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이며, 1926년 쿠데타 이후 리투아니아의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리투아니아 민족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을 지지했다. 1918년 리투아니아 평의회에 합류하여 초대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을 지냈으며, 베르사유 평화 회의에 참석하여 리투아니아의 국제적 승인을 위해 노력했다. 1926년 쿠데타 이후 총리가 되었으나 독재 정치로 기울었고, '철의 늑대'라는 단체를 이끌며 파시즘 성향을 보였다. 암살 시도와 실각 이후 망명과 체포를 반복하다가 소련에 의해 체포되어 1942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안타나스 스메토나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였던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망명으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우테나주 출신 - 알베르타스 시메나스
알베르타스 시메나스는 리투아니아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사유디스 회원이었으며, 총리 역임 후 경제부 장관과 세이마스 의원을 지내며 리투아니아 독립에 기여했다. - 우테나주 출신 - 스테포나스 카이리스
스테포나스 카이리스는 리투아니아의 엔지니어이자 정치인, 사회 민주주의 운동가로서,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서 서명, 세이마스 의원 역임, VLIK 위원장으로서 독립 운동을 이끌었으며, 홀로코스트 시기 유대인 소녀를 숨겨준 공로로 열방의 의인으로 인정받았다. - 리투아니아의 망명자 - 안타나스 스메토나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였던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망명으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리투아니아의 망명자 - 비두나스
비두나스는 리투아니아 문화 부흥에 기여한 작가, 철학자, 음악가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윤리적 채식주의를 옹호했으며, 나치의 탄압을 받아 투옥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하여 서독에서 사망했다.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원어 이름 | Augustinas Voldemaras |
직함 | |
직함 | 리투아니아의 총리 |
역대 총리 재임 정보 | |
첫 번째 임기 시작 | 1918년 11월 11일 |
첫 번째 임기 종료 | 1918년 12월 26일 |
두 번째 임기 시작 | 1926년 12월 17일 |
두 번째 임기 종료 | 1929년 9월 23일 |
첫 번째 임기 이전 | (없음) |
첫 번째 임기 이후 |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 |
두 번째 임기 이전 |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 |
두 번째 임기 이후 | 유오자스 투벨리스 |
대통령 재임 정보 | |
대통령 | 안타나스 스메토나 |
임기 시작 | 1926년 12월 17일 |
임기 종료 | 1929년 9월 23일 |
외무 장관 재임 정보 | |
임기 시작 | 1918년 11월 11일 |
임기 종료 | 1920년 6월 19일 |
이전 | (없음) |
이후 | 유오자스 푸리츠키스 |
총리 | 자신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 프라나스 도비다이티스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
임기 시작_2 | 1926년 12월 17일 |
임기 종료_2 | 1929년 9월 23일 |
이전_2 |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 |
이후_2 | 유오자스 투벨리스 |
총리_2 | 자신 |
국방 장관 재임 정보 | |
임기 시작 | 1918년 11월 11일 |
임기 종료 | 1918년 12월 24일 |
이전 | (없음) |
이후 | 미콜라스 벨리키스 |
총리 | 자신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83년 4월 16일 |
출생지 | 디스나, 스벤치안스키 군, 빌나 현,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42년 5월 16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련 |
정당 | 국민진보당 (1916–1924)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연합 (1924–1929) |
배우자 | 마틸다 볼데마리에네 |
자녀 | (없음) |
모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대학교 |
서명 | |
![]() |
2. 초기 생애와 교육
볼데마라스는 1883년 4월 16일 현재 리투아니아 이그날리나구에 속하는 디스나 마을에서 태어났다.[2][3] 평범한 집안 출신이었지만, 학업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근처 트베레치우스에서 공립학교를, 슈벤초니스에서 3년제 학교를 졸업한 후, 1890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일하던 형을 따라 이주했다.[2][3] 1902년 김나지움 입학 시험에 합격하여 1904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으며, 이 과정에서 훗날 정치적 동지이자 숙적이 되는 안타나스 스메토나를 만났다.[10][4]
1926년 쿠데타 당시, 카지스 그리니우스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군부 일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와 안타나스 스메토나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둘 다 이를 승낙했다. 1926년 12월 17일에 쿠데타를 일으켜 그리니우스 정권을 타도하고, 스메토나가 대통령이 되었으며, 볼데마라스는 총리가 되었다. 리투아니아 국내외의 여론을 의식하여 그리니우스는 볼데마라스가 헌법을 준수한다는 조건으로 총리 임명을 승낙했다.[10] 볼데마라스는 헌법 준수를 약속했지만, 이후 독재 정치로 기울어졌다.[10]
190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철학을 전공으로 졸업했고, 1910년에는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논문은 금메달을 받을 정도로 우수했다.[5] 장학금을 받아 학업을 계속하여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 이탈리아와 스웨덴 유학 후, 1915년 페름으로 이주하여 페름 국립 대학교의 전신이 되는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2] 학생 시절 볼데마라스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확산되던 리투아니아 민족 운동의 영향을 받아, 리투아니아의 자치와 독립을 목표로 하는 학생 단체에서 활동했다. 1917년 9월에는 키예프에서 열린 비자치 민족 회의에 대표로 선출되기도 했다.
3. 정치 경력
볼데마라스는 '철의 늑대'(Geležinis vilkas)라는 단체를 이끌었는데, 이 단체는 우익 군 장교와 학생들 사이에서 1926~27년에 설립되었다.[7] 안타나스 스메토나 대통령은 이 조직의 명예 회장이었지만, 실제로 관리한 것은 볼데마라스였다. 그의 성격과 웅변술은 신흥 파시즘에 호감을 느끼고 스메토나의 보다 온건한 노선에 불만을 품은 젊은 민족주의 장교들을 매료시켰다.[5]
볼데마라스와 스메토나는 처음에는 친밀하게 협력하는 듯 보였지만, 볼데마라스가 철의 늑대에 관여하면서 파시즘에 경도되고 스메토나의 온건 노선에 불만을 품게 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
1929년 5월 6일, 볼데마라스는 카우나스의 한 극장에 가던 중 뒤에서 총격을 받는 암살 시도를 당했다. 하지만 볼데마라스와 그의 아내는 다치지 않았다.[9] 철의 늑대과 볼데마라스의 급진적인 입장은 안타나스 스메토나 대통령과 마찰을 일으켰고, 1929년 초부터 스메토나는 볼데마라스를 정부에서 축출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4]
1929년 9월 19일, 볼데마라스가 국제 연맹 회의에 참석하던 중, 스메토나 대통령은 내각 사임 후 볼데마라스를 총리직에서 해임했다.[7][10]
1934년에 철의 늑대는 쿠데타를 계획했고, 볼데마라스도 권력 장악을 노렸다. 그러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고, 볼데마라스는 스메토나 정권에 의해 체포되어, 그 후 4년 동안 감금되었다.
1938년, 볼데마라스는 사면을 받아 석방, 망명했다. 1939년에 귀국을 시도했지만 체포되어 다시 추방지인 자라사이로 보내졌다. 그는 여러 번 귀국을 시도했지만, 그때마다 자라사이로 돌려보내졌다. 1940년 6월, 소련이 리투아니아를 침공, 점령하자, 볼데마라스는 다시 귀국을 시도했지만, 국경에서 볼셰비키 당국에 체포되었고, 그 후 소식이 끊겼다. 그는 1942년 5월 16일에 모스크바에서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3. 1. 정치 입문
볼데마라스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역사학 및 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학생 신분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 고조되던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리투아니아의 독립 또는 자치 획득을 목표로 하는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다. 그는 1916년 신설된 국가 진보당에 가입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리투아니아 학생 단체를 대표하여 1917년 6월 페트로그라드 세임과 1917년 9월 키예프 비주권 국가 회의에 참여했다.[5] 1918년에는 독일과 소비에트 러시아 간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평화 협상에서 리투아니아의 이익을 대표했다. 리투아니아는 협상 당사국이 아니었기에, 그는 단명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대표단의 일원이었다.[5]
3. 2. 리투아니아 정부 수립
1917년 9월, 볼데마라스는 키예프에서 열린 비자치 민족 회의에 대표로 선출되었다. 리투아니아 평의회에 합류하여 독일과의 연합에 항의하며 탈퇴한 구성원들을 대신했다.[1] 1918년 11월 11일, 볼데마라스는 리투아니아의 총리가 되어 내각을 구성하고, 외무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을 겸임했다.[2]
볼데마라스는 국가 내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중립을 선언하여 외국의 간섭을 막으려 했다. 그럼에도 1918년 11월 23일, 리투아니아 군대 창설 명령에 서명하고 키프리안 칸드라토비치 장군을 국방부 차관으로 임명했다.[1] 그러나 칸드라토비치는 벨라루스계라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에게 의심을 받았고, 국가 방어를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으며, 빌뉴스가 소비에트의 공격으로 위협받자 정부를 그로드노로 옮길 것을 제안하여 1918년 12월 24일에 해임되었다.[1]
1918년 12월 21일, 볼데마라스와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독일 차관 확보와 베르사유 평화 회의 참석을 위해 리투아니아를 떠났으나, 이는 소비에트의 진격을 피해 도망치는 것으로 여겨져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1] 1918년 12월 26일,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가 볼데마라스를 대신하여 총리직을 맡게 되었지만, 볼데마라스는 외무부 장관으로 계속 봉사하며 베르사유 평화 회의에서 리투아니아를 대표했다.[1]
베르사유에서 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독립 리투아니아의 인정과 국경, 그리고 볼셰비키와의 투쟁에 대한 지원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강한 러시아를 지지하는 세력과 볼셰비즘에 대한 보루로서 폴란드를 지지하는 세력은 리투아니아에 대한 지원을 꺼렸다.[1] 미국은 1919년 11월에 리투아니아 승인을 거부하고 1922년에야 승인했으며, 소비에트 러시아는 1920년 초에 평화 협상을 거부했다.[1]
1920년 6월, 볼데마라스는 1920년 리투아니아 의회 선거를 통해 구성된 정부에 자리를 내주기 위해 사임하고 학계로 돌아갔다.[1]
3. 3. 베르사유 평화 회의와 국제적 승인 노력
볼데마라스와 스메토나는 1918년 12월 21일 독일로부터 차관을 확보하고 베르사유 평화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리투아니아를 떠났다. 그러나 리투아니아에서는 이들이 소비에트의 진격을 피해 도망친 것으로 여겨져 큰 분노를 샀다. 볼데마라스는 부재중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지만, 외무장관으로서 베르사유에 남아 리투아니아를 대표했다.[3]
베르사유에서 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독립 리투아니아의 인정, 국경 문제 해결, 그리고 볼셰비키와의 투쟁에 대한 지원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강대국들로부터 거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강한 러시아를 지지하는 세력은 리투아니아를 러시아의 일부로 여겼고, 볼셰비즘에 대한 방어선으로 폴란드를 지지하는 세력은 리투아니아의 독립이 폴란드를 약화시킬 것이라고 생각했다.[3]
볼데마라스는 회의 이후에도 리투아니아에 대한 국제적 승인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미국은 1919년 11월 리투아니아 승인을 거부했다가 1922년에야 승인했으며, 소비에트 러시아는 1920년 초 평화 협상을 거부했다.[3]
3. 4. 쿠데타와 권력 장악
1926년 쿠데타 당시, 카지스 그리니우스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군부 일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와 안타나스 스메토나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둘 다 이를 승낙했다. 1926년 12월 17일에 쿠데타를 일으켜 그리니우스 정권을 타도하고, 스메토나가 대통령이 되었으며, 볼데마라스는 총리가 되었다. 리투아니아 국내외의 여론을 의식하여 그리니우스는 볼데마라스가 헌법을 준수한다는 조건으로 총리 임명을 승낙했다. 볼데마라스는 헌법 준수를 약속했지만, 이후 독재 정치로 기울어졌다.[10]
3. 5. 독재 정치와 '철의 늑대'
볼데마라스는 '철의 늑대'(Geležinis vilkas)라는 단체를 이끌었는데, 이 단체는 우익 군 장교와 학생들 사이에서 1926~27년에 설립되었다.[7] 겉으로는 청소년 스포츠 단체였지만, 1928년에 정식 등록되었고,[4] 철의 늑대는 강력한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며 국가의 적과 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들의 이념과 관행은 일반 대중과 정치 엘리트 사이에서 불안감을 조성했다.[5] 안타나스 스메토나 대통령은 이 조직의 명예 회장이었지만, 실제로 관리한 것은 볼데마라스였다. 그의 성격과 웅변술은 신흥 파시즘에 호감을 느끼고 스메토나의 보다 온건한 노선에 불만을 품은 젊은 민족주의 장교들을 매료시켰다.[5]
1926년 카지스 그리니우스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군부 일부가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그들은 볼데마라스와 안타나스 스메토나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둘 다 이를 승낙했다. 쿠데타로 그리니우스 정권이 타도되고 스메토나가 대통령이, 볼데마라스가 총리가 되었다. 볼데마라스는 헌법 준수를 약속했지만, 곧 독재 정치로 기울어졌다.
볼데마라스와 스메토나는 처음에는 친밀하게 협력하는 듯 보였지만, 볼데마라스가 철의 늑대에 관여하면서 파시즘에 경도되고 스메토나의 온건 노선에 불만을 품게 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
3. 6. 암살 시도와 실각
1929년 5월 6일, 볼데마라스는 카우나스의 한 극장에 가던 중 뒤에서 총격을 받는 암살 시도를 당했다. 최소 7발의 총알이 발사되었으나, 볼데마라스와 그의 아내는 다치지 않았다. 하지만 볼데마라스의 부관이 사망하고, 조카가 크게 다치는 등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9] 이 암살 시도에는 세 명의 리투아니아 학생들이 연루된 혐의로 기소되었고, 그 중 한 명은 처형되었다.[5]
이 사건으로 대중과 국제 사회의 지지가 쏟아졌지만, 볼데마라스는 철의 늑대단에 더욱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5] 철의 늑대단과 볼데마라스의 급진적인 입장은 안타나스 스메토나 대통령과 마찰을 일으켰고, 1929년 초부터 스메토나는 볼데마라스를 정부에서 축출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4]
1929년 9월 19일, 볼데마라스가 국제 연맹 회의에 참석하던 중, 스메토나 대통령은 내각 사임 후 볼데마라스를 총리직에서 해임했다.[7][10] 스메토나는 그의 처남인 유오자스 튜벨리스를 총리로 임명했다.[7][10]
4. 실각 이후의 삶과 죽음
1930년, 볼데마라스는 플라텔리아이와 자라사이로 추방되어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생활했다.[6] 1934년 6월, 스메토나에 대한 쿠데타 시도에 연루되어 카우나스로 이동했다가 4년간 투옥되었다. 이 쿠데타는 철의 늑대단과 관련된 장교들이 주도했으나, 광범위한 지지를 얻지 못하고 실패했다.[5] 볼데마라스는 국외 추방 조건으로 사면을 받아 프랑스를 목적지로 선택했다.[5]
1939년, 볼데마라스는 리투아니아로 귀국을 시도했지만 다시 추방되었다.[5] 1940년 6월, 소련이 리투아니아를 침공하고 점령한 직후, 볼데마라스와 그의 아내는 다시 귀국을 시도했으나 국경에서 체포되어 투옥되었다.[5] 이후 1942년 12월 16일 모스크바의 부티르카 감옥에서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5][3] 그의 매장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2012년 카우나스의 페트라슈나이 묘지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1]
5. 기타 활동 및 개인사
페름 국립 대학교의 전신이 되는 대학에서 로마사, 그리스어, 라틴어, 영어를 가르쳤다.[2] 1920년 리투아니아 대학교(현재는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 사회학 연구 학장을 지냈다.[2] 16개 언어에 능통했으며, 리투아니아어와 프랑스어로 학술 저작을 집필했다.[2]
1929년, 훗날 리투아니아 대통령이 되는 발다스 아담쿠스의 대부가 되었다.[12][13]
참조
[1]
서적
Lithuania 1940: Revolution from Above
https://books.google[...]
Brill
[2]
웹사이트
Augustinas Voldemaras – Lietuvos premjeras, neordinarinis žmogus ir Lietuvoje dar neatrastas europinio lygio istorikas
http://www.15min.lt/[...]
2016-11-30
[3]
웹사이트
Augustinas Voldemaras
https://lrv.lt/lt/ap[...]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6-11-30
[4]
웹사이트
Įvairiaspalvis Prezidento krikštatėvio portretas
http://kauno.diena.l[...]
Kauno Diena
2009-02-14
[5]
간행물
Augustinas Voldemaras
http://www.lituanus.[...]
1984-09
[6]
웹사이트
Virtuali paroda "Augustinas Voldemaras – politikas ir valdžios kritikas"
http://www.bernardin[...]
Bernardinai.lt
2016-12-01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ithu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
[8]
서적
Lithuania in the 1920s: A Diplomat's Diary
https://books.google[...]
Rodopi
2009
[9]
웹사이트
Kaip Augustinas Voldemaras 1929 metų rugsėjo mėnesį neteko valdžios
http://www.xxiamzius[...]
XXI Amžius
2016-12-01
[10]
서적
Antanas Smetona and His Lithuania: From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o an Authoritarian Regime (1893-1940)
https://books.google[...]
BRILL
2015
[11]
뉴스
Petrašiūnų kapinėse Kaune atidengtas kenofatas ministrui pirmininkui Augustinui Voldemarui
http://www.15min.lt/[...]
15min.lt
2012-12-14
[12]
웹사이트
Slapti Lietuvos politikų meilės skandalai: ko galėtų pasimokyti Prancūzijos prezidentas
http://www.delfi.lt/[...]
2016-12-01
[13]
서적
Nekuklioji Lietuva
http://www.delfi.lt/[...]
Versus Aureus
2016
[14]
간행물
Augustinas Voldemaras
http://www.lituanus.[...]
Antanas Klimas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