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파라과이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9년 쿠데타를 통해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의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았다. 스트로에스네르의 측근이었던 그는 쿠데타 이후 사형 폐지, 정치범 석방 등 민주화 조치를 취했으나, 부정부패 및 반대파 탄압을 지속했다. 그는 1989년 총선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1992년 새 헌법에 따라 1993년 퇴임했다. 로드리게스는 1997년 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계 파라과이인 - 에드가르 바레토
    에드가르 바레토는 파라과이의 전 축구 선수로, 세로 포르테뇨에서 데뷔하여 유럽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고 파라과이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활동하며 올림픽 은메달, 월드컵, 코파 아메리카 등에 출전하여 파라과이 축구 역사에 기여한 후 NEC 나이메헌으로 복귀하여 은퇴했다.
  • 이탈리아계 파라과이인 - 디에고 바레토
    파라과이의 축구 선수 디에고 바레토는 골키퍼로 활약하며 세로 포르테뇨에서 프로 데뷔 후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세 차례 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 2010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참가 및 A매치 23경기 출전 경력을 가지고 있다.
  • 파라과이의 대통령 - 오라시오 카르테스
    파라과이의 사업가 출신 정치인 오라시오 카르테스는 환전 사업과 은행 설립, 기업 인수 등으로 성공을 거두었지만 여러 논란 속에서 콜로라도당에 입당하여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성장과 빈곤 퇴치를 추진했으나, 보수적인 입장과 재선 시도, 부패 혐의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파라과이의 대통령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는 1954년부터 1989년까지 파라과이를 철권 통치한 독재자로,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고 반공주의를 내세워 장기 집권하며 인권 유린, 부정부패, 경제적 불평등을 초래했다.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공식 사진, 1989년
공식 사진, 1989년
이름안드레스 로드리게스 페도티
출생일1923년 6월 19일
출생지과이라 주 보르하, 파라과이
사망일1997년 4월 21일
사망지미국 뉴욕 시
배우자넬리 레이그 카스테야노스 (1949년 결혼)
자녀3명
소속 정당콜로라도 당
닉네임없음
군 경력
복무파라과이 육군
복무 기간1946년–1992년
계급대장 (1970년–1992년)
참전없음
수상없음
정치 경력
직위파라과이 대통령
임기1989년 2월 3일 – 1993년 8월 15일
임기 상세1989년 5월 15일까지 임시 대통령
전임자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후임자후안 카를로스 와스모시
부통령없음

2. 출생

보르하에서 태어났다.[10]

3. 1989년 쿠데타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극우 군사독재정권에 부역했던 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1989년 쿠데타를 일으켜 스트로에스네르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자신이 권력을 잡았다.[11] 로드리게스는 스트로에스네르와 마찬가지로 반대파를 탄압했으며, 파라과이의 몰락을 가속화시켰다.[11]

3. 1. 스트로에스네르와의 갈등

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극우 군사독재정권에 부역했으나, 1989년 쿠데타를 일으켜 스트로에스네르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11]

로드리게스는 35년 동안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의 최측근이었다. 두 사람은 매우 가까운 사이였으며, 로드리게스의 딸이 스트로에스네르의 장남과 결혼하기도 했다.[1] 그러나 1980년대 후반, 두 사람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다. 로드리게스는 콜로라도당의 "전통주의자"들과 관계를 맺었는데, 이들은 스트로에스네르를 30년 동안 지지했지만 보다 온건한 통치를 원했다. 1989년 1월, 스트로에스네르가 여러 장군들을 해임하고 자신에게 충성하는 인물들로 교체하면서 갈등은 최고조에 달했다. 같은 달 말, 스트로에스네르는 모든 환전소를 폐쇄했는데, 이는 로드리게스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으로 해석되었다. 2월 2일, 스트로에스네르는 로드리게스에게 국방부 장관 임명(사실상 강등) 또는 은퇴를 강요하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3] 로드리게스는 다리 부상을 위장하고 가짜 깁스까지 착용하며 회동을 피했다.[4]

1989년 2월 2일 밤, 로드리게스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반란군과 탱크가 아순시온의 대통령 경호대 본부(스트로에스네르가 피신한 곳)를 포위했다. 이 쿠데타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냉전 종식으로 더 이상 스트로에스네르를 동맹으로 간주하지 않은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지원 덕분에 쿠데타는 빠르게 성공했고, 스트로에스네르는 몇 시간 만에 사임했다. 그러나 스트로에스네르 체포 과정에서 양측에서 약 500명의 군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스트로에스네르는 며칠 후 석방되어 망명길에 올랐고, 결국 브라질에서 피난처를 찾았다.[5]

쿠데타 후 몇 주 뒤, 전 내무부 장관 에드가르 인스프란은 로드리게스가 1988년 12월 말부터 쿠데타를 계획했다고 밝혔다. 인스프란은 스트로에스네르 정권의 억압적인 시기에 내무부 장관을 지냈지만, 이후 로드리게스를 지지하는 쪽으로 돌아섰다.[3]

3. 2. 쿠데타 발생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극우 군사독재정권 부역자였던 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1989년 쿠데타를 일으켜 스트로에스네르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11]

로드리게스는 35년 동안 스트로에스네르의 최측근이었다. 두 사람은 매우 가까운 사이였으며, 로드리게스의 딸은 스트로에스네르의 장남과 결혼했다.[1] 스트로에스네르 통치하에서 로드리게스는 국가 최대 규모의 양조장, 여러 환전소, 수출입 회사, 구리선 회사, 그리고 여러 목장을 소유하며 파라과이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2]

그러나 1980년대 후반, 두 사람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다. 로드리게스는 오랫동안 집권해온 콜로라도당의 "전통주의자"들과 관계를 맺었다. 이들은 30년 동안 스트로에스네르를 지지했지만, 더 온건한 통치를 원했다. 1989년 1월, 스트로에스네르가 여러 장군들을 해임하고 자신에게 충성할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로 교체하면서 상황은 극에 달했다. 같은 달 말, 스트로에스네르는 모든 환전소를 폐쇄했는데, 이는 로드리게스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으로 여겨졌다. 2월 2일, 스트로에스네르는 로드리게스를 불러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이는 사실상 강등이었다)하거나 은퇴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3] 로드리게스는 다리 부상을 가장하여 쿠데타 계획에 대한 소문을 잠재우려 했다.[4]

로드리게스는 2월 2일 밤, 폭력적인 쿠데타를 일으켰다. 반란군과 탱크가 아순시온의 대통령 경호대 본부(스트로에스네르가 피신한 곳)를 포위했다. 이 쿠데타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냉전에서 더 이상 스트로에스네르를 동맹으로 여기지 않게 된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 쿠데타는 빠르게 성공했고, 스트로에스네르는 몇 시간 만에 사임했다. 그러나 스트로에스네르 체포 과정에서 양측에서 약 500명의 군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스트로에스네르는 며칠 후 석방되어 망명길에 올랐고, 결국 브라질에서 피난처를 찾았다.[5]

쿠데타가 일어난 지 몇 주 후, 전 내무부 장관 에드가르 인스프란은 로드리게스가 1988년 12월 말부터 쿠데타를 계획하기 시작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인스프란은 ''스트로나토''의 가장 억압적인 시기에 내무부 장관을 지냈지만, 로드리게스를 지지하며 더 온건한 통치를 선호하게 되었다.[3]

4. 대통령 재임

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극우 군사독재정권 부역자였으나, 1989년 쿠데타를 일으켜 스트로에스네르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자신이 권력을 잡았다.

당시 파라과이에는 부통령이 없었다.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사망, 사임 또는 영구적인 장애를 갖게 되면 임시 대통령은 24시간 이내에 국회와 국무원에서 선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쿠데타 직후 국회와 국무원이 소집되어 로드리게스를 임시 대통령으로 지명했다. 로드리게스는 스트로에스네르와 마찬가지로 반대파를 탄압했으며, 파라과이의 몰락을 가속화시켰다.[11]

4. 1. 민주화 조치

로드리게스는 취임 후 스트로에스네르와의 친밀했던 관계를 고려하면 놀랍게도 스트로에스네르의 억압적인 조치들 대부분을 취소했다.[2] 그는 사형을 폐지하고, 정치범을 석방했으며, 스트로에스네르 정부의 주요 인사들을 투옥하려 했다. 그는 스트로에스네르 통치 기간 거의 내내 시행되었던 계엄령을 공식적으로 취소했다. 1987년에 명목상 폐지되었지만, 가혹한 보안법과 언론의 자유에 대한 엄격한 제한의 형태로 그 실질적인 내용은 여전히 유지되었다 (야당 지도자들은 체포되었고, 콜로라도당은 1988년 선거에서 방해받지 않고 선거 운동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정당이었다). 그는 또한 오랫동안 망명 생활을 한 사람들을 환영했다.

그 다음 주 동안 군은 스트로에스네르의 충성파들을 숙청했고, 6개 반란군 사단의 사령관들은 그들을 대체하기 위해 승진했다.[3]

임시 대통령으로서 로드리게스는 1967년 헌법 조항에 따라 2월 9일에 하원을 해산했다. 해당 조항은 대통령이 헌법상 권력 분립을 왜곡하는 방식으로 행동했다고 판단될 경우 입법부를 해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는 5월에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는 법령을 발표하고 모든 비공산당의 경쟁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것을 과격주의자들을 숙청하는 도구로 사용하려 했다. 이는 역사상, 특히 스트로에스네르 통치 기간 동안 야당을 거의 용납하지 않았던 나라에서 놀라운 변화였다. 실제로 쿠데타 당시, 이 나라는 역사상 단 2년 동안만 다원주의를 경험했다. 스트로에스네르의 잔여 임기를 위한 대통령 선거도 국회의원 선거와 같은 날에 열렸다. 헌법은 임기가 2년 미만인 대통령이 사임할 경우 90일 이내에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여 당선자가 잔여 임기를 채우도록 규정했다. 로드리게스는 콜로라도당 후보로 출마하여 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이는 당시까지 이 나라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에 가장 근접한 것이었다.[6][7]

스트로에스네르 축출 직후, 로드리게스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들로부터 파라과이가 중화민국 (대만)과의 오랜 외교 관계를 종식하고 대신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라는 초대를 받았다. 그러나 로드리게스는 대만 대사 왕성의 주장을 받아들여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지속하고 대만의 개발 지원과 대만 시장 접근성을 유지하는 것이 파라과이에 더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8]

4. 2. 1989년 총선

로드리게스는 임시 대통령으로서 1967년 헌법 조항에 따라 2월 9일에 하원을 해산했다.[3] 해당 조항은 대통령이 헌법상 권력 분립을 왜곡하는 방식으로 행동했다고 판단될 경우 입법부를 해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는 5월에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는 법령을 발표하고 모든 비공산당의 경쟁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역사상, 특히 스트로에스네르 통치 기간 동안 야당을 거의 용납하지 않았던 나라에서 놀라운 변화였다.[6] 실제로 쿠데타 당시, 이 나라는 역사상 단 2년 동안만 다원주의를 경험했다. 스트로에스네르의 잔여 임기를 위한 대통령 선거도 국회의원 선거와 같은 날에 열렸다. 헌법은 임기가 2년 미만인 대통령이 사임할 경우 90일 이내에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여 당선자가 잔여 임기를 채우도록 규정했다. 로드리게스는 콜로라도당 후보로 출마하여 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이는 당시까지 이 나라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에 가장 근접한 것이었다.[6][7]

4. 3. 외교 관계

로드리게스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들로부터 중화민국(대만)과의 오랜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라는 제안을 받았다. 그러나 로드리게스는 대만 대사 왕성의 주장을 받아들여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대만의 개발 지원과 대만 시장 접근성을 유지하는 것이 파라과이에 더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8]

4. 4. 부정부패 및 반대파 탄압

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극우 군사독재정권 부역자였으나, 1989년 쿠데타를 일으켜 스트로에스네르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자신이 권력을 잡았다.

로드리게스는 스트로에스네르와 마찬가지로 반대파를 탄압했으며, 파라과이의 몰락을 가속화시켰다.[11]

5. 퇴임과 죽음

1992년 6월 20일, 파라과이는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 이 헌법은 대통령의 임기를 5년 단임으로 제한하고 재선을 금지했다. 재선 금지 조항은 로드리게스에게도 소급 적용되었는데, 그는 완전한 임기를 수행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조항에 포함되었다. 로드리게스는 이 조항을 자신의 말에 대한 불신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비난하며 취임식에 불참했다.[9] 쿠데타에 대한 우려는 그가 6월 22일 새로운 헌법에 서명하면서 겨우 진정되었다. 그는 1993년 8월 15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으며, 수십 년 만에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 최초의 파라과이 대통령이 되었다. 그의 후임은 로드리게스와 마찬가지로 콜로라도당 소속이었던 후안 카를로스 와스모시였다.

로드리게스는 뉴욕에서 과의 오랜 투병 끝에 1997년에 사망했다.

참조

[1] 뉴스 La sombra de los Stroessner https://elpais.com/i[...] 2008-06-05
[2] 뉴스 Andres Rodriguez Dies at 72; Overthrew Paraguay Dictator https://www.nytimes.[...] 1997-04-22
[3] 간행물
[4] 뉴스 El falso yeso de Rodríguez y otras anécdotas del golpe https://www.ultimaho[...] 2019-02-03
[5] 뉴스 Alfredo Stroessner; Paraguayan Dictator https://www.washingt[...] 2006-08-17
[6] 문서 History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7] 간행물
[8] 서적 Counterrevolution in China: Wang Sheng and the Kuomintang https://books.google[...] Frank Cass
[9] 뉴스 Paraguay celebrates new constitution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92-06-20
[10] 웹인용 Andrés Rodríguez Pedotti http://archivo.abc.c[...] 2011-12-08
[11] 인용 The Stronato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198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