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타나길두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나길두스는 554년부터 567년까지 서고트 왕국의 왕이었다. 그는 로마 제국의 히스파니아 침공을 겪었으며, 로마는 아타나길두스가 통치하는 동안 스파니아라는 속주를 유지했다. 아타나길두스는 메로빙거 왕조와의 혼인 동맹을 통해 왕국의 안정을 꾀했지만, 딸 갈스윈타가 살해당하면서 실패했다. 그의 왕비 고이스빈타는 브룬힐다와 갈스윈타를 낳았으며, 브룬힐다는 오스트라시아의 지게베르트 1세와, 갈스윈타는 네우스트리아의 킬페리크 1세와 결혼했다. 아타나길두스는 톨레도에서 자연사했으며, 그의 사후 5개월의 공위 기간을 거쳐 리우바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67년 사망 - 카리베르투스 1세
    카리베르투스 1세는 클로타르 1세의 아들로, 561년 프랑크 왕국 분할 이후 파리를 수도로 누스트리아 등을 상속받았으며, 잉고베르가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고, 방탕한 생활로 파문당했으며, 사후 왕국은 형제들에게 분할되었다.
  • 서고트인의 왕 - 알라리쿠스 1세
    알라리크 1세는 4세기 후반 서고트족의 왕으로 로마 제국을 공격하고 로마를 약탈했으며, 이후 시칠리아와 북아프리카 정복을 시도하다가 사망했다.
  • 서고트인의 왕 - 알라리쿠스 2세
    알라리쿠스 2세는 485년부터 507년까지 서고트 왕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존중, 법률 체계 정비, 교회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프랑크 왕국과의 갈등 심화로 부예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하여 서고트 왕국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아타나길두스
기본 정보
칭호히스파니아와 셉티마니아의 왕
재위 기간554년 3월 - 567년 12월
이전아길라 1세
이후리우바 1세 와 레오비길드
출생일기원후 517년경
사망일567년 12월 (50세)
아타나길드의 삽화, 마드리드 스페인 국립 도서관, 1624년
1624년 마드리드 스페인 국립 도서관에 있는 아타나길드의 삽화
배우자 정보
배우자고이스윈타
배우자 유형배우자
자녀브룬힐다
갈스윈타

2. 로마의 침공

로마 군대가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명령으로 히스파니아 바이티카(안달루시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그들이 도착한 명분은 불분명하다. 요르다네스는 아길라가 그들을 소환했다고 암시한다.[3] 이시도르 세비야는 두 가지 상반된 이야기를 제공한다. 아길라에 관한 부분에서 고트족은 "로마 군인들이 도움을 준다는 구실로 스페인을 침략할까 봐" 두려워 그를 죽였다고 한다. 반면에 이시도르는 다음 부분에서 아타나길드가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들이 스페인에 도착하자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왕국 영토에서 그들을 제거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4] 콜린스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다른 두 차례 서방 개입인 533년 아프리카와 535년 이탈리아에서, 그는 표면적으로는 찬탈자에 맞서 합법적인 군주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나섰다"고 언급하며 요르다네스의 사건 버전에 동의한다.[2]

아타나길드는 몇몇 도시를 회복했지만, 로마는 그의 통치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정복지의 대부분을 스파니아라는 주로 조직하여 유지했다. 이 주의 정확한 면적은 불분명하다. J. B. 버리는 "가데스 해협 서쪽과 동쪽의 지역과 도시를 포함"했으며, 카르타헤나(신 카르타고), 코르도바, 아시도니아 도시를 포함했다고 말한다.[5] 피터 헤더는 카르타헤나(신 카르타고)와 아시도니아를 포함하는 데 동의하지만, 코르도바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며 말라가사곤티아가 포함되었다고 확신한다.[6] 콜린스는 코르도바가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고, 과달키비르 계곡도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으며, 그들의 주요 거점은 메디나 시도니아, 말라가, 카르타헤나(신 카르타고)였다고 말한다.[7]

2. 1.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히스파니아 원정

로마 군대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명령으로 히스파니아 바이티카(안달루시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그들이 도착한 명분은 불분명하다. 피터 헤더는 요르다네스가 아길라가 그들을 소환했다고 암시한다고 말한다.[3] 이시도르 세비야는 두 가지 상반된 이야기를 제공한다. 아길라에 관한 부분에서 고트족은 "로마 군인들이 도움을 준다는 구실로 스페인을 침략할까 봐" 두려워 그를 죽였다고 한다. 반면에 이시도르는 다음 부분에서 아타나길드가 유스티니아누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들이 스페인에 도착하자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왕국 영토에서 그들을 제거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4] 콜린스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다른 두 차례 서방 개입인 533년 아프리카와 535년 이탈리아에서, 그는 표면적으로는 찬탈자에 맞서 합법적인 군주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나섰다"고 언급하며 요르다네스의 사건 버전에 동의한다.[2]

아타나길드는 몇몇 도시를 회복했지만, 로마는 그의 통치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정복지의 대부분을 스파니아라는 주로 조직하여 유지했다. 이 주의 정확한 면적은 불분명하다. J. B. 버리는 "가데스 해협 서쪽과 동쪽의 지역과 도시를 포함"했으며, 신 카르타고 (카르타헤나), 코르도바 (코르도바), 아시도니아 도시를 포함했다고 말한다.[5] 피터 헤더는 신 카르타고와 아시도니아를 포함하는 데 동의하지만, 코르도바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며 말라가사곤티아가 포함되었다고 확신한다.[6] 콜린스는 코르도바가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고, 과달키비르 계곡도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으며, 그들의 주요 거점은 메디나 시도니아, 말라가, 신 카르타고였다고 말한다.[7]

이시도르 세비야에 따르면 아타나길드는 톨레도에서 자연사했으며, 5개월의 공위 기간 이후 리우바 1세가 왕이 되었다.[8]

2. 1. 1. 로마군 개입의 배경

로마 군대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명령으로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안달루시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그들이 도착한 명분은 불분명하다. 피터 헤더는 요르다네스가 아길라가 그들을 소환했다고 암시한다고 말한다.[3] 이시도르 세비야는 두 가지 상반된 이야기를 제공한다. 아길라에 관한 부분에서 고트족은 "로마 군인들이 도움을 준다는 구실로 스페인을 침략할까 봐" 두려워 그를 죽였다고 한다. 반면에 이시도르는 다음 부분에서 아타나길드가 유스티니아누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들이 스페인에 도착하자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왕국 영토에서 그들을 제거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4] 콜린스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다른 두 차례 서방 개입인 533년 아프리카와 535년 이탈리아에서, 그는 표면적으로는 찬탈자에 맞서 합법적인 군주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나섰다"고 언급하며 요르다네스의 사건 버전에 동의한다.[2]

2. 1. 2. 스파니아 속주

로마 군대가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명령으로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안달루시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이들이 도착한 명분은 불분명하다. 피터 헤더는 요르다네스가 아길라가 그들을 소환했다고 암시한다고 말한다.[3] 이시도르 세비야는 두 가지 상반된 이야기를 제공한다. 아길라에 관한 부분에서 고트족은 "로마 군인들이 도움을 준다는 구실로 스페인을 침략할까 봐" 두려워 그를 죽였다고 한다. 반면에 이시도르는 다음 부분에서 아타나길드가 유스티니아누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들이 스페인에 도착하자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왕국 영토에서 그들을 제거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4] 콜린스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다른 두 차례 서방 개입인 533년 아프리카와 535년 이탈리아에서, 그는 표면적으로는 찬탈자에 맞서 합법적인 군주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나섰다"고 언급하며 요르다네스의 사건 버전에 동의한다.[2]

아타나길드는 몇몇 도시를 회복했지만, 로마는 그의 통치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정복지의 대부분을 스파니아라는 주로 조직하여 유지했다. 이 주의 정확한 면적은 불분명하다. J. B. 버리는 "가데스 해협 서쪽과 동쪽의 지역과 도시를 포함"했으며, 신 카르타고 (카르타헤나), 코르도바 (코르도바), 아시도니아 도시를 포함했다고 말한다.[5] 피터 헤더는 신 카르타고와 아시도니아를 포함하는 데 동의하지만, 코르도바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며 말라가사곤티아가 포함되었다고 확신한다.[6] 콜린스는 코르도바가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고, 과달키비르 계곡도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으며, 그들의 주요 거점은 메디나 시도니아, 말라가, 신 카르타고였다고 말한다.[7]

3. 왕조 동맹

아타나길두스의 왕비 고이스빈타는 두 딸, 브룬힐다와 살해당한 갈스윈타를 낳았는데, 이들은 메로빙거 왕조 출신 형제 왕인 오스트라시아의 지게베르트 1세와 네우스트리아의 왕 킬페리크 1세에게 시집갔다.[9] 투르의 그레고리는 지게베르트가 당시 만연했던 "그들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아내를 맞이하는" 관행을 경멸했고, 아름답고 교양 있는 브룬힐다를 원했기 때문이며, 킬페리크는 형제간의 경쟁심 때문에 그녀의 여동생과 결혼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언 우드는 ''모르겐가브''의 상황과 규모를 볼 때 상황이 더 복잡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타나길두스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두 딸을 프랑크 왕에게 시집보냄으로써 그는 메로빙거 왕조를 서고트 왕위 계승에 참여시키려 했을 것이다. 아마도 그는 이 결혼을 통해 자신을 계승할 손자를 낳을 수 있기를 바랐을 것이다."[9]

그러나 567년 아타나길두스의 죽음은 상황을 바꾸었다. 우드는 갈스윈타의 살해가 그의 죽음 직후에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0] 브룬힐다는 언니의 운명을 피했고, 6세기 남은 기간 동안 프랑크 역사에서 핵심 인물이 되었다.[11] 고이스빈타는 아타나길두스의 죽음 이후 혼란에서 살아남아, 아타나길두스의 후계자 리우바의 동생이자 서고트의 미래 왕이 된 리우비길드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다.[12]

3. 1. 메로빙거 왕조와의 혼인 동맹

아타나길두스의 왕비 고이스빈타는 두 딸, 브룬힐다와 살해당한 갈스윈타를 낳았는데, 이들은 메로빙거 왕조 출신 형제 왕인 오스트라시아의 지게베르트 1세와 네우스트리아의 왕 킬페리크 1세에게 시집갔다.[9] 투르의 그레고리는 지게베르트가 당시 만연했던 "그들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아내를 맞이하는" 관행을 경멸했고, 아름답고 교양 있는 브룬힐다를 원했기 때문이며, 킬페리크는 형제간의 경쟁심 때문에 그녀의 여동생과 결혼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언 우드는 ''모르겐가브''의 상황과 규모를 볼 때 상황이 더 복잡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타나길두스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두 딸을 프랑크 왕에게 시집보냄으로써 그는 메로빙거 왕조를 서고트 왕위 계승에 참여시키려 했을 것이다. 아마도 그는 이 결혼을 통해 자신을 계승할 손자를 낳을 수 있기를 바랐을 것이다."[9]

그러나 567년 아타나길두스의 죽음은 상황을 바꾸었다. 우드는 갈스윈타의 살해가 그의 죽음 직후에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0] 브룬힐다는 언니의 운명을 피했고, 6세기 남은 기간 동안 프랑크 역사에서 핵심 인물이 되었다.[11] 고이스빈타는 아타나길두스의 죽음 이후 혼란에서 살아남아, 아타나길두스의 후계자 리우바의 동생이자 서고트의 미래 왕이 된 리우비길드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다.[12]

3. 1. 1. 갈스윈타의 죽음

아타나길두스의 왕비 고이스빈타는 두 딸, 브룬힐다와 살해당한 갈스윈타를 낳았는데, 이들은 메로빙거 왕조 출신 형제 왕인 오스트라시아의 지게베르트 1세와 네우스트리아의 왕 킬페리크 1세에게 시집갔다.[9] 투르의 그레고리는 지게베르트가 당시 만연했던 "그들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아내를 맞이하는" 관행을 경멸했고, 아름답고 교양 있는 브룬힐다를 원했기 때문이며, 킬페리크는 형제간의 경쟁심 때문에 그녀의 여동생과 결혼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언 우드는 ''모르겐가브''의 상황과 규모를 볼 때 상황이 더 복잡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타나길두스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두 딸을 프랑크 왕에게 시집보냄으로써 그는 메로빙거 왕조를 서고트 왕위 계승에 참여시키려 했을 것이다. 아마도 그는 이 결혼을 통해 자신을 계승할 손자를 낳을 수 있기를 바랐을 것이다."[9]

그러나 567년 아타나길두스의 죽음은 상황을 바꾸었다. 우드는 갈스윈타의 살해가 그의 죽음 직후에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0] 브룬힐다는 언니의 운명을 피했고, 6세기 남은 기간 동안 프랑크 역사에서 핵심 인물이 되었다.[11] 고이스빈타는 아타나길두스의 죽음 이후 혼란에서 살아남아, 아타나길두스의 후계자 리우바의 동생이자 서고트의 미래 왕이 된 리우비길드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다.[12]

3. 2. 고이스빈타의 재혼

아타나길두스의 왕비 고이스빈타는 브룬힐다와 살해당한 갈스윈타 두 딸을 두었는데, 이들은 메로빙거 왕조 출신 형제 왕인 오스트라시아의 지게베르트 1세와 네우스트리아의 왕 킬페리크 1세에게 각각 시집갔다.[9] 투르의 그레고리는 지게베르트 1세가 "그들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아내를 맞이하는" 당시의 관행을 경멸하고 아름답고 교양 있는 브룬힐다를 원했기 때문이며, 킬페리크 1세는 형제간의 경쟁심 때문에 그녀의 여동생과 결혼했다고 말한다.[9] 하지만 이언 우드는 ''모르겐가브''의 상황과 규모를 볼 때 상황이 더 복잡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9] 아타나길두스에게는 아들이 없었기에, 두 딸을 프랑크 왕에게 시집보냄으로써 메로빙거 왕조를 서고트 왕위 계승에 참여시키려 했을 것이며, 아마도 이 결혼을 통해 자신을 계승할 손자를 낳을 수 있기를 바랐을 것이다.[9]

567년 아타나길두스의 죽음은 상황을 바꾸었다.[10] 갈스윈타는 그의 죽음 직후 살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브룬힐다는 언니의 운명을 피했고, 6세기 남은 기간 동안 프랑크 역사에서 핵심 인물이 되었다.[11] 고이스빈타는 아탕길두스의 죽음 이후 혼란에서 살아남아, 아탕길두스의 후계자 리우바의 동생이자 서고트의 미래 왕이 된 리우비길드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다.[12]

4. 가족 관계

아타나길두스의 왕후는 고이스빈타이다. 고이스빈타는 브룬힐트와 갈스빈트를 낳았다. 브룬힐트는 시기베르투스 1세와 결혼하여 킬데베르투스 2세와 인군트 2세, 클로도신드 2세를 낳았다. 인군트 2세는 아타나길두스의 동생 레오비길드의 아들 헤르메네길두스와 결혼했고, 클로도신드 2세는 레오비길드의 또 다른 아들 레카르드 1세와 결혼했다. 갈스빈트는 킬페리쿠스 1세와 결혼하여 메로베우스 2세를 낳았다.

4. 1. 고이스빈타와의 관계

아타나길두스의 왕후는 고이스빈타이다. 고이스빈타는 브룬힐트와 갈스빈트를 낳았다. 브룬힐트는 시기베르투스 1세와 결혼하여 킬데베르투스 2세와 인군트 2세, 클로도신드 2세를 낳았다. 인군트 2세는 아타나길두스의 동생 레오비길드의 아들 헤르메네길두스와 결혼했고, 클로도신드 2세는 레오비길드의 또 다른 아들 레카르드 1세와 결혼했다. 갈스빈트는 킬페리쿠스 1세와 결혼하여 메로베우스 2세를 낳았다.

4. 2. 동생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Historia de regibus Gothorum, Vandalorum et Suevorum E.J. Brill 1970
[2] 서적 Early Medieval Spain: Unity in Diversity 400-1000 St. Martins 1995
[3] 서적 The Goths Blackwell 1996
[4] 서적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https://penelope.uch[...] Macmillan 1923
[6] 서적 The Goths Blackwell 1996
[7] 서적 Early Medieval Spain
[8] 서적
[9] 서적 Decem Libri Historiarum Penguin 1974
[10] 서적 Merovingian Kingdoms
[11] 서적 Merovingian Kingdoms
[12] 서적 Decem Libri Historiar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