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즈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즈는 북아일랜드의 자치구로, 행정 중심지는 뉴턴아즈이다. 면적은 376km²이며, 2010년 인구는 78,200명, 인구 밀도는 208명/km²이다. 종교 분포는 개신교가 82.5%, 천주교가 12.6%이다. 아즈 자치구 의회에서 관할했으며, 2011년 2월 기준 민주연합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1973년 뉴턴아즈 자치시의 자치구 헌장을 채택하면서 "아즈 시장" 칭호가 부여되었으며, 시장은 얼스터 연합당과 민주 연합당에서 번갈아 배출되었다. 아즈는 미국 피오리아 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교류를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일랜드의 구 (1973년) - 마러펠트구
마러펠트구는 2015년 쿡스타운 구 의회, 던가논 및 사우스 타이론 자치구 의회의 통합으로 출범한 북아일랜드의 행정 구역으로, 2011년 인구 조사에서 110,475명의 인구를 기록했으며 세 개의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고 2011년 선거 결과 신 페인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습니다. - 북아일랜드의 구 (1973년) - 뉴리 몬 구
뉴리 몬 구는 북아일랜드의 옛 행정 구역으로, 다운 구 의회와의 합병 논의 후 뉴리 시와 모언 앤 다운 구 의회에 통합되어 더 이상 독립적인 행정 구역이 아니며, 과거 종교적, 정치적 갈등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고 2023년 기준 105,000명의 인구를 관할했다.
아즈구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아즈 자치구 |
지역 명칭 | Ards Borough (영어) |
아일랜드어 명칭 | Buirg na hArda (아일랜드어) |
위치 | 북아일랜드 |
행정 중심지 | 뉴타운아즈 |
지리 | |
면적 | 376km² |
면적 순위 | 26개 구역 중 20위 |
인구 통계 | |
가톨릭 신자 비율 | 12.7% |
개신교 신자 비율 | 76.9% |
정치 | |
의회 구성 | MLA DUP: 6석 UUP: 2석 Alliance Party: 2석 UKIP: 1석 Green Party: 1석 |
국회의원 | 스티븐 패리 (Alliance Party) 짐 섀넌 (DUP)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아즈 자치구 공식 웹사이트 |
2. 구 정보
아즈구의 행정 중심지는 뉴튼아즈이다. 면적은 376km2이고, 인구는 2010년 기준으로 78,200명이며, 인구 밀도는 208명/km2이다. ISO 3166-2 코드는 GB-ARD이고, ONS 코드는 95X이다. 종교 분포는 천주교 12.6%, 개신교 82.5%이다.
2. 1. 기본 정보
아즈구의 행정 중심지는 뉴튼아즈이다. 면적은 376km2이고, 인구는 2010년 기준으로 78,200명이며, 인구 밀도는 208명/km2이다. ISO 3166-2 코드는 GB-ARD이고, ONS 코드는 95X이다. 종교 분포는 천주교 12.6%, 개신교 82.5%이다.2. 2. 종교 분포
아즈 구의 종교 분포는 개신교가 82.5%로 가장 많고, 천주교가 12.6%를 차지한다.3. 지방 의회
아즈 자치구 의회(얼스터 스코트어: ''Burgh Cooncil o' the Airds, Newton an' Blathewick'')에서 아즈 구를 관할했다. 자치구는 뉴타운아즈, 아즈 웨스트, 아즈 이스트, 아즈 반도의 4개 선거구로 나뉘었으며, 여기서 23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1] 2011년 2월 현재, 의회에는 민주연합당(DUP) 11명, 얼스터 연합당(UUP) 6명, 연합당(Alliance Party) 4명, 사회민주노동당(SDLP) 1명, 무소속 의원 1명이 소속되어 있었다.[1] 다음 선거는 2009년 5월에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2008년 4월 25일, 숀 우드워드 북아일랜드 국무장관은 2009년에 예정되었던 지방 의회 선거가 2011년 11개의 새로운 의회가 도입될 때까지 연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 제안된 개혁은 2010년에 폐기되었고, 2011년에 지방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3]
3. 1. 의회 구성
아즈 자치구 의회(얼스터 스코트어: ''Burgh Cooncil o' the Airds, Newton an' Blathewick'')에서 아즈 구를 관할했다. 자치구는 뉴타운아즈, 아즈 웨스트, 아즈 이스트, 아즈 반도의 4개 선거구로 나뉘었으며, 여기서 23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1] 2011년 2월 현재, 의회에는 민주연합당(DUP) 11명, 얼스터 연합당(UUP) 6명, 연합당(Alliance Party) 4명, 사회민주노동당(SDLP) 1명, 무소속 의원 1명이 소속되어 있었다.[1] 다음 선거는 2009년 5월에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2008년 4월 25일, 숀 우드워드 북아일랜드 국무장관은 2009년에 예정되었던 지방 의회 선거가 2011년 11개의 새로운 의회가 도입될 때까지 연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 제안된 개혁은 2010년에 폐기되었고, 2011년에 지방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3]3. 2. 역대 시장
wikitext1973년에 아즈 구 의회가 창설되면서 뉴타운아즈 자치시의 자치구 헌장을 채택하여 아즈 구 의회가 되었다. 이 헌장은 또한 의회 의장에게 "아즈 시장"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4]
연도 | 이름 | 정당 | 부시장 | 부시장 정당 |
---|---|---|---|---|
1973–1975 | 존 알지 | 얼스터 연합당 | D. 해밀턴 | 얼스터 연합당 |
1975–1977 | 헨리 코스비 | 얼스터 연합당 | J. B. 코히 | 무소속 |
1977–1979 | 존 스콧 | 얼스터 연합당 | 해밀턴 맥키그 | 얼스터 연합당 |
1979–1981 | 해밀턴 맥키그 | 얼스터 연합당 | 로버트 가우 | 북아일랜드 노동당 |
1981–1983 | 로버트 가우 | 북아일랜드 노동당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1983–1984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올리버 존스턴 | 민주 연합당 |
1984–1985 | 올리버 존스턴 | 민주 연합당 | 글래디스 맥킨타이어 | 얼스터 민중 연합당 |
1985–1986 | 글래디스 맥킨타이어 | 얼스터 민중 연합당 | 로버트 앰브로즈 | 얼스터 연합당 |
1986–1987 | 로버트 앰브로즈 | 얼스터 연합당 | 심슨 깁슨 | 민주 연합당 |
1987–1988 | 심슨 깁슨 | 민주 연합당 | 톰 벤슨 | 얼스터 연합당 |
1988–1989 | 톰 벤슨 | 얼스터 연합당 | 존 해밀턴 | 민주 연합당 |
1989–1990 | 존 해밀턴 | 민주 연합당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1990–1991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짐 섀넌 | 민주 연합당 |
1991–1992 | 짐 섀넌 | 민주 연합당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1992–1993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윌버트 매길 | 민주 연합당 |
1993–1994 | 윌버트 매길 | 민주 연합당 | 존 실즈 | 얼스터 연합당 |
1994–1995 | 존 실즈 | 얼스터 연합당 | 세인트 클레어 맥앨리스터 | 민주 연합당 |
1995–1996 | 세인트 클레어 맥앨리스터 | 민주 연합당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1996년 6월 – 12월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로니 퍼거슨 | 얼스터 연합당 |
1998년 1월 – 6월 | 로니 퍼거슨 | 얼스터 연합당 | 조지 에니스 | 민주 연합당 |
1998년 6월 – 1999년 6월 | 조지 에니스 | 민주 연합당 | 앨런 맥도웰 | 북아일랜드 연합당 |
1999–2000 | 앨런 맥도웰 | 북아일랜드 연합당 | 톰 해밀턴 | 얼스터 연합당 |
2000–2001 | 톰 해밀턴 | 얼스터 연합당 | 마가렛 크레이그 | 민주 연합당 |
2001–2002 | 마가렛 크레이그 | 민주 연합당 | 제프 매길 | 얼스터 연합당 |
2002–2003 | 제프 매길 | 얼스터 연합당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2003–2004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2004–2005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앵거스 카슨 | 얼스터 연합당 |
2005–2006 | 테리 윌리엄스 | 민주 연합당 | 앵거스 카슨 | 얼스터 연합당 |
2006–2007 | 앵거스 카슨 | 얼스터 연합당 | 로빈 드라이스데일 | 민주 연합당 |
2007–2008 | 로빈 드라이스데일 | 민주 연합당 | 짐 플레처 | 얼스터 연합당 |
2008–2009 | 짐 플레처 | 얼스터 연합당 | 윌리엄 몽고메리 | 민주 연합당 |
2009–2010 | 윌리엄 몽고메리 | 민주 연합당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2010–2011[1]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머빈 오스왈드 | 민주 연합당 |
2011–2012 | 머빈 오스왈드 | 민주 연합당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2012–2013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스티븐 맥길빈 | 민주 연합당 |
2013 | 스티븐 맥길빈 | 민주 연합당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출처: 정보 공개 아즈 구 의회 요청
3. 2. 1. 시장 선출 과정
1973년 아즈 구 의회가 창설되면서 뉴타운아즈 자치시의 자치구 헌장을 채택하였고, 의회 의장에게 "아즈 시장"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4]아즈 구 시장은 얼스터 연합당과 민주 연합당이 번갈아 가며 맡아 왔다. 초기에는 얼스터 연합당 소속 시장이 다수 선출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민주 연합당 소속 시장이 선출되는 빈도가 높아졌다. 특히, 1984-85년 올리버 존스턴, 1987-88년 심슨 깁슨, 1989-90년 존 해밀턴, 1991-92년 짐 섀넌, 1993-94년 윌버트 매길, 1995-96년 세인트 클레어 맥앨리스터, 1998년 6월-1999년 6월 조지 에니스, 2001-02년 마가렛 크레이그, 2004-05년과 2012-2013년 해밀턴 그레고리, 2005-06년 테리 윌리엄스, 2007-08년 로빈 드라이스데일, 2009-10년 윌리엄 몽고메리, 그리고 2011-12년 머빈 오스왈드는 민주 연합당 소속으로 아즈 구 시장을 역임했다.
이는 아즈 구 지역에서 얼스터 연합당의 전통적인 강세에도 불구하고, 민주 연합당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민주 연합당은 북아일랜드의 대표적인 보수 정당으로, 얼스터 연합당과의 경쟁 속에서 아즈 구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켜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도 | 이름 | 정당 | 부시장 | 부시장 정당 |
---|---|---|---|---|
1973–75 | 존 알지 | 얼스터 연합당 | D. 해밀턴 | 얼스터 연합당 |
1975–77 | 헨리 코스비 | 얼스터 연합당 | J. B. 코히 | 무소속 |
1977–79 | 존 스콧 | 얼스터 연합당 | 해밀턴 맥키그 | 얼스터 연합당 |
1979–81 | 해밀턴 맥키그 | 얼스터 연합당 | 로버트 가우 | 북아일랜드 노동당 |
1981–83 | 로버트 가우 | 북아일랜드 노동당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1983–84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올리버 존스턴 | 민주 연합당 |
1984–85 | 올리버 존스턴 | 민주 연합당 | 글래디스 맥킨타이어 | 얼스터 민중 연합당 |
1985–86 | 글래디스 맥킨타이어 | 얼스터 민중 연합당 | 로버트 앰브로즈 | 얼스터 연합당 |
1986–87 | 로버트 앰브로즈 | 얼스터 연합당 | 심슨 깁슨 | 민주 연합당 |
1987–88 | 심슨 깁슨 | 민주 연합당 | 톰 벤슨 | 얼스터 연합당 |
1988–89 | 톰 벤슨 | 얼스터 연합당 | 존 해밀턴 | 민주 연합당 |
1989–1990 | 존 해밀턴 | 민주 연합당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1990–91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짐 섀넌 | 민주 연합당 |
1991–92 | 짐 섀넌 | 민주 연합당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1992–93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윌버트 매길 | 민주 연합당 |
1993–94 | 윌버트 매길 | 민주 연합당 | 존 실즈 | 얼스터 연합당 |
1994–95 | 존 실즈 | 얼스터 연합당 | 세인트 클레어 맥앨리스터 | 민주 연합당 |
1995–96 | 세인트 클레어 맥앨리스터 | 민주 연합당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1996년 6월 – 12월 | 로버트 깁슨 | 얼스터 연합당 | 로니 퍼거슨 | 얼스터 연합당 |
1998년 1월 – 6월 | 로니 퍼거슨 | 얼스터 연합당 | 조지 에니스 | 민주 연합당 |
1998년 6월 – 1999년 6월 | 조지 에니스 | 민주 연합당 | 앨런 맥도웰 | 북아일랜드 연합당 |
1999–2000 | 앨런 맥도웰 | 북아일랜드 연합당 | 톰 해밀턴 | 얼스터 연합당 |
2000–01 | 톰 해밀턴 | 얼스터 연합당 | 마가렛 크레이그 | 민주 연합당 |
2001–02 | 마가렛 크레이그 | 민주 연합당 | 제프 매길 | 얼스터 연합당 |
2002–03 | 제프 매길 | 얼스터 연합당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2003–04 | 짐 맥브라이어 | 북아일랜드 연합당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2004–05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앵거스 카슨 | 얼스터 연합당 |
2005–06 | 테리 윌리엄스 | 민주 연합당 | 앵거스 카슨 | 얼스터 연합당 |
2006–07 | 앵거스 카슨 | 얼스터 연합당 | 로빈 드라이스데일 | 민주 연합당 |
2007–08 | 로빈 드라이스데일 | 민주 연합당 | 짐 플레처 | 얼스터 연합당 |
2008–09 | 짐 플레처 | 얼스터 연합당 | 윌리엄 몽고메리 | 민주 연합당 |
2009–10 | 윌리엄 몽고메리 | 민주 연합당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2010–11[1] | 데이비드 스미스 | 얼스터 연합당 | 머빈 오스왈드 | 민주 연합당 |
2011–12 | 머빈 오스왈드 | 민주 연합당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2012–2013 | 해밀턴 그레고리 | 민주 연합당 | 스티븐 맥길빈 | 민주 연합당 |
2013 | 스티븐 맥길빈 | 민주 연합당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출처: 정보 공개 아즈 구 의회 요청
4. 정치
웨스트민스터 의회 및 북아일랜드 의회 선거에서 자치구의 대부분은 스트랑포드 선거구에 포함되었으며, 일부(도나하디 노스, 도나하디 사우스 및 밀리슬)는 노스다운 선거구에 포함되었다.[5]
4. 1. 국회의원 선거구
웨스트민스터 의회 및 북아일랜드 의회 선거에서 자치구의 대부분은 스트랑포드 선거구에 포함되었으며, 일부(도나하디 노스, 도나하디 사우스 및 밀리슬)는 노스다운 선거구에 포함되었다.[5]4. 1. 1. 선거 결과
웨스트민스터 의회 및 북아일랜드 의회 선거에서 자치구의 대부분은 스트랑포드 선거구에 포함되었으며, 일부(도나하디 노스, 도나하디 사우스 및 밀리슬)는 노스다운 선거구에 포함되었다.[5]5. 자매 결연
아즈구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오리아 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 관계를 통해 예술가, 교육자, 기업인, 정치인 및 지역 사회 지도자들이 양 도시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며 교류를 가졌다.
5. 1. 자매 결연의 의의
아즈구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오리아 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 관계를 통해 예술가, 교육자, 기업인, 정치인 및 지역 사회 지도자들이 양 도시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며 교류를 가졌다.참조
[1]
웹사이트
Councillors
http://www.ards-coun[...]
Ards Borough Council
2011-02-18
[2]
뉴스
Northern Ireland elections are postpon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4-25
[3]
뉴스
The executive fails to agree a deal on council reform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7-08
[4]
간행물
the Charter of the Corporation of the Borough of Newtownards shall have effect in relation to the District of Ards... the name in the Charter shall be changed to Ards Borough Council.
London Gazette
1973-08-24
[5]
간행물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Northern Ireland) Order 2008
http://www.legisla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