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콰 (축구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콰는 앙골라의 축구 선수로, 포워드 또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1995년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78경기에서 39골을 기록했으며,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클럽 경력으로는 벤피카, 알 와크라 SC, 알 가라파 SC, 카타르 SC 등에서 뛰었으며, 카타르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고, 앙골라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은퇴 후에는 앙골라 인민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라볼라의 축구 선수 - 페드루 엔리케 올리베이라
    페드루 엔리케 올리베이라는 브라질 출신 축구 선수로, 2010년 프로 데뷔 후 여러 국가의 클럽에서 활동하며, 2013년 동티모르 U-23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다.
  • 지라볼라의 축구 선수 - 히바우두
    히바우두는 브라질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형 미드필더와 윙어로 활약하며 1999년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고,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과 FC 바르셀로나, AC 밀란 등에서 활약하며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다.
  • 앙골라의 해외 진출 남자 축구 선수 - 플라비우 아마두
    플라비우 아마두는 앙골라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앙골라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으며, 알 아흘리 SC에서 활약하며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을 두 번, CAF 챔피언스리그 득점왕과 MVP를 한 번씩 수상했다.
  • 앙골라의 해외 진출 남자 축구 선수 - 마누슈
    앙골라 출신의 전 축구 선수 마누슈는 앙골라 리그에서의 득점력을 인정받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계약했으나, 여러 클럽에서 임대 생활을 거쳐 레알 바야돌리드 등에서 활동했으며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활약했다.
  • 앙골라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플라비우 아마두
    플라비우 아마두는 앙골라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앙골라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으며, 알 아흘리 SC에서 활약하며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을 두 번, CAF 챔피언스리그 득점왕과 MVP를 한 번씩 수상했다.
  • 앙골라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마누슈
    앙골라 출신의 전 축구 선수 마누슈는 앙골라 리그에서의 득점력을 인정받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계약했으나, 여러 클럽에서 임대 생활을 거쳐 레알 바야돌리드 등에서 활동했으며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활약했다.
아콰 (축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6 FIFA 월드컵에서의 아콰
2006 FIFA 월드컵에서의 아콰
본명파브리스 알세비아데스 마이에코
출생일1977년 5월 30일
출생지앙골라, 벵겔라
신장1.81m
포지션공격수
클럽 경력
1993–1994나시오날 데 벵겔라 (32경기 11골)
1994–1997벤피카 (5경기 0골)
1995–1997→ 알베르카 (임대) (15경기 9골)
1997–1998아카데미카 (19경기 1골)
1998알 샤밥 FC (리야드)
1998–1999알 와크라 (11경기 11골)
1999–2000알-가라파 (28경기 12골)
2000–2006카타르 (72경기 44골)
2006–2008알 와크라 (12경기 4골)
2008–2009페트루 아틀레티쿠 (19경기 12골)
국가대표 경력
1995–2006앙골라 (78경기 39골)

2. 클럽 경력

아콰는 벵겔라에서 태어나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포르투갈에서 벤피카, FC 알베르카,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에서 뛰며 4년을 보냈다. 벤피카에서는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해 임대 생활을 전전했다. 이후 카타르로 이적하여 선수 경력에서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카타르에서는 7년 동안 알와크라, 알 가라파, 카타르 SC에서 활약하며 아랍 챔피언스 리그,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 우승을 경험했다. 특히 1998-1999 시즌에는 카타르 리그에서 11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5년 알 와크라를 떠난 후 2007년까지 무소속으로 지내다가 앙골라 클럽인 페트로 아틀레티코에 입단하여 한 시즌을 보낸 후 은퇴했다.

클럽, 시즌 및 대회별 출장 및 득점
클럽시즌리그카타르 에미르컵카타르컵셰이크 자심컵대륙별합계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알와크라1998–991211342300001716
알가라파1999–2000147423157433022
2000–01145300013222212
합계28127231610655234
카타르2001–02118000000118
2002–031812302100212514
2003–04181324312318
2004–0525111110202912
합계7244656220218852
알와크라2005–0612400000000124
통산12471161111681086176104


2. 1. 초기 경력 (포르투갈)

아콰는 SL 벤피카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지만, 벤피카에서는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해 알베르카 FC,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등 포르투갈 국내 클럽으로 임대 이적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1998년에는 카타르의 알 와크라 SC로 이적했다.

1998-1999 시즌, 그는 리그에서 11골을 기록하며 카타르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더불어 크라운 프린스 컵에서 소속 클럽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후 카타르 내의 알 이티하드, 카타르 SC를 거쳐 2005년 다시 알 와크라에 입단했지만, 1년 만에 팀을 떠났다.

2007년에는 무소속 신분으로 모국 앙골라의 페트로 아틀레티코에 입단했지만, 한 시즌만을 소화하고 팀에서 나왔다. 이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 2. 카타르 리그

아콰는 1998년 카타르의 알와크라 SC로 이적하며 카타르 리그 생활을 시작했다. 1998-99 시즌에는 리그에서 11골을 넣어 카타르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크라운 프린스 컵 우승에도 기여했다. 이후 알 이티하드, 카타르 SC를 거쳐 2005년 다시 알와크라에 입단했다.

클럽, 시즌 및 대회별 출장 및 득점
클럽시즌리그카타르 에미르컵카타르컵셰이크 자심컵대륙별합계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알와크라1998–991211342300001716
알가라파1999–2000147423157433022
2000–01145300013222212
합계28127231610655234
카타르2001–02118000000118
2002–031812302100212514
2003–04181324312318
2004–0525111110202912
합계7244656220218852
알와크라2005–0612400000000124
통산12471161111681086176104


2. 3. 말년

SL 벤피카에서 프로 데뷔했지만,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해 알베르카 FC,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등 포르투갈 국내 클럽을 임대로 전전했다. 1998년 카타르의 알 와크라로 이적하며 선수 생활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1998-1999 시즌, 리그에서 11골을 기록하며 카타르 스타스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에서 소속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후 알 가라파, 카타르 SC를 거쳐 2005년 다시 알 와크라에 입단했지만 1년 만에 팀을 떠났다.

2007년, 무소속 상태로 앙골라의 페트로 아틀레티코에 입단하여 한 시즌을 소화한 후 은퇴를 선언했다.

클럽, 시즌 및 대회별 출장 및 득점
클럽시즌리그카타르 에미르컵카타르컵셰이크 자심컵대륙별합계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알와크라1998–991211342300001716
알가라파1999–2000147423157433022
2000–01145300013222212
합계28127231610655234
카타르2001–02118000000118
2002–031812302100212514
2003–04181324312318
2004–0525111110202912
합계7244656220218852
알와크라2005–0612400000000124
통산12471161111681086176104


3. 국가대표 경력

아콰는 1995년 모잠비크와의 경기에서 앙골라 대표로 데뷔하여 총 78경기에서 39골을 기록했다.[2]

특히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최종전에서 르완다를 상대로 79분에 결승골을 터뜨려 앙골라를 사상 첫 FIFA 월드컵 본선 진출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 세 경기에 모두 출전했지만 득점에는 실패했고, 이 대회를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국가대표팀과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국가대표팀연도출장득점
앙골라199563
199631
199784
199872
199923
200095
2001116
200231
200364
200432
200582
2006126
합계7839



:점수와 결과는 앙골라의 득점 수를 먼저 나열하며, 점수 열은 아콰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2]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2]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4월 23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기니1–03–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3–0
31995년 6월 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말리1–01–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1996년 11월 1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짐바브웨1–02–1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51997년 4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토고2–13–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61997년 6월 8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카메룬1–11–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71997년 6월 22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가나1–01–0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81997년 7월 27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짐바브웨2–02–1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91998년 8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베냉1–02–0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02–0
111999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가봉1–03–1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22–0
133–1
142000년 6월 1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잠비아1–12–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152–0
162000년 7월 6일프라이아, 카보베르데카보베르데style="text-align:center"|1–1친선 경기
172000년 7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적도 기니2–04–1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82000년 7월 23일세소토 국립 경기장, 마세루, 레소토레소토2–02–02000년 COSAFA컵
192001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리비아3–13–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2001년 3월 11일케게 스타디움, 로메, 토고토고1–1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12001년 3월 2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부르키나파소2–02–0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22001년 5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카메룬1–02–0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32001년 7월 2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토고1–0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42001년 8월 18일자유 스타디움, 루사카, 잠비아잠비아1–01–1 (4–2 승.)2001년 COSAFA컵
252002년 6월 25일마치케네 경기장, 마푸투, 모잠비크모잠비크1–01–1친선 경기
262003년 6월 21일사무엘 오그베무디아 스타디움, 베닌시티,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2–02–2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72003년 7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말라위2–05–1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82003년 9월 20일독립 경기장, 빈트후크, 나미비아나미비아3–13–1친선 경기
292003년 11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차드1–02–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02004년 6월 2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나이지리아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12004년 7월 3일오마르 봉고 스타디움, 리브르빌, 가봉가봉1–02–2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22005년 6월 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알제리2–02–1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32005년 10월 8일아마호로 스타디움, 키갈리, 르완다르완다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42006년 1월 17일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모로코1–22–2친선 경기
352006년 4월 29일세소토 국립 경기장, 마세루, 레소토모리셔스1–15–12006년 COSAFA컵
362–1
373–1
384–1
392006년 6월 2일포르투나 시타르트 스타디온, 시타르트, 네덜란드튀르키예1–02–3친선 경기


3. 1. 초기 데뷔 및 활약

아콰는 1995년 17세의 나이로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모잠비크와의 경기에서 첫 경기를 치렀다.[2]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최종전에서 앙골라는 르완다와의 원정 경기에서 비기거나 패하면 월드컵 진출이 좌절되는 상황이었다. 아콰는 79분에 극적인 골을 터뜨려 팀을 1-0 승리로 이끌었고, 앙골라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2]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 출전했지만, 아쉽게도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했다. 이 대회를 끝으로 아콰는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2]

다음은 아콰의 국가대표팀 기록이다.

국가대표팀과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국가대표팀연도출장득점
앙골라199563
199631
199784
199872
199923
200095
2001116
200231
200364
200432
200582
2006126
합계7839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2]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4월 23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3–0
31995년 6월 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1996년 11월 1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1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51997년 4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13–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61997년 6월 8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1–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71997년 6월 22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81997년 7월 27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91998년 8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02–0
111999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1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22–0
133–1
142000년 6월 1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2–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152–0
162000년 7월 6일프라이아, 카보베르데style="text-align:center"|1–1친선 경기
172000년 7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4–1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82000년 7월 23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2–02–02000년 COSAFA컵
192001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3–13–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2001년 3월 11일케게 스타디움, 로메, 토고1–1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12001년 3월 2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0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22001년 5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32001년 7월 2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42001년 8월 18일자유 스타디움, 루사카, 잠비아1–01–1 (4–2 승.)2001년 COSAFA컵
252002년 6월 25일막시케네 스타디움, 마푸투, 모잠비크1–01–1친선 경기
262003년 6월 21일사무엘 오그베무디아 스타디움, 베닌시티, 나이지리아2–02–2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72003년 7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5–1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82003년 9월 20일독립 스타디움, 빈트후크, 나미비아3–13–1친선 경기
292003년 11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02004년 6월 2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12004년 7월 3일오마르 봉고 스타디움, 리브르빌, 가봉1–02–2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22005년 6월 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32005년 10월 8일아마호로 스타디움, 키갈리, 르완다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42006년 1월 17일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1–22–2친선 경기
352006년 4월 29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1–15–12006년 COSAFA컵
362–1
373–1
384–1
392006년 6월 2일포르투나 시타르트 스타디온, 시타르트, 네덜란드1–02–3친선 경기



점수와 결과는 앙골라의 득점 수를 먼저 나열하며, 점수 열은 아콰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2]

3. 2. 2006년 FIFA 월드컵

앙골라는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 아콰는 이 대회 조별 리그 세 경기에 모두 출전했지만, 득점에는 실패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아콰는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국가대표팀과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국가대표팀연도출장득점
앙골라199563
199631
199784
199872
199923
200095
2001116
200231
200364
200432
200582
2006126
합계7839



:''점수와 결과는 앙골라의 득점 수를 먼저 나열하며, 점수 열은 아콰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냅니다.''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2]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4월 23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3–0
31995년 6월 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1996년 11월 1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1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51997년 4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13–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61997년 6월 8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1–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71997년 6월 22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81997년 7월 27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91998년 8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02–0
111999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1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22–0
133–1
142000년 6월 1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2–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152–0
162000년 7월 6일프라이아, 카보베르데style="text-align:center"|1–1친선 경기
172000년 7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4–1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82000년 7월 23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2–02–02000년 COSAFA컵
192001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3–13–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2001년 3월 11일케게 스타디움, 로메, 토고1–1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12001년 3월 2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0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22001년 5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32001년 7월 2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42001년 8월 18일자유 스타디움, 루사카, 잠비아1–01–1 (4–2 승.)2001년 COSAFA컵
252002년 6월 25일막시케네 스타디움, 마푸투, 모잠비크1–01–1친선 경기
262003년 6월 21일사무엘 오그베무디아 스타디움, 베닌시티, 나이지리아2–02–2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72003년 7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5–1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82003년 9월 20일독립 스타디움, 빈트후크, 나미비아3–13–1친선 경기
292003년 11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02004년 6월 2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12004년 7월 3일오마르 봉고 스타디움, 리브르빌, 가봉1–02–2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22005년 6월 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32005년 10월 8일아마호로 스타디움, 키갈리, 르완다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42006년 1월 17일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1–22–2친선 경기
352006년 4월 29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1–15–12006년 COSAFA컵
362–1
373–1
384–1
392006년 6월 2일포르투나 시타르트 스타디온, 시타르트, 네덜란드1–02–3친선 경기


3. 3. 국가대표 득점 목록

국가대표팀과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국가대표팀연도출장득점
앙골라199563
199631
199784
199872
199923
200095
2001116
200231
200364
200432
200582
2006126
합계7839



:점수와 결과는 앙골라의 득점 수를 먼저 나열하며, 점수 열은 아콰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2]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2]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4월 23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기니1–03–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3–0
31995년 6월 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말리1–01–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1996년 11월 1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짐바브웨1–02–1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51997년 4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토고2–13–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61997년 6월 8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카메룬1–11–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71997년 6월 22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가나1–01–0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81997년 7월 27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짐바브웨2–02–1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91998년 8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베냉1–02–0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02–0
111999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가봉1–03–1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22–0
133–1
142000년 6월 1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잠비아1–12–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152–0
162000년 7월 6일프라이아, 카보베르데카보베르데style="text-align:center"|1–1친선 경기
172000년 7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적도 기니2–04–1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82000년 7월 23일세소토 국립 경기장, 마세루, 레소토레소토2–02–02000년 COSAFA컵
192001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리비아3–13–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2001년 3월 11일케게 스타디움, 로메, 토고토고1–1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12001년 3월 2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부르키나파소2–02–0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22001년 5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카메룬1–02–0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32001년 7월 2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토고1–0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42001년 8월 18일자유 스타디움, 루사카, 잠비아잠비아1–01–1 (4–2 승.)2001년 COSAFA컵
252002년 6월 25일마치케네 경기장, 마푸투, 모잠비크모잠비크1–01–1친선 경기
262003년 6월 21일사무엘 오그베무디아 스타디움, 베닌시티,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2–02–2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72003년 7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말라위2–05–1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82003년 9월 20일독립 경기장, 빈트후크, 나미비아나미비아3–13–1친선 경기
292003년 11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차드1–02–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02004년 6월 2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나이지리아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12004년 7월 3일오마르 봉고 스타디움, 리브르빌, 가봉가봉1–02–2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22005년 6월 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알제리2–02–1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32005년 10월 8일아마호로 스타디움, 키갈리, 르완다르완다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42006년 1월 17일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모로코1–22–2친선 경기
352006년 4월 29일세소토 국립 경기장, 마세루, 레소토모리셔스1–15–12006년 COSAFA컵
362–1
373–1
384–1
392006년 6월 2일포르투나 시타르트 스타디온, 시타르트, 네덜란드튀르키예1–02–3친선 경기


4. 정치 활동

아콰는 현재 앙골라 의회의 의원이다. 그는 앙골라 스포츠 관련 주요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은퇴 후에는 앙골라 인민해방운동의 일원으로서 국내 스포츠 발전에 협력하고 있다.

4. 1. 앙골라 인민 의회 의원

은퇴 후에는 앙골라 인민 의회의 일원으로서 국내 스포츠 발전에 협력하고 있다.

5. 수상 내역

아콰는 선수 생활 동안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다.

알 가라파 소속으로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에서 1999년과 2000년 두 차례 우승했으며, 셰이크 카심 컵 또한 1999년에 들어올렸다. 카타르 SC에서는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을 2002년과 2004년에 추가하며 그의 활약을 이어갔다.

국가대표로서는 COSAFA컵에서 1999년, 2001년, 그리고 2004년 총 세 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앙골라 축구에 기여했다.

개인 수상 경력도 화려하다. 1998-99 시즌에는 카타르 스타스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1999년, 2004년, 2005년에는 카타르 최고 외국인 선수상을 받았다. 2006년에는 앙골라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하며 선수 생활의 정점을 찍었다.

5. 1. 클럽

'''알 와크라 SC'''

  •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 우승: 1회 (1998-1999)

'''알 이티하드'''

  •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 우승: 1회 (1999-2000)

'''카타르 SC'''

  • 카타르 크라운 프린스 컵 우승: 2회 (2001-2002, 2003-2004)

5. 2. 국가대표

아콰는 COSAFA 캐슬컵에서 3회 우승 (1999년, 2001년, 2004년)을 차지했다.

5. 3. 개인


  • 카타르 스타즈 리그 득점왕: 1회 (1998-1999)
  • 앙골라 올해의 축구 선수상: 1회 (2006)

6. 통계

아콰는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총 78경기에 출전하여 39골을 기록했다.

국가대표팀에서의 활약은 다음과 같다.

국가대표팀과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국가대표팀연도출장득점
앙골라199563
199631
199784
199872
199923
200095
2001116
200231
200364
200432
200582
2006126
합계7839



아콰의 국제 경기 득점 목록은 다음과 같다.[2] 점수와 결과는 앙골라의 득점 수를 먼저 나열하며, 점수 열은 아콰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2]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4월 23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3–0
31995년 6월 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1996년 11월 1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1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51997년 4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13–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61997년 6월 8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1–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71997년 6월 22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81997년 7월 27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91998년 8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02–0
111999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1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22–0
133–1
142000년 6월 1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2–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152–0
162000년 7월 6일프라이아, 카보베르데style="text-align:center"|1–1친선 경기
172000년 7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4–1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82000년 7월 23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2–02–02000년 COSAFA컵
192001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3–13–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2001년 3월 11일케게 스타디움, 로메, 토고1–1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12001년 3월 2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0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22001년 5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32001년 7월 2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42001년 8월 18일자유 스타디움, 루사카, 잠비아1–01–1 (4–2 승.)2001년 COSAFA컵
252002년 6월 25일막시케네 스타디움, 마푸투, 모잠비크1–01–1친선 경기
262003년 6월 21일사무엘 오그베무디아 스타디움, 베닌시티, 나이지리아2–02–2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72003년 7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5–1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82003년 9월 20일독립 스타디움, 빈트후크, 나미비아3–13–1친선 경기
292003년 11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02004년 6월 2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12004년 7월 3일오마르 봉고 스타디움, 리브르빌, 가봉1–02–2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22005년 6월 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32005년 10월 8일아마호로 스타디움, 키갈리, 르완다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42006년 1월 17일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1–22–2친선 경기
352006년 4월 29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1–15–12006년 COSAFA컵
362–1
373–1
384–1
392006년 6월 2일포르투나 시타르트 스타디온, 시타르트, 네덜란드1–02–3친선 경기



국제 A매치 78경기 39득점 (1995년-2006년)[3]

6. 1. 클럽 통계

클럽, 시즌 및 대회별 출장 및 득점
클럽시즌리그카타르 에미르컵카타르컵셰이크 자심컵대륙별합계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알와크라1998–991211342300001716
알가라파1999–2000147423157433022
2000–01145300013222212
합계28127231610655234
카타르2001–02118000000118
2002–031812302100212514
2003–04181324312318
2004–0525111110202912
합계7244656220218852
알와크라2005–0612400000000124
통산12471161111681086176104


6. 2. 국가대표 통계

국가대표팀과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국가대표팀연도출장득점
앙골라199563
199631
199784
199872
199923
200095
2001116
200231
200364
200432
200582
2006126
합계7839



:''점수와 결과는 앙골라의 득점 수를 먼저 나열하며, 점수 열은 아콰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냅니다.''

아콰가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2]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4월 23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3–0
31995년 6월 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1996년 11월 1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1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51997년 4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13–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61997년 6월 8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1–11996년 FIFA 월드컵 예선
71997년 6월 22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81997년 7월 27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91998년 8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02–0
111999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3–1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22–0
133–1
142000년 6월 1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12–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152–0
162000년 7월 6일프라이아, 카보베르데style="text-align:center"|1–1친선 경기
172000년 7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4–1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82000년 7월 23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2–02–02000년 COSAFA컵
192001년 1월 24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3–13–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2001년 3월 11일케게 스타디움, 로메, 토고1–1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12001년 3월 2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0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22001년 5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32001년 7월 29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1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42001년 8월 18일자유 스타디움, 루사카, 잠비아1–01–1 (4–2 승.)2001년 COSAFA컵
252002년 6월 25일막시케네 스타디움, 마푸투, 모잠비크1–01–1친선 경기
262003년 6월 21일사무엘 오그베무디아 스타디움, 베닌시티, 나이지리아2–02–2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72003년 7월 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5–1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82003년 9월 20일독립 스타디움, 빈트후크, 나미비아3–13–1친선 경기
292003년 11월 16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2–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02004년 6월 20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12004년 7월 3일오마르 봉고 스타디움, 리브르빌, 가봉1–02–2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22005년 6월 5일시달데라 스타디움, 루안다, 앙골라2–02–1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32005년 10월 8일아마호로 스타디움, 키갈리, 르완다1–01–0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42006년 1월 17일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라바트, 모로코1–22–2친선 경기
352006년 4월 29일세소토 스타디움, 마세루, 레소토1–15–12006년 COSAFA컵
362–1
373–1
384–1
392006년 6월 2일포르투나 시타르트 스타디온, 시타르트, 네덜란드1–02–3친선 경기



국제 A매치 78경기 39득점 (1995년-2006년)[3]

참조

[1] 웹사이트 2006 FIFA World Cup Germany: List of Players: Angola https://www.fifadata[...] FIFA 2014-03-21
[2] 웹사이트 Akwa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