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바르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바르 주는 이라크 서부에 위치한 주로, 과거 두라임 현, 라마디 현으로 불리다가 고대 도시 안바르의 이름을 따서 개칭되었다. 이라크에서 가장 넓지만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며, 유프라테스 강 유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거주한다. 이라크 전쟁 초기에는 알 카에다와 반군의 주요 활동 근거지였으며, 미군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 중 하나였다. 수니파의 거점이었으며, 주요 도시로는 라마디와 팔루자가 있다. 안바르 주는 사막 기후로, 유프라테스 강이 주요 수원이며, 감자, 밀, 보리 등을 재배하고 인산염과 비료 생산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의 주 - 디카르주
    디카르 주는 이라크 남부에 위치하며 수메르 유적과 엔니갈디-난나 박물관 유적이 있고, 약 2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높은 실업률과 빈곤율을 보이는 지역이다.
  • 이라크의 주 - 살라딘주
    살라딘주는 이라크 중북부에 위치하며 살라딘의 이름에서 유래했고, 아수르와 사마라 같은 고대 도시를 포함하며, 티크리트가 주도이고, 역사적, 종교적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안바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른 이름안바르 주
소재지라마디
지사알리 파르한 하미드
면적138,501km2
인구약 1,500,000명 (2017년 7월 추정)
인구 밀도자동 계산
HDI (2017)0.684
지리
면적 순위1위
해발 고도45m
최대 해발 고도450m
최소 해발 고도35m
총 길이113km
총 너비125km
수역 면적2,350km2
행정
정부 형태지방 정부
통치 기구안바르 주 의회
기타 정보
시간대이라크 표준시
UTC 오프셋+3
ISO 코드IQ-AN
웹사이트안바르 주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이라크 안바르 주의 위치
통계
인구 순위7위
지도

2. 역사

안바르 주의 이름은 페르시아어로 "창고" 또는 "사일로"를 의미하며, 실크로드의 마지막 기착지였다는 역사에서 유래한다. 이 이름은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사산 제국 시대에도 이미 사용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이 지역에 두라임 부족이 많이 살고 있어 두라임 주(리와 알-두라임, 산자크 알-두라임)라고 불렸다. 1962년 이전에는 두라임 현, 1976년 이전에는 라마디 현이라고 불렸으나, 이후 고대 도시 안바르를 따라 안바르 현으로 개칭되었다.[2]

이라크 전쟁 초기, 안바르 주는 알 카에다를 비롯한 반군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미군에게 가장 위험한 지역 중 하나였다. 2004년에는 팔루자 전투가 일어나기도 했다. 안바르 주 주민 대다수는 수니파이며, 이들은 이라크 전쟁 이후 미군 점령에 저항해 왔다.

2. 1. 고대 및 이슬람 시대

안바르 주의 이름은 페르시아어로 "창고" 또는 "사일로"를 의미한다. 이곳은 시리아로 향하는 옛 실크로드의 마지막 기착지/창고였다. 이 이름은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안바르 주의 이름은 원래 이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오늘날 사클라위야시 근처, 팔루자에서 북서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서 그 유적을 볼 수 있는 역사적인 도시에서 유래되었다. 안바르 또는 페로즈 샤푸르시는 3세기에 문디르 왕조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634년 아랍 정복 이전에는 이라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이 도시는 14세기의 몽골의 이라크 침공 이후 버려졌다. 이 이름이 아랍어에서 유래되었고 아랍어로 "곡물 창고"를 의미한다고 제안함으로써 유사한 어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안바르(أنبار)는 "곡물"을 의미하는 Nbr(نبر)의 복수형이라고 제안한다. 이 이름은 아랍어가 이라크의 주요 언어로 아람어를 대체하기 훨씬 전인 사산 제국 시대에 이미 사용되었다.

라시둔 칼리프 시대, 아부 바크르 칼리프 통치 하에 안바르 정복이 시작되었고, 그의 후계자들은 중동 전역을 정복했다.

아바스 왕조 시대, 아불 아바스 압달라 알-사파 칼리프 통치 시기인 서기 134년, 쿠파 다음으로 바그다드가 아바스 왕조의 두 번째 수도가 되었고, 서기 145년에 그곳에 궁전을 지었다. 그는 유프라테스 강을 지나 지중해와 페르시아 만으로 이어지는 길을 건설하여 이라크를 출입하는 군대가 이 지역을 지나가게 되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 지역은 알 두라임 부족이 많이 살고 있어서 두라임 주(리와 알-두라임, 산자크 알-두라임)라고 불렸다. 1706년에는 셰이크 이타 빈 하마드가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2. 3. 이라크 왕국 및 공화국

이라크의 파이살 1세 국왕은 1921년 7월 31일 이 지역을 방문하여 당시 지역 통치자인 셰이크 알리 알 술라이마니와 부족 구성원 6,000명의 영접을 받았다.[1]

1962년 이전에는 이 지역에 거주하는 아랍 유수의 대부족인 알 두라임 부족을 따라 두라임 현이라고 불렸다.[2] 1976년 이전에는 현도 라마디를 따라 라마디 현이라고 불렸으나,[2] 같은 해 팔루자 근교에 유적이 있는 고대 도시 안바르를 따라 안바르 현으로 개칭했다.[2] 안바르는 "곡창"을 의미한다.[2]

2. 4. 이라크 전쟁과 그 이후

이라크 전쟁 초기, 안바르 주는 알 카에다와 반군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미군에게 가장 치명적인 지역 중 하나였다. 이라크 자유 작전(OIF)의 처음 4년 동안 안바르 주에서 미군 사망자의 약 3분의 1이 발생했다.[8] 서부 유프라테스강 계곡은 이라크 내륙으로 향하는 외국인 전투원들의 중요한 침투 경로 역할을 했다.[8] ''뉴욕 타임스''는 이 지역을 베트남 전쟁의 호치민 루트에 비유하기도 했다.

알 아사드 공군기지 관제탑 앞 버려진 이라크 공군 J-7 항공기


미국 해병대가 안바르주에서 유프라테스강을 순찰하고 있다


안바르 주는 오랫동안 사담 후세인에게 권력 유지를 위한 지지를 제공해 온 수니파의 거점이었다.[8] 2004년에는 팔루자 전투가 일어났다. 안바르 주의 주민 대다수는 수니파이며, 이라크 전쟁 이후 미군의 점령에 저항해 왔다.

3. 지리

이라크 내 안바르 주


이라크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주인 안바르 주는 서쪽으로 시리아,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니나와 주, 북동쪽에는 살라딘 주, 동쪽에는 바그다드 주, 동남동쪽에는 바빌 주, 동남쪽에는 카르발라 주, 남동쪽에는 나자프 주와 인접해 있다. 유프라테스강 서안의 도시 팔루자도 안바르 주에 속한다.

3. 1. 지형 및 기후

안바르는 이라크 서부 사막 기후에서 가장 건조한 주 중 하나이다. 안바르의 일부는 시리아 사막에 속하며, 스텝과 사막 지형이 특징이다. 안바르의 대부분은 아라비아 반도 고원 지역의 지형적 연속으로 간주된다. 몇 개의 작은 언덕과 다수의 와디, 하우란 와디를 포함한다. 토지 보존의 감소와 자연 식생의 부족으로 인해 토지는 종종 외부 요소에 노출되어 심각한 침식에 취약하다.

안바르 주의 연평균 강수량은 115mm이다. 여름 기온은 52°C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겨울에는 0°C까지 내려갈 수 있다. 유프라테스 강은 주 주민들의 주요 수원이다. 이 강은 안바르 주의 7개 지역을 남동쪽으로 흐른다.

  • 알카임 구
  • 아나 구
  • 하디타 구
  • 히트 구
  • 라와 구
  • 라마디 구
  • 팔루자 구
  • 아르루트바 구


3. 2. 수자원

유프라테스 강은 안바르 주 주민들의 주요 수원이다. 이 강은 안바르 주를 남동쪽으로 흐르며 7개 지역을 관통한다.

관통 지역
알카임 구
아나 구
하디타 구
히트 구
라와 구
라마디 구
팔루자 구



팔루자유프라테스강 서안에 위치한 도시로 안바르 주에 속한다.

3. 3. 광물 자원

안바르 주는 인산염비료 생산으로 유명하며, 유황, , 석유와 같은 광물 자원도 풍부하다. 그러나 석유 탐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4. 행정 구역

안바르 주는 이라크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주이며, 시리아,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니나와 주, 북동쪽으로는 살라딘 주, 동쪽으로는 바그다드 주, 동남동쪽으로는 바빌 주, 동남쪽으로는 카르발라 주, 남동쪽으로는 나자프 주와 인접해 있다. 유프라테스강 서안의 도시 팔루자는 안바르 주에 속한다.

4. 1. 주요 도시


  • 라마디
  • 팔루자
  • 알카임
  • 히트
  • 하디타
  • 아나
  • 라와
  • 카비사
  • 알바그다디
  • 팔라하트
  • 안 누카이프
  • 아카샤트
  • 타르빌
  • 후사이바 알 샤르키아
  • 아미리야 팔루자
  • 사클라위야
  • 안 나하이다인
  • 알 샤르키아
  • 알 왈리드
  • 사다
  • 알 사크르
  • 알 마모르하
  • 알 에나이미
  • 루마나
  • 알 아사르지라
  • 알 수지르
  • 알 자바
  • 알 리하니야
  • 알 푸라트
  • 알 맘하디
  • 알 카스라
  • 알 카라빌라
  • 알 우바이디
  • 바르와나
  • 알 할디야
  • 알 하바니야
  • 알 카르마
  • 알 하클라니야
  • 아르 라할리야
  • 아르 루트바

5. 인구

안바르주의 주요 도시들


2018년 기준 안바르 주의 인구는 약 177만 명으로 추정된다.[11] 1920년대 안바르 주의 인구는 25만 명으로, 당시 바그다드 인구와 같았다. 당시 이라크 전체 인구는 200만 명이었다. 오늘날 바그다드에는 900만 명이 살고 있으며, 그중 100만 명은 안바르 출신이다. 이들은 지난 500년 동안 바그다드로 이주해온 안바르 부족 출신이며, 특히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주가 많았다.

5. 1. 주민 구성

안바르 주민의 약 90%는 이슬람교 수니파 신자이며, 나머지 10%는 시아파 또는 다른 소수 민족이다.[7] 알 두라임 부족은 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많은 안바르 주민들이 바그다드로 이주하여 현재 바그다드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UN의 2003년 추산에 따르면 안바르 주의 인구는 1,230,169명이었다.[6] 같은 해 이라크 NGO 조정 위원회는 안바르 주의 인구를 1,230,140명으로 추산했다. 안바르 주민의 절반은 도시와 마을 외곽의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살고 있으며, 안바르 구역의 인구는 190만 명에서 200만 명 사이로 추정된다.[5] 가장 큰 도시는 라마디(인구 90만 명)와 팔루자(70만 명)이다.

구역인구
라마디620,480
팔루자590,354
할리디야44,274
히트120,414
알-카임180,646
루트바49,118
하디타107,384
아나38,154
라와29,643


6. 정치

안바르 주는 이라크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간의 복잡한 권력 관계 속에서, 부족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지역이다.

6. 1. 주지사 (2003년 이후)

바트당 붕괴 이후 안바르주를 통치한 주지사들은 다음과 같다.[3]

주지사 이름
압둘 카림 부즈라스 알라위
파이살 알 가우드 (대행)
라자 나와프 파르한 알마할라위
마문 사미 라시드 알알라와니
카심 알파하다위
아흐마드 칼라프 무함마드 알두라이미
수하이브 알라위
무함마드 리칸 알할부시
알리 파르한 하미드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Anbar https://euaa.europa.[...] 2024-05-09
[3] 뉴스 Has political crisis in Iraq's Anbar reached a dead end? http://www.al-monito[...] 2016-12-05
[4] 웹사이트 Population of Governorates http://www.citypopul[...]
[5] 서적 Marvellous Mesopotamia, The World's Wonderland https://archive.org/[...] S. W. Partridge & co., ltd
[6] 웹사이트 UN Data 2003 http://www.iraqcoali[...] 2018-01-01
[7] 웹사이트 Irakische Streitkräfte starten Rückeroberung Ramadis http://www.dw.de/ira[...] 2015-05-26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arines.m[...] 2012-07-25
[9] 웹사이트 Iraq: Governorates, Cities, Towns, Municipal Districts - Population Statistics in Maps and Charts http://www.citypopul[...]
[10]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11] 웹인용 Population of Governorates http://www.citypop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