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키모토 히로토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키모토 히로토모는 도토미 가케가와 번의 번주 오타 스케모토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나, 다테바야시 번주 아키모토 무네토모의 양자가 된 인물이다. 1864년 가독을 이어받았으며,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을 지원하여 상전록 1만 석을 가증받았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다테바야시 번지사가 되었으나, 1871년 폐번치현으로 면관된 후 은거했다. 1883년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1915년 정4위가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다테바야시번 사람 - 아키모토 유키토모
    아키모토 유키토모는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로, 모리 히로시게의 아들이었으나 아키모토 히사토모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이었고, 다테바야시 번 이봉 후 번정 개혁을 추진, 조시 서원을 창설했으며, 금문의 변 이후 조슈 정벌에서 막부와 천황, 모리 가문 사이를 중재했다.
  • 오타씨 - 오타 스케무네
    오타 스케무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다이묘가 된 인물로, 쇼군 측근인 육인중으로 활동하고 막부의 중요 사업에 참여하였다.
  • 오타씨 - 다나구라번
    다나구라번은 에도 시대 무쓰국 다나구라정에 위치했으며, 센고쿠 시대 다테 씨와 사타케 씨의 세력 다툼 지역이었고, 에도 시대 초기 다치바나 무네시게가 세웠으나 여러 번주 교체와 후다이 다이묘들의 전봉이 잦았으며, 보신 전쟁에서 패배하여 폐번치현되었다.
  • 아키모토씨 - 야마가타번
    에도 시대 데와국 야마가타성에 위치했던 야마가타번은 모가미 씨의 몰락 후 여러 다이묘 가문이 교체되는 부침을 겪었으며, 보신 전쟁 후 폐번치현되어 야마가타현의 핵심이 되었다.
  • 아키모토씨 - 아키모토 유키토모
    아키모토 유키토모는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로, 모리 히로시게의 아들이었으나 아키모토 히사토모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이었고, 다테바야시 번 이봉 후 번정 개혁을 추진, 조시 서원을 창설했으며, 금문의 변 이후 조슈 정벌에서 막부와 천황, 모리 가문 사이를 중재했다.
아키모토 히로토모
인물 정보
아키모토 히로토모
기본 정보
이름아키모토 히로토모 (秋元 礼朝)
출생1848년 5월 16일
사망1883년 6월 13일 (35세)
출생지에도, 일본
국적일본
신분자작
묘소도쿄도다이토구야나카의 덴노지
군마현마에바시시소자마치 소자의 고겐지
관직 정보
관직다테바야시 번 번주
재임 기간1864년 ~ 1871년
이전아키모토 유키토모
이후폐지
가문 정보
씨족오타 씨 → 아키모토 씨
아버지오타 스케모토
어머니료 ( 우에스기 나리아키라의 여섯째 딸, 첩의 자식이라고도 함)
양아버지아키모토 시모토모
형제오타 스케요시
아키모토 히로토모
나이토 마사타카
오타 스케미
배우자정실: 아야 ( 도다 다다아쓰의 열한 번째 딸)
자녀양자: 오키토모
기타 정보
어린 시절 이름이소타치바나
관위종5위 하, 다지마노카미
종4위
추증 정4위

2. 생애

아키모토 히로토모는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활동한 다이묘이자 화족이다. 1848년 도토미 가케가와 번주 오타 스케모토의 아들로 태어나, 1859년 다테바야시 번주 아키모토 무네토모의 양자가 되었다.[1] 1864년 양부의 은거로 가독을 이어받아 다테바야시 번주가 되었다.

보신 전쟁 시기에는 신정부군에 협력하였으며, 이러한 공적으로 1869년 상전록을 받았다. 같은 해 판적봉환으로 다테바야시 지번사가 되었으나, 1871년 폐번치현으로 면직되었다. 이후 은거하여 양자인 아키모토 오키토모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

1883년 3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후 1915년 정4위에 추증되었다.

2. 1. 초기 생애

가에이(嘉永) 원년(1848년) 5월 16일, 도토미 가케가와 번의 제5대 번주 오타 스케모토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1] 안세이 6년(1859년)에 다테바야시 번주 아키모토 무네토모의 양자가 되었다. 겐지 원년(1864년) 10월, 양부 아키모토 무네토모가 금문의 변으로 막부로부터 은거 명령을 받자, 그 뒤를 이어 가독을 상속받았다.

2. 2. 다테바야시 번주 시대

겐지 원년(1864년) 10월, 양부 아키모토 무네토모가 금문의 변에 연루되어 막부로부터 은거 명령을 받자, 그의 뒤를 이어 가독을 상속받아 다테바야시 번주가 되었다.[1] 게이오 2년(1866년)에는 주자번에 임명되었다.

게이오 4년(1868년)에 시작된 보신 전쟁에서는 자신의 영지가 아닌 가와치 국에서 신정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병력을 파견하고, 군자금 2만 냥을 헌납하는 등 협력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메이지 2년(1869년)에는 상전록 1만 석을 추가로 받았다. 같은 해 판적봉환이 이루어지면서 다테바야시 번지사로 임명되었다.

2. 3. 보신 전쟁과 메이지 유신

게이오 4년(1868년)에 발발한 보신 전쟁에서, 아키모토 히로토모는 자신의 영지가 아닌 가와치 지역에서 신정부군에게 병력을 파견하고, 군자금 2만 냥을 지원하며 적극 협력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메이지 2년(1869년)에는 상전록 1만 석을 추가로 받았다.

같은 해인 메이지 2년(1869년), 메이지 유신의 일환으로 시행된 판적봉환에 따라 다테바야시 번지사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메이지 4년(1871년) 7월, 폐번치현이 단행되면서 번지사 직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2. 4. 메이지 시대

게이오 4년(1868년)의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게 협력하여, 가와치 지역에 병사를 파견하고 군자금 2만 냥을 지원했다. 이 공로로 메이지 2년(1869년)에 상전록 1만 석을 추가로 받았다.

같은 해 메이지 2년(1869년), 판적봉환이 실시되면서 다테바야시 번의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메이지 4년(1871년) 7월 폐번치현으로 인해 면직되었다. 같은 해 9월에 은거하여 양자인 아키모토 오키토모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

메이지 16년(1883년) 6월 13일에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후 다이쇼 4년(1915년)에 정4위가 추증되었다.

3. 가계

'''부모'''


  • 오타 스케모토 (친아버지)
  • 료 - 우에스기 나리사다의 여섯째 딸 혹은 측실 (친어머니)
  • 아키모토 무네토모 (의붓아버지)


'''정실'''

  • 미사오 - 도다 타다아쓰의 열한째 딸


'''양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