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얀코 루세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코 루세프는 불가리아의 역도 선수로,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5번의 세계 선수권 대회와 5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선수 경력 동안 36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93년에는 불가리아인 최초로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멘주 출신 - 젤류 젤레프
    젤류 젤레프는 불가리아의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민주세력연합의 의장을 맡아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불가리아의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철학자이다.
  • 슈멘주 출신 - 이반 이바노프 (역도 선수)
  • 일본에 거주한 불가리아인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는 CSKA 소피아와 FC 바르셀로나에서 맹활약하며 유러피언 골든 부츠, 라리가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1994년 FIFA 월드컵 득점왕, 발롱도르를 수상한 불가리아 출신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논란이 많은 감독이다.
  • 일본에 거주한 불가리아인 - 키릴 메트코프
    키릴 메트코프는 불가리아의 축구 선수로, 로코모티프 소피아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해 CSKA 소피아, 감바 오사카 등에서 활약하며 불가리아 리그와 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고,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다.
얀코 루세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의 얀코 루세프
2014년의 루세프
원어 이름Янко Русев
로마자 표기Yanko Rusev Rusev
출생일1958년 12월 1일
출생지슈멘 주 슈멘 시 이반스키
국적불가리아
직업역도 선수
활동 기간알 수 없음
종목역도
올림픽 메달
1980 모스크바67.5 kg 금메달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1977 슈투트가르트60 kg 은메달
1978 게티즈버그67.5 kg 금메달
1979 테살로니키67.5 kg 금메달
1980 모스크바67.5 kg 금메달
1981 릴75 kg 금메달
1982 류블랴나75 kg 금메달
1983 모스크바67.5 kg 은메달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1977 슈투트가르트60 kg 은메달
1978 하비로프67.5 kg 금메달
1979 바르나67.5 kg 금메달
1980 베오그라드67.5 kg 금메달
1981 릴75 kg 금메달
1982 류블랴나75 kg 금메달
1983 모스크바67.5 kg 은메달
친선 경기 메달
1984 바르나67.5 kg 금메달
친선 컵 메달
1978 모스크바67.5 kg 금메달
IWF 월드컵 파이널 메달
1980 마드리드67,5 kg 동메달
1982 할름스타드75 kg 동메달
IWF 월드컵 우승 메달
1981 빈75 kg 금메달
IWF 월드컵 메달
1981 아테네75 kg 금메달
1982 애틀랜틱 시티75 kg 금메달
1983 앨런타운75 kg 금메달
1984 부다페스트67,5 kg 금메달
세계 주니어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1978 아테네67,5 kg 금메달
1977 소피아67.5 kg 동메달
유럽 주니어 레슬링 선수권 대회 메달
1978 아테네67,5 kg 금메달
1977 소피아67.5 kg 동메달
발칸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1976 드라거샤니60 kg 금메달
1977 앙카라67,5 kg 금메달
1978 아테네67,5 kg 금메달
불가리아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1978 벨리코 터르노보67,5 kg 금메달
1979 소피아67,5 kg 금메달
1981 비딘75 kg 금메달
1982 바르나75 kg 금메달
1983 바르나75 kg 은메달

2. 생애

1958년 12월 1일 슈멘주 이반스키에서 태어났다. 1973년에 소피아의 올림픽 학교에 입학했을때 축구레슬링 훈련을 받았으나 당시 학교 역도부 코치인 이반 아바지에프의 권유로 역도를 시작했다.

19세때 불가리아 역도 국가대표로 처음 발탁되었고 1977년 3월에 소련 빌뉴스에서 열린 프렌드십컵을 통해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루세프는 이 대회 라이트급에서 285kg을 들어올렸고 소련의 세르게이 페브즈네르, 동독의 귄터 암브라스, 소련의 예두아르트 데르가초프의 뒤를 이어 4위에 올랐다. 같은 해 9월에 서독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페더급에서 용상 부문 세계 기록을 수립하고 총 277.5 kg를 들면서 소련의 니콜라이 콜레스니코프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8년 3월에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프렌드십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 6월에 체코슬로바키아하비르조프에서 열린 197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루마니아의 이오안 부타와 폴란드의 즈비그니에프 카치마레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같은 해 10월에 미국 게티즈버그에서 열린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폴란드의 카치마레크와 동독의 암브라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1979년 5월에는 자국 불가리아의 바르나에서 열린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동독의 요아힘 쿤츠와 암브라스를 꺾으며 두번째 유럽 선수권 우승을 달성했고, 같은 해 11월에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종합 세계 신기록을 세우면서 동독의 쿤츠와 중국야오징위안를 누르면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 5월에는 유고슬라비아베오그라드에서 열린 198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세계 신기록을 갱신한 337.5kg의 기록으로 동독의 암브라스와 서독의 카를하인츠 라진스키를 꺾으며 우승을 했고, 같은 해 8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에 참가하여 총 342.5kg를 들면서 동독의 쿤츠와 대표팀 동료인 민초 파쇼프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1981년 9월에는 프랑스 에서 열린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 참가하였다. 그는 총 360.0kg를 들면서 세계 기록을 갱신하였고 소련의 알렉산드르 페르비와 쿠바의 훌리오 에체니케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3월 바르나에서 열린 역도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9월 유고슬라비아의 류블랴나에서 열린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365.0 kg의 기록으로 용상과 세계 기록을 세우면서 파쇼프와 소련의 블라디미르 미할료프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1983년 10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37.5kg의 기록으로 동독의 쿤츠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9월 바르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 대표팀 동료인 알렉산더르 버르바노프와 폴란드의 마레크 세베린을 꺾으며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직후 바로 불가리아 역도 국가대표팀 코치가 되어 감독인 이반 아바지에프를 보좌했으며, 199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역도 대표팀 고문으로 활동했다. 1995년에는 다시 불가리아 국가대표팀 코치가 되었으며, 레프스키 소피아 역도부 이사로 활동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아제르바이잔 역도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1993년 불가리아인으로는 최초로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선수 경력

1958년 12월 1일 슈멘주 이반스키에서 태어났다. 1973년에 소피아의 올림픽 학교에 입학했을때 축구레슬링 훈련을 받았으나 당시 학교 역도부 코치인 이반 아바지에프의 권유로 역도를 시작했다.

19세때 불가리아 역도 국가대표로 처음 발탁되었고 1977년 3월에 소련 빌뉴스에서 열린 프렌드십컵을 통해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루세프는 이 대회 라이트급에서 285kg을 들어올렸고 소련의 세르게이 페브즈네르, 동독의 귄터 암브라스, 소련의 예두아르트 데르가초프의 뒤를 이어 4위에 올랐다. 같은 해 9월에 서독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페더급에서 용상 부문 세계 기록을 수립하고 총 277.5 kg를 들면서 소련의 니콜라이 콜레스니코프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8년 3월에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프렌드십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 6월에 체코슬로바키아하비르조프에서 열린 197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루마니아의 이오안 부타와 폴란드의 즈비그니에프 카치마레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같은 해 10월에 미국 게티즈버그에서 열린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폴란드의 카치마레크와 동독의 암브라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1979년 5월에는 자국 불가리아의 바르나에서 열린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동독의 요아힘 쿤츠와 암브라스를 꺾으며 두번째 유럽 선수권 우승을 달성했고, 같은 해 11월에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종합 세계 신기록을 세우면서 동독의 쿤츠와 중국야오징위안를 누르면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 5월에는 유고슬라비아베오그라드에서 열린 198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세계 신기록을 갱신한 337.5kg의 기록으로 동독의 암브라스와 서독의 카를하인츠 라진스키를 꺾으며 우승을 했고, 같은 해 8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에 참가하여 총 342.5kg를 들면서 동독의 쿤츠와 대표팀 동료인 민초 파쇼프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1981년 9월에는 프랑스 에서 열린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 참가하였다. 그는 총 360.0kg를 들면서 세계 기록을 갱신하였고 소련의 알렉산드르 페르비와 쿠바의 훌리오 에체니케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3월 바르나에서 열린 역도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9월 유고슬라비아의 류블랴나에서 열린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365.0 kg의 기록으로 용상과 세계 기록을 세우면서 파쇼프와 소련의 블라디미르 미할료프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1983년 10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37.5kg의 기록으로 동독의 쿤츠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9월 바르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 대표팀 동료인 알렉산더르 버르바노프와 폴란드의 마레크 세베린을 꺾으며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전성기

얀코 루세프는 1958년 12월 1일 불가리아 슈멘주 이반스키에서 태어났다. 1973년 소피아의 올림픽 학교에 입학하여 축구와 레슬링 훈련을 받았으나, 이반 아바지에프 코치의 권유로 역도를 시작했다.

19세에 불가리아 국가대표로 발탁, 1977년 3월 빌뉴스에서 열린 프렌드십컵을 통해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이 대회 라이트급에서 4위에 올랐고, 같은 해 9월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페더급에서 용상 세계 기록을 세우고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8년 모스크바 프렌드십컵에서 우승, 하비르조프에서 열린 1978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게티즈버그에서 열린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9년 바르나에서 열린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종합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198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 세계 신기록(337.5kg)으로 우승,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에서 금메달(342.5kg)을 획득했다. 1981년 릴에서 열린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 세계 기록(360.0kg)을 갱신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역도 월드컵 우승, 류블랴나에서 열린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세계 기록(365.0kg)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1983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바르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은퇴했다. 은퇴 후 불가리아 국가대표팀 코치, 일본 역도 대표팀 고문, 레프스키 소피아 역도부 이사, 아제르바이잔 역도 대표팀 감독 등을 역임했다. 1993년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1980년 - 67.5kg)
  • 5회 시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1978, 79, 80년 - 67.5kg, 81, 1982년 – 75kg)
  • 2회 시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리스트 (1977년 – 60kg, 1983년 - 67.5kg)
  • 5회 시니어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1978, 79, 80년 - 67.5kg, 81, 1982년 - 75kg)
  • 선수 경력 동안 36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
  • 1981년 불가리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

2. 3. 1983년 이후

1983년 10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37.5kg의 기록으로 동독요아힘 쿤츠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9월 바르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 대표팀 동료인 알렉산더르 버르바노프와 폴란드의 마레크 세베린을 꺾으며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직후 바로 불가리아 역도 국가대표팀 코치가 되어 감독인 이반 아바지에프를 보좌했으며, 199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역도 대표팀 고문으로 활동했다. 1995년에는 다시 불가리아 국가대표팀 코치가 되었으며, 레프스키 소피아 역도부 이사로 활동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아제르바이잔 역도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1993년 불가리아인으로는 최초로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4. 은퇴 후

1984년 하계 올림픽불가리아가 불참했기 때문에 그 해 9월에 바르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 참가하여 대표팀 동료인 알렉산더르 버르바노프와 폴란드의 마레크 세베린을 꺾으며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직후 바로 불가리아 역도 국가대표팀 코치가 되어 감독인 이반 아바지에프를 보좌했으며, 1990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역도 대표팀 고문으로 활동했다. 1995년에는 다시 불가리아 국가대표팀 코치가 되었으며, 레프스키 소피아 역도부 이사로 활동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아제르바이잔 역도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1993년 불가리아인으로는 최초로 국제 역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주요 업적

얀코 루세프는 1980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67.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5회 시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1978, 1979, 1980년 - 67.5kg, 1981, 1982년 – 75kg)에서 우승했으며, 2회 시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1977년 – 60kg, 1983년 - 67.5kg)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5회 시니어 유럽 선수권 대회(1978, 1979, 1980년 - 67.5kg, 1981, 1982년 - 75kg) 우승, 2회 시니어 유럽 선수권 대회(1977년 – 60kg, 1983년 - 67.5kg) 은메달을 차지했다.

얀코 루세프는 선수 경력 동안 36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 1981년에는 불가리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로 선정되었다.

1977년 9월 19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대회에서 페더급 클린 & 저크 165kg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1982년 9월 22일 류블랴나에서 열린 대회에서 미들급 클린 & 저크 209kg, 합계 362.5kg을 기록하기까지 다양한 체급과 종목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978년 7월 18일 아테네: 클린 & 저크 179 라이트급
  • 1979년 5월 22일 바르나: 인상 145, 146 라이트급, 클린 & 저크 181.5 라이트급
  • 1979년 7월 9일 소피아: 인상 147 라이트급, 클린 & 저크 185.5 라이트급, 합계 325 라이트급
  • 1979년 11월 6일 살로니키: 클린 & 저크 187.5 라이트급, 합계 332.5 라이트급
  • 1980년 2월 1일 바르나: 인상 147.5 라이트급, 클린 & 저크 188 라이트급, 합계 335 라이트급
  • 1980년 4월 28일 베오그라드: 인상 148 라이트급, 클린 & 저크 190 라이트급, 합계 337.5 라이트급
  • 1980년 7월 23일 모스크바: 클린 & 저크 195 라이트급, 합계 342.5 라이트급
  • 1981년 9월 16일 릴: 클린 & 저크 206 미들급
  • 1982년 4월 8일 바르나: 클린 & 저크 206.5 미들급
  • 1982년 9월 2일 류블랴나: 합계 365 미들급
  • 1982년 9월 22일 류블랴나: 클린 & 저크 208, 209 미들급, 합계 362.5 미들급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Weightlifting Hall of Fame http://www.iwf.net/f[...] International Weightlifting Federation 2008-08-07
[2] 웹인용 역도 명예의 전당 http://www.iwf.net/f[...] 국제 역도 연맹 2008-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