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사르는 메디나(야스리브)에 거주하던 부족으로,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를 지지하고 그를 도운 사람들을 지칭한다. 메디나의 아우스와 카즈라지 부족은 오랜 부족 간의 갈등으로 고통받았으며, 무함마드가 이슬람교를 전파하자 그를 중재자로 받아들였다. 안사르는 무함마드와 함께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초기 이슬람 정복 시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반대 세력으로 활동했다. 안사르에는 사드 이븐 무아드, 아부 아이유브 알-안사리 등 많은 주요 인물들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디나 출신 - 자말 카슈끄지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는 워싱턴 포스트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사우디 왕실을 비판하다 2018년 사우디 정부 요원들에게 암살당해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 메디나 출신 - 하산 이븐 알리
하산 이븐 알리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손자이자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와 파티마 즈흐라의 아들로, 시아파에서는 12이맘 중 두 번째 이맘으로 숭배받으며, 아버지 알리 사후 칼리파로 추대되었으나 무아위야 1세와의 갈등 끝에 칼리파직을 포기하고 메디나로 은퇴한 인물이다. - 헤지라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헤지라 - 무하지룬
무하지룬은 무함마드를 따라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초기 이슬람 공동체 신자들로, 이슬람 공동체 형성과 확장, 군사 활동, 주요 전투, 그리고 정통 칼리파 시대를 이끈 지도자 배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아랍인 집단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아랍인 집단 - 무하지룬
무하지룬은 무함마드를 따라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초기 이슬람 공동체 신자들로, 이슬람 공동체 형성과 확장, 군사 활동, 주요 전투, 그리고 정통 칼리파 시대를 이끈 지도자 배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안사르 | |
---|---|
기본 정보 | |
의미 | 돕는 사람들, 후원자들 |
배경 | 무함마드와 무하지룬을 메디나로 받아들인 메디나 시민들 |
역사적 역할 | |
주요 활동 | 무함마드와 무하지룬에게 피난처와 지원 제공 바드르 전투, 우후드 전투, 참호 전투 등 초기 이슬람 전투 참여 |
중요성 | 이슬람 공동체 형성과 확장에 결정적인 역할 |
구성 | |
주요 부족 | 아우스 부족 카즈라즈 부족 |
사회적 배경 | 주로 농업에 종사 메디나의 유력 부족 |
종교적 의미 | |
쿠란 | 쿠란에서 안사르의 공헌을 높이 평가 |
하디스 | 하디스에서 안사르의 헌신과 희생 강조 |
현대적 영향 | |
상징적 의미 | 이슬람 사회에서 희생과 헌신의 상징으로 여겨짐 |
기념 | 이슬람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기념됨 |
2. 역사적 배경
안사르는 이슬람교의 예언자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당시 야스리브)로 이주(히즈라)했을 때 그를 받아들이고 도운 메디나 주민들을 가리킨다. 이들이 무함마드를 지지하게 된 배경에는 당시 야스리브의 복잡한 내부 상황이 있었다.
야스리브의 주요 부족인 아우스와 카즈라지는 오랫동안 서로 반목하며 소모적인 전쟁을 반복했다. 이들은 때때로 아라비아의 유대 부족들과 동맹을 맺기도 했으나, 근본적인 갈등은 해결되지 않았다.[1] 또한 사산 제국이나 힘야르 왕국과 같은 외부 세력의 침입에도 맞서야 했다.[2][3][4][5]
특히 부아스 전투라 불리는 대규모 내전은 양 부족 모두에게 큰 피해와 깊은 상처를 남겼고, 주민들은 끊임없는 전쟁에 지쳐 평화와 안정을 갈망하게 되었다.[1][6]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야스리브 사람들은 부족 간의 분쟁을 중재하고 새로운 질서를 가져다줄 외부 지도자를 찾게 되었고, 이는 훗날 무함마드가 메디나에서 환영받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7]
2. 1. 메디나의 부족 갈등

메디나(당시 야스리브)의 주요 부족인 아우스와 카즈라지는 오랜 기간 동안 서로 갈등을 겪었다. 이들은 때때로 아라비아의 유대 부족인 바누 나디르, 바누 쿠라이자, 바누 카이누카 등과 동맹을 맺기도 했으나, 부족 간의 분쟁은 끊이지 않았다. 수마르 전투, 바누 자흐자하 전투, 사라라의 날 전투, 바누 와일 이븐 자이드 전투, 주프르-말리크 전투, 파리 전투, 하티브 전투, 라비의 날 전투, 야스리브에서의 제1차 및 제2차 피자르 전투[1](이는 메카에서의 피자르 전쟁과는 다르다), 마이스 전투, 무드라스 전투 등 수많은 소모적인 전쟁이 이어졌다.[1]
내부적인 갈등 외에도 메디나 주민들은 외부 세력의 침입에 맞서 싸워야 했다. 사산 제국의 샤푸르 2세와 같은 강력한 군주들의 공격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막아냈으며,[2] 힘야르 왕국의 통치자 타반 아부 카리브(두 알-아다르[5]라고도 알려짐)의 침입도 방어해냈다.[3][4]
그러나 아우스와 카즈라지 부족에게 가장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부아스 전투라 불리는 내전이었다. 이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극심한 폭력과 불필요한 학살로 큰 상처를 남겼고, 부족민들은 오랜 전쟁에 깊은 염증을 느끼게 되었다.[1][6] 이러한 끊임없는 분쟁과 피로감은 결국 외부의 중재자를 찾게 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2. 2. 무함마드의 등장과 히즈라
무함마드가 등장하기 전, 야스리브(훗날의 메디나)에 거주하던 아우스족과 카즈라지족은 아라비아의 유대 부족(바누 나디르, 바누 쿠라이자, 바누 카이누카)과 동맹을 맺기도 하고 서로 반목하기도 하며 오랜 기간 분쟁을 겪었다. 이들은 수마르 전투, 바누 자흐자하 전투, 사라라의 날 전투 등 수많은 전쟁에 휘말렸으며,[1] 외부 세력인 사산 제국의 샤푸르 2세[2]나 힘야르 왕국의 통치자 타반 아부 카리브[3][4][5] 등과도 충돌했다. 특히 아우스족과 카즈라지족 사이의 내전이었던 부아스 전투는 양 부족에게 큰 상처와 염증을 남겼다.[1][6]
계속되는 분쟁에 지친 야스리브 사람들은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자 했다. 이때 메카의 쿠라이시족 출신인 무함마드가 이슬람교를 설파하기 시작했고, 순례 기간 동안 야스리브에서 온 일부 사람들이 그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였다.[7] 무함마드는 무사브 이븐 우마이르[8]와 같은 무하지룬의 도움을 받아 아우스족과 카즈라지족의 유력자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아바드 이븐 비쉬르를 비롯하여 사드 이븐 무아드, 우사이드 빈 후다이르, 사드 이븐 우바다, 아사드 이븐 주라라와 같은 부족 지도자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무함마드를 분쟁의 중재자이자 야스리브의 사실상 지도자로 인정하기로 합의했다.[4][6] 이 합의는 알-아카바에서의 두 번째 맹세를 통해 공식화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야스리브의 무슬림들은 메카에서 쿠라이시 다신교도들에게 박해받던 동료 무슬림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히즈라로 알려진 무함마드와 메카 무슬림들의 야스리브 이주를 가능하게 한 중요한 결정이었다. 또한, '야스리브'라는 이름이 아랍어로 좋지 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시 이름을 '메디나(예언자의 도시)'로 변경하는 데 동의했다.[4] 이로써 메디나는 이슬람 공동체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3. 안사르의 역할과 기여
이슬람 초기에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무함마드와 그의 동료들인 무하지룬(이주자들)을 받아들이고 전폭적으로 지원한 메디나의 아랍인 부족들을 안사르(돕는 자들)라고 부른다. 이들의 헌신적인 도움은 초기 이슬람 공동체(움마)가 메디나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기반이 되었다.
안사르는 무함마드의 생애 동안 이슬람 공동체를 보호하고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부와트 원정과 같은 초기 군사 활동을 시작으로 여러 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무하지룬과 함께 이슬람을 방어하고 전파하는 데 앞장섰다.
무함마드 사후 칼리파 시대가 열리면서 안사르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 초기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안사르 출신 병사들과 지휘관들은 뛰어난 용맹함과 전략적 식견을 바탕으로 이슬람 제국의 영토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부자카 전투, 야마마 전투,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 등 주요 전투에서 안사르의 활약은 결정적인 승리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군사적인 기여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안사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초기 칼리파 시대에는 여러 안사르 출신 인물들이 주요 관직에 임명되어 이슬람 국가의 행정과 통치에 참여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우마이야 왕조가 들어서면서 안사르는 점차 중앙 권력과 거리를 두게 되었고, 헤자즈 지역을 중심으로 하심가와 연대하며 독자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당시 집권 세력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
3. 1. 초기 전투 참여
안사르는 무함마드를 여러 전투에서 도왔다. 그 중 초기 전투로는 부와트 원정이 있다. 알-아브와 습격 한 달 후, 무함마드는 무하지룬과 안사르를 포함한 2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쿠라이시 부족 상인들의 대상 경로에 있는 부와트로 향했다. 당시 우마이야 이븐 할라프가 이끄는 100명의 기병이 호위하는 1,500마리의 낙타 무리가 이동 중이었다. 이 원정의 목적은 부유한 쿠라이시 대상을 공격하여 전리품을 얻는 것이었다.그러나 대상이 예상치 못한 다른 길을 택하면서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고 전리품도 얻지 못했다. 이후 무함마드는 알-하바르 사막의 자트 르 사크(Dhat al-Saq)로 이동하여 알라에게 기도를 드리고 모스크를 세웠다. 이 부와트 원정은 소수의 안사르가 참여한 최초의 원정 중 하나로 기록된다.[9][10]
3. 2. 무슬림 정복 전쟁 참여
무함마드 사후 칼리파 시대가 시작되면서, 안사르는 초기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담당했다. 초대 칼리파 아부 바크르 치세에 안사르는 부자카 전투에서 칼리드 이븐 알-왈리드를 지원했으며, 이때 안사르의 웅변가로 알려진 사비트 빈 카이스 빈 샴마스가 이들을 이끌었다.[11][31] 이후 야마마 전투에서도 안사르는 큰 활약을 펼쳤다. 알 바라 빈 말리크 알 안사리가 이끄는 안사르 부대는 전투 중 위기의 순간에 과감한 돌격으로 전세를 뒤집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32] 이 전투는 안사르 출신의 뛰어난 전사였던 아부 두자나가 전사한 곳이기도 하다.2대 칼리파 우마르 치세에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안사르의 기여가 컸다. 특히 안사르 지도자였던 우바다 이븐 알-사밋은 이집트의 무슬림 정복과 레반트의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아부 우바이다, 칼리드 이븐 왈리드, 암르 이븐 알-아스, 무아위야 등 주요 지휘관 아래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3대 칼리파 우스만 이븐 아판 치세인 히즈라력 24년(서기 645년)에도 저명한 안사르들은 주요 관직에 임명되었다. 대표적으로 알-바라 이븐 아지브는 페르시아 알-라이(레이) 지역의 총독을 지냈다. 그는 이후 쿠파로 은퇴하여 히즈라력 71년(서기 690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13][33]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들어서면서 안사르는 점차 정권에 비판적인 정치 세력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14][15][34][35] 이들은 당시 집권 세력이던 우마이야 가문보다는 하심 클랜(또는 마흐줌 부족)과 더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이러한 연대를 통해 헤자즈 지역에서 새로운 엘리트 중심의 정치적 영향력을 형성해 나갔다.[16][36]
3. 3. 정치적 역할
무함마드 사후 칼리파 시대가 시작되면서, 안사르는 초기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칼리파 아부 바크르 시대에는 칼리드 이븐 알-왈리드를 지원하여 부자카 전투[11][31]에 참여했으며, 야마마 전투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특히 야마마 전투에서는 알 바라 빈 말리크 알 안사리가 이끄는 안사르 부대가 전투의 위태로운 순간에 돌격하여 전세를 뒤집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32] 이 전투에서 안사르의 가장 저명한 전사 중 한 명인 아부 두자나가 전사하기도 했다.[12]칼리파 우마르 시대에는 우바다 이븐 알-사밋과 같은 안사르 지도자들이 비잔티움과의 전쟁, 특히 이집트의 무슬림 정복과 레반트의 무슬림 정복에서 아부 우바이다, 칼리드 이븐 왈리드, 암르 이븐 알-아스, 무아위야 등 주요 인물들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히즈라력 24년(서기 645년), 칼리파 우스만 이븐 아판 시대에는 알-바라 이븐 아지브와 같은 저명한 안사르 인물들이 주요 직책에 임명되었다. 알-바라 이븐 아지브는 페르시아의 레이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쿠파로 은퇴하여 히즈라력 71년(서기 690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13][33]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들어서면서 안사르는 점차 정권에 비판적인 반체제 세력으로 변화했다.[14][15][34][35] 이들은 당시 집권 세력이었던 우마이야 가문보다는 하심 클랜 분견대와 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이러한 안사르와 하심 클랜의 연대는 헤자즈 지역에서 새로운 엘리트 중심의 정치적 영향력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16][36]
4. 주요 안사르 인물 목록
메디나의 카즈라지와 아우스 두 주요 부족 출신을 중심으로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이 안사르에 속했다. 이슬람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주요 안사르 인물들의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출신 부족별로 나누어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4. 1. 카즈라지 부족 출신
- 마하스
- 사드 이븐 우바다(족장)[17]
- 아사드 이븐 주라라
- 압드 알라 이븐 라와하
- 아부 아이유브 알-안사리[18]
- 우바이 이븐 카브
- 자이드 이븐 사비트[19]
- 하산 이븐 사비트
- 자비르 이븐 압드 알라[18]
- 암르 이븐 알-자무
- 사드 이븐 아르-라비
- 알-바라 이븐 아지브
- 우바다 이븐 아스-사미트
- 자이드 이븐 아르캄
- 아부 두자나
- 아부 다르다
- 하밥 이븐 문디르[17]
- 아나스 이븐 나드르
- 아나스 이븐 말리크[20]
- 알-바라 이븐 말리크[20]
- 사흘 이븐 사드[18]
- 파르와 이븐 암르 이븐 와드카 알-안사리[23]
- 하비브 이븐 자이드 알-안사리
- 타밈 알-안사리
- 누사이바 빈트 카아브, 하비브 이븐 자이드의 어머니
- 루파이다 알-아슬라미아[21]
4. 2. 아우스 부족 출신
- 사드 이븐 무아드, 족장[22]
- 바시르 이븐 사드[17]
- 아바드 이븐 비쉬르
- 무아드 이븐 자발
- 무함마드 이븐 마슬라마
- 후자이마 이븐 사비트[23][28]
- 후바입 이븐 아디
- 사흘 이븐 후나이프[28]
- 우스만 이븐 후나이프[24]
- 아불 하사마 이븐 티한[28]
- 한잘라 이븐 아비 아미르
4. 3. 기타 부족 출신
5. 평가 및 의의
안사르는 이슬람 초기에 무함마드와 메카에서 이주해 온 무하지룬들을 메디나에서 맞이하고 도운 현지 부족들을 가리킨다. '돕는 자들'이라는 의미를 가진 안사르는 초기 이슬람 공동체인 움마의 형성과 안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집과 재산을 무하지룬과 나누며 이슬람 공동체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이슬람 역사에서 이타주의와 희생정신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무함마드는 안사르와 무하지룬 사이의 형제 관계를 맺어주며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했다.
안사르의 헌신적인 지원은 무함마드가 메디나에서 정치적, 종교적 기반을 확립하고 이후 이슬람 세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바드르 전투를 비롯한 초기 이슬람의 여러 전투에서 안사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공동체를 수호했다.
이처럼 안사르는 단순히 초기 이슬람의 지지 세력을 넘어, 공동체 통합과 발전의 핵심 동력이었으며, 오늘날에도 이슬람 문화권에서 환대와 연대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참조
[1]
기타
2019
[2]
기타
1993
[3]
기타
1899
[4]
서적
Sirah ibn Hisham
https://books.google[...]
Qisthi Press
2021-12-06
[5]
기타
2019
[6]
서적
Sahabat-sahabat Rasulullah: chapter Sa'd ibn Abi Waqqas
https://books.google[...]
Pustaka Ibnu Katsir
2021-11-28
[7]
기타
2004
[8]
기타
1990
[9]
서적
The sealed nectar: biography of the Noble Prophet
https://books.google[...]
Darussalam Publications
2005
[10]
웹사이트
List of Battles of Muhammad
http://military.hawa[...]
2014-10-04
[11]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 10: The Conquest of Arabia: The Riddah Wars A.D. 632-633/A.H. 11
https://books.google[...]
[12]
서적
Golden Stories of Accepted Prayers By Abdul Malik Mujahid
https://books.google[...]
[13]
문서
Tarikh Baghdad
[14]
서적
Literary Criticism in Medieval Arabic-Islamic Culture: The Making of a Tradition By Wen-chin Ouyang
https://books.google[...]
[15]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 26: The Waning of the Umayyad Caliphate Footnote by W. Montgomery Watt
https://books.google[...]
[16]
서적
The Religious Elite of the Early Islamic Ḥijāz: Five Prosopographical Case Studies by Asad Q. Ahmed
https://books.google[...]
[17]
웹사이트
Imamate: The Vicegerency of the Prophet
http://www.al-islam.[...]
Ahlul Bayt Digital Islamic Library Project
2014-02-07
[18]
웹사이트
Narrators of Hadith al Thaqalayn From Among the Sahabah
http://www.al-islam.[...]
Ahlul Bayt Digital Islamic Library Project
2014-02-07
[19]
웹사이트
A Restatement of the History of Islam and Muslims, Umar bin al-Khattab, the Second Khalifa of the Muslims
http://www.al-islam.[...]
Ahlul Bayt Digital Islamic Library Project
2014-02-07
[20]
웹사이트
Al-Bara' ibn Malik Al-Ansari: Allah & Paradise
http://www.islamonli[...]
IslamOnline
[21]
웹사이트
The life of Rufaydah Al-Aslamiyyah
http://www.islamweb.[...]
Islamweb
2014-02-07
[22]
서적
Muhammad at Medina
Oxford
1966
[23]
웹사이트
Letter 80
http://al-islam.org/[...]
A Shi'i-Sunni dialogue
2014-02-07
[24]
웹사이트
Seventh Session, Wednesday Night, 29th Rajab 1345 A.H.
http://www.al-islam.[...]
Peshawar Nights
2014-02-07
[25]
Hadith
[26]
웹사이트
253. Chapter: The miracles of the friends of Allah and their excellence
http://www.sunnipath[...]
Qibla
[27]
서적
History of the Caliphs
[28]
웹사이트
Seventh Session, Wednesday Night, 29th Rajab 1345 A.H.
http://www.al-islam.[...]
Peshawar Nights
2013-01-26
[29]
서적
The sealed nectar: biography of the Noble Prophet
https://books.google[...]
Darussalam Publications
2005
[30]
웹사이트
List of Battles of Muhammad
http://military.hawa[...]
[31]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 10: The Conquest of Arabia: The Riddah Wars A.D. 632-633/A.H. 11
https://books.google[...]
[32]
서적
Golden Stories of Accepted Prayers By Abdul Malik Mujahid
https://books.google[...]
[33]
문서
Tarikh Baghdad
[34]
서적
Literary Criticism in Medieval Arabic-Islamic Culture: The Making of a Tradition By Wen-chin Ouyang
https://books.google[...]
[35]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 26: The Waning of the Umayyad Caliphate Footnote by W. Montgomery Watt
https://books.google[...]
[36]
서적
The Religious Elite of the Early Islamic Ḥijāz: Five Prosopographical Case Studie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