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율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율배는 거란 태조 야율아보기의 장남으로, 916년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926년 발해가 멸망한 후 동란국을 통치했으나, 아버지 사후 황위 계승에 실패하고 동생 야율덕광이 황위에 오르자 후당으로 망명했다. 후당에서 이찬화라는 이름으로 회화군절도사 등을 역임했으나, 936년 석경당의 정변에 휘말려 암살당했다. 사후 아들 야율완에 의해 황제로 추존되었으며, 요나라 황통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야율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한풍명) | 야율배(耶律倍) |
휘 (거란명) | 야율돌욕(耶律突欲) |
출생 | 899년 |
사망 | 937년 1월 7일 |
사망 장소 | 뤄양 |
매장지 | 현릉 (顯陵, 현재의 랴오닝성 진저우시 베이전시) |
직위 | |
칭호 | 양국황제(讓國皇帝, 요 세종 추존), 문헌황제(文獻皇帝, 요 성종 추존), 문헌흠의황제(文獻欽義皇帝, 요 흥종 추존) |
묘호 | 의종(義宗) |
동란국 왕 | 926년 4월 4일 ~ 937년 1월 7일 |
연호 | 감로(甘露), 926년 ~ 936년 |
후계자 | 요 세종 |
요나라 황태자 | 916년 4월 6일 ~ 926년 4월 4일 |
후임자 | 요 흥종 야율종진 |
가족 | |
아버지 | 요 태조 |
어머니 | 술율평 황후 |
배우자 | 소단순황후(蕭端順皇后), 소유정황후(蕭柔貞皇后) |
자녀 | 요 세종 |
2. 생애
거란 야율아보기의 장남으로, 916년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926년 거란군이 발해 상경성을 함락하고 발해가 멸망하자, 상경성에 동란국을 세워 야율배가 통치하였다. 태조 사후 황태자였던 야율배가 황위에 올라야 했으나, 황태후 세력에 의해 동생인 야율덕광이 927년 황위에 올랐다.[5][7]
야율배는 요나라 건국 이전인 899년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야율 씨족 수장인 야율아보기였고, 어머니는 야율아보기의 부인인 술율평이었다. 《요사》에 따르면, 야율배는 총명하고 학문에 힘썼으며, 외모는 느긋하고 마음은 자애로웠다고 한다.[1]
916년, 야율아보기가 황제를 칭하고 거란족이 이끄는 새로운 제국을 선포하자, 야율배를 황태자로 삼았다. 야율배는 공자에게 제사 지낼 것을 주장하여 태조의 기쁨을 샀고, 공자 사당을 짓고 1년에 두 번씩 제사를 지내게 했다.[1]
이후 야율배는 태조를 따라 오고()와 탕구트족 토벌전에 선봉장으로 참여했다. 태조가 중국/사타족 국가 후진 영토를 침공했을 때, 야율배에게 수도인 임황부(臨潢, 현재 내몽골 자치구 츠펑)를 지키도록 했다. 이 시기에 야율배는 거란의 동쪽 이웃인 발해를 정복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고 전해진다.[1]
926년, 태조는 발해를 정복하고 옛 발해 영토에 동단국을 세웠으며, 야율배를 "인황왕"(人皇王)이라는 칭호와 함께 그 왕으로 삼았다. 그러나 태조는 부여를 정복한 직후 병에 걸려 사망했고, 술율평은 거란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되었다. 린황으로 돌아온 그녀는 야율덕광을 선호하여 야율배에게서 상속을 돌리려고 했다. 결국 야율덕광이 황제(요 태종)로 즉위했고, 분노한 야율배는 후당으로 도망치려 했지만 거란 국경 수비대에 의해 가로막혔다. 술율황후(당시 황태후)는 그를 처벌하지 않고 동단으로 보냈다.[5][7]
황태후에 대한 원망과 신변의 위협에 대한 불안이 컸던 야율배는 930년 동란국을 버리고 후당에 귀의하였다. 처음에 국명을 따서 동단씨로 하였으며 나중에 이씨, 이름은 모화(慕華)로 하사받았으나 후에 찬화로 바꾸었다. 또한 후당에서 회화군절도사(懷化軍節度使)와 활주(滑州), 건주(虔州) 등의 절도사(節度使)를 역임하였다. 936년 석경당의 정변에 휘말리면서, 후당 말제 이종가가 보낸 이언곤(李彦绅) 혹은 석경당 세력에 의해 암살되었다. 사후 아들 야율완에 의해 요나라로 운구되었고, 황제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후손이 요의 황통을 잇게 된다.
2. 1. 황위 계승 분쟁과 후당 망명
야율아보기가 916년 황태자로 책봉한 장자 야율배는 926년 발해가 멸망하고 세워진 동란국을 통치했다. 그러나 태조 사후 황태후의 세력에 밀려 동생 야율덕광이 927년 황위에 올랐다.[5][7]황태후에 대한 원망과 신변 위협을 느낀 야율배는 930년 동란국을 버리고 후당으로 망명했다. 그는 처음에 동단씨라는 성을 사용하다가, 이후 이씨 성과 모화(慕華)라는 이름을 하사받았으나, 후에 찬화로 바꾸었다. 후당에서 회화군절도사, 활주와 건주 등의 절도사를 역임하였다.[1]
태종은 야율배가 왕위를 되찾을까 의심하여 동란국의 수도를 동평(현재 중국 랴오닝성 랴오양시)으로 옮기고 발해 백성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또한 야율배를 감시하기 위해 경비병을 배치했다. 후당 명종의 권유로 야율배는 배를 타고 후당으로 망명, 930년 등주(현재 산둥성 옌타이시)에 도착했다.[1][8]
2. 2. 후당에서의 삶과 죽음
야율배는 930년 동란국을 떠나 후당으로 귀의했다. 후당 명종은 야율배를 환대하고 '동단모화(董丹慕華)'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가, 다시 '이찬화(李贊華)'로 바꾸어 불렀다.[1] 그는 후당에서 회화군절도사와 활주(滑州), 건주(虔州) 등의 절도사를 역임했다.[8]이찬화는 후당의 신하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거란에 있는 가족들과 계속 연락을 주고받았다.[9] 933년 명종 사후 민제가 즉위했고, 934년에는 이종가가 반란을 일으켜 민제를 폐위하고 황제가 되었다.[12][13] 이찬화는 형인 요 태종에게 후당을 침략할 기회라고 알렸으나, 태종은 즉각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1]
936년, 석경당이 후당에 반란을 일으키고 거란의 지원을 받자, 후당은 위기에 처했다. 이종가는 이찬화를 거란 황제로 내세워 요 태종을 견제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 결국 태종의 지원을 받은 석경당이 후진을 건국하고 뤄양으로 진격해오자, 이종가는 자결을 결심했다. 이찬화는 동참을 거부했고, 이종가가 보낸 이언곤(李彦紳중국어)에게 암살당했다.[1][2]
이찬화는 피를 마시는 것을 즐기는 등 잔혹한 면모를 보였지만, 점, 음악, 의학에 능통하고 거란어와 한어 모두에 능한 재능 있는 인물이기도 했다. 그는 특히 거란 사람과 사물을 그린 그림으로 유명했으며, 그의 작품은 훗날 송 황실에 소장되기도 했다.[1]
석경당은 뤄양 입성 후 이찬화를 애도하며 연왕(燕王)으로 추봉하고 시신을 거란으로 돌려보냈다.[1][2]
3. 황제 추존과 후손
요 세종은 아버지인 야율배를 양국황제(讓國皇帝)로 추존하였으며, 이후 시호를 변경하고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문헌흠의황제(文獻欽義皇帝)로 추존하였다.[12] 묘호는 의종(義宗), 능호는 현릉(顯陵)이다. 야율배의 초기 시호는 문무원황왕(文武元皇王)이었다.[12]
4. 가계
- '''조부''' : 덕조(德祖) 선간제(宣簡帝) 야율살랄적
- '''조모''' : 선간황후(宣簡皇后) 소암모근(蕭巖母斤)
4. 1. 부모
4. 2. 배우자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비고 |
---|---|---|---|---|---|---|
왕비(王妃) | 단순황후(端順皇后) | 소씨(蕭氏중국어) | [15] | (추존) | ? ~ 940년 | |
부인(夫人) | 유정황후(柔貞皇后) | 소씨(蕭氏중국어) | [16] | (추존) | ? ~ 951년? | [17] |
봉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부인(夫人) | 하씨(夏氏중국어) | 괵국부인(虢國夫人) | [18] | |
궁인(宮人) | 대씨(大氏중국어) | 발해 왕족. | ||
궁인(宮人) | 고씨(高氏중국어) |
야율배의 부인 소황후와 그의 장남인 야율완은 그를 따라 후당으로 가지 않았고, 소황후는 이후 940년 사망할 때까지 동단국을 계속 통치했다.[9] 야율배는 가장 아끼는 첩인 고씨 부인을 챙겨 배를 타고 후당으로 향했다.[1]
4. 3. 자녀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
1 | 영강왕(永康王) | 야율완 | 919년 ~ 951년 | 유정황후 소씨 | 제3대 황제 세종 | ||
2 | 야율누국(耶律婁國) | ? ~ 952년 | 유정황후 소씨 | [19] | |||
3 | 오왕(吳王) | 야율초(耶律稍) | 유정황후 소씨 | ||||
4 | 평왕(平王) | 야율융선(耶律隆先) | 궁인 대씨 | ||||
5 | 진왕(晉王) | 야율도은(耶律道隱) | ? ~ 983년 | 궁인 고씨 | [20] | ||
colspan="7" | |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1 | 공주(公主) | 야율아불리(耶律阿不里) | ? ~ 949년 | 소한 |
5. 평가
5. 1. 부정적 평가
야율배는 후궁과 하인들에게 잔혹하게 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피를 마시는 것을 좋아하여, 후궁들은 그가 마실 수 있도록 피를 흘리기 위해 자주 자해를 해야 했다. 하인들은 사소한 잘못으로도 눈이 뽑히거나, 칼로 베이거나, 불에 타는 등 심한 처벌을 받았다. 결국 하씨 부인은 이를 견디지 못하고 야율배와 이혼한 후 불교 승려가 되었다.[8]참조
[1]
서적
History of Liao
https://zh.wikisourc[...]
[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3]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Bo Yang Edition of the Zizhi Tongjian
0926
[7]
서적
History of Liao
[8]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9]
서적
History of Liao
https://zh.wikisourc[...]
[10]
서적
History of Liao
https://zh.wikisourc[...]
[11]
서적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1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4]
문서
도욕
[15]
문서
황태자비(皇太子妃)/동단왕비(東丹王妃)/인황왕비(人皇王妃)
[16]
문서
황태후(皇太后)
[17]
문서
세종 즉위 후에 황태후로 존봉.
[18]
문서
원래는 정실 왕비이나, 이혼하고 나서 불교의 비구니가 됨.
[19]
문서
목종 즉위 후에 폐서인 됨.
[20]
문서
촉왕(蜀王)/형왕(荆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