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는 케이프 식민지 출신으로, 보어인들의 지도자이자 트란스발 보어인의 독립을 이끈 인물이다. 그는 그레이트 트렉에 참여하여 나탈리아 공화국에서 활동했으며,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줄루족을 상대로 승리하여 '서약의 날'의 기원이 되었다. 또한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샌드 강 협약을 체결하여 트란스발의 독립을 인정받았다. 프레토리우스는 트란스발 공화국 건설에 기여했으나, 1853년 사망했다. 그의 아들 마르티누스 베셀 프레토리우스는 트란스발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프레토리아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드리스 빌헬무스 야코부스 프레토리우스 |
출생일 | 1798년 11월 27일 |
출생지 | 그라프-레이네트, 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
사망일 | 1853년 7월 23일 |
사망지 | 마갈리스베르흐,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안장지 | 영웅의 묘지, 프리토리아, 하우텡 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
배우자 | 크리스티나 페트로넬라 (데 비트) 프레토리우스 (1799년 - 1848년) |
자녀 | 마르티누스 베셀 프레토리우스 |
별칭 | 안드리스 프레토리우스 |
경력 | |
소속 | 남아프리카 공화국 [[File:Flag of Natalia Republic.svg|23px]] 나탈리아 공화국 [[File:Voortrekker Flag.svg|23px]] 보어인 트레커 |
복무 기간 | 1838년–1852년 |
계급 | 총사령관 |
부대 | 트란스발 및 오렌지 강 코만도 |
지휘 | 트란스발 및 오렌지 강 코만도 |
전투 | 블러드 강 전투 붐플라츠 전투 |
훈장 | 해당 사항 없음 |
정치 경력 | |
직위 | 나탈리아 공화국 총리 |
임기 시작 | 1839년 |
임기 종료 | 1843년 |
2. 초기 생애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는 그래프레이네트 북동쪽 약 40km 지점에 있는 아버지의 농장 드리에코펜에서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그는 집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케이프 식민지 동부 변경에서는 학교 교육이 우선되지 않았지만, 성경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쓸 수 있을 정도로 문해력을 갖추고 있었다. 훗날 남아프리카 공화국(트란스발)의 초대 대통령이 된 마르티누스 베셀 프레토리우스는 그의 장남이었다.[1]
2. 1. 가계와 출신
프레토리우스는 자택에서 교육을 받았다. 케이프 식민지 동부 변경에서는 학교 교육이 우선시되지 않았지만, 성경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종이에 적을 수 있을 정도로 문해력이 있었다. 프레토리우스는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장남인 마르티누스 베셀 프레토리우스는 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트란스발)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프레토리우스는 케이프 식민지에 정착한 초기 네덜란드인 정착민의 후손이었다. 그는 네덜란드의 베셀 슐테 목사의 아들인 요하네스 프레토리우스[1]의 5대손이었다. 슐테는 라이덴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시절 자신의 이름을 라틴어 형태인 베셀리우스 프라에토리우스(이후 프레토리우스)로 바꾸었다.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의 어린 시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거의 없지만, 그는 그래프레이네트에서 북동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아버지의 농장 드리에코펜에서 성장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2]
2. 2. 성장 과정과 가족
프레토리우스는 자택에서 교육을 받았다. 케이프 식민지 동부 변경에서는 학교 교육이 우선시되지 않았지만, 성경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종이에 적을 수 있을 정도로 문해력이 있었다. 프레토리우스는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장남인 마르티누스 베셀 프레토리우스는 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트란스발)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1]프레토리우스는 케이프 식민지에 정착한 초기 네덜란드인 정착민의 후손이었다. 그는 조상인 요하네스 프레토리우스의 5대손이었으며, 요하네스는 네덜란드의 Wessel Pretorius|베셀 슐테nl 목사의 아들이었다. 슐테는 라이덴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시절 자신의 이름을 라틴어 형태로 바꾸어 베셀리우스 프라에토리우스(이후 프레토리우스)가 되었다.[1]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의 어린 시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거의 없지만, 그는 아버지의 농장인 드리에코펜에서 성장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드리에코펜은 그래프레이네트에서 북동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2]
3. 그레이트 트렉과 나탈리아 공화국
1839년 9월, 게리트 마리츠의 무리가 그래프레이네트를 떠난 후, 프레토리우스를 포함하여 그곳에 남은 사람들은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했다. 1837년 10월, 트레커(Voortrekkers)들을 방문하기 위한 정찰대를 이끌고 집을 떠난 그는 결국 케이프 식민지를 영원히 떠났다. 그는 모더강(Modderrivier)으로 가는 길을 포기하고 지도자 없이 그곳에 있던 보어인들을 이끌라는 소환을 받고 나탈(Natal)의 클레인-투겔라강(Klein-Tugela)으로 급히 향했다. 게리트 마리츠는 병으로 사망했고, 안드리스 포트히터는 나탈을 떠나 내륙 깊숙이 이동했다. 1838년 2월, 줄루족 왕 딩가네의 명령에 따라 피에트 레티프는 부하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들은 협상 방문 중에 소년들을 포함한 70명의 남자들과 30명의 하인들과 함께 무장하지 않은 채 줄루족 크랄(Kraal) 움궁군들로부에 들어갔다가 거짓 초대에 의해 희생되었다.[3]
1838년 11월 22일, 프레토리우스는 트레커들의 주요 캠프에 도착하여 딩가네에 대한 처벌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프레토리우스는 470명의 병력과 64대의 마차를 이끌고 딩가네의 영토로 들어갔다. 1838년 12월 16일 새벽, 느코메 강(Ncome River) 근처에서 10,000명에서 15,000명에 달하는 줄루족 전사들의 공격을 받았다.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보어인들은 머즐 로딩 소총과 두 개의 소형 대포를 사용하여 승리했다.[3] 줄루족은 약 3,000명의 전사 피해를 입었지만, 보어인들은 사상자가 없었다. 프레토리우스를 포함한 3명의 보어인들이 부상을 입었는데, 그는 아세가이에 의해 손에 부상을 입었다.
보어인들은 이 승리를 신의 가호로 여겨, 전투일을 기념하는 "딩가네의 날"(이후 "언약의 날", "화해의 날")을 제정했다. 이 날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가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화해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1840년 1월, 프레토리우스는 400명의 부르거들을 이끌고 딩가네에 대항하는 음판데의 반란을 도왔다. 음판데와 프레토리우스는 마콩고 전투에서 딩가네의 군대를 격파했고, 딩가네는 망명 중 살해되었다.[2] 그 직후, 프레토리우스는 보어인의 나탈 영토가 음판데와의 합의 조건에 따라 크게 확장되었음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영국의 나탈 병합에 반대하는 보어인 파벌의 지도자였으며, 1842년 더반의 영국 수비대를 포위하기도 했으나 피터마리츠버그로 후퇴했다.[4] 이후 영국 당국과의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3. 1. 그레이트 트렉의 배경
1839년 9월, 게리트 마리츠의 무리가 그래프레이네트를 떠난 후, 프레토리우스를 포함하여 그곳에 남은 사람들은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1837년 10월, 트레커(Voortrekkers)들을 방문하기 위한 정찰대를 이끌고 집을 떠난 그는 결국 케이프 식민지를 영원히 떠났다. 그는 모더강(Modderrivier)으로 가는 길을 포기하고 지도자 없이 그곳에 있던 보어인들을 이끌라는 소환을 받고 나탈(Natal)의 클레인-투겔라강(Klein-Tugela)으로 급히 향했다. 게리트 마리츠는 병으로 사망했고, 안드리스 포트히터는 나탈을 떠나 내륙 깊숙이 이동했다. 1838년 2월, 줄루족 왕 딩가네의 명령에 따라 피에트 레티프는 부하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들은 협상 방문 중에 소년들을 포함한 70명의 남자들과 30명의 하인들과 함께 무장하지 않은 채 줄루족 크랄(Kraal) 움궁군들로부에 들어갔다가 거짓 초대에 의해 희생되었다.[3]3. 2. 나탈리아 공화국에서의 활동
게리트 마리츠가 병으로 사망하고, 안드리스 포트히터가 나탈을 떠나 내륙으로 이동한 후, 딩가네의 명령에 따라 피에트 레티프가 1838년 2월 그의 부하들과 함께 살해되었다.[2] 이러한 상황에서 프레토리우스는 1838년 11월 22일 트레커들의 주요 캠프에 도착하여 딩가네에 대한 처벌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프레토리우스는 470명의 병력과 64대의 마차를 이끌고 딩가네의 영토로 진입, 1838년 12월 16일 새벽 느코메 강(Ncome River) 근처에서 벌어진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1만~1만 5천 명에 달하는 줄루족 전사들을 상대로 승리했다.[2] 보어인들은 머즐 로딩 소총과 두 개의 소형 대포를 사용했고, 줄루족은 약 3,000명의 전사자를 냈다. 보어인들은 사상자가 없었으며, 프레토리우스는 아세가이에 손을 다치는 부상을 입었다.
보어인들은 이 승리를 신의 가호로 여겨 전투일을 기념할 것을 약속했고, 1910년까지 "딩가네의 날"로 기념했다. 이후 "언약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고,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후에는 "화해의 날"로 변경되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휴일로 유지되고 있다.
1840년 1월, 프레토리우스는 400명의 부르거들을 이끌고 딩가네에 대항하는 음판데의 반란을 도왔다. 음판데와 프레토리우스는 마콩고 전투에서 딩가네의 군대를 격파했고, 딩가네는 망명 중 살해되었다.[2] 이후 프레토리우스는 보어인의 나탈 영토가 음판데와의 합의 조건에 따라 크게 확장되었음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영국의 나탈 병합에 반대하는 보어인 파벌의 지도자였으며, 1842년 더반의 영국 수비대를 포위하기도 했으나 피터마리츠버그로 후퇴했다.[4] 이후 영국 당국과의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4]
3. 3. 블러드 리버 전투
1839년 9월, 게리트 마리츠가 이끄는 무리가 북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그래프레이네트를 떠난 후, 프레토리우스를 포함한 나머지 사람들은 케이프 식민지를 떠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했다. 프레토리우스는 1837년 10월, 트레커(Voortrekkers)들을 방문하기 위한 정찰대를 이끌고 집을 떠났고, 결국 케이프 식민지를 영원히 떠났다. 그는 모더강(Modderrivier)으로 가던 중 지도자 없이 그곳에 있던 보어인들을 이끌라는 요청을 받고 나탈(Natal)의 클레인-투겔라강(Klein-Tugela)으로 급히 향했다. 게리트 마리츠는 병으로 사망했고, 안드리스 포트히터는 나탈을 떠나 내륙 깊숙이 이동했다. 1838년 2월, 줄루족 왕 딩가네의 명령에 따라 피에트 레티프가 부하들과 함께 살해되었다.[2]이후 프레토리우스는 보어인의 나탈 영토가 음판데와의 합의 조건에 따라 크게 확장되었음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이미 영유권을 주장한 영토에 대한 영국의 계획에 반대하는 나탈 보어인 파벌의 지도자였다. 1842년, 프레토리우스는 더반의 작은 영국 수비대를 포위했지만, 조시아스 클로에테 대령의 지원군이 도착하자 피터마리츠버그로 후퇴했다.[4] 그 후, 그는 영국 당국과의 평화로운 해결책을 찾기 위해 보어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
3. 3. 1. 전투의 배경과 경과
1838년 11월 22일, 프레토리우스는 절망적인 트레커들의 주요 캠프에 도착했다. 그의 성실하고 철저한 행동은 즉시 신뢰를 심어주었고, 딩가네에 대한 처벌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프레토리우스는 470명의 병력과 64대의 마차를 이끌고 딩가네의 영토로 들어갔다. 1838년 12월 16일 새벽, 느코메 강(Ncome River) 근처에서 10,000명에서 15,000명에 달하는 줄루족 전사들의 공격을 받았다. 보어인들은 머즐 로딩 소총과 두 개의 소형 대포를 사용하여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승리했다.[3] 줄루족은 약 3,000명의 전사 피해를 입었지만, 보어인들은 사상자가 없었다. 프레토리우스를 포함한 3명의 보어인들이 부상을 입었는데, 그는 아세가이에 의해 손에 부상을 입었다.[3]
보어인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승리를 주셨다고 믿었고, 그들과 그들의 후손들이 전투의 날을 휴식일로 기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보어인들은 1910년까지 이를 "딩가네의 날"로 기념했다. 이 날은 "서약의 날", 이후 "언약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남아프리카 연방의 첫 번째 정부에 의해 공휴일이 되었으며, 나중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되었다.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후, 새 민주 정부는 보어인들에게 화해의 행위로 그 날을 공휴일로 유지했지만, 이름을 "화해의 날"로 바꾸었다.
1840년 1월, 프레토리우스는 400명의 ''부르거''들로 구성된 사령부를 이끌고 그의 이복 형제 딩가네에 대항하는 음판데의 반란을 도왔다. 음판데와 프레토리우스는 마콩고 전투에서 딩가네의 군대를 격파했고, 이로 인해 딩가네와 그에게 충성하는 자들은 망명해야 했으며, 딩가네는 곧 살해되었다.[2]
3. 3. 2. 전투의 결과와 영향
프레토리우스는 1838년 12월 16일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470명의 병력과 64대의 마차를 이끌고 10,000명에서 15,000명에 달하는 줄루족 전사들을 상대로 승리했다. 보어인들은 머즐 로딩 소총과 두 개의 소형 대포를 사용했고, 줄루족은 약 3,000명의 전사 피해를 입었다.[2] 보어인들은 사상자가 없었으며, 프레토리우스는 아세가이에 손을 다치는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보어인들은 이 승리를 신의 가호로 여겨, 전투일을 기념하는 "딩가네의 날"(이후 "언약의 날", "화해의 날")을 제정했다. 이 날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가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화해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1840년, 프레토리우스는 딩가네 왕에 대항하는 음판데의 반란을 지원하여 마콩고 전투에서 승리했다. 딩가네는 망명 중 살해되었고, 프레토리우스는 나탈 영토 확장을 선언했다. 1842년 더반에서 영국군을 포위했으나, 지원군 도착으로 피터마리츠버그로 후퇴했다. 이후 영국과의 평화적 해결에 기여했다.
1847년, 영국에 불만을 품은 보어 농부들의 대표로 케이프 식민지 총독을 만나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1848년 해리 스미스 경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발 강 북쪽 마갈리스버그에 정착했다. 붐플라츠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1852년 샌드 강 협약을 통해 트란스발 보어인의 독립을 영국으로부터 인정받았다.
1852년, 프레토리우스는 A. H. 포트히터와 화해하고, 베추아날랜드를 통해 내륙으로 가는 길을 확보하려 시도했다. 1853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마르티누스 웨셀 프레토리우스는 그를 기리기 위해 프레토리아를 건설하고 트란스발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3. 4. 나탈리아 공화국 통치와 영국의 합병
1840년 1월, 프레토리우스는 400명의 '부르거'들로 구성된 사령부를 이끌고 그의 이복 형제 딩가네에 대항하는 음판데의 반란을 도왔다.[2] 음판데와 프레토리우스는 마콩고 전투에서 딩가네의 군대를 격파했고, 이로 인해 딩가네와 그에게 충성하는 자들은 망명해야 했으며, 딩가네는 곧 살해되었다.[2] 그 직후, 프레토리우스는 보어인의 나탈 영토가 보어인의 지원에 대한 음판데와의 합의 조건으로 인해 크게 확장되었음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이미 영유권을 주장한 영토에 대한 영국의 계획에 반대하는 나탈 보어인 파벌의 지도자였다. 1842년, 프레토리우스는 더반의 작은 영국 수비대를 포위했지만, 조시아스 클로에테 대령의 지원군이 도착하자 피터마리츠버그로 후퇴했다.[4] 그 후, 그는 영국 당국과의 평화로운 해결책을 찾기 위해 보어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4. 트란스발 공화국과 말년
1853년 7월, 프레토리우스는 마갈리스버그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4] 조지 맥콜 델은 그를 "이주 농부들의 가장 유능한 지도자이자 가장 완벽한 대표자"로 묘사했다.[4] 1855년 그의 아들 마르티누스 웨셀 프레토리우스는 포체프스트룸과 러스텐버그 지역에 새로운 지역과 마을을 형성하고, 사망한 사령관을 기리기 위해 그곳을 프레토리아라고 명명했다.[4] 마르티누스 웨셀 프레토리우스는 트란스발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다.
4. 1. 트란스발 이주와 지도자 활동
1838년 11월 22일, 프레토리우스는 트레커들의 주요 캠프에 도착하여 딩가네에 대한 처벌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 그는 470명의 병력과 64대의 마차를 이끌고 딩가네의 영토로 진입, 1838년 12월 16일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1만 명에서 1만 5천 명에 달하는 줄루족 전사들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이 전투에서 보어인들은 머즐 로딩 소총과 두 개의 소형 대포를 사용하였고, 줄루족은 약 3,000명의 전사자를 낸 반면, 보어인 사상자는 없었다. 프레토리우스는 이 전투에서 아세가이에 손을 다치는 부상을 입었다.[3]보어인들은 이 승리를 신의 가호로 여겨, 전투일을 기념하는 "언약의 날"이라는 공휴일을 제정하였다. 이 날은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화해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1840년 1월, 프레토리우스는 400명의 부르거들을 이끌고 딩가네에 대항하는 음판데의 반란을 지원, 마콩고 전투에서 딩가네 군대를 격파하였다. 이후 프레토리우스는 나탈 영토가 보어인의 지원에 대한 음판데와의 합의로 확장되었음을 발표하고, 영국의 영토 계획에 반대하는 나탈 보어인 파벌의 지도자가 되었다.[2]
1842년, 프레토리우스는 더반의 영국 수비대를 포위했지만, 영국 지원군이 도착하자 피터마리츠버그로 후퇴하였다. 이후 영국 당국과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4]
1847년, 프레토리우스는 케이프 식민지 총독에게 보어 농부들의 불만을 전달하려 했으나 거부당했다. 1848년 해리 스미스 경이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된 후, 프레토리우스는 발 강 북쪽 마갈리스버그에 정착, 발 강 양쪽의 부르거들의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4]
1848년 7월, 프레토리우스는 블룸폰테인을 점령했으나, 8월 붐플라츠 전투에서 스미스에게 패배하여 발 강 북쪽으로 후퇴하였다. 그는 트란스발 보어인들의 가장 큰 파벌 중 하나의 지도자가 되었다.[4]
1851년, 프레토리우스는 오렌지 강 주권의 보어인 불만 세력과 바소토의 지도자 모셰셰 I세의 요청으로 영국으로부터 트란스발 보어인의 독립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1852년 1월 17일, 샌드 강 협약을 통해 트란스발 보어인의 독립이 영국에 의해 인정되었다.[4]
1852년 3월, 프레토리우스는 A. H. 포트히터와 화해하고, 같은 해 더반을 방문하여 나탈과 새로운 공화국 간의 무역을 시작했다. 또한 베추아날랜드를 통해 내륙으로 가는 길을 확보하려 했다.[4]
4. 2. 샌드 리버 협약
1851년, 오렌지 강 주권의 보어인 불만 세력과 바소토의 지도자 모셰셰 1세는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는 주권에서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발 강을 건너갈 의사를 발표했다. 그의 목표는 영국으로부터 트란스발 보어인의 독립을 인정받는 것이었다. 포기 정책을 결정한 영국 내각은 그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영국 정부는 붐플라츠 전투 이후 그의 체포에 대해 제공했던 2000GBP의 현상금을 철회했다.[4] 프레토리우스는 샌드 강 근처에서 영국 위원들을 만났다. 1852년 1월 17일, 그들은 협약을 체결하여 트란스발 보어인의 독립이 영국에 의해 인정되었다.[4]4. 3. 말년과 죽음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는 1853년 7월 마갈리스버그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4] 조지 맥콜 델은 그를 "이주 농부들의 가장 유능한 지도자이자 가장 완벽한 대표자"로 묘사했다.[4] 1855년, 그의 아들 마르티누스 웨셀 프레토리우스는 포체프스트룸과 러스텐버그 지역에 새로운 지역과 마을을 형성하고, 사망한 사령관을 기리기 위해 그곳을 프레토리아라고 명명했다.[4] 마르티누스 웨셀 프레토리우스는 트란스발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다.5. 유산과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Pretorius Johannes
http://www.stamouers[...]
Johan Hefer
2013-02-10
[2]
웹사이트
Die Kosbare Erflating van Andries Pretorius
http://mieliestronk.[...]
Dugeot
2013-02-10
[3]
웹사이트
The Retief Massacre of 6 February 1838 revisited
http://repository.up[...]
2013-02-11
[4]
서적
Pretori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