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앞어금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앞어금니는 사람의 영구치 중 송곳니 뒤에 위치하며,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두 개씩 존재한다. 작은어금니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교두와 한 개 또는 두 개의 뿌리를 가지며,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발치되기도 한다. 다른 포유류와 비교했을 때, 인간의 앞어금니는 진수류의 앞어금니 중 일부가 소실된 형태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 (몸) - 상아
    상아는 코끼리, 매머드, 하마 등의 동물 엄니나 이빨로 만들어진 재료로, 장신구, 공예품 등에 사용되었으나 코끼리 개체 수 감소로 국제적으로 거래가 제한되고 대체재가 개발되고 있다.
  • 이 (몸) - 어금니
  • 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생물학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앞어금니
개요
영구치 (오른쪽에서 본 모습)
영구치 (오른쪽에서 본 모습)
오른쪽 아래 치아궁의 영구치 (위에서 본 모습)
오른쪽 아래 치아궁의 영구치 (위에서 본 모습)
라틴어dentes premolares
세부 정보

2. 해부학적 특징

사람의 앞어금니는 위턱 첫 번째 작은 어금니, 위턱 두 번째 작은 어금니, 아래턱 첫 번째 작은 어금니, 그리고 아래턱 두 번째 작은 어금니의 네 종류가 있다. 앞어금니는 영구치로서, 송곳니의 원위(뒤쪽)에 위치하며, 젖니 어금니가 빠진 자리에 난다.

사람은 위턱과 아래턱의 좌우에 각각 첫 번째 작은어금니와 두 번째 작은어금니, 총 8개의 작은어금니를 가지고 있다.[7] 작은어금니는 일반적으로 씹는 면에 두 개의 교두(cusp)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7][8] 젖니 시기에는 영구치 작은어금니에 해당하는 유구치가 존재한다.[7]

2. 1. 형태

작은어금니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주요 교두(cuspeng)를 가지며, 이 때문에 이두치(二頭齒)라고도 불린다.[7][8] 이 교두들은 볼쪽의 협측 교두와 혀쪽의 설측 교두(위턱의 경우 구개측 교두)로 나뉘며, 두 교두 사이는 근원심 교합 열구로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협측 교두가 설측 교두보다 크다.

사람의 경우, 송곳니 뒤와 어금니 앞에 위치하며, 위턱과 아래턱의 좌우에 각각 첫 번째 작은어금니와 두 번째 작은어금니가 하나씩 있어 총 8개가 존재한다.[7] 작은어금니는 젖니가 빠진 자리에 나는 영구치이다.

전체적인 형태를 보면, 위턱 작은어금니는 사다리꼴 모양을 띠고, 아래턱 작은어금니는 마름모꼴 모양이다.

아래턱의 작은어금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아래턱 첫 번째 작은 어금니: 협측 교두가 특히 크고 두드러진다.[7]
  • 아래턱 두 번째 작은 어금니: 대부분 두 개의 설측 교두를 가진다.[7]


치아 뿌리의 경우, 아래턱 작은어금니와 위턱 두 번째 작은어금니는 보통 하나의 뿌리를 가진다. 반면, 위턱 첫 번째 작은어금니는 보통 두 개의 뿌리를 가지지만, 신노돈트 특징을 가진 경우 하나의 뿌리만 가질 수도 있으며, 드물게는 세 개의 뿌리를 가지기도 한다.[1][2]

진화적으로 볼 때, 초기 진수류 포유류는 4쌍(총 16개)의 작은어금니를 가졌으나, 신세계원숭이, 유인원, 인간으로 진화하면서 안쪽의 두 쌍이 사라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이유로 고생물학자들은 인간의 첫 번째 작은어금니를 Pm3, 두 번째 작은어금니를 Pm4로 표기하기도 한다.

3. 치아 교정

앞어금니 4개는 치아 교정 치료 시 치아를 뽑아야 할 때 가장 흔하게 선택되는 치아이다. 전체 교정 환자 중 발치가 필요한 경우(45.8%) 가운데 48.8%가 앞어금니를 발치한다. 상악(위턱)의 첫 번째 앞어금니만 발치하는 것이 두 번째로 흔하며(14.5%),[4] 이러한 앞어금니 발치 교정 방법은 1940년대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그러나 발치 후 치열이 뒤로 밀리면서 얼굴 모습이 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초기부터 교정학계에서 큰 논란이 있었다. 이른바 '교정학의 대논쟁'이라 불리는 이 논란은 1990년대에 다시 커졌다. 발치 후 치열이 후퇴하면서 턱관절 장애(TMD)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같은 건강 문제가 생긴다는 환자들의 보고가 많았고, 실제 연구에서도 발치로 인해 목구멍 안쪽 공간(인두 기도)이 좁아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5] 이 논쟁은 현재까지도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에는 점점 더 많은 교정 전문의들이 앞어금니를 뽑지 않는 비발치 교정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미국에서는 발치 교정 비율이 약 25%까지 낮아졌다.

4. 다른 포유류와의 비교

원시적인 태반 포유류는 각 사분면에 4개씩, 총 16개의 앞어금니를 가졌다.[6] 그러나 협비원류 (구세계 원숭이와 유인원, 인간 포함)와 신세계원숭이에서는 입 앞쪽에 가까운 두 개의 앞어금니가 소실되었다.[6] 이 때문에 고생물학자들은 인간의 앞어금니를 Pm3와 Pm4라고 부른다.[6] 작은 어금니는 정의상 송곳니 뒤에 위치하며, 젖니가 빠진 자리에 맹출하는 영구치이다.

5. 관련 이미지

왼쪽 위턱뼈, 바깥 표면


두개골 기저, 내부 표면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E-Book: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
[2] 논문 A Common Variation in EDAR is a Genetic Determinant of Shovel-Shaped Incisors
[3] 서적 Oral anatomy, histology and embryology https://www.worldcat[...] Mosby/Elsevier 2009
[4] 논문 Frequency of orthodontic extraction 2016
[5] 논문 Effect of incisor retraction on three-dimensional morphology of upper airway and fluid dynamics in adult class I patients with bimaxillary protrusion https://pubmed.ncbi.[...] 2022-05-02
[6] 서적 The Anatomy and Biology of the Human Skeleton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8
[7] 웹사이트 歯の解剖学1・総論 https://ocw.hokudai.[...] 2024-08-18
[8] 웹사이트 歯の種類(歯種) http://www.gakkensho[...] 2024-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