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룰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룰림은 수메르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전통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왕으로 여겨진다. 에리두에서 통치했으며,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28,800년 동안 재위했다. 알룰림은 허구의 인물로 간주되며, 그의 이름은 "붉은 사슴의 뿔" 또는 "붉은 사슴의 씨앗"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에리두 창세기'에서는 알룰림이 인류 최초의 목자이자 문명의 발전을 이끈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룰림 | |
---|---|
기본 정보 | |
왕 | 왕 |
왕 (원어) | (𒈗; 음역: }}}) |
언어 | 수메르어 |
이름 | |
음역 | }} |
통치 정보 | |
직함 | 왕 |
계승자 | 알라르가르 |
기타 | |
언급된 텍스트 | 수메르 왕 목록 |
![]() |
2. 이름
알룰림의 이름은 쐐기 문자로 ''A2-lu-lim'' 또는 ''A-lu-lim''으로 기록되었으며, 수메르어에서 첫 번째 기호에 따라 "붉은 사슴의 뿔" 또는 "붉은 사슴의 씨앗"으로 번역될 수 있다. 다른 철자인 Alulu는 ''A-lu-lu''로 표기되었으며, 아카드어화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우루크 왕과 현자의 목록'' (압칼루 아다파와 쌍을 이룸)에서 알려진 아야루라는 이름은 ''A-a-lu''로 쓰여 있는데, 부분적으로 동음이의어인 단어 ''ayyalu''('사슴' 또는 '수사슴')에 의존한 재해석의 결과로 나타난 또 다른 변형으로 보인다.
알룰림은 아시리아학자들에 의해 허구의 인물로 여겨진다.[1] 주로 전설적인 고대 통치자들의 목록에 언급된다.[3] 전통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왕으로 여겨졌으며,[4] 그의 통치는 신화적인 대홍수 이전으로 설정되었다.[5] 알려진 모든 자료에는 그가 에리두에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는데,[4] 이는 에리두를 특별한 상징적 중요성을 지닌 도시로 인식했음을 반영한다.[1] 그의 통치는 초자연적으로 긴 것으로 묘사되었다.[7]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알룰림은 28,800년 동안 통치했다.[4]
알룰림이라는 이름은 초기 왕조 시대 (메소포타미아) 자료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된 적도 없다.
3. 통치
알룰림의 치세는 후대에 이상적인 시대로 여겨졌으며, "에리두의 성스러운 율법을 지키는 자"라는 칭호도 사용되었다. 기원전 3세기 바빌로니아의 신관 베로소스가 그리스어로 저술한 『바빌로니아사』에는 재위 기간이 36,000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William W. Hallo는 알룰림을 셋 계보의 에노스와 동일시했고, 알룰림의 이름이 "수사슴"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5] William H. Shea는 알룰림이 성서의 아담과 동시대 인물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아다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6]
알룰림의 긴 통치 이후 알랄가르가 왕이 되었다.
3. 1. 에리두 창세기
2018년에 처음 출판된 우르에서 발견된 에리두 창세기 점토판에는 알룰림의 임명이 묘사되어 있다.[2]
(앞면)
:1. 그들(주신)은 인류를 창조했다.
:2. (동물/해충?)이 땅 아래/에서 일제히 번식한 후
:3. 그들은 스텝(에덴-나)에 적합한 가축과 네 발 달린 동물을 만들었다.
:4. 높은 스텝에서... 기쁨을 주는 식물들이 널리 퍼져 있다.
:5. 그 당시, 운하는 파지지 않았다...
:6. 제방과 도랑은 [준설되지 않았다(?) ...].
:7. 황소... 쟁기/농부/골(?) ...
:8. 땅... 단일 트랙...
:9. 인류... 그들의 눈/얼굴... [비?].
:10. 샤칸/슈무간은 사막에서 [나가지 않았다(?)] ...
:11. 모자/머리덮개를 짰다(?) ...
:12. 인류...
:13. 그 당시에 뱀은 없었고, [전갈도 없었다...].
:14. 사자는 없었고, [하이에나도 없었다...].
:15. 개와 늑대는 없었다...
:16. 인류는 [적대자가 없었다...].
:17. 공포와 [소름(?)은 없었다...].
:18. ...
:19. 왕...
:20. ...
(뒷면)
:1. 첫 번째... [에리두 또는 쿠아라?]를 아살루히에게 주었고,
:2. 두 번째... [바드-티비라를 누기그 산파에게?] 주었고,
:3. 세 번째... [라라크[를 파빌사그에게 주었고,
:4. 네 번째... [시파르를 우투에게?] 주었고
:5. 다섯 번째... 슈[루파크?]를 [수드?]에게 주었다.
:6. 그 도시들.. 그들의 정착지...
:7. 안, 엔릴, [엔키?] 그리고 닌후르사그
:8. 그 도시들 중에서 에리두... 그들은 선두/지도자로 세웠다(?)
:9. 그들은 광대하고 많은 사람들 사이에 누워있는(?) 사람을 이끌었다...
:10. 안, 엔릴, 그리고 엔키, 신들의 아버지(?)
:11. 그들은 많은 사람 전체를 돌보는 자로 알룰림/ "붉은 사슴의 씨앗"을 선택했다.
:12. 그들은 그를(!) 알룰림/ "붉은 사슴의 씨앗"이라고 불렀다...
:13. 그들이 명령에 따라 그와 같이/영원히 검사를 수행한 후에(?)
:14. [그리하여?] 이름을 가진 인류는 그의 발을 잡고 (복종하며)/그의 길을 따랐다(?)
:15. 그들은 (수도) 범죄와 죄(?)를 그의 손에 넣었다.
:16. ... 그에게 주었다
:17. ...
:18. ...
이것은 왕권의 제도에 대한 기원담으로 해석되었으며, 최초의 통치자는 아직 동물적인 초기 인류의 목자 역할을 하도록 인류 중에서 선택되어 인류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이 텍스트에서 알룰림의 임명을 담당한 신들은 안, 엔릴과 엔키이며, 그들은 또한 그의 이름을 그에게 부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제레미아 피터슨은 이 구절의 문법이 그를 인간으로 지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는 이 맥락에서 알룰림이 개인의 이름이 아니라 통치자 역할을 하도록 선택된 존재에 대한 묘사에 불과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고 지적한다.
3. 2. 기타 기록
''초기 통치자들의 발라드''에서 알룰림은 에타나, 길가메시, 지우스드라 등과 함께 유명한 고대 인물 중 하나로 나열된다.[2] 이 발라드는 구 바빌로니아 시대에 서기들이 남부에서 북부로 이주한 시기에 작곡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유머러스한 맥락에서 전설적인 인물들을 언급하며 현재의 즐거움을 찾을 필요성을 설명하는 술 노래와 비슷하다.
신 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의 해충에 대한 부적에서 알룰림은 "대홍수 이전의 왕"으로 인정되며, 곤충의 창조주로도 언급된다.[2] 그는 지팡이로 곤충을 몰아내는 능력을 가졌으며, 네르갈의 밭에서 제초 작업을 담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곤충을 쫓아내는 일은 보통 닌킬림과 엔누기의 역할이었기 때문에, 알룰림이 어떻게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부적에는 알룰림이 우유, 기, 맥주는 좋아했지만 곡물을 의미하는 "여왕 니사바"는 싫어했다는 내용도 있다.
후기 전통에서는 아파다가 알룰림의 재상으로 언급된다.[2] 아파다는 왕에게 지혜를 제공하는 현자로 여겨졌다. 알룰림과 아파다의 관계는 헬레니즘 시대의 통치자와 현인의 목록, 그리고 술탄테페에서 발견된 "서기 서신"의 관례를 따르는 편지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다른 전통에서는 아파다가 또 다른 신화적 왕인 엔메르카르 시대에 활동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4. 다른 신화적 인물과의 관계
에크하르트 프람은 알룰림의 이름의 대체 형태인 알룰루의 모음 패턴이 파주주의 이름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잠정적으로 제안했다.[4] 메리 R. 바치바로바는 후르리 신화의 알랄루가 알룰림과 유사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수메르 왕 목록''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시한다.[5] 윌리엄 W. 할로는 알룰림을 반인반어의 압칼루와 관련짓고, 성경의 셋 계보에서 알룰림과 에노스의 동등성을 시사한다.[6] William H. Shea는 알룰림이 성경의 아담과 동시대 인물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아다파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7]
5. 후대의 영향
알룰림의 이름은 그리스어 버전인 알로로스(Ἄλωροςgrc)로 베로수스의 ''바빌로니아카''에 등장한다.[4] 베로수스는 알로로스가 36000년 동안 통치했고 알라파로스(αλαπαροςgrc), 즉 알알가르의 변형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그 뒤를 이었다고 기록했다. 그의 저술은 안니아누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유헤메리즘화되었는데, 그는 그의 설명을 에녹과 관련된 전통과 창세기 6장과 결합했다. 그의 저술은 아부 마샤르 알발키와 알 비루니의 ''카눈''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민하즈-이 시라즈 주즈자니의 타바카트-이 나시리 (1259-1260년에 쓰여짐)에서 인용되었으며, 여기서 알로로스의 파생어인 아일루루스(الوروسar)는 거인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첫 번째 왕으로 제시된다. 주즈자니는 그를 가유마르트와 동일시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CDLI Literary 000357, ex. 003 (P346146)
https://cdli.mpiwg-b[...]
[2]
웹사이트
CDLI Literary 000357, ex. 003 (P346146)
https://cdli.mpiwg-b[...]
[3]
논문
Une version Sumérienne de la légende d’Adapa (Textes de Tell Haddad X)
2014
[4]
서적
Writing and the Ancient State: Early China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2-05
[5]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A History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1971
[6]
웹사이트
Adam in Ancient Mesopotamian Traditions
http://www.auss.info[...]
2020-04-29
[7]
웹사이트
CDLI Literary 000357, ex. 003 (P346146)
https://cdli.mpiwg-b[...]
[8]
논문
The divine appointment of the first antediluvian king: Newly recovered content from the ur version of the Sumerian Flood Story
https://www.academia[...]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