어

|-

|-bgcolor="#EEEEEE"

! 회 !! 연도 !! 48kg 이하급 !! 52kg 이하급 !! 57kg 이하급 !! 63kg 이하급 !! 70kg 이하급 !! 78kg 이하급 !! 78kg 초과급

|-

| 7 || 2014년 || 문흐바트 울란체체그|mn || 나카무라 미사토|일본어 || 야마모토 안|일본어 || 정다운 || 김성연 || 정경미 || 마쓰쓰|중국어

|-

| 8 || 2018년 || 정보경 || 가쿠다 나쓰미|일본어 || 다마키 모모|일본어 || 나베쿠라 나미|일본어 || 신조 사키|일본어 || 사토 루카|일본어 || 소네 아키라|일본어

|-

| 9 || 2022년 || 가쿠다 나쓰미|일본어 || 디요라 켈디요로바|uz || || 다카이치 미쿠|일본어 || 다나카 시호|일본어 || 마전자오|중국어 || 김하윤

|}

4. 1. 남자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시작된 아시안 게임 유도 남자 종목은 초기에 8개 체급(60kg 이하급, 65kg 이하급, 71kg 이하급, 78kg 이하급, 86kg 이하급, 95kg 이하급, 95kg 초과급, 무차별급)으로 구성되었다. 방콕 아시안 게임부터 체급 조정이 이루어져 73kg 이하급, 81kg 이하급, 90kg 이하급, 100kg 이하급, 100kg 초과급으로 변경되었고, 무차별급은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다가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 광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다시 시행되었다. 현재는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부터 무차별급이 완전히 폐지되어 7개 체급으로 운영되고 있다.

역대 아시안 게임 유도 남자 종목의 체급별 메달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다.

아시안 게임 유도 역대 우승자 (여자)
연도48kg 이하급52kg 이하급56kg 이하급61kg 이하급66kg 이하급72kg 이하급72kg 초과급무차별
11990년{{lang|ja|에자키 후미코|}
} || 정훈|鄭勳한국어 || 김병주|金炳周한국어 || 오카다 히로타카|岡田弘隆일본어 || 가이 야스히로|甲斐康浩일본어 || 판 제킬|중국어 || 세키네 히데유키|関根英之일본어

|-

| 3 || 1994년 || 김혁|金赫한국어 || 나카무라 유키나리|中村行成일본어 || 정훈|鄭勳한국어 || 윤동식|尹東植한국어 || 나카무라 요시오|中村佳央일본어 || 오카이즈미 시게루|일본어 || 가노 준|일본어 || 마스지 가쓰유키|일본어

|-

| 4 || 1998년 || 도쿠노 가즈히코|徳野和彦일본어 || 나카무라 유키나리|中村行成일본어 || 하리우니 볼드바타르|mn || 조인철|趙麟徹한국어 || 유성연|兪成連한국어 || 이노우에 코세이|井上康生일본어 || 시노하라 신이치|篠原信一일본어 ||

|-

| 5 || 2002년 || 마수드 하지 아호드자데|مسعود حاجی آخوندزادہfa || 김형주|金亨柱한국어 || 최용신|崔鎔信한국어 || 아키야마 요시히로|秋山成勲일본어[1] || 야자키 유다이|일본어 || 스즈키 게이지|鈴木桂治일본어 || 무네타 야스유키|棟田康幸일본어 || 이노우에 코세이|井上康生일본어

|-

| 6 || 2006년 || 에구사 다쓰아키|江種辰明일본어 || 하쉬바타르 차간바타르|mn || 이원희|李元熹한국어 || 담딘수렌 냠후|mn || 황희태|黃禧太한국어 || 장성호|張盛好한국어 || 무네타 야스유키|棟田康幸일본어 || 김성범|金聖氾한국어

|-

| 7 || 2010년 || 리쇼드 소비로프|Rishod Sobirovuz || 김주진|金朱鎭한국어 || 아키모토 히로유키|秋本啓之일본어 || 김재범|金宰範한국어 || 오노 다쿠시|小野卓志일본어 || 황희태|黃禧太한국어 || 김수완|金洙完한국어 || 다카하시 가즈히코|高橋和彦일본어

|-

| 8 || 2014년 || 옐도스 스메토프|Eldos Smetovkk || 다와도르지 툽신바야르|mn || 아키모토 히로유키|秋本啓之일본어 || 김재범|金宰範한국어 || 요시다 유야|吉田優也일본어 || 나이단 투브신바야르|mn || 오지타니 다케시|일본어 ||

|-

| 9 || 2018년 || 디요르베크 우로즈보예프|Diyorbek Urozboyevuz || 안바울|安바울한국어 || 오노 쇼헤이|大野将平일본어 || 디다르 캄자|kk || 곽동한|郭同韓한국어 || 이다 겐타로|飯田健太郎일본어 || 김성민|金成民한국어 ||

|-

| 10 || 2022년 || 양융웨이|楊勇緯중국어 || 다나카 류마|田中龍馬일본어 || 무로존 유르도셰프|uz || 소몬 마흐마드베코프|tg || 에를란 셰로프|ky || 무자파르베크 투로보예프|uz || 마고메달마고메도프|ar[2] ||

|}

4. 1. 1. 60kg 이하급

연도60kg 이하급65kg/66kg 이하급71kg/73kg 이하급78kg/81kg 이하급86kg/90kg 이하급95kg/100kg 이하급95kg 초과급/100kg 초과급무차별급
11986년김재엽|金載燁한국어이경근|李璟根한국어안병근|安柄根한국어조형수|趙亨洙한국어박경호|朴慶浩한국어하형주|河亨柱한국어사이토 히토시|齊藤仁일본어마사키 요시미|正木嘉美일본어
21990년고시노 타다노리|越野忠則일본어{{lang|ja|오구마 마사히코|}
연도60kg 이하급
11986년김재엽|金載燁한국어
21990년고시노 타다노리|越野忠則일본어
31994년김혁|金赫한국어
41998년도쿠노 가즈히코|徳野和彦일본어
52002년마수드 하지 아호드자데|مسعود حاجی آخوندزادہfa
62006년에구사 다쓰아키|江種辰明일본어
72010년리쇼드 소비로프|Rishod Sobirovuz
82014년옐도스 스메토프|Eldos Smetovkk
92018년디요르베크 우로즈보예프|Diyorbek Urozboyevuz
102022년양융웨이|楊勇緯중국어


4. 1. 2. 65kg/66kg 이하급

65kg 이하급66kg 이하급
11986 이경근
21990 오구마 마사히코
31994 나카무라 유키나리
41998 나카무라 유키나리
52002 김형주
62006 하쉬바타르 차간바타르
72010 김주진
82014 다와도르지 툽신바야르
92018 안바울
102022 다나카 류마


4. 1. 3. 71kg/73kg 이하급

71kg 이하급73kg 이하급
11986년 안병근
21990년 정훈
31994년 정훈
41998년 하리우니 볼드바타르
52002년 최용신
62006년 이원희
72010년 아키모토 히로유키
82014년 아키모토 히로유키
92018년 오노 쇼헤이
102022년 무로존 유르도셰프


4. 1. 4. 78kg/81kg 이하급

78kg 이하급81kg 이하급
11986년조형수
21990년김병주
31994년윤동식
41998년조인철
52002년아키야마 요시히로
62006년담딘수렌 냠후
72010년김재범
82014년김재범
92018년디다르 캄자
102022년소몬 마흐마드베코프


4. 1. 5. 86kg/90kg 이하급

86kg 이하급90kg 이하급
11986년 박환호
21990년 오카다 히로타카
31994년 나카무라 요시오
41998년 유성연
52002년 야자키 유다이
62006년 황희태
72010년 오노 타쿠시
82014년 요시다 유야
92018년 곽동한
102022년 에를란 셰로프


4. 1. 6. 95kg/100kg 이하급

} ||

|-

| 3 || 1994년 || 오카이즈미 시게루||일본어 ||

|-

| 4 || 1998년 || || 이노우에 코세이||일본어

|-

| 5 || 2002년 || || 스즈키 게이지||일본어

|-

| 6 || 2006년 || || 장성호

|-

| 7 || 2010년 || || 황희태

|-

| 8 || 2014년 || || 나이단 투브신바야르||mn

|-

| 9 || 2018년 || || 이다 겐타로||일본어

|-

| 10 || 2022년 || || 무자파르베크 투로보예프||uz

|}

4. 1. 7. 95kg 초과급/100kg 초과급

연도95kg 이하급100kg 이하급
11986년하형주
21990년{{lang|ja|가이 야스히로}
년도95kg 초과급 (1986~1994)100kg 초과급 (1998~)
11986 사이토 히토시
21990 판 제킬
31994 가노 쥰
41998 시노하라 신이치
52002 무네타 야스유키
62006 무네타 야스유키
72010 김수완
82014 오지타니 타카시
92018 김성민
102022 마고메달마고메도프


4. 1. 8. 무차별급

년도무차별
11986년 마사키 요시미
21990년 세키네 히데유키
31994년 마스지 가쓰유키
52002년 이노우에 코세이
62006년 김성범
72010년 다카하시 가즈히코


참조

[1] 웹사이트 Asian Games http://onlinejua.org[...]
[2] 웹사이트 Sports Judo http://www.ocasia.or[...]
[3] 웹사이트 BERANDA KOMPETISI JUDO https://asiangames20[...]
[4] 뉴스 五輪代表争いに影響も アジア大会延期で―柔道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2-05-07
[5] 웹사이트 第19回アジア競技大会 https://www.joc.or.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