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황소개구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황소개구리과는 개구리목에 속하는 과로, 카코스테르니나에아과와 피세팔리나에아과로 분류된다. 카코스테르니나에아과는 10속 78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미에티아속, 안하이드로프리네속, 아르트로렙텔라속 등을 포함한다. 피세팔리나에아과는 오브리아속과 피세팔루스속의 2개 속으로, 오브리아속에는 2종, 피세팔루스속에는 4종이 속한다. 아프리카황소개구리과는 개구리상과에 속하며, 아프리카급류개구리과, 골리앗개구리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황소개구리과 - 앙골라강개구리
앙골라강개구리는 아프리카 남부와 동부에 널리 분포하며 아열대 및 열대 기후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습윤 숲, 사바나, 초원, 농경지, 도시 등에서 지렁이와 곤충을 먹고 사는 개구리 종이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아프리카황소개구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과 정보 | |
![]() | |
학명 | Pyxicephalidae |
명명자 | Bonaparte, 1850 |
아과 | Cacosterninae (10 속) Pyxicephalinae (2 속) |
화석 기록 | 에오세 |
2. 하위 분류
카코스테르니나에아과(Cacosterninae)는 1931년 Noble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총 10속 78종으로 구성되어 있다.[4]
- ''아미에티아속(Amietia)'' (16종)
- ''안하이드로프리네속(Anhydrophryne)'' (3종)
- ''아르트로렙텔라속(Arthroleptella)'' (10종) – 이끼 개구리
- ''카코스테르눔속(Cacosternum)'' (16종)
- ''마이크로바트라켈라속(Microbatrachella)'' (단일종) – 마이크로 개구리
- ''나탈로바트라쿠스속(Natalobatrachus)'' (단일종)
- ''노토프리네속(Nothophryne)'' (5종) – 멍개구리
- ''포인토니아속(Poyntonia)'' (단일종)
- ''스트롱길로푸스속(Strongylopus)'' (10종)
- ''토모프테르나속(Tomopterna)'' (16종)
피세팔리나에아과(Pyxicephalinae)에는 오브리아속(Aubria Boulenger, 1917)과 피세팔루스속(Pyxicephalus Tschudi, 1838)의 2개 속이 있다.[5] 오브리아속에는 마사코 낚시 개구리와 갈색 공 개구리 등 2종이 있으며,[5] 피세팔루스속에는 아프리카황소개구리와 픽시 개구리 등 4종이 있다.[5]
2. 1. 카코스테르니나에아과 (Cacosterninae)
카코스테르니나에아과(Cacosterninae)는 1931년 Noble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총 10속 78종으로 구성되어 있다.[4]- ''아미에티아속(Amietia)'' (16종)
- ''안하이드로프리네속(Anhydrophryne)'' (3종)
- ''아르트로렙텔라속(Arthroleptella)'' (10종) – 이끼 개구리
- ''카코스테르눔속(Cacosternum)'' (16종)
- ''마이크로바트라켈라속(Microbatrachella)'' (단일종) – 마이크로 개구리
- ''나탈로바트라쿠스속(Natalobatrachus)'' (단일종)
- ''노토프리네속(Nothophryne)'' (5종) – 멍개구리
- ''포인토니아속(Poyntonia)'' (단일종)
- ''스트롱길로푸스속(Strongylopus)'' (10종)
- ''토모프테르나속(Tomopterna)'' (16종)
2. 2. 피세팔리나에아과 (Pyxicephalinae)
피세팔리나에아과(Pyxicephalinae)에는 오브리아속(Aubria Boulenger, 1917)과 피세팔루스속(Pyxicephalus Tschudi, 1838)의 2개 속이 있다.[5] 오브리아속에는 마사코 낚시 개구리와 갈색 공 개구리 등 2종이 있으며,[5] 피세팔루스속에는 아프리카황소개구리와 픽시 개구리 등 4종이 있다.[5]3. 계통 분류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7][8]
개구리상과에는 아프리카황소개구리과, 아프리카급류개구리과, 골리앗개구리과, 디크로글로수스과, 오돈토바트라쿠스과, 춤추는개구리과, 케라토바트라쿠스과, 산청개구리과, 만텔라과, 인도개구리과, 닉티바트라쿠스과, 피티카데나과, 프리노바트라쿠스속, 개구리과 등이 속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yxicephalidae Bonaparte, 1850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5-03
[2]
웹사이트
Pyxicephalidae
http://www.amphibiaw[...]
Berkeley, California: AmphibiaWeb
2014-05-03
[3]
논문
From toad to frog, a CT-based reconsideration of Bufo servatus, an Eocene anuran mummy from Quercy (France)
https://doi.org/10.1[...]
2021-05-04
[4]
웹사이트
Cacosterninae Noble, 1931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5-03
[5]
웹사이트
Pyxicephalinae Bonaparte, 1850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5-03
[6]
웹인용
Pyxicephalidae Bonaparte, 1850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5-03
[7]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8]
저널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http://www.fronti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