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폰소 사모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폰소 사모라는 멕시코의 권투 선수로, 1972년 뮌헨 올림픽 밴텀급 은메달리스트이다. 1973년 프로 데뷔 후, 1975년 홍수환을 KO로 꺾고 WBA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하여 5차 방어에 성공했다. 2005년 세계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프로 통산 33승(32KO) 5패의 전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남자 권투 선수 - 리카르도 델가도
    리카르도 델가도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생애, 1968년 멕시코 올림픽 활동, 참가 배경, 경기 결과, 의미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기술할 수 없습니다.
  • 멕시코의 남자 권투 선수 - 후안 마누엘 마르케스
    후안 마누엘 마르케스는 멕시코 출신의 프로 복싱 선수로, 매니 파퀴아오와의 대결로 유명하며 여러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을 지냈고 2017년에 은퇴했다.
  • 멕시코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마리아 에스피노사
    마리아 에스피노사는 2003년 범아메리카 청소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와 팬아메리카 게임 금메달, 올림픽에서 금, 은, 동메달을 모두 획득하며 멕시코 여성 최초 3회 올림픽 메달리스트이자 멕시코 태권도의 간판스타로 자리매김한 태권도 선수이다.
  • 멕시코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아이다 로만
    아이다 로만은 2012년 런던 올림픽 양궁 여자 개인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멕시코 최초의 여성 올림픽 양궁 메달리스트가 된 멕시코의 양궁 선수이다.
알폰소 사모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6년 사모라 대 홍수환 경기 중인 사모라
1976년 10월 16일 홍수환과 경기 중인 사모라
본명알폰소 사모라 키로스
별칭엘 토로
출생일1954년 2월 9일
출생지멕시코 멕시코시티
신장163cm
체급밴텀급
스탠스오소독스
리치173cm
올림픽 메달
메달메달 나라:
메달 스포츠: 남자 복싱
메달 경기: 올림픽
은메달: 1972 뮌헨|-54kg
프로 복싱 전적
총 경기 수38
승리33
KO승32
패배5
무승부null
무효 경기null

2. 생애

멕시코시티 출신으로, 1972년 하계 올림픽에 멕시코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필리핀의 리카르도 포르탈레사를 비롯한 여러 선수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쿠바오를란도 마르티네스에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73년 프로 선수로 데뷔, 1975년 3월 14일에 대한민국홍수환을 4회 KO로 꺾고 WBA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5차 방어까지 성공했다.[2]

2005년 세계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1. 아마추어 경력

멕시코시티 출신으로, 아마추어 시절 54승 45KO, RSC 1패의 전적을 기록했다. 1972년 17세의 나이로 1972년 뮌헨 올림픽 밴텀급에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72년 하계 올림픽 밴텀급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상대 선수결과비고
리카르도 포르탈레자(필리핀)KO 2 승
스테판 포스터(서독)판정승
후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스페인)KO 3 승
리카르도 카레라스(미국)판정승
오를란도 마르티네스(쿠바)판정패결승전


2. 2. 프로 경력

1973년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2] 프로 데뷔전은 1973년 4월 16일, 2회 KO승을 거두었다. 1974년 7월 9일에는 일본 밴텀급 챔피언 우치야마 신타로에게 6회 KO 승을 거두었다.

1975년 3월 14일, 20전 전 KO 승이라는 기록으로 WBA 세계 밴텀급 챔피언 홍수환과 대결, 4회에 KO승을 거두며 밴텀급 사상 최연소 기록으로 챔피언이 되었다.[2] 이후 챔피언 자리를 5차까지 방어했다.

방어전상대 선수국적결과날짜장소
1차타놈치트 스코타이ถนอมจิต สุโขทัย|타놈칫 수코타이th4회 KO승1975년 8월 3일멕시코
2차소크라테스 베토토Socrates Betoto|소크라테스 바토토영어2회 KO승1975년 12월 6일멕시코
3차에우세비오 페드로사Eusebio Pedroza|에우세비오 페드로사es2회 KO승1976년 4월 3일멕시코 멕시칼리
4차힐베르토 이류에카Gilberto Illueca|힐베르토 일루에카es3회 KO승1976년 7월 10일미국 로스앤젤레스
5차홍수환홍수환|홍수환한국어12회 TKO승1976년 10월 16일대한민국 부산



1977년 4월 23일, WBC 세계 밴텀급 챔피언 카를로스 사라테와 논타이틀전을 가졌으나, 4회 TKO패를 당했다. 이 패배를 기점으로 사모라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977년 11월 19일, 여섯 번째 방어전에서 호르헤 루한에게 10회 KO 패배를 당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었다.

1978년 10월 26일, 알베르토 산도발 (미국)에게 8회 KO 승을 거두었다.

1979년 7월 22일, 후안 알바레스 (멕시코)와의 대결에서 5회 반칙패를 당했다.

1979년 11월 16일, WBC 세계 밴텀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에디 로건 (미국)에게 9회 TKO패를 당했다.

1980년 9월 19일, 3회 KO 패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2. 3. 카를로스 사라테와의 대결

WBC 밴텀급 챔피언 카를로스 사라테 세르나와의 대결은 피할 수 없었다. 1977년 4월 23일 논타이틀 경기로 진행된 이 대결에서 사모라는 29전 전승(모두 KO승), 사라테는 45전 전승(44KO)이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경기 초반부터 맹렬한 난타전이 벌어졌으나, 펀치 정확성과 방어에서 앞선 사라테가 점차 경기를 지배했다. 3라운드 종료 직전 사모라는 콤비네이션 공격을 허용하며 첫 다운을 당했고, 4라운드 시작과 동시에 다시 다운되며 일방적으로 경기가 흘러갔다. 결국 세 번째 다운을 당했을 때, 사모라의 세컨드였던 알폰소 사모라 시니어가 수건을 던져 경기는 TKO로 끝났다. 이로써 사모라는 30번째 경기에서 첫 패배를 기록했다. 경기 시작 직후 속옷 차림의 남자가 링에 난입하고, 경기 종료 후 양측 진영 간 난투극이 벌어지는 등 여러 사건이 있었다.[3]

이 패배는 사모라에게 큰 영향을 미쳐, 이후 그의 복싱 경력은 하락세를 걷게 되었다.

2. 4. 쇠퇴와 은퇴

카를로스 사라테 세르나와의 논타이틀 경기에서 패배한 후, 사모라는 이전의 기량을 회복하지 못한 듯했다. 1977년 4월 23일에 열린 이 경기에서 사모라는 4라운드에 기술적 KO패를 당했다.[3] 이는 당시 29전 29승(모두 KO승)을 기록했던 사모라에게는 첫 패배였다. 반면 사라테는 45전 45승(44KO)라는 놀라운 기록을 이어갔다. 이 경기는 시작 직후 속옷 차림의 남자가 링에 난입하여 일시 중단되었고, 경기 종료 후에는 양측 진영 간의 난투극이 벌어지는 등 여러 해프닝이 있었다.

이후 1977년 11월 19일, 호르헤 루한과의 경기에서 10라운드 KO패를 당하며 린니얼 및 WBA 밴텀급 타이틀을 잃었다.[4] 1979년 7월 22일, 후안 알바레스 와의 대결에서는 5회에 반칙으로 인해 알바레스가 경기 속행 불가능하게 되자, 사모라의 반칙 패가 선언되었다. 1979년 11월 16일에는 WBC 세계 밴텀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에디 로건에게 6회에 먼저 다운을 빼앗았지만, 8회에 두 번이나 다운을 당했고, 9회에 심판이 경기를 중단시켜 연패를 기록했다.

결국 1980년 9월 19일, 리고베르토 에스트라다에게 3회 KO패를 당하며 5번째 패배를 기록했고,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26세의 젊은 나이에 은퇴했다. 1983년 윌프레도 고메스와의 경기가 추진되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 성사되지 않았다.

사모라는 KO를 노리는 공격적인 선수였지만, 사라테에게 패한 후 자신감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링''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펀처 100인 중 47위에 올랐다. 그의 최종 전적은 33승(32KO) 5패였다.

3. 명예의 전당

2005년 세계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 '''아마추어'''
  • * 1972년 뮌헨 올림픽 밴텀급 은메달
  • '''프로'''
  • * WBA 세계 밴텀급 왕좌 (5차 방어)

4. 평가

알폰소 사모라는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프로로 전향 후에는 WBA 밴텀급 챔피언에 올라 5차 방어까지 성공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이러한 활약을 인정받아 2005년 세계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5. 전적

알폰소 사모라는 멕시코시티 출신으로, 아마추어 시절 54승(45KO, RSC) 1패의 뛰어난 전적을 기록했다. 1972년 17세의 나이로 1972년 뮌헨 올림픽 밴텀급에 멕시코 국가대표로 참가했다.[1]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필리핀의 리카르도 포르탈레사(2라운드 KO), 서독의 슈테판 포르스터(3라운드 판정), 스페인의 후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3라운드 KO), 미국의 리카도 카레라스(3라운드 판정)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쿠바오를란도 마르티네스에게 판정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72년 뮌헨 올림픽
체급라운드승패내용상대국적
밴텀급1회전2RKO리카르도 포르탈레사필리핀
2회전3R 판정슈테판 포르스터서독
3회전3RKO후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스페인
준결승3R 판정리처드 카레라스미국
결승3R 판정오를란도 마르티네스쿠바



1973년 프로 선수로 데뷔했으며, 1975년 3월 14일 대한민국홍수환을 4회 KO로 물리치고 WBA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5차 방어에 성공했다. 프로 통산 전적은 38전 33승(32KO) 5패이다.

5. 1. 프로 전적

번호결과전적상대타입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3833-5리고베르토 에스트라다esTKO3 (10)1980년 9월 19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오디토리움
3733-4멜빈 존슨영어KO3 (10)1980년 7월 17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오디토리움
3632-4에디 로건영어TKO7 (10)1979년 11월 16일 잉글우드 더 포럼
3532-3후안 알바레스es실격5 (10)1979년 7월 22일 산루이스포토시
3432-2루이스 로사리오es판정승101979년 1월 18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3331-2알베르토 산도발esTKO8 (10)1978년 10월 26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오디토리움
3230-2엑토르 메디나esKO6 (10)1978년 6월 23일 소노라 주 오브레곤시
3129-2호르헤 루한esKO10 (15)1977년 11월 19일 로스앤젤레스 스포츠 아레나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상실
3029-1카를로스 사라테 세르나esTKO4 (10)1977년 4월 23일 잉글우드 더 포럼
2929-0알레한드로 오레헬esKO2 (10)1977년 2월 12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2828-0홍수환TKO12 (15)1976년 10월 16일 인천 선인체육관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방어
2727-0칸디도 산도발esKO3 (10)1976년 9월 5일 두랑고 주 고메스 팔라시오
2626-0길베르토 일루에카esKO3 (15)1976년 7월 10일 치와와 주 후아레스 몬누멘탈 투우장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방어
2525-0에우세비오 페드로사KO2 (15)1976년 4월 3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멕시칼리 칼라피아 투우장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방어
2424-0소크라테스 바토토tlKO2 (15)1975년 12월 6일 멕시코 연방구 멕시코 시티 몬누멘탈 투우장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방어
2323-0타놈치트 수코타이thTKO4 (15)1975년 8월 30일 애너하임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방어
2222-0호르헤 토레스esTKO9 (10)1975년 6월 2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2121-0홍수환KO4 (15)1975년 3월 14일 잉글우드 더 포럼WBA, The Ring, 린니얼 밴텀급 타이틀 획득
2020-0타니 아마시오tlKO4 (10)1975년 2월 4일 타마울리파스 주 비토리아
1919-0호세 안토니오 로사esTKO3 (10)1974년 11월 23일 잉글우드 더 포럼
1818-0프란시스코 비예가스esKO2 (10)1974년 10월 5일 치와와 주 후아레스 몬누멘탈 투우장
1717-0아드리안 사판타tlKO1 (10)1974년 8월 31일 누에보레온 주 몬테레이 몬누멘탈 투우장
1616-0우치야마 신타로일본어KO6 (10)1974년 7월 9일 잉글우드 더 포럼
1515-0라울 티라도esTKO2 (10)1974년 5월 25일 멕시코 연방구 멕시코 시티 스포츠 궁전
1414-0세사르 오르도네스esKO3 (10)1974년 5월 7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1313-0페드로 이바네스esKO2 (10)1974년 4월 17일 타마울리파스 주 마타모로스
1212-0테츠로 카와카미일본어KO3 (10)1974년 3월 31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멕시칼리
1111-0펠릭스 카스트로esTKO3 (10)1974년 2월 24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멕시칼리
1010-0호세 마누엘 라라esKO2 (8)1974년 1월 23일 게레로 주 시우아타네호
99-0살바도르 로사노esKO9 (10)1973년 12월 11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88-0훌리오 로메로esKO2 (8)1973년 10월 30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77-0토르틸로 아르멘타esKO2 (8)1973년 10월 10일 누에보레온 주 몬테레이 몬누멘탈 투우장
66-0크루즈 베가esKO3 (8)1973년 9월 15일 누에보레온 주 몬테레이 몬누멘탈 투우장
55-0빅토르 플라센시아esKO1 (8)1973년 8월 21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44-0식스토 에스케다esKO1 (6)1973년 7월 8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수르 주 라파스
33-0후안 라몬 페레즈esKO2 (6)1973년 6월 25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수르 주 라파스
22-0안토니오 엔리케스esTKO3 (10)1973년 6월 2일 바하칼리포르니아 수르 주 라파스
11-0에라클리오 아야esKO2 (6)1973년 4월 16일 산루이스포토시


  • 1973년 4월 16일, 프로 데뷔하여 2회 KO승을 거두었다.
  • 1974년 7월 9일, 일본 밴텀급 챔피언 우치야마 신타로일본어에게 6회 KO승을 거두었다.
  • 1975년 3월 14일, 20전 전 KO승의 완벽한 기록으로 WBA 세계 밴텀급 챔피언 홍수환과 대결, 4회에 KO승을 거두며 밴텀급 사상 최연소(20세) 챔피언이 되었다.
  • 1975년 8월 3일, 첫 방어전에서 타놈치트 수코타이th(태국)에게 4회 TKO승을 거두었다.
  • 1975년 12월 6일, 소크라테스 베토토tl (필리핀)와의 두 번째 방어전에서 2회 KO승을 거두었다.
  • 1976년 4월 3일, 세 번째 방어전에서 에우세비오 페드로사 (파나마)에게 2회 KO승을 거두었다.
  • 1976년 7월 10일, 길베르토 이류에카es (파나마)를 상대로 네 번째 방어전을 치러 3회 KO승을 거두었다.
  • 1976년 10월 16일, 다섯 번째 방어전에서 전 챔피언 홍수환을 12회 TKO로 꺾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에서 열렸는데, 심판 판정에 불만을 품은 관중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소동이 벌어졌다.
  • 1977년 4월 23일, WBC 세계 밴텀급 챔피언 카를로스 사라테es와 논타이틀전을 가졌으나 4회 TKO패를 당하며 첫 패배를 기록했다.
  • 1977년 11월 19일, 여섯 번째 방어전에서 호르헤 루한es에게 10회 KO패를 당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었다.
  • 1978년 10월 26일, 알베르토 산도발es (미국)에게 8회 KO승을 거두었다.
  • 1979년 7월 22일, 후안 알바레스es (멕시코)와의 대결에서 5회 반칙패를 당했다.
  • 1979년 11월 16일, WBC 세계 밴텀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에디 로건영어 (미국)에게 9회 TKO패를 당했다.
  • 1980년 9월 19일, 리고베르토 에스트라다es에게 3회 KO패를 당한 후 은퇴했다.
  • 2005년, 세계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총 전적은 38전 33승(32KO) 5패이다.

5. 2. 아마추어 전적

멕시코시티 출신으로, 아마추어 시절 54승(45KO, RSC) 1패의 전적을 기록했다. 1972년 17세의 나이로 1972년 뮌헨 올림픽 밴텀급에 멕시코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필리핀의 리카르도 포르탈레사 (2라운드 KO), 서독의 슈테판 포르스터 (3라운드 판정), 스페인의 후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3라운드 KO), 미국의 리카도 카레라스 (3라운드 판정)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쿠바오를란도 마르티네스에게 판정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72년 뮌헨 올림픽
체급라운드승패내용상대국적
밴텀급1회전2RKO리카르도 포르탈레사필리핀
2회전3R 판정슈테판 포르스터서독
3회전3RKO후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스페인
준결승3R 판정리처드 카레라스미국
결승3R 판정오를란도 마르티네스쿠바


참조

[1] 웹사이트 Alfonso Zamora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Alfonso Zamora - Lineal Bantam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3] 웹사이트 HOW TO GET ZAPPED AND STILL BE A CHAMP https://vault.si.com[...] Sports Illustrated 2022-10-10
[4] 웹사이트 Two Panamanians will battle it out for the WBA...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2-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