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주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주대학교는 1972년 박창원이 설립한 아주공업전문대학을 기원으로 하며, 1977년 김우중 회장이 학교를 인수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2개의 단과대학, 1개의 학부, 대학원, 부속 병원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의과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대학병원을 연계한 바이오융합 연구에 특화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여러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주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아주자동차대학교는 자동차 특성화 전문대학으로, 1994년 대천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및 전자 분야 인재를 양성하다 2004년 교명을 변경, 미래자동차공학부 단일학부로 자동차 분야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다.
  • 아주대학교 - 이민규 (1953년)
    이민규는 단국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임상심리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심리학자이자 자기계발 작가로, 《심리학, 아이러니하게도》, 《끌리는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1%만 바꿔도 인생이 달라진다》 등의 저서를 통해 독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고 청소년 인성 교육에도 기여했다.
  • 수원시의 학교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는 서울과 수원에 캠퍼스를 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을 계승하여 근대 대학으로 개편 후 현재에 이르렀으며,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교육하고 삼성그룹이 재단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 수원시의 학교 -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서울에 설립되어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수원과 서울에 캠퍼스를 운영하는 사립 대학이다.
  • 영통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영통구 - 광교동
    광교동은 광교산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2012년 수원시 영통구에서 이의동과 하동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개발로 우수한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과밀학급 문제도 안고 있으며, 1789년에는 용인군 지내면에 속했던 역사를 가진 행정동이다.
아주대학교
지도
기본 정보
이름아주대학교
로마자 표기Aju Daehakgyo
한자 표기亞洲大學校
영어 이름Ajou University
모토인간존중, 실사구시, 세계일가
모토 (영어)Respect for human, Seeking truth from facts, One world, One family
설립1972년 12월
개교1973년 3월 15일
학교 유형사립
학교법인대우학원
총장최기주
행정 직원300명
교수진1,370명
학생 수13,986명
학부생9,705명
대학원생4,007명
박사 과정494명
캠퍼스도시
상징선구자
교색아주블루
노랑
주소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대학
학부공과대학
정보통신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사회과학대학
인문대학
법과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기초교육대학
국제학부
대학원일반대학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국제대학원
산업대학원
경영대학원
공공정책대학원
교육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ITS대학원
보험대학원
법무대학원
웹사이트
웹사이트ajou.ac.kr

2. 역사

1972년 12월, 박창원이 '''아주공업전문대학'''을 설립하였다. 이는 1971년 체결된 한·불 간의 문화 및 기술 협정에 따른 것으로, 박창원은 학교법인 유신학원을 설립하여 김현남을 초대 학장으로 임명하였다. 개교 당시 학과는 전자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발행화학공학과, 공업경영학과(현 산업공학과)의 4개였다. 1974년 12월,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아주공과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77년,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이 사재를 출연하여 학교법인 대우학원을 설립하고 아주대학교를 인수하였다. 1981년 공과대학, 경영대학, 인문사회대학을 갖춘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이듬해 대학원을 설립하였다. 1994년 부속 아주대학교병원을 개원하였다.

2. 1. 설립 배경

1971년 체결된 한·불 기술협정에 따라 1973년 아주공업초급대학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에는 전자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발행화학공학과, 공업경영학과(현 산업공학과)의 4개 학과로 시작하였다.

2. 2. 발전 과정

1972년 12월, 박창원이 '''아주공업전문대학'''을 설립하였다. 아주공업전문대학은 1971년 체결된 한·불 간의 문화 및 기술 협정에 따라 설립이 결정된 것으로, 박창원은 이를 위해 학교법인 유신학원을 설립하였다. 1974년 12월 4년제가 되면서 아주공과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1]

1977년,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이 사재를 출연하여 학교법인 대우학원을 설립하고, 아주대학교를 인수하였다.[1] 1981년 공과대학, 경영대학, 인문사회대학을 갖춘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이듬해 대학원을 설립하였다.[1] 1994년 부속 아주대학교병원을 개원하였다.[1]

3. 학부

2025년 개편 예정인 학부 과정은 다음과 같다.[13]


  • 공과대학
  • * 기계공학과
  • * 산업공학과
  • * 화학공학과
  • * 신소재공학과
  • * 응용화학생명공학과
  • * 건축학과
  • ** 건축학전공(5년)
  • ** 건축공학전공(4년)
  • * 환경안전공학과
  • * 건설시스템공학과
  • * 교통시스템공학과
  • 정보통신대학
  • * 전자공학과
  • * 소프트웨어학과
  • * 미디어학과
  • * 사이버보안학과
  • *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자연과학대학
  • * 수학과
  • * 물리학과
  • * 화학과
  • * 생명과학과
  • 경영대학
  • * 경영학과
  • * e-비즈니스학과
  • * 금융공학과
  • 사회과학대학
  • * 경제학과
  • * 행정학과
  • * 심리학과
  • * 사회학과
  • * 정치외교학과
  • * 스포츠레저학과
  • 인문대학
  • * 국어국문학과
  • * 영어영문학과
  • * 불어불문학과
  • * 사학과
  • * 문화콘텐츠학과
  • 법과대학
  • * 법학과(2018년 폐지)
  • 의과대학
  • * 의학과
  • 간호대학
  • * 간호학과
  • 약학대학
  • * 약학과
  • 국제학부
  • * 국제통상학과
  • * 지역연구학과(일본/중국)

3. 1. 단과대학 (2025년 기준)

2025년 기준 12개 단과대학과 1개의 학부가 설치되어 있다.[13]

공과대학첨단ICT융합대학소프트웨어융합대학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인문대학사회과학대학의과대학
간호대학첨단바이오융합대학약학대학기타


3. 2. 마이크로 및 연계 전공 (2024년 기준)

2024년 기준 학과 전공 외에도 다양한 마이크로 전공과 연계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마이크로전공이란 융합 능력을 배양하고 타 학문에 대한 접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과 또는 학제 간 개설된 부전공보다 작은 이수 단위의 교육과정을 뜻한다.[14]

마이크로전공 목록
분야세부 전공
미래자동차 관련미래자동차(초급), 미래자동차(중급), 미래자동차(고급), 미래자동차 자율주행, 미래자동차 모빌리티 서비스, 미래자동차 SDV(Software Define Vehicles), 미래자동차 친환경차
에너지 관련수소에너지공정, 수소에너지소재, 수소에너지기술, 탄소-중립에너지기술
IT 관련의료인공지능, 인공지능, 인공지능건축, AIoT, AI애널리틱스, 인공지능 지식재산, 블록체인, 빅데이터 지식재산, 지능형 보안, 디지털 휴먼, 메타버스기획, 메타버스(AR·VR) 지식재산
경영 관련회계빅데이터 분석, 금융프로그래밍, 뉴비즈니스마케팅
인공지능반도체 관련인공지능반도체(기초), 인공지능반도체설계(핵심), 인공지능반도체설계(심화), 인공지능반도체소자(핵심), 인공지능반도체소자(심화)
기타의과학, 바이오·헬스케어, 논리-과학철학, 산업수학, 데이터사이언스, 테크놀로지와 사회, 문화 매개와 커뮤니케이션,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유학생), 한국어와 한국문화(유학생)



연계전공 목록
문화산업과 커뮤니케이션 전공, 인문사회데이터분석 전공, 미래자동차 전공, 데이터인문 전공, 인간·사회·규범 전공, 데이터보안·활용융합 전공(사이버보안, 블록체인, 클라우드보안)


4. 대학원

아주대학교는 1개의 일반대학원, 1개의 전문대학원, 11개의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일반대학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은 다양한 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인문대학의 '''디지털휴머니티학과'''는 인문학, 정신분석학,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16]

약학대학의 '''바이오헬스규제과학과'''는 의약품 안전성 평가 전문가를 양성한다.[17]

'''일반대학원'''

석사과정박사과정


4. 2. 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4. 3. 특수대학원


  • 경영대학원(MBA)
  • 교육대학원
  • 공공정책대학원
  • 국제대학원
  • 공학대학원
  • 교통•ITS대학원
  • 정보통신대학원
  • IT융합대학원
  • 임상치의학대학원
  • 보건대학원
  • 글로벌제약임상대학원

5. 국제화 프로그램

아주대학교는 국제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는 교환학생 프로그램, 복수학위 프로그램, 블루래더 프로그램,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단기 파견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1]

5. 1. 교환학생 프로그램

아주대학교는 2021년 기준 67개국 325개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 학생들은 본교에 수업료를 납부하고 해외 대학에서 1학기 동안 수학하며, 취득한 학점은 본교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1]

아주대학교는 다음 국제 학생 교류 프로그램의 회원교이다.[1]

  • ISEP (Internat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
  • CREPUQ (Conference of Rectors and Principals of Quebec Universities)
  • HUMAP (Hyogo University Mobility in Asia and the Pacific)
  • "n+i" Network (프랑스 기술대학 연합)
  • AUF (Federation of French Universities)

5. 2. 복수학위 프로그램

졸업 학점의 1/2을 본교에서, 나머지 학점을 다른 대학에서 이수하여 아주대학교와 다른 대학의 학위를 모두 취득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스토니브룩 대학교와 운영 중이다.[1]

5. 3. 기타 국제화 프로그램

블루래더(Blue Ladder) 프로그램은 한국 교육부 사업이다. 어려운 환경에도 자기 계발 및 진로 개발에 대한 꿈과 열정을 가진 대학생들에게 해외 연수 경험을 지원한다. 담당 대학별로 학생을 선발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아주대학교는 2018년 선정되어 3년간 운영되었다. 참여 대학으로는 미국의 미시간 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상하이 교통대학교 등이 있다.[1]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은 학생들을 전 세계 약 20개국의 기업에 인턴으로 파견하여 더욱 다양하고 도전적인 해외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전공과 관련된 해외 산업 현장에서 감각을 배우고 진로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인턴 파견 기업 및 기관으로는 INKE(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 IDB(미국개발은행),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CKP(미국 아시아 회계법인), W-OKTA(세계한인무역협회), H마트 등이 있다. 3, 4학년 인턴십 과목 학점으로 인정된다.[1]

단기 파견 프로그램은 방학 중 약 4주간 해외 자매대학으로 파견하는 프로그램이다. 자매대학에서 언어 훈련, 국제 연수 프로그램 등에 참여한 경우 학점으로 인정될 수 있다. 프로그램 참가비의 일부는 장학금으로 지원될 수 있다.[1]

6. 연구 및 산학협력

아주대학교는 의과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대학병원이 함께 위치하여 바이오 융합 연구에 최적화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수원-광교 바이오밸리 클러스터와의 긴밀한 연계 및 제약 바이오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첨단 바이오 분야의 융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6. 1. 첨단바이오융합대학

아주대학교는 의과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대학병원이 함께 위치하여 바이오 융합 연구 분야에 최적화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수원-광교 바이오밸리 클러스터와의 긴밀한 연계 및 제약 바이오 산업체와의 협력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활용하여, 첨단 바이오 분야의 포괄적 융복합 공학 교육과 연구를 선도하기 위해 첨단바이오융합대학을 신설하였다.[15]

노화, 질병, 건강한 먹거리, 환경 친화적 소재 등 인간과 생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물학 지식뿐만 아니라 의학, 약학, 화학, 인공지능, 기계공학 등 다양한 융복합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첨단바이오융합대학에는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바이오의약품 및 합성의약품 연구 개발에 집중하는 '''혁신신약''' 전공과,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바이오소재 및 식품, 화장품 분야 기능성 소재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바이오첨단소재공학''' 전공이 있다. 또한 산학 네트워크, 취업 연계형 인턴십, 학점 연계형 현장 실무 교육도 제공한다.[15]

7. 대학 평가

평가 기관평가 연도내용
QS2024년세계 631~640위[5]
2023년세계 488위[5]
2021년50세 미만 대학 순위 101~150위[5]
중앙일보2019년국내 11위[6]
한국경제신문2019년고용 및 창업 평가 국내 5위[7]
WURI2021년세계 100대 혁신 대학 세계 62위[8]
로이터2019년아시아 태평양 최고 혁신 대학 아시아 24위[9]
THE2021년영향력 순위 201~300위[10]


8. 상징

개척자상


개척자상은 아주대학교의 상징이다. 학교 정문에 위치해 있다.

9. 시설

아주대학교에는 중앙도서관, 기숙사, 식당 등의 시설이 있다.


  • 중앙도서관: 1973년 개교와 함께 문을 열었으며,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의 기증으로 새로운 도서관이 건립되었다. 2017년에는 리모델링을 통해 커뮤니티 라운지와 카페 등 편의시설을 확충했다.[1]
  • 기숙사: 남재관, 용지관, 화홍관, 광규관, 국제관 등 5개의 기숙사가 있다. 남재관과 용지관은 남학생 전용, 광규관은 여학생 전용이며, 화홍관은 남녀 층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국제관은 외국인 학생과 방문 교수를 위한 시설이다.
  • 식당: 캠퍼스 내에는 기숙사 식당, 학생회관 식당, 팔달관, 다산관, 종합관 등에 다양한 식당이 운영되고 있다.

9. 1. 중앙도서관

1973년 3월 15일, 아주대학교 개교와 함께 학생 및 교수의 학습, 연구, 정보 수집 및 배포를 위해 중앙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본관 1층에 120석 규모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었으며, 같은 해 4월 12일부터 사서 1명과 함께 1,272권의 도서를 구입했다. 1983년에는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이 50억을 기증하여 연면적 4,026평의 새로운 도서관이 건립되었다. 2017년 10월 16일에는 2층 전체를 리모델링하여 커뮤니티 라운지로 조성하고, 1층에는 기존 복도 공간을 확장하여 카페를 만들어 휴식 공간과 편의시설을 확충했다.[1]

9. 2. 기숙사

아주대학교에는 남재관, 용지관, 화홍관, 광규관, 국제관 등 5개의 기숙사가 있다. 남재관과 용지관은 남학생 전용 기숙사이며, 광규관은 여학생 전용 기숙사이다. 화홍관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층을 분리하여 사용하며(여학생 층은 여성 전용 카드키로만 출입 가능), 외국인 교환학생이나 정규 학생도 이용할 수 있다. 국제관은 외국인 학생과 방문 교수를 위한 시설이다. 화홍관과 국제관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는 4인 1실이다. 국제관과 화홍관은 2인실과 4인실, 그리고 방문 교수를 위한 1인실을 갖추고 있다.

9. 3. 식당

캠퍼스는 주로 두 개의 대형 식당과 여러 개의 작은 식당으로 운영된다. 가장 큰 식당은 기숙사 근처에 있으며 기숙사 식당이라고 불린다.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일 바뀌는 메뉴로 한국식과 서양식 음식을 모두 제공한다. 두 번째로 큰 식당은 학생회관에 위치한 학생식당이다. 또한, 팔달관, 다산관, 종합관에도 작은 식당들이 있다.

10. 주요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 Ajou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9-04-27
[2] 웹사이트 Foundation (1965~1980) http://www.ajou.ac.k[...] 2023-03-01
[3] 웹사이트 Gyeonggi-do Pharmacy - Ajou University, Convergence Research MOU http://www.kmpnews.c[...] 2016-11-28
[4] 웹사이트 Promotion of establishment of medical hospital http://www.incheonil[...] 2020-08-31
[5] 웹사이트 QS Top 50 Under 50 2021 https://www.topunive[...] 2020-06-19
[6] 웹사이트 [2019 대학평가]서울대 5년 연속 1위, 성균관 2위, 한양 3위 https://news.joins.c[...] 2019-11-16
[7] 웹사이트 [2020 한경 대학 취업·창업 평가] 한양대, 창업·취업 최고…광운대 첫 톱10 진입 https://magazine.han[...] 2020-12-08
[8] 웹사이트 Global Top 100 Innovative Universities WURI ranking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Reuters Top 75 https://graphics.reu[...]
[10] 웹사이트 Impact Ranking https://www.timeshig[...] 2021-04-16
[11] 웹인용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https://web.archive.[...] 2021-03-01
[12] 웹인용 대학 설립과 출범(1973~1980) https://www.ajou.ac.[...] 2021-07-17
[13] 웹인용 규정집 게시판목록 https://www.ajou.ac.[...] 2024-08-18
[14] 웹인용 복수/부/마이크로/연계/트랙 https://www.ajou.ac.[...] 2024-08-18
[15] 웹사이트 대학발전본부 https://www.ajou.ac.[...]
[16] 웹인용 학과소개 https://www.ajou.ac.[...] 2024-08-18
[17] 웹인용 연구소설립/발전 https://www.ajou.ac.[...] 2024-08-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