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현재의 국기
- 3.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국기 (2004-2021)
- 4. 역사
- 4.1. 호타크 왕조 (1709-1738)
- 4.2. 두라니 제국 (1747-1842)
- 4.3.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1880-1926)
- 4.4. 아프가니스탄 왕국 (1926-1973)
- 4.5.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1978)
- 4.6.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1978-1992)
- 4.7.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1992-2001)
- 4.8.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2001)
- 4.9.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 (2001-2004)
- 4.10.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004-2021)
- 4.1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2021-)
- 참조
1. 개요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는 아프가니스탄을 상징하는 깃발로,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바뀌었다. 현재는 탈레반 정권이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했던 흰색 바탕에 검은색 샤하다가 적힌 깃발을 사용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21년까지는 검정, 빨강, 초록의 세로 삼색에 국장을 배치한 국기를 사용했다.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는 아프가니스탄의 역사, 종교, 정체성을 반영하며, 정부의 변화에 따라 국기의 디자인과 상징도 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상징 - 샤하다
샤하다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자이다"라는 이슬람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으로, 이슬람의 5대 기둥 중 첫 번째 기둥이며 이슬람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시아파에서는 "알리는 알라의 왈리이다"라는 구절이 추가되기도 한다. - 아프가니스탄의 상징 - 아프가니스탄의 국가
아프가니스탄의 국가는 왕국 시대의 기악곡과 가사가 있는 곡을 시작으로, 공화국과 민주 공화국 시대를 거치며 정권의 이념에 따라 변경되었고, 탈레반 집권기에는 사실상 국가로 사용된 곡이 있었으며, 2006년에 새로운 국가가 채택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아프가니스탄의 국기 | |
---|---|
개요 | |
![]() | |
용도 | 깃발 |
비율 | 1:2 |
채택 | 원래: 1997년 10월 27일 재건: 2021년 8월 15일 (2021년 카불 함락) |
디자인 | 흰색 바탕에 검은색 샤하다를 술루스 서체로 표현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 | |
용도 | 깃발 |
비율 | 1:2 |
디자인 | 흰색 바탕에 검은색 샤하다 구절과 그 아래에 파슈토어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리트" 문구를 캘리그라피 서체로 표현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명칭 | |
역사적 국기 | |
![]() | |
용도 | 깃발 |
비율 | 2:3 |
제정일 | 2013년 8월 19일 |
사용 색상 | 검은색 빨간색 녹색 흰색 |
2. 현재의 국기
1992년 사회주의 정권이 붕괴하고 이슬람교 국가로 출범하면서 전통적인 범아랍색인 검정·하양·초록색을 띤 국기를 사용하였으나, 탈레반 정권(1996년 ~ 2001년)의 등장으로 흰색 바탕에 '샤하다'라는 양식이 들어있는 국기를 사용했다.
2001년 미국의 공격으로 탈레반 정권이 물러난 이후 2002년 1월 27일에 1930년부터 1973년까지 사용하였던 국기를 기본으로 한 1:2 비율의 국기를 제정하였고, 2004년에 비율을 2:3으로 수정했다. 그러나 2021년에 탈레반 정권이 재집권하면서 다시 수정되었다.
2021년 탈레반은 이슬람 에미레이트 국기를 다시 도입했다. 탈레반 국기가 처음 채택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 변형이 나타났는데, 그중에는 파슈토어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가 아랍어 ''샤하다'' 아래에 쓰인 흰색 깃발에 ''샤하다''가 있는 것;[45] 깃발의 다리어 페르시아어 버전도 관찰되었지만 빈도는 덜했다.
2. 1. 상징
현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의 국기는 중앙에 검은색 샤하다가 적힌 단순한 흰색 깃발이다. 흰색은 "탈레반의 (이슬람 운동) 신앙과 정부의 순수함"을 의미하며, 이 깃발은 1997년 이후 이슬람 신앙 고백인 샤하다를 통합했다.[11][12]현재 국기는 흰색을 주요 색상으로 하고 샤하다가 검은색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알카에다와 이슬람 국가를 포함한 다른 지하디스트 단체의 깃발과 다르며, 이는 대부분의 지하디스트 단체 깃발의 색상 디자인을 반전시킨 것이다. 이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국기는 인도 아대륙의 무슬림 정복을 시작한 역사적인 우마이야 왕조 칼리파조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가즈와에힌드(Ghazwa-e-Hind)'이다. 이슬람은 우마이야 왕조의 침략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 들어왔으며, 이는 673년부터 751년까지 트란스옥시아나의 무슬림 정복을 위한 서곡으로 서기 663~665년에 시작되었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국기는 흰색 바탕에 샤하다와 국명이 그려진 국기이다. 흰색 바탕 상단에는 이슬람교의 오행 중 하나인 샤하다 (신앙 고백) 구절인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가 아랍어로, 하단에는 작게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이라는 국명이 파슈토어로 쓰여 있다.
2. 2. 법적 지위
2021년 탈레반 공세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하 공화국)이 붕괴되고, 탈레반이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이하 토후국)이 유일한 정부가 되었다.2021년 8월 15일 카불 함락으로 탈레반은 공화국이 사용하던 국기를 대체하는 새 국기를 제정했다. 2022년 3월 20일, 토후국 정부는 공화국 국기 사용을 금지하는 법령을 발효하여 모든 관공서에서 공화국 시대의 국기를 제거했다.[48]
그러나 국제 연합을 비롯한 국제 기구 및 아프가니스탄 외의 국가들은 토후국 정부를 정부 승인하지 않고 있어, 이들 기구·국가에서는 공화국 시대의 국기가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서도 2024년 9월 현재 공화국 정부의 국기를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로 소개하고 있다.[49]
3.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국기 (2004-2021)
2004년 아프가니스탄 헌법에 명시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국기는 중앙에 국가 문장이 있는 세로 삼색기이다. 2013년 8월 19일에 최신 버전이 채택되었지만, 1928년부터 시작하여 20세기 대부분 동안 유사한 삼색기 디자인이 많이 사용되었다.[13][14][15][16][17][18][19] 탈레반 정부에 대한 외교적 승인이 부족하여, 2021년 이슬람 공화국이 전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삼색기는 대부분의 아프가니스탄 외교 공관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 재임 중 채택된 2004년 아프가니스탄 헌법은 왕정 시대 마지막 문장과 더 유사한 문장을 채택했다.[43][44] 2004년에는 국가 원수 깃발이 다시 도입되었으며, 아슈라프 가니로 교체된 2013년에 더 새로운 문장이 등장했다.
2021년 아프가니스탄 독립 기념일 집회에서 2021년 8월 18일과 19일에 잘랄라바드 등지에서 탈레반은 탈레반 깃발을 제거하고 삼색 아프가니스탄 깃발을 게양한 사람 3명을 살해하고 12명 이상을 부상시켰다.[20][21] 탈레반은 삼색기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모든 공식적인 자리에서 이슬람 토후국의 깃발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3]
3. 1. 디자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는 검정, 빨강, 초록의 세로 삼색기에 국장을 배치한 것이다.[13][14][15][16][17][18][19]
국장은 이슬람교의 오행 중 하나인 샤하다(신앙 고백)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와 모스크 등을 밀 이삭과 칼로 둘러싼 형태이다.
3. 2. 사용 현황
2021년 탈레반 공세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붕괴되고 탈레반이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이 들어섰지만, 국제 연합을 비롯한 국제기구 및 아프가니스탄 외의 국가들은 여전히 토후국 정부를 승인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구 및 국가에서는 공화국 시대의 국기가 계속해서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일본도 마찬가지로, 외무성 홈페이지에서는 2024년 9월 시점에서도 공화국 정부의 국기를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로 소개하고 있다.[49] 또한 아프가니스탄 디아스포라와 공화주의 반군에 의해 사용되며, 아프가니스탄 국내에서는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3][14][15][16][17][18][19]
4. 역사
1992년 사회주의 정권이 붕괴하고 이슬람교 국가로서 출범하면서 전통적인 범아랍색인 검정·하양·초록색을 띤 국기를 사용하였으나, 탈레반 정권(1996년 ~ 2001년)의 등장으로 인해 흰 배경에 '샤하드'라는 양식이 들어있는 국기를 사용했다.[35][36][37][38]
2001년 미국의 공격으로 탈레반 정권이 물러난 이후, 2002년 1월 27일에 1930년부터 1973년까지 사용하였던 국기를 기본으로 한 1:2 비율의 국기를 제정하였고, 2004년에 비율을 2:3으로 수정했다.[43][44] 그러나 2021년에 탈레반 정권이 재집권하면서 다시 수정되었다.
1973년 이후 현재의 국기가 채택되기 이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정세에 따라 10여 차례에 걸쳐 국기가 바뀌었다.
아프가니스탄의 국기 변천사
기간 | 국기 | 비율 | 정부 | 비고 |
---|---|---|---|---|
1709년 ~ 1738년 | 2:3 | 호타키 왕조 | ||
1747년 ~ 1842년 | 2:3 | 두라니 제국 | ||
1880년 ~ 1901년 | 2:3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 압두르 라만 칸 치하의 기. | |
1901년 ~ 1919년 | 3:5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 아비불라 칸 치하의 기. | |
1919년 ~ 1926/29년 | 2:3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 아마눌라 칸 치하의 첫 번째 기. | |
1926년 ~ 1928년 | 2:3 | 아프가니스탄 왕국 | 아마눌라 칸 치하의 두 번째 기. | |
1928년 | 3:5 | 아프가니스탄 왕국 | 아마눌라 칸 치하의 세 번째 기. | |
1928년 ~ 1929년 | 2:3 | 아프가니스탄 왕국 | 아마눌라 칸 치하의 네 번째 기. | |
1929년 | 2:3 | 아프가니스탄 왕국 | 하비불라 칼라카니 치하의 기. | |
1929년 ~ 1930년 | 2:3 | 아프가니스탄 왕국 | 무하마드 나디르 샤 치하의 첫 번째 기. | |
1930년 ~ 1973년 | 2:3 | 아프가니스탄 왕국 | 나디르 샤 치하의 두 번째 기. | |
1973년 ~ 1974년 | 2:3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의 첫 번째 기. | |
1974년 ~ 1978년 | 2:3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의 두 번째 기. | |
1978년 | 2:3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
1978년 ~ 1980년 | 1:2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
1980년 ~ 1987년 | 1:2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
1987년 ~ 1992년 | 1:2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
1992년 | 1:2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
1992년 ~ 2001년 | 1:2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
1996년 ~ 1997년 | 2:3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
1997년 ~ 2001년 | 2:3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
2001년 ~ 2002년 | 1:2 |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 | ||
2002년 ~ 2004년 | 1:2 |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 | ||
2002년 ~ 2004년 | 1:2 |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 | 2002년 ~ 2004년 동안 사용된 국기의 문장이 금색으로 된 비공식 버전이다. | |
2004년 ~ 2013년 | 2:3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
2013년 ~ 2021년 | 2:3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
2021년 ~ | 1:2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4. 1. 호타크 왕조 (1709-1738)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는 1709년 호타크 왕조가 건국될 때부터 존재했다. 호타크 왕조는 검은색 깃발을 사용했다.
4. 2. 두라니 제국 (1747-1842)
دولة دوراني|두라니 제국|Durraniar의 국기는 녹색, 흰색, 녹색의 삼색기였다. 이 국기는 두라니 왕조가 왕위에서 물러난 후 헤라트에서 1842년까지 게양되었다.
4. 3.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1880-1926)
1880년부터 19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은 압두르 라만 칸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이 시기 국기는 검은색 단색기였다.[31]1901년, 압두르 라만 칸의 아들 하비불라 칸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국기에 변화가 생겼다. 하비불라 칸은 아버지의 검은색 기에 흰색 문장을 추가했다. 이 문장은 메카를 향하는 미흐라브와 민바르(설교단)가 있는 모스크를 묘사한 것으로, 이후 대부분의 아프가니스탄 국기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31]
1919년, 아마눌라 칸은 아버지 하비불라 칸의 국기에서 문장 주위에 팔망성 모양의 욱광을 추가했다. 이 디자인은 오스만 제국에서 흔히 사용되던 양식이었다.[32]
4. 4. 아프가니스탄 왕국 (1926-1973)
أفغانستان|아프가니스탄ar 왕국 (1926년-1973년) 시대의 국기는 여러 차례 바뀌었다. 아마눌라 칸은 1926년 아프가니스탄을 왕국으로 선포하고 국기를 변경했다. 1926년부터 1928년까지 사용된 국기는 이전의 팔망성 문양 대신 화환으로 둘러싸인 새로운 문장을 사용하였다.[26]1928년, 아마눌라 칸은 유럽 순방의 영향을 받아 검은색, 붉은색, 녹색의 삼색기를 도입하였다. 검은색은 과거, 붉은색은 독립을 위한 투쟁, 녹색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징한다.[26] 같은 해, 눈 덮인 산봉우리 위로 해가 떠오르는 새로운 문장이 들어간 국기가 다시 도입되었다. 이 문장은 왕정의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였다.[26]
1929년 하비불라 칼라카니가 잠시 권력을 잡았을 때, 13세기 몽골 제국 점령기에 사용되었던 붉은색, 검은색, 흰색 삼색기가 사용되기도 하였다.[33]
무함마드 나디르 샤는 1929년 집권하면서 흑, 적, 녹 삼색기를 복원하고, 이전 아마눌라 칸 시대의 팔망성 문장을 다시 사용하였다.[26] 1930년, 그의 아들 무함마드 자히르 샤 시대에도 사용된 이 국기는 팔망성이 제거되고 문장이 확대된 형태로, 모스크와 문장 사이에 이슬람력 1348년(서기 1929년)을 표기하여 무함마드 나디르 샤 왕정의 시작을 나타냈다.[26]
아프가니스탄 왕국 (1926-1973) 국기 변천사
기간 | 국기 | 비율 | 비고 |
---|---|---|---|
1926년 ~ 1928년 | 2:3 | 팔망성을 화환으로 대체하고 국장 수정. | |
1928년 | 3:5 | 흑, 적, 녹 삼색기 도입. | |
1928년 ~ 1929년 | 2:3 | 눈 덮인 산봉우리 위로 해가 떠오르는 문장. | |
1929년 | 2:3 | 하비불라 칼라카니 치하의 적, 흑, 백 삼색기. | |
1929년 ~ 1930년 | 2:3 | 무하마드 나디르 샤 치하 흑, 적, 녹 삼색기 복원, 팔망성 문장 재사용. | |
1930년 ~ 1973년 | 2:3 | 무함마드 자히르 샤 치하, 팔망성 제거, 문장 확대, 연도(1929년) 표기. |
4. 5.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1978)
무하마드 다우드 칸이 1973년 아프가니스탄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첫 번째 국기가 제정되었다. 이전 국기와 동일하지만, 무함마드 자히르 샤의 군주제가 종식됨에 따라 연도를 나타내는 숫자 '١٣٤٨'(1348)는 삭제되었다.1974년 5월 9일부터 1978년 4월 26일까지 사용된 두 번째 국기는 이전과 같은 색상을 사용했지만, 그 의미는 다시 해석되었다. 검은색은 잊혀진 과거를, 빨간색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를, 녹색은 농업의 번영을 상징했다. 칸톤에는 새로운 문장이 추가되었는데, 날개를 펼친 금색 독수리, 독수리 가슴에 있는 설교단(모스크), 독수리를 둘러싼 밀, 그리고 독수리 위에 있는 태양 광선(새 공화국을 상징)이 그려져 있었다.
4. 6.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1978-1992)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무함마드 다우드 칸 대통령이 쿠데타로 사망하면서,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 정권은 공산주의 국가를 수립하였다. 과도기 동안에는 이전 국기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했지만, 국장은 제거되었다.1978년 10월 19일부터 1980년 4월 21일까지 사용된 국기는 적색 바탕에 노란색 문장이 들어간 형태로, 20세기 사회주의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디자인이었다. 이 국기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의 할크( خلق|할크|인민ps) 파벌의 문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밀 이삭, 상단의 별(아프가니스탄의 다섯 민족 집단을 상징), 중앙에 나스타알리크체로 '할크'라는 문구, '사우르 혁명 ١٣٥٧'과 국가의 전체 이름을 나타내는 부제가 있었다. 모든 종교적 언급은 제거되었다.[1]
1980년 4월 22일부터 1987년 11월 29일까지는 바브라크 카르말 정권의 새로운 지도부의 기본 원칙 프로그램에 따라 전통적인 검정, 빨강, 녹색 삼색기가 다시 사용되었다. 새로운 문장이 디자인되었는데, 떠오르는 해(과거 이름인 ''호라산'', 즉 "떠오르는 해의 땅"을 의미), 설교단과 책, 국기를 나타내는 리본, 산업을 위한 톱니바퀴, 그리고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붉은 별이 그려졌다.[2] 문장의 리본과 밀은 당시 동독과 루마니아의 문장과 유사했다.[3]
1987년 11월 30일부터 1992년 4월 26일까지는 모하마드 나지불라의 국민 화해 헌법 개정의 일환으로 국기가 변경되었다. 이전 국기와 동일하지만, 국가 문장에서 톱니바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했고, 붉은 별과 책이 제거되었으며, 녹색 부분은 수평선을 닮도록 곡선으로 처리되었다.[4]
기간 | 국기 | 세로 가로 비율 | 비고 |
---|---|---|---|
1978년 | -- | 2:3 | 쿠데타로 무함마드 다우드가 살해되고, 공산주의자 정권이 탄생했다. 국기는 같은 디자인이지만, 국장은 제거되었다.[5] |
1978년-1979년 | -- | 1:2 |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사용된,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문장을 배치한 국기. 문장은 밀의 묶음, 별(5개의 민족 집단을 상징), 아랍 문자 할크 Khalq(인민을 의미)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국기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의 당기이기도 하며, 1979년에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가 당내 항쟁으로 실각·병사(암살설도 있음)할 때까지 사용되었다.[6] |
1979년 | -- | 1:2 | 1979년 9월부터 12월까지 하피줄라 아민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할크파)의 짧은 정권 아래에서 사용되었다. 문장은 농업을 나타내는 밀과 공업을 나타내는 톱니바퀴로 이루어져 있었다. 원래 인민민주당의 깃발로 정해졌지만, 국기가 되기도 했다. 12월에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아민 정권은 붕괴되었고, 국기는 단명에 그쳤다.[7] |
1979년-1987년 | -- | 1:2 | 아민의 할크파 정권이 타도되고, 파르참파의 바브라크 카르말이 정권을 잡자, 국기는 다시 변경되었다. 검정, 빨강, 녹색의 삼색기가 부활했고, 세 가지 색상은 각각 과거, 피, 이슬람의 신앙에 연결되었다. 새로운 국장은 떠오르는 태양, 설교단과 코란(이슬람의 신앙), 내셔널 컬러의 리본, 톱니바퀴(공업), 별(공산주의)로 구성되었다.[8] |
1987년-1992년 | -- | 1:2 | 전 국기와 동일하지만, 국장에 디자인의 변경이 더해졌다. 톱니바퀴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었고, 붉은 별과 책이 제거되었다. 녹색 들판은 지평선처럼 호를 그리게 되었다.[9] |
4. 7.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1992-2001)
1992년 공산 정권 붕괴 후 임시로 사용된 국기는 여러 변형이 존재했다. 주로 녹색, 흰색, 검은색의 가로 삼색기였으며, 녹색 부분에는 아랍어로 "알라는 위대하다"라는 문구가, 흰색 부분에는 "알라 외에 신은 없고 무함마드는 그의 사자이다"라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부르하누딘 랍바니 정부는 1992년 12월 7일부터 새로운 국기를 사용했다. 이 국기는 녹색, 흰색, 검은색의 가로 삼색기로, 여러 중동 이슬람 국가들의 국기와 유사한 색상 구성을 가지고 있다. 중앙의 문장은 군주제 시대의 요소를 다시 가져왔지만, 샤하다가 추가되었고 무자헤딘의 승리를 상징하는 칼이 새롭게 그려졌다. 문장에는 태양 이슬람력으로 1298년(그레고리력으로 1919년), 즉 아프가니스탄이 완전한 독립을 얻은 해가 표시되어 있다. 문장 하단에는 파슈토어로 "دا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ی دولت|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다울라트ps"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라는 국명이 적혀 있었다.[1] 이 국기는 탈레반이 카불 전투에서 승리한 후에도 북부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2021년에는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의 국기 중 하나로 다시 등장했다.[2]
기간 | 국기 | 비율 | 비고 |
---|---|---|---|
1992년 | 1:2 | 공산 정권 붕괴 후 임시 국기.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녹색 부분에 아랍어로 "알라는 위대하다", 흰색 부분에 "알라 외에 신은 없고 무함마드는 그의 사자이다"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 |
1992년 ~ 2001년 | 1:2 | 부르하누딘 랍바니 정부의 국기. 중앙 문장에 샤하다가 추가되었고, 무자헤딘의 승리를 상징하는 칼이 그려졌다. 문장 하단에는 파슈토어로 "دا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ی دولت|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다울라트ps"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라는 국명이 적혀 있다. |
4. 8.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2001)
1996년 탈레반 정권은 흰색 바탕에 샤하다가 쓰여진 국기를 사용하였다.[35] 1997년 탈레반은 아랍어 ''샤하다''를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새겨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의 국기로 제정했다.[35][36][37][38]4. 9.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 (2001-2004)
2001년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후, 아프가니스탄은 새로운 국기를 채택했다. 2002년 1월 28일부터 2004년까지 사용된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의 국기는 1930년부터 1973년까지 사용된 왕정 시대의 국기와 유사하게 흑, 적, 녹 삼색기로 구성되었다. 중앙에는 메카를 향한 미흐라브가 있는 모스크를 나타내는 문장이 있으며, 문장 위에는 샤하다가 추가되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이 대영제국으로부터 독립한 해인 1919년을 나타내는 ١۲۹٨ (이슬람 양력으로 1298년)이라는 연도가 추가되었다.기간 | 국기 | 비율 | 비고 |
---|---|---|---|
2001년 ~ 2002년 | 1:2 | 1992년 국기와 같지만 파슈토어와 다리어 텍스트가 있다. | |
2002년 ~ 2004년 | 1:2 | 중앙 문장은 아프가니스탄의 고전적인 문장으로 1992년 국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지만 칼이 제거되었다. | |
2002년 ~ 2004년 (비공식) | 1:2 | 2002년 ~ 2004년 동안 사용된 국기의 문장이 금색으로 된 비공식 버전이다. |
4. 10.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004-2021)
2004년 아프가니스탄 헌법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국기가 제정되었다. 이 국기는 검정, 빨강, 초록의 세로 삼색기 중앙에 국장을 배치한 형태였다. 국장에는 이슬람교의 다섯 기둥 중 하나인 샤하다(신앙 고백)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와 모스크 등이 그려져 있으며, 밀 이삭과 칼이 이를 둘러싸고 있다.[43][44]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국기 중앙의 문장이 금색인 버전도 사용되었으며, 2013년에는 국장이 약간 변경되었다.[40][41][42]
4. 1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2021-)
2021년 탈레반 공세로 인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하 공화국)이 붕괴되고, 탈레반이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이하 토후국)이 국내 유일의 정부가 되었다.카불 함락된 2021년 8월 15일, 탈레반은 공화국이 사용하던 국기를 대체하는 새 국기를 제정했다. 2022년 3월 20일, 토후국 정부는 공화국 정부가 사용하던 기존 국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령을 발효하여, 공화국 시대의 국기는 모든 관공서에서 제거되었다.[48]
현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의 국기는 중앙에 검은색 샤하다가 적힌 단순한 흰색 깃발이다. 흰색은 "탈레반의 (이슬람 운동) 신앙과 정부의 순수함"을 의미하며, 이 깃발은 1997년 이후 이슬람 신앙 고백인 샤하다를 통합했다.[11][12]
현재 국기는 흰색을 주요 색상으로 하고 샤하다가 검은색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알카에다와 이슬람 국가를 포함한 다른 지하디스트 단체의 깃발과 다르며, 이는 대부분의 지하디스트 단체 깃발의 색상 디자인을 반전시킨 것이다. 이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국기는 인도 아대륙의 무슬림 정복을 시작한 역사적인 우마이야 왕조 칼리파조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가즈와에힌드(Ghazwa-e-Hind)'이다. 이슬람은 우마이야 왕조의 침략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 들어왔으며, 이는 673년부터 751년까지 트란스옥시아나의 무슬림 정복을 위한 서곡으로 서기 663~665년에 시작되었다.
2021년에 탈레반은 이슬람 에미레이트 국기를 다시 도입했다. 탈레반 국기가 처음 채택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많은 변형이 나타났는데, 그중에는 파슈토어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가 아랍어 샤하다 아래에 쓰인 흰색 깃발에 샤하다가 있는 것;[45] 깃발의 다리어 페르시아어 버전도 관찰되었지만 빈도는 덜했다.
하지만 한편으로, 국제 연합을 비롯한 국제 기구 및 아프가니스탄 외의 국가들은 공화국 정부 소멸 후에도 토후국 정부를 여전히 정부 승인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기구·국가에서는 공화국 시대의 국기가 계속해서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외무성 홈페이지에서는 2024년 9월 시점에서도 공화국 정부의 국기를 "아프가니스탄의 국기"로 소개하고 있다.[49]
기간 | 국기 | 세로 가로 비율 | 정부 | 비고 |
---|---|---|---|---|
2021년 ~ | ||||
1:2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탈레반 정권이 제정한 국기. 흰색 바탕에 검은 샤하다. 그 아래에 국명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이 적혀 있다. |
참조
[1]
논문
New flags: 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1997
[2]
웹사이트
Afghanistan Flag
http://www.flagscorn[...]
2019-08-28
[3]
뉴스
Taliban hoist giant flag in Afghan capital, eight months after return
https://www.france24[...]
2022-03-31
[4]
뉴스
Infographic: Afghanistan's flags over the years
https://www.aljazeer[...]
2021-08-19
[5]
뉴스
Afghan Diplomatic Missions in US Close, Remain Open Elsewhere
https://www.voanews.[...]
2022-03-31
[6]
뉴스
Taliban flag rises over seat of power on fateful anniversary
https://apnews.com/a[...]
2021-09-11
[7]
뉴스
The Taliban is rebranding Kabul with its white flags, but what comes next has Afghans on edge
https://globalnews.c[...]
2021-11-02
[8]
뉴스
Taliban flags proliferate as Afghan tricolour becomes resistance symbol
https://www.france24[...]
2021-08-23
[9]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08-16
[10]
웹사이트
Historical Flags (Afghanistan)
http://flagspot.net/[...]
2020-02-11
[11]
웹사이트
The meaning and history of the Taliban flag amid protests in Afghanistan
https://inews.co.uk/[...]
2022-05-30
[12]
웹사이트
Black text on white background —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the Taliban flag
https://theprint.in/[...]
2022-05-30
[13]
뉴스
Taliban Intensify Efforts to Take Control of Afghanistan's Overseas Embassies
https://www.wsj.com/[...]
2022-01-18
[14]
뉴스
Unpaid and Potentially Stateless, Afghan Diplomats Seek Permission to Remain in U.S.
https://www.nytimes.[...]
2022-02-13
[15]
웹사이트
Flag of Afghanistan
https://www.cia.gov/[...]
2022-11-26
[16]
뉴스
For many Afghan refugees, the struggles don't end when they reach U.S. soil
https://www.latimes.[...]
2021-08-21
[17]
뉴스
Plight of Afghan judges in spotlight as court hears UK asylum challenge
https://www.theguard[...]
2022-05-17
[18]
뉴스
Taliban claim victory in Panjshir, but resistance forces say they still control strategic position in the valley
https://www.cnn.com/[...]
2021-09-06
[19]
뉴스
Taliban flags proliferate as Afghan tricolour becomes resistance symbol
https://www.france24[...]
2021-08-23
[20]
웹사이트
Shots fired at Afghan protest against Taliban, 2 reported dead
https://www.aljazeer[...]
2021-08-19
[21]
웹사이트
Several reported killed as Taliban shoot at crowds waving Afghan flag
http://www.theguardi[...]
2022-03-31
[22]
웹사이트
Flag of Afghanistan
https://www.britanni[...]
2020-02-11
[23]
웹사이트
Afghanistan Flag – colors & meaning – history & info
https://web.archive.[...]
2017-12-31
[24]
웹사이트
Field Listing :: Flag Description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0-02-11
[25]
웹사이트
Flags of Asia – Meaning of the Asian country flags
https://www.joaoleit[...]
2019-08-28
[26]
논문
Evolutionary Vexillography: One Flag's Influence in Modern Design
http://nava.org/digi[...]
North American Vexillogical Association
2020-02-11
[27]
웹사이트
Afghanistan 2002–2004
https://www.crwflags[...]
2021-06-18
[28]
웹사이트
Deadly protest in Jalalabad against removal of Afghan flag
https://www.aljazeer[...]
2021-08-19
[29]
웹사이트
Afghanistan flag represented at Tokyo 2020 Paralympics Opening Ceremony
https://web.archive.[...]
2021-09-10
[30]
웹사이트
Team Afghanistan – Profile | Tokyo 2020 Paralympics
https://web.archive.[...]
2021-09-10
[31]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digilander.l[...]
2023-07-17
[32]
웹사이트
Afghanistan 1921 – 1926 or 1928
https://www.fotw.inf[...]
2022-02-16
[33]
웹사이트
Afghanistan January 1929 – October 1929
https://www.fotw.inf[...]
2019-08-28
[34]
서적
Progressive Afghanistan
https://archive.org/[...]
Punjab Educational Electric Press
1933
[35]
서적
Jihadism: Online Discourses and Representations
https://www.vr-elibr[...]
V & R unipress GmbH
2022-04-24
[36]
웹사이트
Home
http://www.taleban.c[...]
2022-04-24
[37]
웹사이트
Flag and Emblem Law of the 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Afghanistan Center at Kabul University
2022-04-24
[38]
웹사이트
Amendments to the Flag and Emblem Law of the 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1997-09-20
[39]
웹사이트
Afghanistan 2002-2004
https://www.crwflags[...]
2021-06-18
[40]
웹사이트
Official Current Flag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018-03-19
[41]
웹사이트
Official Current Flag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018-03-19
[42]
웹사이트
Official Current Flag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018-03-19
[43]
웹사이트
Afghanistan since August 2021
https://www.crwflags[...]
2023-03-07
[44]
웹사이트
Afghanistan January 2004 to August 2021
https://www.crwflags[...]
2023-03-07
[45]
뉴스
Taliban flags proliferate as Afghan tricolour becomes resistance symbol
https://www.france24[...]
2021-08-23
[46]
웹사이트
Flag and Emblem Law of the 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http://law.acku.edu.[...]
[47]
웹사이트
http://flagspot.net/[...]
[48]
웹사이트
Taliban bans official Afghan tricolour flag
https://theprint.in/[...]
ThePrint
2022-03-21
[49]
웹사이트
(キッズ外務省)世界の国旗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