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라시아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라시아브는 이란 신화에 등장하는 투란의 왕으로, 강력한 전사이자 숙련된 장군이며 이란 문명을 파괴하려는 아흐리만의 대리인으로 묘사된다. 페르시아 시인 페르도우시의 《샤 나메》에 따르면 그는 이란의 숙적이며, 아베스타 전통에서는 '악한 남자'를 의미하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아프라시아브는 이란 신화 속 왕 카이 호스로에게 패배하여 도망자 신세가 되어 아제르바이잔의 동굴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튀르크 문학에서는 아프라시아브를 튀르크 부족의 영웅담으로 받아들여, 마흐무드 카슈가리의 《디완 루가트 알-투르크》에서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가 인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 신화 - 샤나메
《샤나메》는 페르도시가 약 30년에 걸쳐 완성한 페르시아의 서사시로, 이란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으며, 영웅들의 이야기와 주요 인물의 죽음을 통해 드러나는 '탄식'의 장면이 특징이고, 페르시아 문학, 페르시아어 발전, 주변 문화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페르시아 신화 - 마법의 양탄자
마법의 양탄자는 여러 문화권 설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상상의 이동 수단으로, 《천일야화》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대중문화에서 이동 수단을 넘어선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코칸트 칸국
코칸트 칸국은 1709년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에서 독립하며 건국되어 18세기 후반 최대 영토를 확장했으나,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남진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1876년 러시아에 의해 멸망, 러시아 투르키스탄에 편입되었으며 청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갈등과 분쟁을 겪었다. - 중앙아시아의 역사 - 돌궐
돌궐은 6세기 중반 몽골 초원에서 유연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어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한 유목 제국으로, 사산 제국과 연합하여 에프탈 제국을 멸망시키고 자체 문자를 창제하는 등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당나라와의 전쟁 후 분열되어 멸망했다. - 중앙아시아의 역사 - 소그드인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 출신으로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무역 활동을 펼치며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활약한 상인 집단으로, 다양한 제국 및 국가와 교류하며 여러 상품을 거래하고 종교와 문화를 전파했으나, 이슬람 제국 확장과 함께 점차 동화되었다.
아프라시아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فراسياب (페르시아어) Fraŋrasyan (아베스타어) |
역할 | 투란의 왕 영웅 |
가계 | |
아버지 | 파셡 |
딸 | 호마 |
신화 속 역할 | |
관련 국가 | 투란 |
적 | 이란 |
주요 전투 | 12개의 락흐 전투 수만다르 전투 루에인 전투 |
죽음 | 케이코바드에 의해 카스피해에서 익사 |
유산 | |
지명 | 아프라시아브 (사마르칸트): 사마르칸트 북쪽의 고대 유적지 아프라시아브 (이란): 이란의 마을 |
2. 신화 속 왕과 영웅
아프라시아브는 페르도우시의 페르시아 서사시 《샤나메》에서 투란의 왕이자 영웅으로 등장하며, 이란의 숙적으로 묘사된다. 아프라시아브는 강력한 전사이자 숙련된 장군이며, 이란 문명을 파괴하기 위한 속임수와 마법적 능력을 부여받은 아흐리만의 대리인이었다.[1]
2. 1. 이란 신화와 샤나메
페르도우시의 《샤 나 메》(《왕의 서》)에 따르면, 아프라시아브는 투란의 왕이자 영웅이며 이란의 숙적이었다. 이란 신화에서 아프라시아브는 모든 투란 왕들 중에서 단연 돋보이는 인물로 여겨진다. 그는 강력한 전사이자 숙련된 장군이며, 이란 문명을 파괴하기 위한 속임수의 마법적 능력을 부여받은 아흐리만의 대리인이었다.[1] 그는 가르시바즈의 형제이자 파샹의 아들이었다. 그는 로스탐과 카이 호스로의 적이었으며, 그들에게 패배했다.이슬람 자료에 따르면, 아프라시아브는 이란 신화 속 왕 페레이둔의 세 아들 중 하나인 투르(아베스타어: ''Tūriya-'')의 후손이었다. 분다히신에서 그는 투르의 일곱 번째 손자로 묘사된다. 아베스타 전통에서 그의 흔한 별칭인 ''마이르야-''(사기꾼, 악당[2])는 '악한 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하나카나라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지하 요새에 살았다.
아베스타 자료에 따르면, 아프라시아브는 ''치치하스트'' 근처에서 하오마에게 살해되었다. 《샤 나 메》에 따르면 그는 아제르바이잔의 산꼭대기에 있는 아프라시아브의 죽음의 장소인 헹-에 아프라시아브라는 동굴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적이자 이란의 신화 속 왕 카이 호스로(그의 딸 파랑기스를 통해 그의 손자였다)의 군대에 반복적으로 패배한 도망자 아프라시아브는 비참하고 두려움에 떨며 방황하다가 결국 이 동굴에 피신하여 죽었다.
2. 2. 아베스타 기록
아베스타 전통에서 그의 흔한 별칭인 ''마이르야-''는 '악한 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2] 그는 하나카나라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지하 요새에 살았다고 전해진다. 아베스타 자료에 따르면, 아프라시아브는 ''치치하스트'' 근처에서 하오마에게 살해되었는데, 이는 시스탄의 하문 호 또는 오늘날 중앙 아시아의 알려지지 않은 호수를 지칭할 수 있다.[11]2. 3. 샤나메의 최후
페르도우시의 《샤 나 메》에 따르면, 아프라시아브는 아제르바이잔의 산꼭대기에 있는 동굴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그는 자신의 적이자 이란의 신화 속 왕인 카이 호스로(그의 딸 파랑기스를 통한 손자)의 군대에 반복적으로 패배한 후, 이 동굴에 피신하여 죽었다.[1]3. 튀르크 문학
튀르크 문학에서 아프라시아브는 Alp Er Tunga|알프 에르 퉁가영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튀르크 민족의 영웅으로 받아들여졌다.
3. 1. 튀르크 민족과의 관련성
투란 부족과 튀르크 부족을 동일시하는 것은 후대에 이루어졌지만, 투란이라는 용어는 원래 중앙아시아에 해당하는 동이란 지역의 부족에게 적용되었기 때문에, 튀르크 부족은 이란 민족과의 접촉 후 아프라시아브 전설을 튀르크 부족의 영웅담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마흐무드 카슈가리는 자신이 제작한 아랍어·튀르크어 사전 「Dīwān Lüḡāt al-Türk|튀르크어 총람tr[12])」 (11세기경)에서 Alp Er Tunga|알프 엘 퉁가영어의 죽음을 슬퍼하는 여러 시를 인용하고 있다.[9][13]3. 2. 디وان 루가트 알-투르크
마흐무드 카슈가리는 자신이 제작한 아랍어·튀르크어 사전 Divânu Lügati't-Türk|튀르크어 총람tr[12] (11세기경)에서 Alp Er Tunga|알프 에르 퉁가영어의 죽음을 슬퍼하는 여러 시를 인용하고 있다.[9][13]4. 가설
에른스트 헤르츠펠트는 파르손데스라는 이름이 어원적으로 아프라시아브의 이름과 동일하다고 믿었다.[3][4][5][6] 알타바리는 그의 저서에서 아프라시아브를 에프탈 왕 아크슌와르 또는 아크슌바즈의 이름으로 언급한다.[7]
참조
[1]
간행물
Afrasiab
null
Encyclopædia Iranica
2007-01-18
[2]
서적
Die Religionen des Alten Iran
Berlin
1938
[3]
서적
Analecta Orientalia: Posthumous Writings and Selected Minor Works
https://books.google[...]
E.J. Brill
1954
[4]
서적
Zoroaster and His World by Ernst Herzfe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7
[5]
서적
The Cyrus Legend in the Šāhnāme
https://books.google[...]
Enigma Press
1995
[6]
서적
Archaeologische Mitteilungen aus Iran
https://books.google[...]
Dietrich Reimer
1982
[7]
서적
The horizon of knowledge: Bulgarians through the centuries
https://books.google[...]
Propeller 92
1999
[8]
웹사이트
第14回 シャーナーメの登場人物2 王ケイホスローとイラン人の敵アフラースィヤーブ
http://japanese.irib[...]
Radio Iran IRIB world service
2011-04-20
[9]
간행물
Afrasiab
null
イラン百科事典
2013-02-28
[10]
서적
Die Religionen des Alten Iran
Berlin
1938
[11]
웹사이트
ムハンマド・ブン・マフムード・トゥースィー著『被造物の驚異と万物の珍奇』(4) 第3 部 大地と水と海の驚異について
http://www.asafas.ky[...]
京都大学大学院アジア・アフリカ地域研究研究科 イスラーム世界研究 第4巻1–2号(2011年3月)483–550頁 Kyoto Bulletin of Islamic Area Studies, 4-1&2 (March 2011), pp. 483–550, P488
2011-03
[12]
웹사이트
イスラム化とトルコ文学
http://www.byegm.gov[...]
トルコ通信社
[13]
서적
Divanü Lügati't Türk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